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기사 2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8 PC 더블월 부재를 설치한 후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공기단축 효과가 기존공법 대비 뛰어나다. 7. 맺음말 세계적으로도 PC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예 상하며, 우리 정부에서도 OSC를 통한 스마트 건설을 활성하고자 한다. 본 기사에서 소개한 PC 더블월 공법 은 글로벌 건설 동향과 국내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기 술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지하 공간의 토목 공사는 설 계와 시공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안전과 품 질이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에 All PC 공법과 Half PC 공법의 장점만 적절히 활용한 PC 더블월 공법 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 으로 학회를 통해 본 기술의 품질 및 구조적 개선 사항 과 프로젝트 적용 내용을 지속해서 공유할 계획이다. 담당 편집위원 : 김은주(서울대학교) robinekim@snu.ac.kr 표 1. 기존 더블월과 개선된 더블월의 설계하중 구분수평력(kN) 모멘트 (kN·m) 변위(mm) 기존 더블월169.8448.364.57 개선된 더블월 260.2689.557.50 1. 국토교통부,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 SConstruction 2030 추진, 보도자료, 2022. 07. 2. 한국콘크리트학회, 2021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해 설, 2021. 참고문헌 나옥빈 책임연구원 은 미국 콜 로라도 주립대학교에서 콘크리트 내 구성 실험 및 수치해석으로 박사학 위를 취득한 후 2013년부터 현대건 설(주) 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 다. 콘크리트 관련 기술개발 및 국내 외 다수의 건설프로젝트 기술지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고내구성, 조강 콘크리트 및 층간소 음 저감용 재료이다. nao@hdec.co.kr 그림 14. 개선된 PC 더블월 공법 수밀성 시험체 제작 (a) 가력 계획 (b) 시험 세팅 전경 그림 15. 구조 시험 개요 및 전경제 35 권 6 호 2023. 11 69 임창근 책임연구원 은 한국과학 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박사과 정에 재학 중이며, 2009년부터 현대 건설(주) 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콘크리트 관련 기술개발 및 국 내외 다수의 건설프로젝트 기술지원 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 는 콘크리트 수화열, 고내구성 콘크 리트, 급속시공 기술이다. cklim@hdec.co.kr 김삼수 책임연구원 은 한양대학 교 건설환경공학과에서 콘크리트공 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4년부 터 현대건설(주) 기술연구원에서 근 무하고 있으며 토목시공기술사이다. 콘크리트 관련 기술 개발 및 국내외 다수의 건설프로젝트 기술지원을 수 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콘 크리트 수화열, 조강형 콘크리트, 콘 크리트 균열분석 및 층간소음 저감 재료이다. kim3soo@hdec.co.kr 김성진 상무 는 성균관대학교 학 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를 취득 하였고,‘수화열 해석을 통한 시멘트 종류별 콘크리트 교각 타설 높이에 관한 연구’논문을 수행하였다. 2010 년 토목구조기술사 자격을 취득하였 고, 현재는 한국콘크리트산업(주) 설 계부 부서장으로 재직 중이며 프리캐 스트 콘크리트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 및 설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kcipc@naver.com 박성태 차장 은 서울과학기술대 학교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한국콘크리트산업(주) 설계부에 재 직 중이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 조설계에 관한 연구 및 설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kcipc@naver.com 프리캐스트콘크리트 모멘트골조 건축물의 연쇄붕괴 성능평가 및 설계법 •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 정가(비회원가) : 15,000원 • 발행일 : 2023.07.10 • 회원할인가 : 12,000 원(20%) | 도서소개 |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는 국내 PC 건축물의 연쇄붕괴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능 평가 및 설계방법에 대한 내용을 책자로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 성능평가 및 설계방법은 GSA(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Alternate Path Analysis & Design Guidelines for Progressive Collapse Resistance), UFC 4-023-03(Design of Buildings to Resist Progressive Collapse)과 같은 해외선진 지침을 기반으로, 이론 및 실험연구 등으로 규명된 국내 PC 건축물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최신의 연구결과들을 적극적으로 반 영하여 PC 건축물의 연쇄붕괴 극한거동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아울러 상기 성능평가 및 설계방법의 실무적용성 확대를 위하여 PC 건축물의 연쇄붕괴 방지를 위한 예제를 기 술하였습니다.