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최영수·윤용문·박종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Fig. 12 (a) Brake oil reservoir (b) Status of rear wheel brake system 사륜 오토바이 브레이크 리저버에 브레이크 오일량은 위 Fig. 12와 같이 정상치이며, 오일은 탁한 색상을 띄고 있고, 브레이크 리저버에서 브레이크 캘리퍼까지 이어지 는 오일 라인에 현저한 오일 누유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브레이크 캘리퍼 주변에 부식 흔적이 있으며, 브레이 크 패드의 현저한 마모 상태는 식별되지 않았다. 후륜의 제동장치도 전륜과 비교하여 제동이 되는 상태였으나 브 레이크 오일의 색상 및 부식상태를 미루어 보아 차량의 관리 상태는 미흡한 상태로 보였다. 3.2.4. 사륜 오토바이 주행평가 아래 Fig. 13과 같이 연구소 내 주차장에서 제시된 사 륜 오토바이의 주행평가를 실시하였다. Fig. 13 Driving evaluation of ATV 조향검사 시 조향이 불가하거나 사륜 오토바이에서 심 한 떨림 등과 같은 특이 현상은 보이지 않았고, 제동검사 시 핸들바 우측의 브레이크 레버를 당겼을 때 사륜 오토바 이는 정상적으로 제동되지 않았으며, 핸들바 좌측의 브레 이크 레버를 당겼을 때 사륜 오토바이가 제동되는 것을 확 인하였다. 제시된 사륜오토바이의 최고속도는 장소가 협소 한 제한적인 상황과 제시된 사륜 오토바이 전륜 제동장치 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점 등으로 확인이 어려웠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사륜 오토바이와 관련된 사고의 특징과 관련 법규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사고가 발생한 사륜 오토바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운송 수단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에서 사륜 오토바 이(ATV)는 가장 높은 사망률을 가지며, 전체 교통 사고 사망률의 약 7.5 배에 해당한다. 2)사륜 오토바이(ATV)는 이륜오토바이를 개조하여 개발되어 조작법이 간단하고 접근성이 용이하나, 무게중심이 높아 사고 발생 시 전복될 가능성이 높 은 특징이 있다. 3)사륜 오토바이(ATV)의 도로운행을 위한 안전기준 이 마련되었지만, 체험장 및 대여업소와 관련한 안 전법규가 미비한 상태로 관리·감독이 필요한 상황 이다. 4)현재 국내에서 사륜 오토바이(ATV) 교통사고 분 석 연구가 부족한 상태로 선행 연구 시 실차평가를 통해 계산된 마찰계수는 자동차관리법에서 제시한 성능규격에 일부 부합되는 상태이다. 5)우리원에 입고된 사고 사륜 오토바이(ATV)는 전 체적으로 유지·관리가 미흡한 상태로 일부 제동장 치는 동작하지 않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6)따라서, 레저를 위해 체험장이나 대여업소 등에서 사륜 오토바이를 대여할 경우, 차량의 상태를 면밀 히 살펴보고, 안전과 직결되는 제동장치의 동작여 부 확인, 주행 시 주의사항을 숙지한 상태에서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 운행해야 할 것이다. 7)향후 사륜자동차(ATV)와 관련한 레저 활동의 안 전을 강화하여, 국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자 동차관리법에 정기검사 의무 사항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 기 이 논문은 행정안전부 주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장 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R&D)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NFS2022TAA01). 참고문헌 (1)Aitken, M. E., Graham, C. J., Killingsworth, J. B., Mullins, S. H., Parnell, D. N., Dick, R. M., 2004, “All-terrain vehicle injury in children: strategies for prevention”, Injury Prevention, Vol. 10, No. 사륜 오토바이의 안전 및 교통사고 사례 분석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5, pp. 303~307. (2)Warda, L., Klassen, T. P., Buchan, N., Zierler, A., 1998, “All terrain vehicle ownership, use, and self reported safety behaviours in rural children”, Injury prevention, Vol. 4, No. 1, pp. 44~49. (3)강종진, 김대희, 2017, “[레저스포츠 진흥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정안의주요 내용과 쟁점”, 스포츠엔터 테인먼트와 법, Vol. 20, No. 2, pp. 71~91. (4)Lee, T. H., Lee, J. S., Ahn, M. E., Ahn, H. C., Seo, J. Y., Sohn, Y. D., Moon, J. B., 2009, “Clinical study of patients with all-terrain vehicle-related injuries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20, No. 5, pp. 528~536. (5)https://www.law.go.kr/법령/자동차안전기준에관 