< Previous370∙Seon, Hyun-Myung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3.3.2 복잡성위에 제시된 기준을 바탕으로 학습자 발화를 AS‒unit으로 구분한 후, 1 AS‒unit 당 절의 수를 계산한 평균치를 구해 발화의 복잡성으로 비교했다.복잡성= ‒절의수의 평균치이 수식에서 절은 일반적 의미의 절 뿐만 아니라, to부정사(원형부정사 포함)와 같은 비정형 동사(infinite verb)로 이루어진 절도 모두 포함하여 합산했다.3.3.3 정확성정확성의 경우 두 가지 측정 방법을 선택했다. 우선, 총 AS‒unit에서 오류가 없는 AS‒unit의 비율을 비교했다. 전사된 학습자 대화를 분석하여 발화의 문법성을 판단하는데있어 두 명의 평가자가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여 오류가 없는 AS‒unit인지 여부를 판단했다. 두 명의 평가자 중 한 명은 연구자 본인이며, 나머지 1인은 응용언어학 전공 박사이며 교수이다. 두 명의 평가자가 각각 판단한 정확성의 연구자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는 0.89에 달하여 일치도가 높았으며, 상이한 결과에 대해서는 토의를 통해 일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류를 발화의 문법성에 국한하지 않고 어휘를 포함한 의미의 전반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판단하였다.정확성= 전체‒의수오류가없는‒의수 × 100(%)본 연구는 또한 학습자 발화의 전체적인 정확성 이외에 시제와 수의 일치 면에서 동사 형태의 정확성을 살펴보았다.동사 시제의 정확성=전체본동사의수시제오류없이사용된본동사의수 × 100(%)동사 수의 일치의 정확성=전체본동사의수수의일치오류없이사용된본동사의수 × 100(%)3.3.4 유창성유창성은 2가지 양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10분 동안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량을 계산하여 총 발화량에서 학습자의 발화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측정하여 유창성의 척도로 삼았다. 이는 독백과 달리 대화의 경우 대화상대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대화가 빈번하게 끊기고 방해를 받아 유창성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차선책으로 선택한 방법이다.Effects of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s on the Complexity, Accuracy, Fluency of a Korean EFL Learner’s Utterances∙371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유창성= 학습자교사가발화한총단어의수학습자가발화한총단어의수 × 100(%)또한 본 연구에서는 발화의 유창성을 측정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 Skehan과 Foster(2012)가 사용한 방법을 택하여, 1분간의 학습자 발화에서 반복과 같은 유창성을 저해하는 표지가 일어나기 전까지 발화된 평균단어수를 구하였다. 유창성을 저해하는 표지에는 반복, 휴지, 채움말(filler)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반복과 함께 학습자가 빈번하게 사용하는 ‘er’라는 채움말을 기준으로 삼아 이들이 발생하기 전까지 발화된 평균단어수를 구하였다.4. 결과 및 논의본 연구에서는 전화영어 수업 초반 1개월 차 3개 차시 수업(각 10분씩 총 30분 분량)과 전화영어 수업 후반 5개월차 3개 차시 수업(각 10분씩 총 30분 분량)의 실험참가자 발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4.1 복잡성복잡성의 경우, 연구자는 초반보다 후반으로 갈수록 좀 더 복잡하고 긴 문장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고 느꼈다. 또한, 초반 수업에서는 주로 교사의 질문에 단답형으로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후반으로 갈수록 ‘that절’로 연결되는 길고 복잡한 문장 등도 말하려고 많이 시도하였다. 이러한 점들이 실제 객관적 지표로 나타나는지 측정해본 결과, 1 AS‒unit당 평균 절의 수가 초반 발화에서는 평균 1.40으로, 후반 발화에서는 평균 1.80으로 나타났다. 특히, 후반 수업에서 복잡성 지수가 가장 낮게 나온 경우 1.65로 나타났는데, 이 수치는 초반의 수업에서 나타난 가장 높은 복잡성 지수보다도 높게 나타난 것이다.표 2. 초반과 후반 발화의 복잡성 비교 시기초반1초반2초반3평균후반1후반2후반3평균복잡성1.341.421.451.401.891.651.871.80학습자는 후반기로 갈수록 발화의 길이나 구조의 측면에서 복잡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다음의 예는 수업 초반과 후반의 교사와 학습자 간 대화에서 가져온 것이다.S:How long is the wet season, wet season there?T:Until September.S:From?T:Starting June to September.S:Ah, it last about three month?372∙Seon, Hyun-Myung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초반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발화가 길지 않고, 두 번째 학습자 발화 순서에서 교사에게 질문할 때 문장이 아닌 “From?”이라고 하여 하나의 단어를 사용하는 등 복잡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S:Yeah, how was how was your your Christmas day? I I think I think Philippines Christmas in Philippines er is more important and more and bigger than Christmas in Seoul. I mean most Philippines people believe in Catholic Catholic church and I think I know that Christmas is the biggest event and holiday in Catholic church, so I think that er Christmas day is bigger than bigger and more important than that of in Seoul.T:Yes, that is actually correct. Christmas is the biggest holiday here. It’s like Chusok in Korea. So, if you have Chusok and we have Christmas and my Christmas was kind of boring because I was sick last week.S:Ah, I’m sorry to hear that.