기술기사 3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0 1. 머리말 프리팹(Prefab) 방식으로 건설되는 교량 공법의 경우, 부재 간 연결을 위해 다양한 연결부가 존재하는데 비록 연결 부를 갖더라도 일체 타설된 시스템과 동등한 구조성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연결부 상세 및 채움재 선정은 전체 교량 구조물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 공용 중인 비대칭 루프이음 바닥판 연속화 공법은 루프철근이 겹이음 된 연결부 타설 공간에 60MPa급 무수축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바닥판 부재 간 일체화를 완성하며, 이때 구조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루프이음 방식의 겹침이음길이 및 연결부 폭 길이 기준을 선행 연구(강명구, 2015; 변태관, 2016)를 통 하여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비대칭 구조의 루프이음 바닥판 연속화 공법은 <그림 1(a), (b)>와 같이 바닥판 제작 시 제 작 난이도가 높으며, 제작 과정에서 거푸집 탈착으로 인한 제작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그림 1(c)>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 채움재료 타설 후 채움재료의 수축 특성으로 인해 계면 균열이 발생하며, 이는 구조물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그래서 기존 루프이음 연결공법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전 제작 난이도를 감소시키는 직선철근 이음방식과 무수축 모르타르 대비 고강도, 고부착 성능을 지닌 채움재료를 적용한 신형식 프리 팹 바닥판 연결부 상세를 제안하는 연구(고우영, 2022)가 진행 중이다. (a) 루프이음 바닥판 사전제작 (b) 바닥판 사전제작 시 제작오차 발생(c) PC 콘크리트-채움재료 계면 균열 발생 그림 1. 비대칭 루프이음 바닥판 연속화 공법의 문제점 고우영 Wooyoung Go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석사과정 이한주 Hanju Lee 한국콘크리트학회 책임연구원 김영진 Youngjin Kim 한국콘크리트학회 연구소장 최명성 Myoungsung Choi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구조 시스템 개발 및 성능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New Prefab Deck Structural System 제 35 권 6 호 2023. 11 71 이에 본고에서는 비대칭 구조의 루프이음 바닥판 연 속화 공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신형식 바닥판 연결 부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를 적용한 요소 실험을 통하여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 대비 구조성능과 설계변수 에 따른 구조성능 평가 결과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2. 프리팹 교량 연결부 공법 현황 2.1 프리팹 교량 연결부 분류 프리팹 교량은 바닥판, 거더, 교각 및 교대 등 다양한 구조 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 형태 또한 다양하다. 이러한 연결부는 시공 조건, 경 제성, 목표 성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그 형태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개략적인 프리팹 구조부재 및 연 결부 분류를 <그림 2>와 <표 1>에 나타내었다. 2.2 국내 프리팹 교량 연결부 공법 현황 국내 프리팹 교량 부재별 연결부 공법을 조사한 결 과, <그림 3>과 같이 거더와 바닥판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 부재 중에서 외 부 하중을 직접 지지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가장 필요한 부재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량 구조를 구성하 는 부재들 중 많은 물량이 투입되는 부재로서 역학적인 특성과 함께 경제성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도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바닥판에 대한 다양 한 연결부 형태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부 구조성능에 대한 정량적인 표준 평가 방법이 부재한 실 정이다. 2.3 국외 프리팹 교량 연결부 공법 현황 국외 또한 국내 현황과 유사하게 바닥판에 대한 연 구 및 적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FHWA)에서 출간 한 ‘Connection Details for Prefabricated Bridge Elements and Systems’ 기술보고서에는 고속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를 활 용한 설계·시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교 량 구조물의 대상 부재를 세부 분류하였고, 분류된 부재 에 대한 연결부 형태, 사용 공법, 도면 및 치수, 사용 재 료, 시공 성능 들을 상세하게 제시하며 관리되고 있다. 