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8 특집 4 | FEATURED ARTICLES (c) CFRP-C3-1 인장 반복 거동 이력 (b) CFRP-C2-1 인장 반복 거동 이력 (a) CFRP-C1-1 인장 반복 거동 이력 (d) CFRP-C4-1 인장 반복 거동 이력 그림 8. Case별 인장 반복 응력-변형률 응답 (c) CFRP-C3-1 압축 반복 거동 이력 (b) CFRP-C2-1 압축 반복 거동 이력 (a) CFRP-C1-1 압축 반복 거동 이력 (d) CFRP-C4-1 압축 반복 거동 이력 그림 9. Case별 압축시험 응력변형률 응답제35권 4호 2023. 07 69 0.5 GPa로 CFRP-C4의 평균 최대하중 및 평균 압축 강도는 18.64 kN과 0.52 GPa을 나타낸다. <그림 8>은 인장 반복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인장 반복 거동 특성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시 편은 거의 단조롭게 상승하는 응력 변형률 응답을 보 여주고 있다. C1은 같은 반복 하중을 받은 다른 시편 에 비해 잔류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최대 인장 강도 부근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였다. 인장 실험과 동일하게 탄성계수가 낮은 시편일수록 더 높은 인장 강도와 연신율을 보여준다. C2와 C3 또한 인장 실험 과 비슷한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보여주고 있으며 C1 의 거동처럼 소성영역에서 잔류변형이 발생하여 재료 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C4의 경우 11Cycle 까지 시편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12Cycle에서 잔류변형이 발생하여 최대 인장강도보다 낮은 지점에 서 취성파괴가 발생하였다. <그림 9>는 압축 반복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압축 반복 거동 특성을 살펴보면 첫 번째 Cycle에서 잔류변 형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료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세 번째 Cycle에서 극한 압축 강도까지 하중이 발생하였고 이때 시편의 파괴가 발생하였다. 세 번째 Cycle 이후 본래 강성이 손실되어 하중이 감소하지만, 섬유가 횡방향으로 파괴가 발생하여 어느 정도 하중을 견디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탄성계수가 낮은 시편의 경우 파단 이후 탄성계수가 높은 시편보다 파단 이후 높은 하중을 저항하는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인장 및 압축 실험을 통해 CFRP의 우수한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반복 실험에 따라 CFRP는 구조재 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추후 CFRP 를 적용한 부재 및 구조물의 성능평가 연구를 통해 구 조재료로써 성능을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4. 맺음말 세계적으로 18세기 산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건설분야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다. 건설기술의 발전 으로 구조물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노후 구조 물의 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후된 구조물은 사고위험이 크게 늘고 있으며, 건설 분야에서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 는 추세이다. 노후된 구조물, 콘크리트의 미세한 균열 등으로 철근의 부식으로 인한 구조물의 붕괴 및 파괴 등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하기 위하여 철근대체에 관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구조재료로써 철근대체재와 관련된 시험방법 및 규정과 기계적 특 성평가 연구 현황를 다루었다. 국내에서 연구되고 있 는 철근대체재-콘크리트 실용화 기술이 개발된다면, 철근 부식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사회적 경제 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 ASTMD3039,StandardTestMethodforTensile PropertiesofFiberREinforcedPolymerMatrix CompositeBars. 