그러나 후반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질문이 보다 길어지고, that절을 이용한 복잡한 문장을 발화하는 등, 복잡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반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각 발화에서 1개의 AS‒unit에 오직 하나의 절만을 사용한반면, 후반 수업에서는 1개의 AS‒unit에 다수의 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발화의 복잡성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4.2 정확성EFL 환경에서 문법을 중시하는 전통적인 영어 수업을 받아온 학습자로서, 연구자는 문장의 문법성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대화를 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자는 복습을 위해 수업 녹음파일을 들을 경우, 문법에 맞지 않는 문장을 많이 발견하게 되어 학습자로서 좌절감을 느끼기도 하였으며, 문법적 정확성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향상되지 않고 정체된 느낌을 받았다.학습자 발화의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전체 AS‒unit에서 오류가 없는 AS‒unit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초반 수업에서는 오류가 없는 AS‐unit의 비율이 평균 64.6%에서 후반 수업에서는 54.3%로 오히려 정확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5개월의 전화 대화가 왜 학습자 발화의 정확성 감소로 이어진 것일까? 언뜻 생각하면 상식에서 벗어난 결과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미 쓰기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이는 Skehan(2009)의 교환가설(tradeoff hypothesis)로 설명이 가능하다. 즉, 인간 두뇌는 작업 기억(working memory)과 주의력 집중시간(attentional span)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분야에 주의를 집중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다른 분야에의 집중이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중 어느 한 부분에 집중을 하게 되면 제한된 작업 기억과 주의력 집중시간으로 인해 나머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된다는 것이다.연구 참여자로서 5개월의 전화영어 후에 정확성이 감소한 이유를 생각해보면, 전화영어 초기에는 오류가 없는 문장을 말하려고 의식하면서 대화를 한반면, 후반으로 갈수록 정확성을 의식하기보다는 대화에서 보다 주도적으로 참여하려고 노력했던 것 같다. 그 결과 발화의 정확성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복잡성과 유창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이번에는 학습자 발화의 전체적 정확성 이외에, 시제와 수일치의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해보았다. 그 결과, Effects of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s on the Complexity, Accuracy, Fluency of a Korean EFL Learner’s Utterances∙373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동사의 시제는 정확하게 사용한 동사의 비율이 초반은 평균 91%로 나타났고, 후반은 평균 88%로 나타났다. 수일치의 경우 정확하게 사용한 동사의 비율이 초반은 평균 94%로, 후반은 평균 98.3%로 나타났다. 동사의 시제보다 수의 일치에 있어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업의 초반과 후반에 나타난 수치는 사실상 어떠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았다(표3 참고).즉, 5개월의 수업 동안 학습자는 동사 시제와 수의 일치 상으로는 정확성의 향상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정확하게 사용된 동사의 비율이 90% 이상이라는 것은, 학습자 스스로가 인식하는 것보다는 동사의 시제와 수일치의 정확도가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관련 문법의 습득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Ellis, 2008).4.3 유창성유창성의 경우, 학습자는 초반과 후반 모두 발화의 유창성이 낮음을 느꼈으며, 초반 수업에서 흔히 나타나는 긴 휴지, 반복 등이 후반 수업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빈번하게 나타났다고 인식하였다.본 연구는 10분이라는 한정된 시간에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초반 수업에서는 학습자 발화량이 전체 발화에서 평균 49.6%를 차지해서 교사의 발화량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반 수업에서는 학습자 발화가 전체 발화에서 평균 67.9%를 차지해, 후반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표4 참고). 즉, 초반 수업과 비교해 후반 수업의 학습자 발화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유창성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표 4. 전체 발화에서 학습자 발화의 비율시기초반1초반2초반3평균후반1후반2후반3평균유창성(%)5050.748.349.673.167.76367.9유창성을 측정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 1분간의 학습자 발화에서 반복과 학습자가 빈번하게 사용한 채움말인 ‘er’가 발생하기 전까지 발화된 평균 단어수를 구한 결과, 초반 3개 수업에서는 2.93 단어로 나타났고, 후반 3개 수업에서는 3.58 단어로 나타나, 후반 수업에서 학습자는 유창성을 저해하는 표지를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유창성 저해 표지가 나타나기 전까지 발화된 평균 단어수시기초반1초반2초반3평균후반1후반2후반3평균단어수3.152.892.752.933.313.643.83.58표 3. 초반과 후반 발화의 정확성 비교시기초반1초반2초반3평균후반1후반2후반3평균전체 (%)64616964.654595054.3시제 (%)8590989183919088수 일치 (%)94959394971009898.3374∙Seon, Hyun-Myung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이는 그만큼 학습자의 발화 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Kim, 2012), 전화영어를 통해 학습자 발화의 유창성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5. 결 론5.1 결 론본 연구는 5개월의 전화 영어를 통해 수집된 한 한국인 EFL 학습자의 발화를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 복잡성의 경우, 후반으로 갈수록 학습자가 보다 복잡한 문장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잡성이 증가했다고 할 수 있다. 정확성의 경우, 후반으로 갈수록 전반적인 정확성이 감소했으나, 시제나 수의 일치와 같은 특정 문법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정도는 이미 90% 이상의 습득율을 보여 안정된 상태를 보였다. 