또한 일본 국토교통성( 国土交通省 )에서는 2016년부 터 건설 현장에서 ICT 활용 및 시공 표준화 등을 추진 하는 ‘i-Construction’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이 정 그림 2. 프리팹 교량 부재 및 연결부 분류 그림 3. 국내 대상 부재별 연결부 공법 추이 표 1. 프리팹 교량 연결부 세부 분류 연결부 분류대상 부재 바닥판(Deck)D - D 방호벽(Barrier) B - B B - D 거더(Girder) G - D G - G 교각(Pier) C - P C - C C - F 교대(Abutment) W - W W - F 주, C:column, P:copping, F:footing, W:wall기술기사 3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2 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FHWA의 연결부 기술보고서와 유사하게 구조부재에 관한 시공 사례를 가이드라인으 로 제시하고 있으며( 国土交通省 , 2019), 일정 규모 이 하의 프리캐스트 제품의 규격화 등을 수행하는 등 조립 식 교량의 표준화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추세이다( 国土 交通省 , 2020). 3.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 상세 제안 기존 루프이음방식에 의한 프리팹 교량 연결부는 바 닥판 사전 제작 난이도가 높고, 제작 오차가 발생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또한 구조 부재의 순차적 시공 과정 에서 이음 철근 배근 각도 등의 시공 오차가 존재하여 현장 설치 과정이 어렵고, 무수축 모르타르 채움재료 타설 후 PC 콘크리트 – 채움재료 계면 균열이 발생하 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림 4>는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의 사전 제작 및 시공 성 문제를 개선한 신형식 연결부 구조이다. 먼저 <그림 4(a)>와 같이 기존 루프철근을 직선철근으로 교체하여 바닥판 사전 제작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이음철근 배근 각도 수정과 같이 시공 오차를 흡수하기 용이한 철근 이음방식으로 변경하였다. 다음으로 <그림 4(b), (c)>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 대비 고강도, 고부착 성능, 수축 보상 효과를 지닌 초고성능 채움재료(UHPFRCC, Ultra 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를 적용하여 채움재료 강도 증가에 따른 이음철근 겹침이음길이 감소 및 연결부 폭을 감소시켰 으며, 강섬유 혼입에 따른 수축 보상 효과를 통해 채움 재료 타설 후 계면 균열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그림 4(d)>와 같이 단위폭에 대한 요철형 격벽이 6개인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에서 바닥판 제작 단순화를 위해 요철형 격벽 개수를 4개로 감소시켰다. 이를 통해 신형 식 바닥판 연결부 상세는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의 사전 제작 문제, 시공 오차, 채움재료 수축 특성 등의 문 제를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적용하였다. 4.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 구조성능평가 4.1 실험변수 선정 및 실험방법 기존 루프이음 연결부 대비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의 구조성능 검토와 설계변수에 따른 제안된 연결부 상세 (a) 직선철근 이음방식(c) 연결부 폭 감소 (b) 초고성능 채움재료 적용(d) 신형식 요철형 격벽 4개 그림 4.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구조 (a) 철근 이음방식 루프이름:‘L’직선 이음:‘S’ (b) 채움재료 종류 무수축 모르타르:‘NS’초고성능 채움재료:‘UH’ (d) 연결부 폭 연결부 폭 ‘300’연결부 폭 ‘200’ (e) 요철형 격벽 개수 요철형 격벽 6개:‘85(6)’요철형 격벽 4개:‘85(4)’ 그림 5.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변수 항목제 35 권 6 호 2023. 11 73 의 구조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그림 5>와 같이 변수를 설정하고 <표 2>와 같이 시험체를 구성하였다. 개선된 연결부 구조가 적용된 시험체의 설계도는 <그 림 6>과 같이 제작되었고, 제작된 요소 시험체는 <그림 7>과 같이 4점 휨 재하 실험을 통하여 구조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4.2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구조성능평가 결과 분석 기존 루프이름 시험체(L/NS/300/85(6)/N)와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시험체의 하중-처짐관계 곡선 을 <그림 8(a)>에 나타내고, 설계변수에 따른 신형식 프 리팹 연결부 시험체의 하중-처짐관계 곡선을 <그림 8(b), (c)>에 나타내고 채움재료에 따른 계면 균열 발생 여부를 <그림 8(d)>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변수별 하 중, 처짐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냈다. 