한규칙/(00075,20081208) (6)한국소비자원, 2016, “사륜 오토바이(ATV), 대부 분 안전 무방비로 도로 주행”, 보도자료 (7)http://taas.koroad.or.kr/ (8)김남호, 김명덕, 이태헌, 안무업, 서정열, 이재성, 김 유민, 2010, “사륜 오토바이 사고 환자와 이륜오토 바이 사고 환자에 대한 비교”, 대한외상학회지, Vol. 23, No. 2, pp. 128~133. (9)이태헌, 조광윤, 김남호, 김동원, 이정열, 조준휘, 천 승환, 2009, “종합병원에 내원한 사륜구동 오토바이 (ATV, All-Terrain Vehicle) 사고 환자에 대한 고 찰”,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20, No. 5, pp. 528~536. (10)https://www.midwestcycles.net/protection (11)강현건, 이경수, 김태종, 박구생, 2015, “사륜 오토 바이 (ATVs) 제동력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73, pp. 235~238. (12)김준안, 전재억, 2011, “사륜구동 오토바이 (ATV) 용 차동제한장치 (LSD)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 계가공학회지, Vol. 10, No. 1, pp. 8~15.◎ 논 문 http://dx.doi.org/10.22680/kasa2022.14.2.090 친환경 법규 대응을 위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Cu Free 마찰재 개발에 관한 연구 심재훈 * ·이중희 * ·신웅희 ** ·임동원 *** ·현은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 Free Friction Material of Composite Brake to Response Eco-friendly Regulation 구리 배제 마찰재복합재 제동 시스템 효력 특성페이드 특성마모 특성 ABSTRACT Composite material is widely used in the automotive industries because it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is possible to reduce weight due to the low density. However, there is a new obstacle to meet environment regulation like Cu less or Cu free regulation for the friction material. Although it is strongly demanded,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about that unfortunately. Unless this problem is not solved properly, it is impossible to apply composite brake system to vehicle. In this paper, a new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for composite brake system is represented to respond these regulations. To do this, fri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existing low steel friction material and new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are verified to secure performances for brake system such as effect characteristic, fade characteristic and wear characteristic. And composite brake gets the equivalent or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a low steel friction material. Finally, this result contributes to the study of major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in the future. *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연구원 *** 데크카본, 이사 **** 상신브레이크, 수석연구원 E-mail: jhs4u@hyundai.com 1. 서 론 최근 고성능 차량 및 EV(Electric Vehicle)가 폭넓게 적용됨에 따라 차량의 토크 및 중량이 기존 내연기관 대비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제동시스템의 관점에서 볼 때 열부하 증가에 의한 제동시스템의 사이즈 증대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동시스템의 사이즈 증가는 순차적으로 스프링 아래 질 량이 증대 됨으로 인하여 차량의 승차감, 핸들링(Handling) 성능 및 연비 저하를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중량 증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복합재의 차량 적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 고성능차에 한정하여 적용하던 복합재 브 레이크 기술이 저가의 복합재 소재 및 자동화 제조 기술 개발 그리고 EV 등 친환경 차량의 폭발적인 물량 증대에 의하여 가까운 미래에 보편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 고 있다. 