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1-2. IVI 시스템: 차량과 운전자의 상태를 수집/분석해 최적화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 -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지도, 길안내, 차량 세팅 등의 정보와 음악, 영상 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어하는 통합 제어 장치 AVN(Audio Video Navigation), D-AUDIO(Display AUDIO) - 텔레매틱스 주차위치 확인, 원격 잠금 제어, 무선 업데이트 등의 무선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차량 무선통진 장치 - 클러스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 - HUD(Head Up Display) 운전자 주의 분산방지를 위해 차량 운행에 필수적인 정보를 앞 유리창을 통해 보여주는 장치 - 사운드 시스템 음악, 라디오, 경고음, 네비게이션 음성 등 다양한 사운드 경험을 고객에게 주는 시스템 1-3. 전동화: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발전 수행에 필요한 부품 개발을 통한 핵심 솔루션 제공 - 전력 변환 시스템 차량 내부와 외부 간, 그리고 구동 시스템과 배터리 시스템 간의 전력 흐름을 통제하고 교류/직 류 및 전압 변환을 담당 - 구동 시스템 차량이 출발/가속할 때 전기에너지로 기계적 동력을 발생시키며, 반대로 감속/제동시 동력을 전 기에너지로 회수 - 배터리 시스템 친환경 차량의 주행 및 차량 내・외부 전력 사용을 위해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시스템 HEV(Hybrid Electric Vehicle)/EV BSA(Battery System Assembly),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 연료전지 시스템 수소를 연료로 공기와의 화학적 반을을 통해 오염된 배출 가스 없이 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MEA(연료전지 전극막), 연료전지 스택, 연료전지 파워팩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1-4. 제동: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차량의 감속/정지/주차 및 능동 자세 제어를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츈, MEB, iMEB, EPB 등 다양한 제동 시스템의 연게를 통해 자율주행과 전동화 차량에 적 합한 제동 시스템 솔루션 제공 - MEB Mobis Electronic Brake 전자식 능동제어장치로 ABS/ESC 기능뿐만 아니라 AEB(Autonomous Ebergency Braking), SCC(Smart Cruise Control) 기능 등 첨단 주행보조 기능 제공 - iMEB Integrated Mobis Electronic Brake 모터를 활용 제동압력을 제어하고 ABS/ESC 기능을 통합해 저농화 차량의 회생제동 기능 제공 - EPB Electric Parking Brake 모터를 이용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하고, 정차 시 오토홀드 등의 편의 기능 제공 1-5. 조향: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시스템으로 모터를 활용한 EPS제품군 제공,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Steer by Wire 차세대 시스템 개발 - 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 모터를 활용 차량의 진행방햐을 전환하는 전동식 능동 조향 시스템 - SWB Steer By Wire 스티어링휠과 바퀴간 기계적 연결(U/Joint, Shaft) 없이 전기신호로 제어하는 차세대 조향 시스템 1-7. 전자현가: 주행 중 충격을 흡수하고 차고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제공 - EAS Electronic Air Suspension 압축공기를 활용한 에어스프링과 센서를 활용, 차고를 능동적으로 제어해 승차감 개선 및 차량 안전성 확보하는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 ELC Electronic Leveling Control 주행 조건에 따른 차고 조절을 통한 연비 개선 및 R&H (Ride & Handling) 성능 향상할 수 있는 차고조절 시스템 1-8. 