바닥판 연결 공 법 별 비교인 <그림 8(a)>를 통해 직선이음에 연결부 폭 200mm인(S/UH/200/85(4)/N) 시험체는 기존 루 프이름 시험체(L/NS/300/85(6)/N)와 동등 수준 의 내하력과 처짐 거동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초고성능 채움재료(UHPFRCC)가 타설된 경우, 무 수축 모르타르에 비해 높은 부착성능을 가져 상대적으 로 짧은 겹침이음길이와 이음철근 부착면적을 가진 조 건에서 기존 루프이름 연결공법만큼의 구조성능을 확 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하여 신형식 프리팹 바 닥판 연결부 연속화 공법을 사용하면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 만큼의 구조성능을 확보하고 사전 제작 난이도가 개선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그림 8(b)>를 통해 연결부 폭에 따른 직선이음 연결부 시험체의 하중-처 짐 관계 곡선을 비교한 결과, 연결부 폭이 150mm인 시험체(S/UH/150/85(4)/N)는 철근의 항복 이후 강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구조성능 확 보를 위한 충분한 겹침이음길이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 로 판단된다. 반면 연결부 폭이 200mm 이상인 시험 체(S/UH/200/85(4)/N, S/UH/240/85(4)/N) 들은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 는 현재 신형식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결부 상세에서 최 표 2. Main variable of specimens specimensJoint methodFilling material Width of joint (mm) Ribbed wall length (mm) Ribbed wall number L/NS/300/85(6)/N Loop Non-shrinkage mortar 300 85 6 L/NS/300/85(4)/N 4 S/UH/240/85(4)/N StraightUHPFRCC 240 S/UH/200/85(4)/N200 S/UH/150/85(4)/N150 (a) Plane view 그림 6.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시험체 설계도 (b) Front view 그림 7. 구조성능평가 전경기술기사 3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4 소 연결부 폭 200mm 이상인 경우 충분한 겹침이음길 이를 가져 구조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된된다. 이 를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공법과 비교 시, 구조성능 확 보에 필요한 연결부 폭을 줄임으로써 채움재료 타설량 이 감소하여 상대적인 시공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8(c)>를 통해 루프이음 연속 화 공법 조건에서 요철형 격벽 개수에 따른 하중-처짐 관계 곡선을 비교한 결과이다. 요철형 격벽 개수가 구 조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채움재료인 무수축 모르타르-루프 철근 사이의 충 분한 부착력이 하중을 지배적으로 저항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고부착 성능의 초고성능 채움재료를 타설한 신형식 바닥판 연결부 또한 채움재료-이음철 근 간 충분한 부착력을 통해 하중을 저항할 것으로 판 단되어 요철형 격벽 개수에 따른 구조성능 영향은 적 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통 해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 단위 폭 설계에 요철형 격벽 개수 를 4개로 줄이면 제작을 단순 화시켜 제작 난이도를 완화 시 킬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 로 <그림 8(d)>를 통해 채움재 료 종류별 계면 균열 발생 여 부를 검토하였다. 무수축 모르타르와 초고성능 채움재 료(UHPFRCC)는 모두 타설 직후 높은 팽창성을 보이 지만 무수축 모르타르는 자기 수축 등의 영향으로 채 움재료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였고, 초고성능 채움재료 (UHPFRCC)는 강섬유의 인발 작용으로 수축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보이며 채움재료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 지 않았다. 이를 통해 초고성능 채움재료(UHPFRCC)를 적용하면 PC 콘크리트-채움재료 계면 균열 발생을 방 지하여 계면 보수 등과 같은 시공 과정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Lim, 2021). 4.3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 구조성능 해석적 검증 제안된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구조 시스템의 구조 성 표 3. Summary of loads and deflections specimens (kN)(mm)(kN)(mm)(kN)(mm) L/NS/300/85(6)/N245.510.5316.625.1288.839.3 L/NS/300/85(4)/N221.89.2317.132.2273.537.0 S/UH/240/85(4)/N261.410.4329.725.7251.951.9 S/UH/200/85(4)/N270.09.48354.531.0261.441.1 S/UH/150/85(4)/N222.511.3185.612.355.486.3 (a) Load-deflection curves of connection method(b) Impact of joint wodth(c) Impact of ribbed wall number 그림 8. Load-deflection relationship curve (d) Interfacial cracks depending on filling material Non-shrinkage mortarUHPFRCC제 35 권 6 호 2023. 