유창성의 경우, 후반 수업으로 갈수록 학습자는 대화의 주도성을 갖고 수업에 임하여 교사보다 많은 발화를 했으며, 발화의 유창성을 저해하는 표지도 덜 사용해 유창성의 증가를 나타냈다.최근 전화영어를 제공하는 업체가 크게 늘어났으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5개월간의 전화 영어 후에 복잡성과 유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겠다. 한편 정확성의 향상은 없었으나, 본 연구의 참여자보다 영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정확성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으므로, 앞으로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화영어의 효과를 연구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5.2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EFL 환경의 학습자 발화양상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정확성의 경우 본 연구 참여자는 스스로 동사의 시제와 수의 일치에 있어서 잦은 오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좌절감을 느꼈으나 실제로는 정확성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필요 이상으로 정확성에 집착해 자신감부족과 동기 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실제 발화에서 정확성이 어느 정도는 확보되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 의사소통에 집중하여 말하도록 지도하면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발화의 복잡성와 유창성이 5개월여의 전화영어를 통해 증가한 결과는 영어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L2 발화와 연습의 기회를 얻는 것이 주효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ESL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L2 습득에 불리하다고 여겨지는 EFL 환경에서도 일정 수준으로 학습자 발화의 복잡성과 유창성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본 연구는 한 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학습자의 나이나 언어적성, 성격, 영어 능력, 학습 동기 등의 여러 요소가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중 하나의 요소만 달라져도 상이한 연구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1년 이상의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전화영어의 효과를 좀 더 뚜렷하게 볼 수도 있겠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학습배경을 가진 개인 학습자들에 대한 장기적이고 정성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Effects of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s on the Complexity, Accuracy, Fluency of a Korean EFL Learner’s Utterances∙375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참고문헌남주연·김영주. 2015.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나타난 통사 복잡성 발달. 한국어교육, 26.1: 59-87. 박은영. 2003. 원어민과의 전화영어 회화 학습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구두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박은영. 2012. 전화영어회화 방법을 이용한 사이버대학 영어회화 수업. 인문논총, 30: 293-315.재경일보. 2012. 1. 25. 전화와 영상을 통해 영어를 배우는 시대. http://news.jkn.co..kr/article/news/20120125/4283061.htm정숙경. 2012. 전화 영어 수업 분석과 영어 말하기 능력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 Journal of Linguistic Studies, 17.3: 69-88.조선·신동일. 2014. 전화영어에 나타난 대화의 특성 연구: 상호작용 담화모형의 관점에서. 영어학, 14.4: 603-631.지방행정신문. 2018. 5. 28. 경기도, 교육복지 실현 영어 교육격차 해소 프로젝트 추진. http://www.localadmininews.com/1488충청일보. 2018. 7. 12. 일대일영어회화 과외학습, 스카이프전화, 화상영어 고화질 선보여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1635Ellis, R. 2003.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Fillmore, C. J. 1979. On Fluency In C. J. Fillmore, D. Kempler and W. S. Y. Wang (eds.),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Ability and Language Behavior (pp. 85-102). New York, NY: Academic Press.Foster, P., Tonkyn, A., and Wigglesworth, G. 2000. Measuring Spoken Language: A Unit for All Reasons. Applied Linguistics, 21, 354-375.Kormos, J., and Dénes, M. 2004. Exploring Measures and Perceptions of Fluency in the Speech of Second Language Learners. System, 32, 145-162.Kim, K. 2012. Phone-Based Interaction and Development of L2 Oral Fluency.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ing 18.4: 51-70.Kim, K. 2012. L2 Phone-Based Interaction (PBI) and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 Case Study of an Adult’s English Learning in EFL Context. Asian EFL Journal, 14, 99-177.Kuiken, F., Vedder, I., and Gilabert, R. 2010. Communicative Adequacy and Linguistic Complexity in L2 Writing. In I. Bartning, M. Martin, and I. Vedder (eds.). Communicative Proficiency and Linguistic Development: Intersections between SLA and Language Testing Research (pp. 81-100). Eurosla Monograph Series, Vol. 1.Kusyk, M. 2017. The Development of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L2 Written Production through Informal Participation in Online Activities. CALICO Journal (Online) 34.1: 75-96.Lennon, P. 2000. The Lexical Element in Spoken Second Language Fluency. In H. Riggenbach (Ed.), Perspectives on Fluency (pp. 25-42).