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58 특별회계인 건축안전특별회계를 규정하고 있다. 법적 재원(세입)과 집행 가능한 용도(세출) 등 세부적인 사항 은 자치단체 「건축 조례」 또는 「건축안전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 조례」로 정하고 있다. <그림 3>은 2022년 기준 서울시 16개 자치구의 건축 안전특별회계 운영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자치구 별로 예산 편차가 최소 4.9억에서 최대 28억까지 다양한 것 을 알 수 있다. 특별회계가 집행되는 사업은 민간 노후 건축물 및 공사장 안전점검, 지진인증 및 화재안전성능 보강 지원사업이 해당되었다. 3. 서울시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관리 실태 3.1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등 지원사업 서울특별시에서는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을 1, 2차에 나누어 시행하고 있다. 1차 안전점검을 통하 여 미흡 또는 불량으로 판정되면 2차 안전점검 시행 여 부가 결정되며 전체적인 절차는 <그림 4>와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서울시의 소규모 노후 건축물 1차 안전점검은 전문 가 1인과 자치구 담당 직원 1인으로 구성된 안전점검 단을 꾸려 진행되며, 이때 서울시 자체 점검표를 활용 하여 건축물의 등급을 판별한다. 1차 안전점검 결과 재 판정이 필요한 경우 다른 전문가와 함께 교차점검을 실 시하며, 미흡 또는 불량 판정 시 2차 안전점검을 진행한 다. 2차 안전점검은 건축물 관리점검기관에 의뢰를 통 해 진행되며, 이때 국토부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 검 매뉴얼의 점검표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등급을 판별 한다. 3.2 서울시와 국토부의 소규모 노후 건축물 점검항목 서울시는 1차 안전점검 시 자체점검표를 사용하고, 2 차 안전점검 시 건축물 관리점검기관에서 국토부 안전 점검표가 활용된다. 서울시 자체 점검표의 안전점검 평 가항목은 구조안전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총 19개 평가항목이 주요 구조체, 부대시설, 비구조체, 기 타사항으로 나뉜다. 한편 국토부 안전점검 매뉴얼에서 는 총 39개 평가항목이 구조안전(대지, 구조물, 철골 마 감, 생활), 화재안전(피난, 내화, 소방), 에너지 성능(단 표 2. 「건축물관리 조례」 상 소규모 노후 건축물 등 점검 대상 범위 자치구 과 단위 총 인원 전문 인력 자치구 과 단위 총 인원 전문 인력 강남구❌73서대문구❌63 강동구○121 서초구❌72 강북구❌3- 성동구❌51 강서구❌92성북구❌62 관악구❌51송파구❌82 광진구❌91양천구❌72 구로구❌84 영등포구❌72 금천구❌52용산구❌51 노원구○113은평구❌82 도봉구❌72종로구❌73 동대문구○93중구❌4- 동작구❌82중랑구❌52 마포구❌41 ※ 국토부 연구자료 재구성 그림 3. 2022년 기준 서울시 자치구 건축안전특별회계 현황 그림 4. 서울시·자치구 소규모 노후 건축물 1·2차 안전점검 절차제 35 권 6 호 2023. 11 59 열, 창호, 전기, 설비)으로 나뉜다. <그림 6>은 국토부 “소규모 노후 건축물 점검 매뉴얼”의 점검항목을 기준 으로 서울시 자체 점검표의 평가항목 반영 정도를 나타 내고 있다. 구조안전 분야의 경우는 철골과 생활 부문 외에는 대부분 잘 반영되고 있었으나, 화재안전과 에너 지성능 분야에 대한 반영 정도는 부족했다. 3.3 최근 2년간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현황 전국 228개 자치단체의 최근 2년간 소규모 노후 건 축물 안전점검 현황에 따르면, ’21년에는 47개 자치 단체에서 총 12,677동, ’22년에는 88개 자치단체에서 13,695동을 점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 및 자 치구에서 수행한 1차 안전점검 결과는 ’21년 11,851동 및 ’22년 10,919동을 점검하였으며, 이는 전국 안전점 검 대비 각각 93.4% 및 79.7%를 차지하였다<그림 7>. 한편 서울시 자치구별 소규모 노후 건축물 1차 안전점 검 동수를 정리하면 <그림 8>과 같다. 광진구, 강동구, 성 북구, 동대문구 순서로 실적이 높았으며, 이 중 강동구와 동대문구는 과 단위의 건축안전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1차 안전점검 대비 2차 안전점검은 실적은 매우 적었다. 서울시에서는 ’21년에는 12개 자치구에서 113 동, ’22년에는 14개 자치구에서 90동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자치구에서 2차 안전점검임에도 불구 하고 전문기관에 의뢰하지 않은 경우도 확인되었다(’21 년 1개, ’22년 2개 자치구 미의뢰). 표 3. 