11 75 능 시험결과에 대한 검증 및 추가적인 변수해석을 위해 연결부 계면 조건 등을 모사한 FEM 해석을 통해 분석 을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 9>에 해석적 검증을 위해 8 절점의 솔리드 요소를 사용하여 시험체 모델링을 나타 내었고, <그림 10>에 각 구성재료의 재료 모델을 나타 내었다. 또한 해석 조건을 통한 검증 결과를 <그림 11> 에 나타내었다. Diana 비선형 해석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PC 콘크리트는 Maekawa 압축 모델과 Multi- linear 인장 모델을 적용하고, 초고성능 채움재료의 경 우 ‘섬유보강 SUPER Concrete 구조설계지침’의 압축 강도 150MPa 조건의 압축, 인장 거동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초고성능 채움재료-PC Concrete 계면의 경우 Non-linear elasticity 모델을 이용하여 계면 개구 변 위에 따른 계면 강성을 조절하여 실험에서의 계면 탈락 을 모사하였다. 다음으로 철근은 D19를 사용하며, 철근 의 hardening을 고려하여 항복강도 440MPa, 최대 강 도 600MPa로 적용하였다. <그림 11(a)>는 직선철근 이음, 초고성능 채움재료 및 연결부 폭 200mm인 조건 의 실험-해석 결과 비교이다. 검토 결과 실험과 해석 결과는 유사한 수준의 내하력과 처짐을 얻었으며, <그 림 11(b)>는 해석적 검토를 통해 얻은 시험체 균열 진 전 양상이다. 검토 결과, 해석 결과의 균열 발생 위치는 실제 실험에서의 균열 발생 위치와 유사하였고, 균열 진전 양상도 실험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냈다. 추가로 강도수준별 계면 특성을 정밀하게 묘사하여 200MPa 그림 9.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시험체 모델링 (b) 초고성능 채움재료(UHPFRCC) (c) PC 콘크리트-채움재료 계면 모델링 (a) 신형식 연결부 시험체 실험-해석 결과 비교 (b) FEM 해석법을 통한 균열 진전 양상 그림 11. 신형식 프리팹 연결부 해석적 검토 결과 (a) PC 콘크리트 그림 10. 구성재료별 모델링 및 재료 모델 (d) Hardening을 고려한 실제 철근 응력-변형 거동기술기사 3 | TECHNOLOGY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6 까지의 초고성능 채움재료 수준별 바닥판 구조성능 상 관관계를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5. 맺음말 국내 공용중인 비대칭 루프이음 바닥판 연속화 공법 은 사전 제작 난이도 및 제작 오차 문제, 현장 시공 오차 및 채움재료의 수축 특성에 따른 계면 균열 문제가 존 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 결부 상세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바닥판 연결부 상세의 요소 실험을 통하여 기존 루프이음 연속화 공 법 만큼의 구조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설 계변수에 따른 구조성능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 여 제안된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 상세는 비대칭 루프이음 연속화 공법의 제작 및 시공 문제를 개선하며 동시에 기존 공법 만큼의 구조성능을 확보하여 루프이 음 연속화 공법을 대체할 유효한 공법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제안된 신형식 프리팹 바닥판 연결부는 PC 콘 크리트–초고성능 채움재료 간 강성 차이에 따른 성능 문제 등에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초고성능 채움재료 강도 조건에 따른 구 조성능평가를 수행하여 최적의 겹침이음길이 및 프리 팹 부재 간 성능 기준을 도출할 예정이다. 6.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과제 번호 RS-2020-KA156007). 1. 국토교통부(2016)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 강명구(2015) 이음부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프리캐스 트 바닥판 접합부의 휨 성능평가. 단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3. 고우영, 이한주, 김영진, 최명성(2022) 다양한 이음부 형식를 통한 프리팹 교량 바닥판의 구조성능 평가, 한 국콘크리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34권, 제2호, pp. 239-240. 4. 변태관(2016) 루프이음과 비대칭 요철형 단면을 적용 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이음부 연결성능평가, 단국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5. 정철헌(1998)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프리캐스트 콘 크리트 교량 바닥판 연결부에 관한 정적 실험, 한국콘 크리트학회 논문집, 한국콘크리트학회, 제10권, 제2 호, pp. 109-117. 6. 한국콘크리트학회(2019) 섬유보강 SUPER Concrete 구조설계지침(KCI-M-19-004). 7. 한국콘크리트학회(2021)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해설. 8. American Concrete Institute(ACI)(2019) Building Code and Commentary, ACI 318-19. 9. AASHTO(2016) AASHTO LRFD Bridge Construction Specifications. 