2. ASTMD3410,StandardTestMethodfor CompressivePropertiesofPolymerMatrix CompositeMaterials. 3. ASTMD7205,StandardTestMethodforTensile PropertiesofFiberReinforcedPolymerMatrix CompositeBars. 4. ASTMD7705,StandardTestMethodforAlkali ResistanceofFiberReinforcedPolymer(FRP) MatrixCompositeBarsusedinConcrete Construction. 5. ASTM D69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PropertiesofRigidPlastics. 6. ASTMD7913,StandardTestMethodforBond StrengthofFiber-ReinforcedPolymerMatrix CompositeBarstoConcretebyPulloutTesting. 7. ISO10406-1,Fibre-reinforcedpolymer(FRP) reinforcementofconcreteTestmethodsPart1: FRPbarsandgrids. 8. ISO10406-2,Fibre-reinforcedpolymer(FRP) reinforcementofconcreteTestmethodsPart2: FRPsteets. 9. Mariana, Horatiu and Loan, Mechanical Properties ofGFRPs Exposed toTensile, CompressionandTensile-TensileCyclicTests, JournalsofPolymers,13(6),898,2021. 참고문헌 담당 편집위원 : 천성철(인천대학교)scchun@inu.ac.kr 김우석(금오공과대학교)kimw@kumoh.ac.kr 최명성(단국대학교)choims@dankook.ac.kr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0 특집 4 | FEATURED ARTICLES 10. T. Tafsirojjaman, Sabrina Fawzia, David Thambiratnam and Xiao-Ling Zhao, Behaviour of CFRP strengthened CHS members under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Journals of Composite Structures, 220, 592-601, 2019. 11. Gang Wu, Zhi-shen Wu, M.ASCE, Yun-Biao Luo, Ze-Yang Sun, and Xian-Qi Hu, Mechanical Properties of Steel-FRP Composite bar under Uniaxial and Cyclic Tensile Load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22(10), 1056- 1066, 2010. 허종완 교수는 미국 Georgia Tech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Post-Doc. Fellow 과정을 수련하였 으며 2012년부터 인천대학교 건설환 경공학과에서 현재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SCI급 논문 약 210편, 국내 공 인지 23편, 특허 45건, 기술이전 5건 저서 22편 등의 연구실적과 2015년 국가 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등재, 2017년 코리아 파워리더 대상, 2020년 인천과학기술상 금상, 2023 년 과학의날 대통령 표창장 등의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탄소 고 분자 부식 ZERO 철근대체재 기술개 발(국토교통부), 웰패드 및 설비 구조 안정성 평가 기술 개발(국토부) 등 미 래부/국토부/안전처/환경부 등에서 발주하는 다수의 과제에 연구 책임자 로 구조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다. jongp24@inu.ac.kr 김영찬 박사는 인천대학교 건설 환경공학과에서 건설환경전공으로 박 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8년부터 인천 방재연구센터에서 현재까지 형상기억 합금, 폴리우레탄, CFRP 등의 신소재 를 활용한 구조 부재 및 내진 장치에 대한 설계, 해석 및 실험 등에 대한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channy0409@inu.ac.kr 김현수 석사과정 은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전공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2022년에 