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Lintunen. P. and Makila, M. 2014. Measuring Syntactic Complexity in Spoken and Written Learner Language: Comparing the Incomparable? Research in Language, 12.4, 377-399.Norris, J. M., and Ortega, L. 2009. Towards an Organic Approach to Investigating CAF in Instructed SLA: The Case of Complexity. Applied Linguistics, 30, 555-578.Ortega, L. 2003.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L2 Proficiency: A Research Synthesis of College-Level L2 Writing. Applied Linguistics, 24, 492-518.Polio, C. 1997. Measures of Linguistic Accuracy in Second Language Writing Research. Language Learning, 47.1, 101-143.Segalowitz, N. 2000. Automaticity and Attentional Skill in Fluent Performance. In H. Riggenbach. (ed.), Perspectives on Fluency (pp. 200-219).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376∙Seon, Hyun-Myung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Skehan, P. and Foster, P. 1999. The Influence of Task Structure and Processing Conditions on Narrative Retellings. Language Learning, 4.1, 93-120.Skehan, P. 2009. Modeling Second Language Performance: Integrating Complexity, Accuracy, Fluency, and Lexis. Applied Linguistics, 30.4, 510-532.Skehan, P. and Foster, P. 2012. Complexity, Accuracy, Fluency and Lexis in Task-Based Performance. In Housen, A, Vedder, I, Kuiken, F. (eds.), Dimensions of L2 Performance and Proficiency: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SLA (pp. 199-220).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Tavakoli, P., Campbell, C., and McCormack, J. 2016. Development of Speech Fluency over a Short Period of Time: Effects of Pedagogic Intervention. Tesol Quarterly, 50.2, 447-471.Tonkyn, A. 2012. Measuring and Perceiving Changes in Oral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Housen, A, Vedder, & I, Kuiken, F. (eds.), Dimensions of L2 Performance and Proficiency: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SLA (pp. 222-245).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Yuan, F. and Ellis, R. 2003. The Effects of Pre-Task Planning and On-Line Planning on Fluency, Complexity and Accuracy in L2 Monologic Oral Production. Applied Linguistics, 24.1, 1-27.선현명, 대학원생 (02504) 서울시 동대문구 서울시립대로 163(전농동)서울시립대학교 영어영문학과E-mail: wellmyj@daum.net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34(3), 377-392 (2018)스마트폰 어휘앱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 인식 연구이선영* ․ 구유선**충남대학교*제 1저자 / **교신 저자College EFL Students’ Perceptions of Vocabulary Learning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Lee, Sunyoung* and Koo, Yuson**Chungnam National University*First Author / **Corresponding AuthorABSTRACT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34.3, 377-392. With their popularity and their ubiquitous nature, mobile wireless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offer great potential as a teaching and learning tool in English education. The current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learn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applications in learning English vocabulary. A total of 24 undergraduates in ‘Understanding of English Vocabulary’ clas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used Quizlet as a mobile app on smartphones to learn vocabular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 vocabulary test,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general,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vocabularylearning assisted by the mobile application. In particular, the high proficiency group demonstrat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the low proficiency group, in terms of the enjoyability and the learning impact. The paper concludes with pedagogical implications, focusing on the instructors’ roles to integrate mobile apps into college English class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Keywords: mobile learning, smartphone apps, L2 vocabulary, English education, quizletOPEN ACCESShttps://doi.org/10.18627/jslg.34.3.201811.377pISSN : 1225-4770Received: October 15, 2018Revised: November 03, 2018Accepted: November 14, 2018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Copyrightⓒ2018 the Modern LinguisticSociety of Korea1. 