특히, 연비와 관련된 다양한 규제는 전세계적으로 지 속적인 강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차량의 자동차안전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90∼95, 2022 논문접수일: 2021.12.23, 논문수정일(1차: 2022.3.30, 2차: 2022.5.25), 게재확정일: 2022.5.26친환경 법규 대응을 위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Cu Free 마찰재 개발에 관한 연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중량 저감 기술 개발은 자동차 산업의 주된 현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폭넓은 상용화를 위하여 그 동안 몇몇 전문가들에 의한 의미 있는 원리 연구가 이루어 졌다. Ostermeyer (1) 등은 복합재 브레이크와 주철 브레이크 에 대하여 마찰 특성 관점에서 상대 비교 연구를 수행하여 열 및 마모 특성 등에 대한 상세 비교 결과를 발표하였다. Swarbrick (3) 등은 복합재 디스크의 표면 개선 결과를 실차 상당의 평가 및 광학 분석을 수행하여 우수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심재훈 (4~7,9~10) 등은 SiC 함량에 따른 복합재 디스크와 마찰재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대한 원리 연구를 수행하 였으며, 상용화를 위한 복합재 디스크의 형상 개선과 마 찰재 강건설계를 통하여 스퀼 노이즈 저감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탁월한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합재 브 레이크의 장점에 비하여 복합재 브레이크 전용 마찰재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2025년부터 북미를 중심으로 적용 예정인 환경 규제 법규 발효에 따라 복합재 브레이크 전용 친환경 마찰 재 개발 기술을 반드시 확보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향후 폭넓은 상용화 가 예상되는 복합재 브레이크의 환경 규제 법규 대응을 위하여 복합재 브레이크 전용 친환경 마찰재를 개발하고 자 한다. 이를 위해서, 로우 스틸(low steel) 마찰재와의 비교 및 검증을 통하여 동등 이상의 제동 성능을 확보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새로운 친환경 마찰재를 복합재 브레이크의 효력 특성, 페이드 특성 그리고 마모 특성 등 실차 상당의 평가를 통 하여 의미 있는 분석 결과를 얻고자 한다. 또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기술 및 시장 선점을 위한 친환경 마찰재의 중요 원리 연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2. 환경 규제 법규 및 개발 방향 Fig. 1은 북미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마찰재의 환 경 규제 법규를 나타내고 있다. 법규 발생 배경은 마찰재 의 구리 성분이 해양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막기 위 한 것이며, 북미 워싱턴 주와 캘리포니아 주를 시작으로 발효되고 있다. 세부 내용으로는 2021년부터 마찰재의 구리 성분을 5% 이내로 규제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더욱 더 강화하 여 구리 성분을 0.5% 이내로 규제를 하고 있다. 이는 마찰 재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재구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와 같 은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방향을 2025년부터 시행 되는 0.5% 이내의 구리 성분을 함유한 마찰재 개발로 선 정하여 미래 기술 선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 1 Overview of Cu regulation according to time line 3. 친환경 마찰재 개발 내용 일반적으로 마찰재는 20종 정도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 다. 다시 이와 같은 소재는 크게 결합재, 연삭재, 윤활재, 보강재, 댐핑재, ph 조정재로 분류할 수 있다. 아래의 Table 1은 마찰재의 중요 구성요소 및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1 Components and features of friction material 먼저, 결합재는 페놀 수지계를 사용하며 연삭재, 윤활 재 그리고 보강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중요 기지재로 사용 된다. 그리고 연삭재는 알루미나 등 금속산화물을 이용하 여 형상 유지 및 마찰계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윤활재는 대표적으로 흑연 등을 사용하여 마찰의 안정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끝으로, 보 강재는 아라미드 섬유 등을 사용하여 마찰재의 골격 역할 을 하는 강화재로 사용된다. 