서울특별시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등 지원사업 구분 1차 점검2차 점검 및 보수보강 지원 찾아가는 민간건축물 안전점검 직권 안전점검, 시·구 합동 표본점검 건축물 관리점검기관 점검 지원사업 정밀점검·진단 및 구조보강 공사비 지원사업 시행연도2018년2021년2022년 점검대상 사용승인 후 30년 이상 지난 소규모 노후 건축물 관리 주체 신청/점검 사용승인 후 30년 경과한 조적조·연와조 건축물 1차점검 결과 미흡·불량 판정된 건축물 1차점검 결과 미흡·불량 판정, 구조보강 및 안전조치 방안 수립 건축물 점검방식 건축 및 구조 분야 전문가 현장에 방문하여 육안점검 건축 및 구조 분야 전문가 및 자치구 담당자 현장에 방문하여 육안점검 건축물 관리점검기관 (엔지니어링사 등) 육안 점검 전문 관리점검기관 (엔지니어링사 등) 정밀진단 및 구조보강 시 일부 비용 지원 점검항목 市 점검표 활용, 구조적 안전성 (균열손상, 콘크리트 박리·박락, 강구조물 볼트결함 등) 국토부 점검표 활용, 구조적 안전/화재안전/에너지성능 실적28,746동(1,056백만 원)326동(2,384백만 원)진행 중(100백만 원) 그림 5. 소규모 노후 건축물 서울시 자체점검표(좌)와 국토부 매뉴얼(우) 그림 6. 국토부 매뉴얼 점검항목 중 서울시 자체점검표 반영 수준 검토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0 4. 현행 건축물 안전관리 문제점과 한계 4.1 서울시 안전점검 결과축적 및 이력 관리 미흡 「건축물관리법」 상 정기점검과 소규모 노후 건축 물 안전점검 결과는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이하 BLCM)에 저장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다 만, 점검결과는 국토부 점검 매뉴얼의 평가항목에 따라 시스템상에 입력·저장이 가능하고, 점검결과 등록의 주체는 건축물관리점검기관이어야 한다. 앞서 3.3절에 서 기술했던바, 현재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서울시에서 진행되는 1차 안전점검이다. 하지만 1차 점검은 서울시 자체 점검표 를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BLCM에 결과를 기록할 수 없 는 실정이다. 점검 결과가 꾸준히 쌓이고 다양한 측면 으로 통계처리가 가능해진다면 건축물 점검이력 관리 뿐만 아니라 자치단체 정책 결정에도 이로울 것이다. 서울시 및 자치구 담당자는 국토부 점검 매뉴얼 점검 항목 및 서울시 자체 매뉴얼과의 차이와 BLCM에 소규 모 노후 건축물 점검결과 입력기능을 인지하는데 한계 가 있다. 시책이 1차 안전점검에 집중되어 있고, 2차 안 전점검은 선택사항으로 대부분의 업무를 건축물관리점 검기관에서 진행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BLCM에서 점 검결과 저장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을 생각한다면 서울 시 1차 점검결과도 활용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4.2 건축 관리범위 확대, 건축안전센터 조직·인력 부족 전국 단위로 봤을 때 서울시는 유일하게 모든 기초자 치단체가 건축안전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전국 유일의 과 단위 센터 4곳은 서울시 본청과 자치구이다. 그런 서 울시마저도 30년 이상 임의관리 대상 건축물이 올해 기 준으로 26만 동에 달하며, 이는 향후 20년 뒤 약 50만 동으로 증가할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서울시는 모든 임의관리 대상 건축물을 현행과 같이 매년 1만 동씩 점 검할 경우 2044년까지 166.8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 상했다. 소규모 노후 건축물 전수점검의 효율적 예산투입과 기간 단축을 위하여 서울시는 연차별 안전점검 대상을 확대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2024년부터 매년 7만 동 씩 점검하면 4년 이내에 102억 예산으로 전수 점검의 완료가 가능하다는 판단에서이다. 건축물 점검 1만 동 당 4억 원의 예산 소요를 가정하면 7만 동 점검 시 연 그림 7. 전국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점검현황 그림 8. 서울 자치구별 소규모 노후 건축물 1차 안전점검 동수(21, 22년)제 35 권 6 호 2023. 11 61 28억 원이 산출된다.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가 분담하 여 예산은 확보할 수 있다지만, 늘어난 물량을 감당할 실무 인력 확보가 관건이다. 현행 안전점검은 현장방문 및 육안점검 위주이다 보니 점검 물량 늘어나면 투입 인력도 반드시 늘어난다. 4.3 안전관리 원격·자동화 통한 관리 효율성 향상 필요 드론 등 무인비행체, BIM, AIoT, 증강현실 등 첨단 기술이 개발되어 서울시 기반시설 유지관리에 활용되 고 있다. 