안전: 차량 사고 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다양한 에어백 모듈 및 제어기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 템 개발, 자율주행차량에서 승객의 위치 및 앉은 자세를 모니터링해 안전장치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차세대 기술 개발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 에어백 모듈 충돌 사고 시 승객의 상해를 저감해 안전하게 보호 정면 에어백 (DAB, PAB) 측면 에어백 (CAB, SAB) 루프 에어백 (파노라마 루프 에어백, 듀얼 썬루프 애어백 등) 자율주행차 에어백 개발 - 에어백 전장 충돌센서를 활용, 에어백 전개를 제어하는 제어기 승객의 위치 및 앉은 자세를 인식해 제어하는 차세대 기술 개발 ACU (Airbag Control Unit) 충돌센서 (FIS, SIS) ODS (Occupant Detection System) PSB ECU (Pre-safety Seat Belt) 1-9. 램프: 빛을 조사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한편, 주변 차량과 보행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시 스템. 자율주행 시대를 맞아 주변 사물과 환경에 반응하는 Matrix ADB부터, 주변 운전자/ 보행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DMD 램프까지 연구/개발 - 헤드램프 야간 시인성 향상 및 자동차 진행 신호를 위해 전방에 위치한 조명 시스템으로 구성 ADB (Adaptive Driving Beam) DMD (Dgital Micro-mirror Device) - 리어램프 주행상태를 후행차에게 알리기 위해 자동차 후방에 위치한 조명 시스템으로 후진등, 제동등, 방 향지시등과 같이 여러 가지 목적의 램프가 리어콤비네이션램프 구성 - 스몰램프 안개등, 주간주행등(DRL), 차폭등, 방향지시등 등 - 램프전장품 램프의 다양한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 2. 자동차 모듈 제조 자동차 3대 핵심모듈인 샤시모듈, 칵핏모듈 및 FEM을 생산하며, 자동차 개발 단계부터 설계・시험・연구 에 참여해 완성차에 직서열 방식으로 공금하며 전기차 및 미래 모빌리티 확대에 발 맞춘 신개념 모듈을 개발합니다. 2-1. 샤시모듈(Chassis Module): 차량 하부를 구성하는 현가, 조향, 제동, 동력 전달 시스템 부품을 통합해 완성차의 생산성, 품질 향상을 극대화한 모듈 단위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2-2. 칵핏모듈(Cockpit Module): 편의장치, 주행정보/제어장치를 제공하고, 오디오, 공조장치, 에어백 등의 부품을 통합해 실내 승객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모듈 단위 2-3. FEM (Front End Module): 헤드램프, 캐리어, 라디에이터 등 엔진룸 앞쪽 기능 부품들을 통합해 보행자 보호 및 저속 충돌 안전 개선에 기여하는 부품 단위 3. 자동차 AS 부품 현대・기아자동차 5,877만대의 A/S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최첨단 물류 시스템을 비롯한 대단위 인프라 를 구축하고 193차종 240만 여 품목의 부품을 보유, 관리하고 고객 니즈 다변화 대응 서비스 특화 전략 3-1. 순정부품: 자동차 제작 시 사용된 부품과 동일한 품질 및 설계 요구 사항을 민족시키는 제품 3-2. 자동차 용품: 차량 성능 향상 및 내/외장 디자인 개선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일반용품 공급 • R&D Vision 1. Smart Mobility 향한 기술개발 집중 2. 소프트웨어 중심 회사로 전략적 전환 3. 오픈 이노베이션 가속 4. 글로벌 R&D 네트워크 강화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 국내 및 해외 연구소 현황 1. 국내 연구소 마북 연구소 설계 및 시스템 단위 검증 연면적98,641 m 2 (29,839평) 연구동전장, 샤시, 의장, 제어 시스템 개발센터 시험동전장, 제동, 의장, 전자제어, 안전 의왕 연구소 친환경 부품 및 시작품 검증 연면적40,645 m 2 (12,295평) 시험 항목제동, 조향, 램프, 전장, 전동화, 에어백, 연료전지 2. 