서 론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도래하면서,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은 E-러닝(electronic learning)에서 M-러닝(mobile learning)으로 추세가 전환되고 있다. 즉, 2000년대 초반에는 컴퓨터나 웹을 기반으로 하는 E-러닝이 학습 도구로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후 무선인터넷 서비스 환경의 개선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보급의 확대로 최근에는 모바일본인이 투고한 논문은 다른 학술지에 게재된 적이 없으며 타인의 논문을 표절하지 않았음을 서약합니다. 추후 중복게재 혹은 표절된 것으로 밝혀질 시에는 논문게재 취소와 일정 기간 논문 제출의 제한 조치를 받게 됨을 인지하고 있습니다.378∙Lee, Sunyoung ․ Koo, Yuson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기기에 학습을 접목시킨 M-러닝이 새로운 교육환경에 부합하는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김혜정, 2016; Abdous, Camarena and Facer, 2009; Sharples et al., 2009). 기존의 E-러닝은 컴퓨터 단말기를 기반으로 해서 학습자가 안정된 물리적 공간에 자리를 잡고 유선 인터넷 학습을 진행하는 형태였지만, M-러닝은 E-러닝의 시간, 공간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상시적 교수 학습 환경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무엇보다 M-러닝은 문자,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망라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 접근하기 쉬워서 교육의 전달을 흥미롭게 할 수 있고, 외국어 학습 영역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 능력과 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교수 도구로서 발전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tin and Ertzberger, 2013).한국갤럽 데일리 오피니언에서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7년 8월 기준으로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약 4,779만 명에 도달하였으며, 그 중 만 19세 이상 성인의 93%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한국갤럽, 2017). 특히 20-30대의 경우 이미 2012년 하반기부터 90%이상이 스마트폰으로 전환하여 2017년에는 99%이상 스마트폰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 주요 사용 인구인 현재 대학교 재학생들은 일찍이 디지털 기술에 노출되어 온 세대로서 대다수가 초등학교 시기 이전부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학습 테크놀로지 환경에 익숙하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형태인 M-러닝의 교육적 가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공감대에도 불구하고(임 걸, 2010), 실제로 대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 M-러닝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기대와 예상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이다(손혜림, 2012; 김혜숙, 2017; Cha and Kim, 2016). 다시 말해서 새로운 학습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학습 환경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지금, 그것을 어떻게 대학교 강의에 통합 시킬 수 있는지, 어떻게 대학생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와 연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1)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 어휘의 이해’라는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영어 어휘 수업에서 시행한 스마트폰 어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으로 표기) 활용 모델을 자세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고명희(2014)의 스마트폰 영어 학습 앱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의 요구 조사에 의하면, 다른 과목들보다 영어 과목이 모바일 기기용 앱으로 학습하기 적합하다는 긍정적 의견이 80%를 상회하였다. 특히 주목할 만한 내용은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어휘, 문법, 발음 등 7개 항목 중 앱활용을 통해 언어 기능 향상이 가장 용이할 것 같은 두 가지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듣기’와 ‘어휘’ 선택 빈도가 전체의 89%(n=224/225)에 해당했다는 점이다. ‘어휘’라고 답한 다수 학습자들의 경우 다른 영역에 비해 앱을 이용한 어휘 학습이 상대적으로 쉬운 이유가 반복학습의 가능성에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학습자 요구 조사를 고려하여 영어 어휘 형성의 이해와 어휘 지도에 초점을 맞춘 수업 커리큘럼에 직접 어휘 학습앱을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과제를 실시한 후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이처럼 대학생 학습자들의 어휘앱 활용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더 개선된 영어 학습 환경과 교수 방법에 대한 모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어휘 학습을 위해 더 유용한 어휘앱 설계 및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우선 M-러닝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고, M-러닝을 활용한 어휘 학1) 고도의 기술 발달과 함께 미래 교육의 모습은 M-러닝을 넘어서서 U-러닝(ubiquitous learning)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U-러닝은 모든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나, 이용자 눈에는 보이지 않으며,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고, 현실 세계의 사물과 환경 속으로 스며들어 일상생활에 통합되는 형태의 학습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서정희 외, 2005: 32). 