지도교수 허종완 교수 연 구실에서 석사과정으로 재학 중이다. khs101ttl@gmail.com •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대한건축학회 • 정가(비회원가) : 60,000원 • 발행일/Page : 2021.04.26 • 회원할인가 : 48,000원(20%) • 구입방법 : 우리 학회 온라인 도서구입 홈페이지 | 도서소개 | 이 도서는 내진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점차 성능기반 내진설 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고층의 공동주택 외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대해서도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적용 할 수 있도록 기존 대한건축학회에서 발간한 「공동주택 성능 기반 내진설계 지침」을 개편하여 발간하였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위한 비선형해석모델JEC WORLD 2023 참관기 Report on JEC World 2023 민경재 Kyoung-Jae Min (재)한국탄소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송범근 Bhum-Keun Song (재)한국탄소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 김지혜 Ji-Hwe Kim (주)하이인텍 기획경영실 실장 박다솜 Da-Som Park (주)하이인텍 연구원 특집 5 | FEATURED ARTICLES 제35권 4호 2023. 07 71 1. 머리말 JEC WORLD는 세계 최대 복합소재산업 조직의 JEC 그룹의 주최로 1990년대부터 모든 복합소재 산업 종사자, 사용자 및 혁신 기업을 위한 세계 최대 복합 소재 전시회 및 컨퍼런스 개최하고 있으며, 매년 주기로 개최되었으나, 2020년~ 2021년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고, 3년 만인 작년(2022년)부터 다시 매년 개최되고 있 다. 본 내용은 건자재 측면에서 JEC World 2023을 참관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2. JEC WORLD 2022 개요 2.1 전시회 현황 ■ 전시회명 : JEC WORLD 2023(복합소재 전시회) ■ 기 간 : 2023. 04. 24.(화) ~ 2023. 04. 29.(목) ■ 장 소 : PARIS-NORD VILLEPINTE, FRANCE(프랑스 파리 노르 빌 팽트 국제전시회장) ■ 규 모 : 43,000여 명 참관 / 1,196개 사 참여(45개국) • 프랑스(18.5 %), 독일(17.8 %), 중국(9.4 %), 미국(8.9 %), 이탈리아(7.8 %), 영국(5.4 %), 한국(1.3 %) 등 ■ 주요 전시 품목 • 원재료 : 산업용 섬유(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천연섬유 등) 수지류(에폭시, 비닐에스터, 폴리우레 탄 등) 접착제 및 도료 등 • 중간재 : 프리프레그, 직조, 강화 플라스틱,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WPC), Core재(발사, PVC, PET 폼 등)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2 특집 5 | FEATURED ARTICLES • 프로세서 : 복합재 부품 생산 업체(완제품), Tiers 1-2-3 • 기계/장비/몰드 : CNC, SMC, 주입기, 절단기, 계 측기, 3D 프린팅, 시험장비 등 • 소프트웨어/서비스 등 ■ 응용산업 : 14개 분야의 응용산업 • 자동차/육상운송(17.3 %), 항공(16.2 %), 재생에 너지(10.0 %), 스포츠/레저(7.9 %), 건설(6.9 %), 방산(6.2 %), 장비(6.1 %), 철도(5.8 %) 해상/선박 (5.7 %) 등 2.2 JEC WORLD INNOVATION AWARDS JEC 전시회는 매년 혁 신적인 기술/제품에 대 해 Innovation Awards 를 선정하고 있으며, JEC WORLD 2023에서는 참 여 업체 214개 사와 파 트너 527개 사가 참여하여 관련 기술 혁신의 우수성 을 평가받으며, 최종 10개 산업에서 JEC WORLD INNOVATION AWARDS 수여하였다. 표 1. 