참고문헌 10. AASHTO(2017)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1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2004) Eurocode 2: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12. E. Tazawa(1999)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CRC Press. 13. Harryson, Peter(2003) High Performaance Joint for Concrete Bridge Applications. Struc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1/2003, IABSE, pp. 69-75. 14. Lim, D. K., and Choi, M. Y. (2021) Shrinkage and crack characteristics of filling materials under restrain stres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09, 22, pp. 125-188. 15. 橋梁等のプレキャスト化及び標準化による生産性向 上検討委員会 (2018) コンクリート橋のプレキャス ト化ガイドライン 16. 国土交通省 (2019) 土木構造物設計ガイドライン 17. 国土交通省 (2020) 国土交通省土木工事における プ レキャスト工法の活用事例集 18. 道路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工技術委員会 (2019)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適用する 機械式 鉄筋継手工法ガイドライン 담당 편집위원 : 정동혁(고려대학교) jungd@korea.ac.kr제 35 권 6 호 2023. 11 77 고우영 석사과정 은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스마트구조재료 연 구실에서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현재는 주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ndud6030@daum.net 이한주 책임연구원 은 단국대학 교 토목환경공학과에서 장지간 교량 바닥판의 설계기준 관련 연구로 박 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프리 캐스트 부재의 역학적 특성 및 구조 성능 평가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다. zoo0617@nate.com 김영진 연구소장 은 연세대학 교 토목공학과에서 반복하중을 받는 RC휨부재의 비선형 해석에 대한 연 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한 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공학연구 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 관심연 구 분야는 특수환경 콘크리트, 스마 트 건설기술 및 조립식 교량 등이며, 우리 학회 규격위원회, 미래융합기술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kimcrete@naver.com 최명성 교수 는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에서 콘크리프 펌 프압송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미국 NIST, Princeton University Post Doc. 이후 동국 대학교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토 목환경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시공성능 예측(펌핑, 충전 등), 3D 콘크리트 프린팅, 프리캐스트 공 법 및 FRP 보강 구조성능 평가와 관 련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choims@dankook.ac.kr 학회인증사업 시행 안내 1. 인증의 종류 1) 재료 및 자재 :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성 재료 및 보수·보강 재료 등 2) 설계방법 및 공법 :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방법과 시공, 보수·보강할 때의 공법 3) Software : 콘크리트 재료, 설계, 시공에 관련된 프로그램 4) 지침, 기준, 시방서 : 콘크리트 재료, 설계 시공에 관련한 제 규정 5) 기타 콘크리트에 관련된 기술 2. 인증의 절차 및 기간 1) 절차 : 신청서 및 서류 검토, 발표 및 현장(필요할 때) 심사 등 실시 2) 기간 : 신청일로부터 1개월 이내(단, 시험이나 실험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신청자와 협의하여 조정) 3. 인증의 기한 및 갱신 인증 1) 최초 인증 유효기간 5년(2년 범위 내에 조정 가능) 2) 갱신 인증은 최초 인증 절차에 준하며, 3년 주기로 인증 연장 가능 4. 기술 인증 사후 특전 한국콘크리트학회의 학회지와 홈페이지에 기술 내용 및 인증서 공고 5. 문의처 : 학회 사무국 담당 : 이웅종 책임연구원 Tel : 02-539-5983, E-mail : woojon94@kci.or.kr 콘크리트 관련 국내 유일의 연구 전문 기관인 우리 학회는 관련 업계에서 개발한 신기술 등의 학회 공인 요청에 대처하고자 콘크리트 재료 및 공법 등의 기술개발 사항을 의뢰 받아 우리 학회 전문가의 면밀한 검토와 심의를 거쳐 검증하고 검증된 재료 및 공법은 인증서를 발급하여 그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신뢰도를 제고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업계의 많은 신청바랍니다. 사단법인 한국콘크리트학회 TEL:(02)568-5984~7 FAX:(02)568-1918 http://www.kci.or.kr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