해외 연구소 북미연구소 [MTCA] 위치미국 디트로이트 설립일2004년 2월 주요연구역할 자율주행/조향 요소기술 개발 북비OE 대응 및 수주 활동 HKMC 북미 특화 사양 개발 중국연구소 [MTCC] 위치중국 상하이/연태 설립일2008년 7월 주요연구역할 중국OE 대응 및 수주 활동 HKMC 중국 특화 사양 개발 유럽연구소 [MTCE] 위치독일 프랑크푸르트 설립일2004년 2월 주요연구역할 자율주행 센서 인식 알고리즘 개발 유럽OE 대응 및 수주 활동 HKMC 유럽 특화 사양 개발 인도연구소 [MTCI] 위치인도 하이데라바드 설립일2007년 3월 주요연구역할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HKMC 인도 특화 사양 개발 CAE 모델링 및 해석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 주행 시험장 현황 - 실차 환경 시스템 성능개발 및 검증시험 대한민국_서산 면적111.6만 m 2 (33만평) 시험 주행로14개 시험항목Brake, Ride & Handling, ADAS, Lamp, Autonomous Driving, etc. 상시 시험장 (사계절) 스웨덴_Arjeplog 면적1,653,000 m 2 (50만평) LAKE TrackHandling 포함 4종류의 시험 주행로 LAND TrackLow Friction Uphill 포함 5종류의 시험 주행로 동계 시험장 (총 9개 트랙)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중국_Heihe 면적 LAKE TrackHandling 포함 4종류의 시험 주행로 LAND TrackLow Friction Uphill 포함 5종류의 시험 주행로 뉴질랜드_Manaka 면적99,174 m 2 (3만평) Land Track Low Friction Uphill 포함 5종류의 시험 주행로 동계 시험장 (총 5개 트랙) •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 Win-Win Eco-System 구축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 지속가능경영 비전 및 전략: 책임있는 혁신, 청정 기술을 활용한 모빌리티 구현 • 지속가능경영 이해관계자 • Global Network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의 위치를 확고히 하기 위해 전 세계에 네트워크를 구축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을 넘어 자동차 부품 업계 Global Top Tier를 향해 매년 새롭게 도약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 학 회 소 식 □ 1. 학회 이사회 1) 2022년 4월 이사회 ∙ 4.8 (학회 사무실 및 zoom) ∙ 이경수 학회장 외 19명 ∙ 각 부문 주요 사업 보고 ∙ 학회 협력 발전을 위한 회장단 간담회 정례화 일정 보고 ∙ 춘계학술대회 준비 사항 보고 ∙ 연구소 전문위원 교체 ∙ 학회 조직도 개편 2) 2022년 6월 이사회 ∙ 6.4 (학회 사무실) ∙ 이경수 학회장 외 24명 ∙ 부문별 및 분과위원회 계획 발표 ∙ 7월 워크숍 준비사항 보고(7.7-8, 소노벨 비발디파크) ∙ 정관변경신청 결과 보고: 대외협력 집행부서 추가 허가(22.4.19, 국토교통부) ∙ 공로상 심사위원회 구성 및 학회상 포상 규정 검토(특별상 관련) ∙ 자동차안전학회지 14권 2호 발간 준비 상황 보고 ∙ 춘계학술대회 개최 결과 및 추계학술대회 준비 사항 보고 ∙ 국제 대학생 창작자동차 경진대회 진행 보고: 기술세미나 개최 예정(22.6.18, 숙명여대) ∙ 자문위원 추천: 류기현 전무((주)한국쓰리축) ∙ 자동차안전하자심의위원회 활동현황 보고 ∙ (가칭)모빌리티 탄소중립 조직 신설 제안: 연구소 내 연구센터로 구성 후 활동 내용에 따라 향후 독립 분과로 분리 ∙ 기타 학회 발전 제안: 법인회원사 적극 활동을 위한 장 마련, ITC, 통신, 배터리 관련 업체 전문가 영입 필요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2. 춘계 학술대회 * 일시: 2022. 5. 19~21. (목~토) * 장소: 쏠비치 양양 2022. 5. 