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김도영 Doyoung Kim (주)CWS엔지니어링 선임 김지형 Jihyung Kim (주)CWS엔지니어링 선임 이정배 Jeong-Bae Lee (주)CWS엔지니어링 대표 최현 Hyun Choi (유)양호기술 소장 이호열 Hoyeol Lee (주)협성종합건업 차장 PSS 내진 지하연속벽 공법 및 적용 사례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ilaster Jointed Slurry Wall System Method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8 1. 머리말 포항지진 이후 내진 설계에 대한 중요도가 주목받게 됨에 따라 개정된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은 내진 설계의 범위에 지하 구조를 포함하는 등 요구 사항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개정된 기준에 따라 지 하 구조 내진 설계 시 지상 구조와 달리 지진 하중에 의한 지반 및 지하구조물의 상대 변위에 따른 추가적인 토압을 고려해야 하여 더욱 엄격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의 하나인 ‘지하연속벽(Slurry Wall)’ 공법이 개정된 설계 기준을 만족하기에 면내 강성이 부족함에 따라 별도의 보강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지하연속벽 공법은 벽체의 강성이 높고 차수성이 우수하며 소음과 진동, 주변 침하 등의 측면에서 타 공법에 비 해 장점이 있어 널리 쓰이는 공법이다. 그러나 각 패널의 우수한 면외 방향 강성과 달리 지진 하중 작용 시 패널 간 일체화된 거동을 하지 않음에 따라 개정된 내진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지하연 속벽 공법을 보강하여 해당 공법의 공사 기간 및 비용 등의 이점을 유지하며 강화된 내진 설계 기준을 만족할 수 있 는 대책으로 지하연속벽 패널 간 연속성을 확보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PSS 공법이 제안되었다. PSS 공법은 패널 간 연속성을 확보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는 공법으로 패널 이음부에 벽체기둥(Pilaster)를 설치하여 일체화된 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이다. 본 기사에서는 지하연속벽 내진 설계 솔루션으로써 PSS 공법의 설계 절차와 주요한 고려 사항을 적용 사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2. PSS(Pilaster jointed Slurry wall System) 공법 2.1 공법 개요 지하연속벽 시공시 패널 단위로 시공되기 때문 에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에도 <그림 1>그림 1. 기존의 패널 전단 보강 방안 예시제35권 4호 2023. 07 79 과 같은 전단 보강 방안이 사용되어 왔었다. 설계 기준 개정 이전의 경우 캡빔을 패널 상부에 시 공하는 방법, 기초에서 패널을 구속하는 방법, 테두리 보를 통해 구속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해당 보강 방법으로는 지하구조물 내진 설계 기준을 만족 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직접적인 구속을 통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PSS 공법이 제안되 었다. PSS 공법은 패널의 이음부에 벽체기둥(Pilaster, 이 하 필라스터)을 설치하여 패널간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적인 사항이다. <그림 2>와 같 이 각 패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면외 방향 강 성은 우수하나 지진 하중 작용 시 개별적으로 거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각 패널을 구속할 시 연속성 을 통해 면내 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림 3>과 같은 메커니즘에 따라 지진 토압에 저항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2.2 공법 적용 절차 필라스터 시공 절차는 <그림 4>와 같다. 차후 필라 스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패널 타설 시 Form을 설치 그림 2. 구속조건에 따른 벽체 거동 비교 그림 3. 지진 하중 작용 시의 지하 구조물 예상 거동그림 4. 필라스터 시공 절차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0 하고, 전단 철근을 고려하여 철근을 배근하는 것이 주 요한 고려 사항이며 복잡한 절차가 존재하지 않아 시 공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실제 시공 예시는 <그림 5>와 같다. Form 설치 외 에 철근 근입 및 타설이라는 전체적인 지하연속벽 시 공 절차는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절 차 없이 비교적 단순한 상세를 따름에 따라 양호한 설 치 품질과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2.3 공법 기대 효과 <그림 6>은 패널 연결을 위해 제안된 타 공법의 예 시이다. 