참고적으로 댐핑재와 ph 조 정재는 마찰재의 유연성과 부식 방지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 중 가장 중요한 역 할을 담당하고 있는 결합재, 연마재, 윤활재 그리고 보강심재훈·이중희·신웅희·임동원·현은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Fig. 2 Component of composite brake system 재를 조정하여 친환경 마찰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선 기존 로우 스틸 마찰재의 제동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해결해야할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구리는 마찰재에서 금속 보강재로서 강도 확보의 역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열전도도를 가짐으로써 제동시 열발 산 역할을 하며 마찰계면에서 이착막 형성을 용이하게 하 여 고온 페이드 현상을 저감시키고 마찰 안정성을 확보하 는 역할을 한다. (2,8) 이러한 구리가 마찰재내 포함되지 않 을 경우 마찰계수 저하, 페이드 현상, 내마모성 악화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결합재의 함량을 증대 시켰으며, 연삭재 및 윤활재의 경우 기존 함량 대비 약 5%~15%를 증대 시 켜 안정적인 마찰계수 및 윤활 특성을 갖도록 하였다. 그 리고, 보강재의 경우 기존 구리 성분을 대신하면서 내열 성이 우수한 금속 섬유의 함량을 증대시켰다. 이와 같은 친환경 마찰재의 개발을 통하여 기존 로우 스틸 마찰재를 사용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우수한 차량 속 도별 제동 성능 및 페이드 성능을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 도록 하였다. 또한, 친환경 마찰재의 내열성 및 윤활 특성을 향상시 키는 방향으로 개발함에 따라 로우 스틸 마찰재 대비 탁월 한 마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친환경 마찰재는 기존 로우 스틸 마찰재의 제동 특성을 동등 수준으로 확보하면 서 품질 수명의 극대화가 가능하여 향후 환경 규제 법규 대응을 위한 해결책으로 적합하도록 개발하였다. 4. 복합재 브레이크 시스템 구성 및 평가 Fig. 2는 복합재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 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차량의 속도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발생 하는 구성요소는 모노블록 캘리퍼 바디와 마찰재로 구성 되며, 휠과 연결되어 마찰재와 상호 마찰을 발생시켜 차량 을 정지시키는 구성요소는 복합재, Hat 그리고 체결부로 각각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규제 법규 대응을 위하여 Fig. 2의 구성요소 중 ②번 마찰재의 구리 성분을 Fig. 1의 수준 N에서와 같이 0.5% 이내로 낮춘 친환경 마찰재를 개발하 여 구리 성분이 포함된 기존 로우 스틸 마찰재 수준 N과 의 상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검증 결과를 기 반으로 친환경 마찰재의 제동 성능 유효성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한편, 아래의 Fig. 3은 Fig. 2의 구성 요소에 대한 시험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재를 포함한 모노블록 캘리퍼와 복합재 디스크를 너클을 포함한 시험 장치에 설치하여 실차 상당의 평가가 수행되도록 하였다. Fig. 3 Component of composite brake system 5. 친환경 마찰재 평가 결과 5.1. 차량 속도별 마찰재 제동 성능 평가 마찰재 평가의 가장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합재 브레이크 전용 마찰재의 차량 속도별 제동 성능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때, 상대 비교를 위하여 로우 스틸 마 찰재와 친환경 마찰재를 각각 동일 차량 속도별로 평가하 였다. 먼저, Fig. 4는 일반 주행조건 50KPH, 고속 주행조건 100KPH, 가혹 주행조건 130KPH에서의 차량 감속도 변 화에 따른 로우 스틸 마찰재의 마찰계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속도별 차량의 감속도를 친환경 법규 대응을 위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Cu Free 마찰재 개발에 관한 연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a) 50KPH (b) 100KPH (c) 130KPH Fig. 4 Change of friction coefficient of low steel friction material according to vehicle speed (a) 50KPH (b) 100KPH (c) 130KPH Fig. 5 Change of friction coefficient of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according to vehicle speed 0.1g에서 0.8g까지 각각 감속할 경우 마찰계수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평가 결과 감속도 변화에 따른 평균 마찰계수 는 0.678로 계측되었다. 한편, Fig. 5는 동일한 차량 속도 50KPH, 100KPH, 130KPH에서의 차량 감속도 변화에 따른 친환경 마찰재 의 마찰계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로우 스틸 마찰재와 동일한 차량 속도 조건에서 감속도별 마찰계수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평균 마찰계수는 0.637으로 계측되었다. 