전시장 현황 및 한국 참가업체 현황 업체명전시내용위치 효성첨단소재 탄소섬유 복합재 제품 (고압용기, 전선심재, 자동차 휠, 등산 스틱 등) Hall6/G72 한화첨단소재첨단 경량 복합재, 태양광소재 등Hall6/M58 코오롱리프스프링, 데크게이트, 토우프리프레그Hall5/D41 카텍에이치재생 탄소섬유Hall5/M82 한국카본 자동차, 풍력, 건축 관련 부품 제조 CFRP, SMC Side Structure: 고성능 & 고속 성형 소재를 적용한 경량화 자동차 부품 Hall5/N22 코트라움의료/산업용 직물, 워크웨어, 열가소성수지Hall5/G15 데카머티리얼울트라 스몰토우 탄소섬유Hall6/A42 한국섬유산업연합회섬유 패션산업Hall6/S40 한양대학교탄소소재 관련 R&D 연구내용 소개Hall6/T43 동남리얼라이즈목재 플라스틱Hall6/S42 한국탄소산업진흥원한국관 운영 및 기업 지원 Hall5/S32 - 익성활성탄소섬유(ACF ; Activated Carbon Fiber) - (주)에이치지솔루션탄소 섬유 전자 차폐 케이블 - (주)하이인텍탄소복합재 그리드 - 나우이엔에스탄소복합재 리바 - 티포엘수소차/전기차 공동 플랫폼을 위한 비정형 수소저장장치 모듈 그림 1. 각 국가별 참여 기관/기업수 출처 : JEC 2023 홈페이지(자료 재가공) 그림 2. 각 산업 분야별 분포 현황 출처 : JEC 2023 홈페이지(자료 재가공)제35권 4호 2023. 07 73 2023년 건설 산업에서 JEC WORLD AWARDS 는 3개의 제품이 Final List에 올랐으며, 최종적으 로 Nanotures가 출품한 A composite roof for the stadium of Real Madrid가 선정되었다. ▶ A composite roof for the stadium of Real Madrid(레알 마드리드의 경기장을 위한 복합재 지붕) ■ 수상 기업 : Nanotures(Spain) • 수상 파트너 기업 : COMPOSYST, Germany ; DIAB, Spain ; FIBERTEX, Denmark ; Gavazzi, Italy ; MAP Yachting, France ; MEL, Spain ; SAERTEX GmbH & Co. KG, Germany, SKY, Hungary ; Zoltek, Hungary ■ 제품 내용 • 세 개의 요소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75 m 범위 의 빔에 도달함. 제조 공정은 이중 VAP 막을 주입 하여 코어에 구멍을 뚫어 과도한 폴리머가 사용되 는 것을 방지함. • 섬유 선형성 및 코어 조인트와 같은 중요 매개변 수는 높은 압축 저항을 가진 요소를 얻기 위해 생 산시 제어됨. 전략적으로 하중 케이스를 충족하고 금속 요소에 결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보강재가 사용됨. • 마지막으로, 경량 복합 빔은 현장에서의 조립 작 업을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변위 및 승강 모터의 단순화, 중량 및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함. ■ 핵심 장점 • 현장 설치 시 경량화 및 단순화(Weight reduction and simplification on site installation) • 기계적 물성 우수(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 환경 및 에너지 이점(Environmental and energy benefit) 3. JEC 2023 건설 관련 전시동향 3.1 건설 외 분야 전시 현황 올해 전시는 항공 관련 부스의 확대가 두드러지며 대부분의 대형 전시부스의 메인 Item으로 전시되었다. 운송분야에서의 대형 수소 시스템의 전시가 확대 됨. 주로 트럭 및 특장 차량을 위한 대형 수소탱크가 제시되어 수소 시스템을 상용 운송 시스템에 도입하 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인발 Plate를 적용한 Spar 그림 3. 항공 관련 부스 전시물 그림 4. 대형수소 시스템 관련 부스 전시물 2023년 건설산업 최종 JEC WORLD AWARDS 수상 제품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4 특집 5 | FEATURED ARTICLES cap 중간재의 제작 전시가 많아 대형 구조물에서의 공정 간소화 및 강도 확보를 위해 인발공정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제작 및 보관 방법은 건설분야로의 확장 적용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되었다. 3.2 건설 분야 전시 현황 건설분야의 전시는 주로 복합재 보강재 부분의 전 시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유리섬유 복합재 보강근을 많은 부스에서 전 시하는 것으로 볼 때 현재 건설분야의 복합재 적용은 부식에 의해 수명이 급격히 단축되는 철근 콘크리트 의 철근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복합재 보강근의 경우 탄소 복합재는 거의 전 무하고 대부분 유리섬유 보강근 위주로 전시되는 것 으로 볼 때 아직까지 탄소복합재 보강근은 비용, 사용 성, 경제성 측면에서 좀 더 검증되는 시기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설용 그리드의 경우 본 과제로 당원이 전시한 제 품 외에 제품이 전시되지 않아 그 독창성이 확인되었 지만, 이를 검증하고 활용성을 모색하여 향후 전시에 적용할 필요성을 느꼈다. 