내진 설계 기준 만족을 위해 제안된 여타 공 법들은 패널 설치 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며 패널 연결부에 발생하는 슬라임으로 인해 기대하는 전단 보강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공법은 시공 절차가 간소화되어 시공성이 우수하 며 전단 보강 성능 확보가 용이하고, 필라스터 설치가 패널 설치 이후 토공사 중에 완료되어 전체 공기에 영 향을 미치지 않아 품질 관리 및 경제성 측면에서 탁월 하다고 평가된다. 2.4 공법 설계 절차 PSS 공법 적용 시 전단 보강 역할을 하는 주요 부재 는 캡빔(Cap Beam)과 필라스터이다. 패널 시공 후 그림 5. 필라스터 시공 절차 예시 그림 7. 필라스터 상세 예시 그림 6. 패널 연결 공법 예시그림 8. 지하구조물 내진설계 과정 구조해석 - 하중조합 - 구조모델링 - 구조해석 구조설계 - 강도설계 - 상세설계 시간이력해석법 - 암반지진시간이력의 선정 - 지반-구조 모델링 - 경계조건 - 시간이력해석의 수행 - 지진토압의 산정 등가정적법 - 지진토압계수 - 지진토압 및 분포 지하구조물의 분류 및 중요도 지진력저항구조시스템의 분류 내진성능목표 및 성능요구사항 기본설계 지반조사 및 분류 - 토사지반분포의 영향 - 지하층의 영향 지진하중의 계산 지진토압을 위한 설계계수 - 유효지반탄성계수 - 설계응답스펙트럼 응답변위법 - 변위응답스펙트럼 - 토사지반의 주기 - 지반의 반력계수 - 지진토압 및 분포 토압산정방법의 결정제35권 4호 2023. 07 81 필라스터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사전에 전단 철근을 매립 시공하며 전단 보강 성능을 만족하도록 설계하 기 위해 지진 토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전체 설계 과정은 <그림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패널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캡빔과 필라스터 설계를 위해서는 지진 하중의 적절한 산정이 중요한 과정이 되므로 구조물의 구조시스템과 지반 조사 결과 등에 근거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 예시를 다음 절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3. PSS 공법 적용 사례 3.1 북항 재개발 사업 C-1 블록 신축공사 설계 과정 본 구조물의 개요는 <표 1>과 같다. 구조시스템과 용도, 대지 위치 등에 의해 산정된 설계 계수와 지반 조사 결과를 통해 지진 토압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경우 응답변위법을 적용하여 이중코사인 방법을 통해 지반 변위 산정 후 지반반력계수를 곱하 여 지진 토압을 산정하였다. <그림 9>와 같이 지진토압과 정적토압의 합이 정적 토압의 1.6배에 비해 크지 않으므로 정적토압을 사용 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이 얻은 토압을 반영하여 패널에 작용하는 지진하중 산정을 위한 모델링을 <그림 10>처럼 작성 후 각 패널 이음부의 전단력을 산정할 수 있다. 캡빔 과 각 패널 전단 철근에 의한 전단 마찰 강도의 합으 로 전단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적인 공법 설계 개념이며 필라스터 전단은 콘크리트와 전단 철근에 의해 저항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각 부재의 설계는 <표 2>의 부재 제원과 식 (1)을 통 해 이루어진다. 전단철근 보강의 적절하게 이루어졌 음을 확인함으로써 내진 설계 기준에서 요구하는 성 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림 10. 구조해석을 위한 모델링 그림 9. 정적토압과 지진토압 산정 결과 표 1. 설계 대상 구조물 개요 대지 위치부산광역시 동구 지하층 횡력저항시스템 지하외벽으로 둘러쌓인 지하구조시스템 내진등급1 중요도계수지하층 : IE= 1.2 지진구역계수Z = 0.11 유효지반 가속도S = 0.22 지진설계계수R= 3, Ωο= 3, Cd= 2.5 식 (1)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2 표 2. 캡빕, 패널 이음부, 필라스터 제원 1) 캡빔 주근개수(ea)폭(mm)높이(mm) HD25161,2001,200 2) 패널 이음부 주근간격(mm)폭(mm)높이(mm) HD193009008,200 3) 필라스터 전단철근간격(mm)개수(ea)폭(mm) 높이(mm) HD1630023,2008,200 위와 같이 지진 토압의 산정과 부재의 설계를 진행 함으로써 지하연속벽이 내진 설계 기준을 만족하도록 시공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PSS 공법의 핵심이 되 는 필라스터의 적절한 설계를 위해서는 지진 토압의 올바른 산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2 현장 적용 <그림 11>을 통해 필라스터 적용 위치를 제외하고 패널이 타설된 모습과 해당 부위에 필라스터와 연결 을 위한 전단 철근이 매립 시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또한 패널 시공 간 필라스터 설치 여부에 관계 없 이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하여 필라스터 설치에 의한 공기의 지연 등 부정적인 요소가 없음이 확인된다. 필 라스터 설치를 위한 과도한 상세가 요구되지 않는 것 과 설치 자체의 시공 또한 간소화되어 시공성 확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4. 맺음말 위와 같이 PSS 공법의 적용 과정을 사례를 통해 소 개하였다. 