5.2. 마찰재 페이드 성능 평가 일반적인 제동 성능의 비교 검증 후 가혹 주행 상황에 서의 제동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페이드(Fade) 평가를 실시하였다. 페이드 평가는 고감속 제동 상황에서 반복 제동을 최대 한 실시하여 마찰재의 마찰계수 저하를 관찰하는 평가로 써, 해외 여러 잡지사들이 본 평가와 관련하여 각 차급별 심재훈·이중희·신웅희·임동원·현은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제동거리를 비교 평가한 후 고객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5.1 장의 평가 결과 함께 제동 성능의 주요한 비교 관측 자료라 할 수 있다. 아래의 Fig. 6은 차량 제동 횟수 증대에 따른 로우 스틸 마찰재의 마찰계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총 제동 횟수를 1회에서부터 10회까지 연속 제동을 실 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평 가 결과 평균 마찰계수는 0.393로 계측되었다. Fig. 6 Change of friction coefficient of low steel friction material according to fade evaluation 아래의 Fig. 7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 차량 제동 횟수 증대에 따른 친환경 마찰재의 마찰계수 변화를 나 타내고 있다. 평가 결과 평균 마찰계수는 0.370으로 계측 되었다. Fig. 7 Change of friction coefficient of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according to fade evaluation 5.3. 마찰재 마모 성능 평가 마모 성능 평가는 도심 주행, 고속도로 주행, 가혹 주행 및 언덕 주행 등 다양한 상황에서 제동을 수행한 후 마찰 재의 마모 수명을 산출하는 것으로, 품질 수준을 정량적으 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성능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Fig. 8은 로우 스틸 마찰재와 친환경 마찰재의 마모성능 비교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 결과 로우 스틸 마찰재는 51,170km의 마모 수명 을 갖는 것으로 계측되었으며, 친환경 마찰재는 69,807km 의 마모 수명을 갖는 것으로 각각 계측되었다. 한편, 아래 의 Fig. 9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로우 스틸 마찰재와 친환 경 마찰재 그리고 복합재 디스크 샘플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시험 후 두 샘플 모두 크랙 및 파손 등과 같은 특이 사항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Fig. 8 Comparison of wear performance between low steel friction material and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Fig. 9 Comparison of shapes between low steel friction material based composite brake and eco-friendly friction material based composite brake after evaluation 6. 결 론 본 연구는 경량화 기술로 폭넓게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 는 복합재 브레이크의 환경 규제 법규 대응을 위한 친환경 친환경 법규 대응을 위한 복합재 브레이크의 Cu Free 마찰재 개발에 관한 연구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2 마찰재 개발에 관한 연구로써 아래와 같은 결론을 통하여 본 연구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중요 원리 연구로 기여 가능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최신 환경 규제 법규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복합재 브레이크의 미래 선점 기술 확보 및 폭넓은 상용화 를 고려하여 구리 성분 0.5% 이내의 친환경 마찰재 를 개발함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2)로우 스틸 마찰재와 친환경 마찰재에 대하여 차량 속도를 50KPH, 100KPH, 130KPH로 각각 달리하 여 마찰재의 제동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 결 과 두가지 마찰재 모두 0.6 이상의 마찰계수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로우 스틸 마찰재와 친환경 마찰재에 대하여 페이 드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고속 주행과 반복 제동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가혹 주행 상황에서도 두 마찰재 모두 0.3 이상의 마찰계수를 얻을 수 있 음을 확인하였다. 