기타 독일식 그리드와 유사 한 형태로 직조 프리폼 형태의 그리드 유사 구조물이 일부 전시되고 있었다. 건설 분야 전시 중 FFT사의 프레임 자동 배열장치 그림 5. 풍력블레이드 Spar Cap 관련 부스 전시물 그림 8. 건설분야 복합재 보강근 전시물 그림 6. 건설분야 복합재 보강재 전시물 그림 7. 건설분야 복합재 보강근 전시물그림 9. 직조 프리폼 전시물제35권 4호 2023. 07 75 는 특이한 형태로 주목받았는데 배열 보조 금속치구 를 통해 섬유배열 및 수지를 도포하며 트러스 구조를 만드는 장비가 있었다. 향후 건설 분야의 자동화 흐름 에서 볼 때 본 제품과 같이 연속 섬유를 사용하여 구 조를 프린팅하는 방식의 대형화도 향후 건설분야에서 검토할 개발 주제로 판단되었다. 3.3 제조 공정 전시 현황 RTM(Resin Transfer Moulding)(8.3 %), Compression Moulding(7.4 %), Infusion (7.3 %), Hand Layup(6.9 %), Filament Winding(6.7 %), Pultrusion(6.2 %), 3D printing(5.5 %), SMC(5.1 %), Vacuum Bagging(5.0 %), Injecion Moulding(4.6 %) 등 전형적인 복합재 제조공정 기술 이 상위 전시 및 소개되었다. RTM, Infusion, Hand Layup, Filament Winding, Pultrusion 등 Wet Resin을 활용한 공정 이 상위에 포함되어 있어 아직까지 전통적인 수지 함 침 공정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리드 중간재 및 리바의 제작공정인 Pultrusion 공정이 6위에 랭크되어 있어 여전히 빈번 하게 적용되는 공정임을 입증하였다. 이는 코로나 이후 축소되었던 전통적인 복합재 공 정이 다시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현 시점에서 의 복합재 제조 공정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공정을 기 반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3.4 한국관 운영 현황 JEC world의 지속적인 참여를 하고 있는 (재)한국 탄소산업진흥원은 다시 재개된 2022년에 이어 2023 년도 한국관을 운영하였다. ■ 한국관 운영 내용 • 온오프라인 회의 진행 / 수출 성약식 진행 • 탄소제품 / 참가기업 제품 및 탄소소재 적용 예순 작품 소개 • 한국관내 기업 부스 지원 ■ 한국관 내 제품 전시 및 홍보 • 총 12개의 제품을 전시하였음. 그 중 탄소 고분자 부식 ZERO 철근대체재 기술 개발 과제로 개발된 CFRP Grid 콘크리트 구조물 및 Rebar 샘플을 전 시 및 홍보함. 그림 11. 각 공정별 전시 분포 현황 그림 12. JEC World 2023 한국관 부스 전경 그림 10. 자동 프린팅 트러스 구조 전시물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6 특집 5 | FEATURED ARTICLES 4. 요약 및 결론 4.1 JEC WORLD 2023를 통한 글로벌 복합재 동향 분석 코로나 기간 참가가 요원하였던 중국, 대만 등 중화 권의 참여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섬유, 수지, 코어 및 자동화 장비, 몰드 등 복합재 원재료, 제조, 공정 분야 전반의 부스 참여가 증가하였다. 코로나 기간 침체되었던 항공분야의 부스가 증가하 였고, 운송분야에서 대형화된 수소용기의 전시 증가 를 통해 수소용기의 상용화 운송 시스템 적용 트렌드 를 확인할 수 있었다. RTM, Infusion, Hand Layup, Filament Winding, Pultrusion 등 Wet Resin을 활용한 공정 이 상위에 포함되어 있어 아직까지 전통적인 수지 함 침 공정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2 건설 분야 기술 동향 건설분야의 경우 복합재 보강재의 상용화 움직임이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건설분야의 경우 기존 에 보강재로 사용 중인 강재의 생산에 탄소가 많이 발 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탄소저감정책에서 사용을 저 감시키는 전세계적인 흐름이 있으며, 강재가 가지는 부식의 취약성으로 인해 부식과 함께 구조물의 건전 성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건물수명의 단축 및 이로 인 한 건설 폐기물의 증가를 야기시켰다. 복합재 보강재의 경우 부식에 자유로와 장수명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강재 대비 경량 소재로 건물의 하 중을 저감시켜 기존 설계 대비 건물의 내하중 감소에 따른 안전율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특히 콘크리트 구 조물의 주요 보강재인 Rebar의 전시가 증가하여 부 식제로를 통한 탄소저감정책에 부합하는 세계적인 변 화를 확인하였다. 