쉽게 말해서 U-러닝은 학습자가 학습에 필요한 기기를 휴대할 필요 없이 학습자가 속해 있는 환경 안에 정보통신 기술이 내재(embededness)되어 있어서 필요시 접근 가능한 학습이다. 비록 차세대 학습법으로서 U-러닝이 대세가 될 것은 분명하고, U-러닝이 제공하는 미래 교수학습 모델은 매우 기대가 되지만, 물리 공간 전체가 네트워크화 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까지 가능한 교육 환경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아직 기술과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 실생활 전반적으로 보편화되어 있지만 실제 대학교 외국어 학습의 활용 연구 자료로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M-러닝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겠다.College EFL Students’ Perceptions of Vocabulary Learning with a Smartphone Application∙379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Vol. 34, No. 3, 2018습을 다루는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후, 본 연구에서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어휘앱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3장에서는 논문의 실험 연구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한다. 4장에서는 연구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를 하고,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과 함께 영어 어휘 학습에서 스마트폰 앱활용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논문을 마무리 한다.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2.1 M-러닝의 정의 및 특징M-러닝은 ‘모바일(mobile)’과 ‘E-러닝’의 합성어로서 전자 매체 중 태블릿 PC, 노트북, 스마트폰, 게임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무선의(wireless) 매체들을 활용한 교육을 의미한다(Kukulska-Hulme and Traxler, 2005). M-러닝의 하위 분야로 모바일 기기를 도구로 활용하여 진행하는 외국어 학습을 ‘MALL(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이라고 명명하고 있다(Chinnery, 2006).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진적 발전은 20-30대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보급을 범국민적으로 확대시켰고, 그와 함께 M-러닝은 동영상 강의 또는 학습 앱 등을 중심으로 외국어 학습의 새로운 트랜드를 형성하게 되었다. M-러닝의 주요 특징은 편재성(ubiquity), 접속성(connectivity), 개인성(personalization), 자기주도성(self-regulation) 등으로 요약된다(박주연, 2013; Kukulska-Hulme and Traxler, 2005). 각 특징의 개념을 정리해보고, 그 특징이 영어 어휘 학습에서 어떤 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첫째, ‘편재성’은 전통적인 학습 방식 또는 E-러닝과 비교해서 M-러닝만이 가지는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서, 학습자가 학습 동기만 가지고 있으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언제 어디서든 선택적 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바일기기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무게도 가벼워져서 간편하게 휴대와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신축성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기회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되었다. 특히, 본 논문의 핵심 영역인 어휘력을 향상 시키려면, 어휘를 검색하여 간격을 두고 노출, 반복하는 학습이 중요한데(Barcroft, 2007), M-러닝의 편재성은 그러한 반복 학습 기회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둘째, M-러닝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접속성’이다. 접속성이란 학습자가 원하는 정보가 있을 경우, 기존 유선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컴퓨터 부팅이나 통신 연결을 위한 시간 등을 거치지 않고,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즉시 연결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서, 전통적인 영어 어휘 수업은 무거운 책과 같은 학습 매체를 통해서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어휘의 철자와 의미를 구두로 또는 문서로 알려주는 방식이고, E-러닝 환경에서는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을 해야만 가능하다. 반면에 M-러닝은 개인이 모바일 기기를 휴대하고 있으면 그 자리에서 빠르고 쉽게 접속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M-러닝의 접속성이 영어 어휘 수업 활용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수자가 가르치고자 하는 어휘를 알려주면 학습자는 M-러닝의 빠른 접속성을 통해 목표 어휘뿐만 아니라 그와 관계된 어휘들까지 의미 확장을 시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단어의 뜻과 이미지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시각적 입력을 강화할 수 있고(Noris and Ortega, 2000; Sharwood, 1993), 필요시 원어민 발음으로 즉시 청취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학습하는 어휘가 포함되어 있는 실제 자료(authentic materials)들에도 접속할 수 있어서 학습 내용과 실생활을 빠르게 연결시킬 수 있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