상세한 설계 과정과 간소화된 시공 절차에 의해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여 개정된 건 축물 내진설계기준을 효율적으로 만족하는 솔루션으 로써 제안된 PSS 공법이 널리 적용되어 국내 흙막이 공법 적용 현장이 단기간 내에 안전하게 시공을 마무 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림 11. PSS 공법 시공 사례 담당 편집위원 : 이미향((주)한국방재기술) paco1413@nate.com 1. 이정배. 조동진. 강현준 “필라스터(Pilaster)를 이용한 슬러리월 일체화 방안”건축구조(한국건축구조기술사 회지). Vol. 28. No. 2. pp. 55 ~ 60, 2021. 2. 조동진. “[엔지니어링 리포트] 필라스터 (Pilaster) 를 이용한 슬러리월 내진보강 공법”건축. Vol 66. No. 12. pp 76 ~ 79, 2022. 참고문헌제35권 4호 2023. 07 83 김도영 선임은 고려대학교에서 캔틸레버형 스티프너로 보강된 좌 굴방지가새(CAS-BRB)의 유한요 소해석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023년부터 CWS 엔 지니어링에 재직하여 구조 설계 업 무를 담당하고 있다. kdy@cwseng.co.kr 김지형 선임은 고려대학교에 서 AI 기반 콘크리트 균열 깊이 예 측 모델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22년부터 현재까지 CWS엔지니 어링 설계팀에서 근무하고 있다. kimjh@cwseng.co.kr 이정배 대표는 CWS엔지니어 링의 대표 이사로서 슬래브 지지 공 법인 CWS 공법과 슬러리월 내진 보강 공법인 PSS 공법을 비롯하여 건축구조기술사로서의 경험에 기반 한 다양한 구조 설계 및 기술 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lee@cwseng.co.kr 최현 소장 은 20여 년 동안 초 고층 건물 및 장스팬 구조물과 같은 특수 구조를 포함한 일반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지원 업무를 수행했으 며, 현재는 (유)양호기술에서 건축 구조기술사로 구조관련 총괄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topeng2020@naver.com 이호열 차장은 (주)동아지질에 서 다양한 슬러리월 공법 현장을 담 당해왔으며 대표적으로 부산 해운 대 엘시티, 싱가폴 MCE 등의 프로 젝트에 참여했다. 현재는 협성종합 건업에서 토목부서 차장으로서 업 무를 수행하고 있다. lhy4816@naver.com •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 정가(비회원가) : 68,000원 • 출판사 : 기문당 • 회원할인가 : 54,400원(20%) • 발행일/Page : 2022.04.15 | 도서소개 | 이번 콘크리트표준시방서 해설서는 2021년 2월에 새롭게 고시된 콘크리트표준시방서의 내용 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실무에 종사하는 기술자들의 이해를 돕고 시방서 활용의 편의성 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간하게 되었다. 이 해설서는 새로 고시된 시방서의 각 조항에 대한 배경 및 필요성, 학술적 근거 및 적용범위, 제 한사항 및 시방내용의 변천사항 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여 콘크리트 관련 실무기술자들의 이해 를 돕고, 시방서 본문에서 언급하지 못하는 세부사항에 대한 오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 시된 시방서의 일부 오탈자 및 편집오류 등과 같은 경미한 사항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을 통하여 사 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각 조항과 관련된 우리 학회의 실무지침도 소개하여 관련 전문지식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해설[개정판]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4 박제영 Je-young Park 롯데건설(주)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지하주차장 코어부 PC화 공법 Underground Parking Lot PC Core System 1. 머리말 최근에는 국내의 건설현장에서 기존의 최적화된 비용으로 건설공사비를 감당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첫째로는, 비용적인 측면을 들 수 있다. 코로나 이후로 건축공사비는 2019년 12월 대비 작년 10월 기준으로 약 27 %가 상승한 상황이며, 이는 시멘트 가격이 최근들어 7월 기준 톤당 12만 원 수준으로 급격히 상승 하여 이제는 공동주택의 경우 평당 공사비 1,000만 원의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추가로, 인건비로는, 현장 노임 단가가 보통인부 기준으로 2019년 130,264원 대비 2023년 상반기 기준 157,068원으로 21 %으로 건설노임 단가 가 큰폭으로 상승한 상황으로 공사비의 부담이 커진 요인으로 확인된다. 