다만 Rebar 전시품의 경우 유리섬유 및 바잘트 섬 유의 적용 제품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소량의 탄 소섬유 리바 제품이 전시되어 탄소섬유 Rebar의 경 그림 14. CFRP Grid 콘크리트 구조물 /CFRP Rebar 샘플 홍보 자료 그림 13. CFRP Grid 콘크리트 구조물 및 Rebar 샘플 전시제35권 4호 2023. 07 77 우 아직까지 상용화에 시간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당원에서 전시한 탄소그리드 구조물은 전시 당시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JEC 전시 내에서 탄소섬유 그리드의 전시는 본 제품이 거의 유일한 제품이었음 을 볼 때 본 탄소그리드는 시대를 선행하는 제품으 로 향후 사용화 적용 시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을 확 인하였다. 4.3 결론 코로나 기간동안 침체되었던 복합재 산업 전반이 코로나 이전과 동등 이상으로 정상화 및 활성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중화권의 복원으로 인해 더 많은 개발 경쟁이 이루어질 것을 예측하여 이를 대비 하여 연구에 몰입해야함을 느꼈다. 또한 건설 분야의 제품 전시가 증가함으로 볼 때 지 금까지 가장 소극적 적용이 이루어졌던 건설 분야의 복합재의 적용이 본 궤도에 올라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까지 저조한 탄소복합재 적용 제품 의 현황을 볼때 탄소복합재를 적용한 선제적인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당원에서 참여하고 있는 탄소 그리드과제의 개발 방향성이 많은 건설 적용 복합재의 필요한 니즈 를 파악한 수요창출이 가능한 아이템임을 전시를 통 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리드 자체의 전시가 아닌 이를 응용한 적용 사례의 홍보가 중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관련 경험을 바탕으로 2024년에는 보 다 보완된 전시품과 홍보를 통해 본 개발의 상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JEC World 참관은 협력사를 통한 그리드 중 간재의 성능 개량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 한 방안을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1. https://www.jeccomposites.com/events/jec- world-2023/ 2. https://www.jec-world.events/innovation- awards-winners-2023 참고문헌 민경재 책임연구원은 건국대학 교 항공우주공학을 전공으로 석사학 위를 취득하였고, 삼양컴텍, 기술과가 치, 데크/데크항공 및 휴먼컴퍼지트에 서 복합재 연구개발을 수행하였으며, 2018년부터 (재)한국탄소산업진흥원 에서 탄소복합재 제조 공정관련 연구 를 수행하고 있다. bluemy@kcarbon.or.kr 송범근 수석연구원은 전북대학 교 정밀기계공학을 전공으로 박사학 위를 취득하였고, 2012년부터 (재) 한국탄소산업진흥원에 재직하고 있 으며, 주로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CFRP-Carbon Fiber Reinforce Plastic)을 적용한 토목/건축 및 조선/ 해양 산업 분야의 경량화 고강도 구조 재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bksong@kcarbon.or.kr 김지혜 실장은 뉴욕주립대 졸업 후 2013년부터 (주)하이인텍 기획경 영실 소속으로 자동화 생산기술을 복 합재 가공 및 생산기술에 접목하는 응 용연구를 기획하고 참여하고 있다. (주)하이인텍은 복합재 관련 자동화 공 정 및 장비개발에서 자체 기술경쟁력 을 확보하고 있다. wittyblue@naver.com 박다솜 연구원은 부경대학교 마린 융합디자인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주)하이인텍 기업부설 연구소에 서 탄소복합재 자동화 공정을 연구하 는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 연구분 야는 탄소복합재 자동화 공정 최적 설 계 및 자동화 장비 개발 분야이다. 1021dasom@naver.com 담당 편집위원 : 천성철(인천대학교) scchun@inu.ac.kr 김우석(금오공과대학교) kimw@kumoh.ac.kr 최명성(단국대학교) choims@dankook.ac.kr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