용산구청에서는 점검결과 위험요소가 산재한 시설물에 IoT 계측 센서를 설치하여 기울기, 균열, 진 동 등을 실시간 측정하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 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편 서울시 노원구청 건축안전 센터에서는 급경사지나 석축 및 타워크레인 등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주변 시민까지 피해를 끼칠 수 있는 위 험 시설물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한 현장 촬영 및 3차 원 모델링을 구축하고 전문가가 모니터링하여 위험도 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안전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드론 의 행정 활용도 향상을 위해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드 론 아카데미도 함께 운영하는 등 역량강화 사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는 디지털 안전워치 연구단과 협약을 맺고 디지털 안전관리 기술의 실증사 업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안전워치 연구단은 기존 2D 도면의 3D sBIM 변환 및 안전정보 추출 자동 화 기술, 드론과 웨어러블 라이다 장비 등을 통한 건축 물 내외부 형상정보 구축 및 영상기반 안전점검 기술,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정보를 담고 광역 자치단체에 다 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앞으로 연구단과 실증 지자체와 협업하 여 실제 노후 건축물을 대상으로 안전정보의 디지털화 와 원격 안전점검 기술의 성능을 실증하고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5. 맺음말 선진국 반열에 들어서면서 신축 건설시장은 축소되 표 4.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BLCM) 관계자별 주요 업무 관계자주요 업무비고 관리자(소유자) 소유 건축물 점검보고서 조회 보수보강 조치 계획 및 보완, 조치결과 등록 민간 건축주 및 관리주체 건축물관리 점검기관 소규모 노후 건축물 점검 수행·점검 보고서 작성, 보완 요청에 따른 결과등 기록 「건축물관리법」 제18조에 따라 지정 건축물관리 지원센터 소규모 노후 건축물 점검결과 평가대상 선정, 점검결과 평가 및 결과 등록 지역건축안전센터 대체 가능 (a) 용산구 디지털 노후 위험시설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b) 노원구 지역건축안전센터 드론 활용 석축 안전점검 그림 9. 서울 자치구 시설물 디지털 안전관리 사례 그림 10. 디지털 안전워치 연구단 개발기술 예시기술기사 1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2 고 기존의 많은 건축물이 노후화되어 안전·유지관리 의 중요성이 지속 증대되고 있다. 서울시에는 안전관리 범위 밖의 건축물이 여전히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관련 법령의 강화에 맞추어 조직과 인력을 확보하고 관 련 시책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시정 적용을 위해 연구개발사업단의 기술 실증 도 협력하면서 노후 건축물의 선제적 안전확보와 유지 관리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광역단위 노후건축물 디지털 안전워치 기술개발사업 “광역단위 노후건축물 안전정 보 디지털화 및 통합관리시스템 개발”(과제번호:RS- 2002-00143584)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담당 편집위원 : 정동혁(고려대학교) jungd@korea.ac.kr 김종찬 부연구위원 은 숭실대학 교에서 ‘콘크리트보 전단강도 모델 및 설계법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 으며, 2019년부터 서울연구원에 재직 하고 있다. 노후건축물 및 건축공사장 안전·유지관리 등 건축 분야 정책연구 를 수행하고 있으며, 광역단위 노후 건 축물 안전워치 기술 개발사업의 공동 기관 연구책임을 맡고 있다. jckim@si.re.kr 박성호 연구원 은 숭실대학교에서 ‘Textile- Reinforced Mortar(TRM) 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 진성능 실험검증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20년부터 서울연구 원에서 재직하고 있다. 노후 건축물 유지관리 등 건축 안전 분야 정책연 구를 수행하고 있다. shpark@si.re.kr 김성락 위촉연구원 은 고려대학 교에서 ‘기후변화 대응조치와 WTO 규정의 조화가능성 연구’로 법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국토교통위원 회, 예결위 등 국회 의원실 보좌관으 로 정부부처 및 그 산하기관들의 정 책과 예산 등을 다루었다. 광역단위 노후 건축물 안전워치 기술개발사업 의 위촉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skim2427@si.re.kr 김준 위촉연구원 은 아주대학교 에서 ‘설계요소별 영향분석을 통한 공 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비 개산견적 산 출 시스템개발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 득하였으며, 동대학원에서 박사수료 를 하였다. 2023년부터 서울연구원 에서 광역단위 노후 건축물 안전워치 기술개발사업의 위촉연구원으로 근 무하고 있다. kimjun9008@si.re.kr 1. 