둘째로는, 공사기간에 대한 측면을 들 수 있다. 2019년 레미콘 8·5제를 시작으로 과거의 공기가 지연될 시에 모든 조건을 맞추던 과거의 돌관공사에 대한 관행은 점차 퇴출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추가된 중대재해법을 근거로 한 노조의 건설회사에 대한 압력 및 대관신 고로 인해 공사기간의 지연은 최근까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건설공사비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는 실정 이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이기 위해 그동안 국내 다수의 건설회사는 기존의 재래식 공법에서 탈 피하여 OSC(Off-Site Construction; 이하 OSC)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를 타개하고자 하였다. 이의 일환으로 공 그림 1. 연간 노임단가(상/하반기)그림 2. 건축공사비 관련 물가지표제35권 4호 2023. 07 85 동주택의 경우 지하주차장의 보, 기둥, 슬래브 구간에 는 PC공법이 주로 정착되어 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경우, PC적용률은 주로 35 % ~ 40 % 정도로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공동 주택의 주동부를 지하주차장 PC적용률 분모에서 제 외하고 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주동부가 PC화 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름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하 지만 최근 들어 주동부 지하의 PC화를 적용하는 연구 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주차장 All-PC화 를 추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기술기사에서는 지하주차장 주동부 지하에서 PC화를 위한 주요부위인 코어부(계단실, EV)를 PC공 법으로 구현한 Mock-up Test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 며 사전제작뿐만 아니라 접합성능을 확보하여 벽체간 의 전단력에도 저항할 수 있는 코어부 PC화 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2. 지하주차장 코어부 PC화 공법 2.1 기술개발 배경 현재 국내의 공종주택 지하주차장의 경우에는 90 년대부터 사용되어진 일반 PC공법(보, 기둥, 슬라 브)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으며, 이 마저도 지하주차장의 정형화된 구역외에는 적용 을 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라 PC공법은 30 % ~ 40 % 로 낮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다. 공동주택의 지하주 차장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기존의 공사공법 및 공정별 기간을 검토한 연구를 통해, 지하주차장의 C.P.(Critical Path; 이하 CP) 공정은 주동하부 구조 물에 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공정이 진행되지 않으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기까지 시간이 다소 소 요됨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PC공법 적용률을 확대시키 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공법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벽체 PC화 또는 TransGirder의 Half-PC 화 그리고 기계실 외 DryArea 등의 PC화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중에서 PC적용률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주동하부가 필수적으로 극복해야 하는 구간 인데 일반적으로 주동하부는 건설사마다 세대를 구성 하는 조합 및 추구하는 방향이 각기 다르기에 정형화 가 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크게는 판상형 또는 타워 형으로 구분되는데 정형화된 구간이 아니므로 주동하 부와 인접한 한 스판을 PC적용구간에서 제외하는 상 황이므로 이를 PC화를 통해 인접하는 한 스판도 PC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PC공 법의 적용률을 확대시키기 위해, 지하주차장의 공사 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해, 이를 최적화 할 수 있는 공정계획을 세우기 위해, 공동주택 주동하부의 PC화는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공기를 고려할 때는, 지하 2층 45일, 지하 1층 60일, 기준층 층당공기 7일이 일반적으로 소요된 다고 검토할 시, 지하층에 대한 공기절감은 시대적으 로 필수적인 사안이며 이를 보다 빠르게, 보다 안전하 게 시공할 수 있는 공법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다만 주 동하부는 지하주차장의 일반 PC구간과는 다르게 면 그림 3. 공동주택의 구간별 공사기간 산정 그림 4. 