19(목) 09:00-13:00현 장 등 록 DAY 1 그랜드볼룸 I그랜드볼룸 II루비 I루비 II사파이어 I 정책 및 결함능동안전(인공지능) I수동안전실사고 I능동안전(제어) I 신재호(경일대학교)신동훈(숙명여자대학교)임재문(대덕대학교)김상철(충북대학교)이동훈(숭실대학교) 10:00-10:20실차기반의 헤드램프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한종호, 유정아, 윤윤기, 윤경수, 강병도(지능형 자동차부품진흥원), 이동현(에스엘) 딥러닝 기반 주행 패턴 클러스터링을 통한 신발 종류가 도심 상황 주행 안전 성능에 미치는 영향 이은재, 이선명, 김경은, 명진희, 신동훈(숙명여대), 박강문(한국교통대), 남윤식, 한용하(현대자동차) 경제형 마이크로 EV 스틸 스페이스프레임 BIW 구조 개발 강전웅, 민헌식(현대자동차), 김영수, 김동섭(성우하이텍) 차대차 정면충돌사고에서 벨트 착용 탑승자의 손상중증도 위험요인 분석 공준석, 이강현, 김오현, 최두루(연세대) 현실-가상 연계 자율주행 평가를 위한 VILS시스템 개발 김봉섭, 윤경수(지능형 자동차부품진흥원) 10:20-10:40수소버스 CHSS의 충돌시험방법 연구 신재호, 김경진, 한경희 (경일대), 인정민, 심소정, 김시우(자동차안전연구원), 류도정(한국폴리텍VII대학) 자율주행 운전자 주행특성 모사를 위한 실차 운행 데이터 기반 딥러닝 모델의 설계와 검증 및 주행 구간별 운전패턴 시각화 김경은, 이은재, 이선명, 명진희, 신동훈(숙명여대), 박강문(한국교통대), 남윤식, 한용하(현대자동차) 자동차 휠 안전기준 개정 대응을 위한 내구 가혹도 검토 장진희, 허성필(현대자동차) 실사고 기반 정면충돌에서 충돌각도에 따른 탑승자 흉부손상 기전 분석 최두루, 이강현, 김오현, 이희영, 공준석, 추연일, 강찬영, 이해주, 강동구(연세대) 비신호 교차로 환경에서의 V2I 기반 사각지대 충돌 예방 시스템 개발 박선엽, 정용환 (서울과학기술대) 10:40-11:00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따른 자동차 안전 인증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조용혁, 안정아, 이상현 (한국법제연구원) 딥러닝과 객체 추적을 이용한 강건한 신호등 인식 알고리즘 개발 사공성표, 박채송, 이경수 (서울대) 충돌 성능 고려한 도어 강성부재의 최적화 구조 연구 조경국, 최제원, 백인선, 김기원, Praveen Kumar Gudaparthy(현대자동차)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와 교통사고조사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국내 중상해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강찬영, 이강현, 김오현, 이해주, 권태현, 배경수(연세대) ROS 기반 자율주행 가상검증 Framework 구축 김동환, 유창열, 신용승 (아이피지오토모티브코리아) 11:00-11:20합리적인 제작결함 시정을 위한 자동차안전·하자심의 위원회 운영 방안 고찰 김현진, 조창성,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고속도로 주행 시 딥러닝 기반 차선 변경 거동 검출 모델에 대한 연구 차종현, 전민, 송봉섭 (아주대) 자율주행차량 대면 모드 충돌 대응을 위한 루프에어백 개발 성일창, 신용석, 이대희, 김명회, 박지섭, 임윤, 김용철(현대자동차), 민병호(현대모비스) 배기량에 따른 이륜차 운전자의 손상 특성 이해주, 이강현, 김오현, 강찬영, 권태현, 배경수 (연세대) 자율주행 시스템 검증을 위한 가상주행환경 고도화 방법 이빈희, 허관회, 이효진 (아이피지오토모티브코리아) 11:20-11:40 주제 토론 도심 정체 상황 차선 변경을 위한 장단기 기억(LSTM) 신경망 기반 양보의도 추론 알고리즘 개발 서다빈, 이경수(서울대) A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Clamshell Hood to Secure the Safety and Durability Performance 곽경택, 강승훈, 유재동, 서경덕, 신영철, 천경섭, 이재규(현대자동차)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를 고려한 한국형 자동차사고 심층조사 개선방안 추연일, 김오현, 이희영, 공준석, 강찬영, 최두루, 이해주, 강동구, 이강현 (연세대) 경로예측 알고리즘이 포함된 자율주행자동차 교차로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박명연, 이장우, 정재일 (국민대) 11:40-12:00도심 상황에서의 LSTM-RNN 기반 주변 차량 경로 예측 김동영, 유진수, 이경수 (서울대) 복합재 브레이크의 실차 제동 특성 및 개발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심재훈, 권영운, 이중희, 신웅희(현대자동차) EDR·DSSAD 국제기준 동향 분석 및 데이터 기록항목 고찰 조은혜, 우나은, 강희진, 박기옥, 송지현, 이정기 (자동차안전연구원) 주제 토론 12:00-13:00점 심 식 사 (B1층 그라시아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