법제처, 「건축법」, 국토교통부 2. 법제처, 「건축물관리법」, 국토교통부 3. 법제처, 「건축 조례」, 서울특별시 및 자치구 4. 법제처, 「건축물관리 조례」, 서울특별시 및 자치구 5. 법제처, 「건축안전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 조례」, 서울 시 자치구 6. 이지언, 김종찬, 박성호, “소규모 노후 건축물 안전관 리 실태분석 및 효율화 방안”, 한국구조물유지관리공 학회 논문집, Vol. 27, No. 3, pp. 58~70, 2023. 7. 김종찬, 박성호, 강재도, 최민지, “서울 노후 임의관리 대상 건축물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 서울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ISBN: 979-11-92456-71-3), 29 pp. 2023. 8. 국토교통부, 소규모 노후 건축물등 점검 매뉴얼, 2020. 09. 참고문헌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제 35 권 6 호 2023. 11 63 나옥빈 Okpin Na 현대건설 책임연구원 임창근 Changkeun Lim 현대건설 책임연구원 김삼수 Samsoo Kim 현대건설 책임연구원 김성진 Sungjin Kim 한국콘크리트산업(주) 상무 박성태 Sungtae Park 한국콘크리트산업(주) 차장 PC 더블월(Pre-cast Double Wall) 지하차도 공법 Underpass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Double Wall 1. 서론 건설근로자들의 감소와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등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시공 방법인 현장타설 (이하 RC) 공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점차 감소하고 있는 반면, 안전하고 신속하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시공 이 가능한 Pre-cast(이하 PC) 공법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정부가 지난해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S-Construction 2030)’을 발표하고 3대 중점과제 중 하나로 ‘제조업 기반의 탈현장 건설(Off site construction, OSC) 활성화’ 추진에 따 라 인력·현장 중심의 건설산업을 장비·공장 중심으로 변화를 위한 PC 공법이 주목받고 있다<그림 1>. 국내의 PC 시장은 건축 PC와 토목 PC 시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언론보도에 따르면 건축 PC 시장을 중심으로 2012 년 이후 매년 15% 이상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국내 건축 PC 시장의 매출은 2023년에는 약 2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그림 1. PC를 활용한 OSC로의 전환(보도자료 발췌)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4 예상하며 토목 PC 시장의 매출을 포함하면 약 3조 원 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정부의 기조와 시장의 상황에 대응할 수 있 는 기술로써 본 기사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기술은 PC 더블월(Pre-cast double wall) 공법이다. 지하차도와 같은 대형 박스 구조물을 All PC 공법을 사용하여 바 닥 슬래브, 벽체, 상부 슬래브 모듈로 나누어 시공할 경 우에는 접합부의 수밀성, 자중에 따른 인양장비 용량의 과다 및 비용 문제 등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All PC 공법의 단점인 수밀성과 무거운 중량을 보완하기 위해 Half PC 공법을 사용하여 개발된 공법으로 PC로 내· 외측 벽체를 제작한 후 현장 설치하고 내부를 속채움 타설하는 싱글월(Single wall) 공법이 최초로 고안되었 다. 이후 PC 내·외측판을 공장에서 미리 결합하여 제 작하는 더블월 공법이 추가로 개발되었으며 현장에서 내외측 벽체를 한 번에 시공할 수 있어서 싱글월 공법 대비 시공속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그림 2, 3>. 2. PC 더블월 공법의 개요 PC 더블월 공법은 PC 벽체, 기둥, 거더, 슬래브를 <그 림 4>와 같이 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 이며 현장에서 부재별 조립 후 벽체 내부와 토핑 콘크리 트를 현장에서 일괄 타설하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과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PC 더블월 공법의 특징 3.1 품질 및 시공성 품질 측면에서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부재를 현장 에서 조립·접합하는 공법이기 때문에 품질이 균일하며 벽체 간 연결이 자유로워 변단면 계획이 가능하다. 