주동하부 PC화 구간 도식화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6 내휨에 대한 저항 성능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는 단순 히 상부구조에 대한 압축력에 대해서 저항하는 것과 는 달리, 상부 주동부에서 누르는 압축은 물론, 상부로 긴 형태의 구조물에 부여되는 비틀림으로부터 오는 전단력에도 저항을 할 수 있는 성능을 확인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동하부 PC화의 벽체자체에 대 한 구조성능을 실사이즈 실험체를 통해 면내휨에 대 한 구조실험을 통해 내진성능에 대한 검증을 마치고, 이를 활용하여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CP구간인 주 동하부 內 코어구간, 즉 계단실 및 EV실의 PC화가 능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사이즈 부재를 제작하여 Mock-up Test를 진행하여 이를 검토하고 추가로 시 공성능까지 검토하여 본 공법이 PC적용률을 상승시 킬 대안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PC공법은 항상 골조공사와 비교될 수 밖에 없으며, PC공법의 비용이 골조공사에 비해 비교적 높은 편이 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이를 상쇄할 수 있는 효과 의 검증이 필수이며 이에 주안점을 두고 본 연구를 진 행하였다. 3. 구조성능 평가 코어벽체는 다른 벽들과 달리 구조물의 수직하중 과 여러 요소에 의한 수평하중을 받는 구조벽이며, 벽 체의 면내로 평행하게 작용하는 수평력에 저항하도 록 전단벽으로도 설계된다. <그림 6>에서는 PC전단 벽의 내진상세에 따른 하중전달 매커니즘을 나타내고 있다. 면내하중을 받는 PC 전단벽 간의 수직 접합부 에는 내진상세에 따라서 계면전단력이 발생되며, <그 림 6(a)>의 합성벽체는 <그림 6(b)>의 비합성벽체 보 다 높은 인장력과 압축력에 저항하고, 인장력(T)과 압 축력(C) 중심간의 팔거리가 커져 비합성벽체보다 우 수한 휨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공법은 조립식 공법으로써 종래의 RC공법과 같은 일체식 공법에 비해 접합부 일체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내진성능이 부족하다는 인식 이 건축시장에 널리 확산되어 있다. PC공법을 건축시 장에 폭넓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접합부 일체성과 내 진성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PC전단벽의 경우, (b) 비합성벽체(a) 합성벽체 그림 6. PC전단벽의 내진상세에 따른 하중전달 매커니즘 그림 5. 지하층 PC적용률제35권 4호 2023. 07 87 기초와 벽체 사이의 일체성뿐만 아니라 벽체와 벽체 사이의 일체성 또한 확보되어야 한다. PC벽체의 휨강도는 강도설계법에 근거한 방식으로 계산하여야 한다(KDS 14 20 20 :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4.1). 휨모멘트나 축력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단면의 설계 강도 산정은 ‘KDS 14 20 20 : 콘크 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4.1.1’의 가정에서 사 용된 힘의 평행조건과 변형률의 적합조건에 기초하여 야 한다. 휨 부재의 최소 철근량은 해석에 의하여 인장철근 보강이 요구되는 휨 부재의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 는 설계휨강도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도록 인장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Mcr 은 외력에 의해 단면에서 휨 균열을 일으키는 휨 모멘트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PC부재의 콘크리트 전단강도(Vc)는 아래의 식중에 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다만, 현 저히 큰 축 방향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경우 다른 식을 사용하여 상세한 계산을 하지 않는 한 전단철근 이 모든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KDS 14 20 22 : 콘크리트구조 전단 및 비틀림 설계기준 4.2). 1) 전단력과 휨모멘트만을 받는 부재 2) 축 방향 압축력을 받는 부재 3) 현저히 큰 축 방향 인장력을 받는 부재의 경우 4)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 Vs )는 다음 식으로 산 정할 수 있다. 여기서, s는 종방향 철근과 수직방향의 철근 간격, Av 는 거리 s내에 배근된 전단철근의 전체 단면적, fyt는 전단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를 의미한다. 결과적으 로 전단 보강요소가 배치된 PC 부재의 전단강도는 Vc 와 Vs 를 더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벽체와 접합부의 계면에서 생기는 전단력은 전단마 찰력에 의해 계산하며, 한 면에서 전달되는 전단력을 검토해야 하는 경우 이 절과 같이 계산한다(KDS 14 20 22 : 콘크리트구조 전단 및 비틀림 설계기준 4.6).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철근 및 콘크리트 의 어느 한 면을 지나는 전단마찰에 대해 검토하였다. 여기서 전단마찰은 서로 다른 시기에 친 콘크리트의 경계면, 콘크리트와 강재 사이의 경계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철근의 상세설계 및 콘크리 트 구조의 어느 한 면을 지나는 전단력을 검토하는 것 이 적절한 경우 반영한다. 1) 전단마찰철근이 전단력 전달면에 수직한 경우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