현 장 시공성 측면에서는 All PC 공법 대비 중량이 가벼우 므로 부재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다. 또한 공장에서 동 그림 2. Single Wall 공법 그림 3. Double Wall 공법 그림 4. PC 더블월 생산 공장 전경제 35 권 6 호 2023. 11 65 일한 부재를 반복 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직접비 절 감이 가능하며 공기가 대폭 단축되어 노무비와 장비비 등의 간접비 절감도 가능하다. 시공 절차를 <그림 5>에 나타내었다. 3.2 수밀성 지하에 건설되는 구조물의 경우 수밀성이 확보되지 못할 경우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침하 문제, 누수 에 따른 구조물의 하자 및 민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기술의 경우 공장에서 생산된 PC 더블월 부재를 현 장 설치 후 속채움부 현장타설이 완료되면 시공 조인트 가 발생하지 않아 RC(현장타설) 공법보다 유리한 수밀 성을 확보할 수 있다<그림 6>. 3.3 구조적 안정성 PC 더블월 내부에는 S-BAR라는 내외측 결합 철근 이 PC 내측판과 PC 외측판에 균등하게 배근되어 있어 부재의 처짐이나 타설압에 대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 으며, 부재 양옆으로 돌출된 코브라 철근(수평철근)은 서로 겹이음 처리되어 철근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 다. 더블월은 철근과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되므로 일체 화 거동이 가능하다<그림 7>. 그림 5. PC 더블월 공법의 시공 절차 그림 6. PC 더블월 내부 콘크리트 채움 전경과 접합 상세 그림 7. PC 더블월 해석적 검토(MIDAS)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6 4. PC 더블월 공법의 기술 인증과 실험 검증 4.1 특허 및 신기술 인증 <그림 8>과 같이 PC 더블월 공법은 4개의 등록 특허 를 보유하고 있으며 방재신기술과 LH신기술에 등록되 어 있다. 4.2 실험 검증 <그림 9>와 같이 한국콘크리트학회 및 여러 시험기 관을 통해 구조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안전성 검증을 최 우선으로 하였다. 5. 지하차도 현장 적용 지하차도 공사의 경우 현장 여건상 공사환경이 매우 복잡하고 인접 교통계획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공사기 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는 동시에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PC 더블월 공법은 시공속도가 빠 르고 수밀성 및 안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최근 들어 지하차도 현장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수원 대유평 지하차도 현장의 경우 RC(현장타설) 공법으로 는 8개월 이상 공사기간이 필요하지만 본 기술을 적용 하여 3개월만에 구조물이 완료되었고 60% 이상 공기 를 단축시킬 수 있었다. <그림 10, 11>에 현장 적용 전 경을 나타내었다. 6. PC 더블월 공법의 추가 연구개발 최근 한국콘크리트산업(주)는 <그림 12>와 같이 우각 부가 개선된 PC 더블월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금년 1 월부터 현대건설 기술연구원과 함께 개선된 PC 더블월 공법에 대한 기술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기존의 더블월 공법은 기초콘크리트 타설 후 더블월을 설치하는 순서 였지만, 개선된 더블월 공법은 <그림 13>과 같이 기초 앵커 철근을 외측 PC 부재에 삽입하는 순서로 시공하 기 때문에 <표 1>의 구조 실험 결과처럼 우각부 연결에 의한 구조적 안정성과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의 PC 더블월보다 수밀성이 대폭 향상되었으며, 그림 8. 특허와 신기술 인증서 그림 9. 실험 검증을 통한 인증제 35 권 6 호 2023. 11 67 그림 10. 수원 대유평 지하차도 현장 적용 그림 11. 동탄 경부선 지하차도 현장 적용 그림 12. 기존 및 개선된 PC 더블월의 상세 비교 기존 PC 더블월개선된 PC 더블월 그림 13. 개선된 PC 더블월 공법 시험체 제작 (a) Double Wall(A판) 제작(c) Double Wall 기립 (e) 기초 및 벽체 속채움 타설 (b) Double Wall(B판) 제작 (d) 부재 설치 및 철근 배근(f) PC 부재 제작 완료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