4)로우 스틸 마찰재와 친환경 마찰재에 대하여 도심 및 고속도로 등 다양한 주행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마모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로우 스틸 마찰 재는 51,170km, 친환경 마찰재는 69,807km의 마 모 수명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마찰재 구성요소 관점에서 친환경 마찰재가 로우 스틸 마찰재 대비 동등한 제동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위와 같 은 시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친환경 마 찰재가 로우 스틸 마찰재를 대신하여 복합재 브레 이크의 다양한 제동 성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검 증하였다. 참고문헌 (1)G. P. Ostermeyer, K. Bode, 2009, “Tribological Aspects of Carbon Ceramic and Cast-Iron Brake Rotors with Organic Pad Materials in Simulation and Measurement”, SAE International, 2009-01- 3010. (2)J. Y. Kim, J. J. Lee, 2011, “The Role of Copper on the Friction and Wear Performance of Automotive Brake Friction Materials”, SAE International Journal of Materials and Manufacturing, Vol. 5, No. 1, 9~18. (3)A. L. Swarbrick, H. Wu, 2012, “Surface Conditioning of Carbon-Fiber Ceramic Rotors against Organic Pads”, SAE International, 2012-01-1833. (4)J. H. Shim, D. W. Lim, E. J. Hyun, 2016, “A Study on Braking Characteristics Control of Carbon Ceramic Composite for Brake Reliability Improvement of Luxury Car and Future Technology Evolution Trend Prediction”, Transaction of KSAE, Vol. 24, No. 6, pp. 684~693. (5)J. H. Shim, J. H. Lee, U. H. Shin, D. W. Lim, 2019, “A Study on Improvement of Cooling Performance through Vent Structure Optimization of Carbon Ceramic Composite Disc”,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ol. 11, No. 1, pp. 23~29. (6)J. H. Shim, D. W. Lim, 2019, “A Study on Verifi- cation of Actual Car Effectiveness for Composite Brake”, Transaction of KSAE, Vol. 27, No. 4, pp. 259~266. (7)J. H. Shim, J. H. Lee, U. H. Shin, D. W. Lim,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osite Brake System through Analysis of Advanced Braking Performance Factors,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ol. 12, No. 1, pp. 26~32. (8)K. K. Jung, S. W. Lee, 2020, “Effects of Copper and Copper-Alloy on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Low-Steel Friction Material”, Tribology and Lubricants., Vol. 36, No. 4, pp. 207~214. (9)J. H. Shim, D. W. Lim, E. J. Hyun, 2021, “A Study on Squeal Noise Robustness Analysis to Improve Composite Brake Stability of High Performance and Eco-Friendly Vehicles”,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Vol. 13, No. 3, pp. 32~40. (10)J. H. Shim, D. W. Lim, 2021, “A Study on Improve- ment of Cooling Performance of Composite Brake System”, Transaction of KSAE, Vol. 29, No. 6, pp. 533~539.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 연구소 / 법인회원사 소개□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의 현재와 미래 1. 자율주행 [Autonomous] 핵심부품 역량을 바탕으로 전자 제어 기술을 융합해 사고없는 미래 자동차 시대를 위한 자율주행 솔루 션 개발을 선도합니다. 편리하고 안전한 운행을 돕는 능동형 주행 보조 시스템을 공급하고, 운전자의 개입 없이 주행 가능한 완전 자율 주행 시스템을 개발해 미래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 커넥티비티 [Connectivity] 모든 것들이 연결되는 커넥티비티 시대에 걸맞게, 차량과 운전자의 상태를 수집/분석해 최적화된 개인 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간과 대화하고 교감하는 시스템을 지향합니다. IVI솔루션의 중심 역할을 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부터 클러스터, HUD, 사운드, 텔레매틱스를 개발/공급하고 있습니다. 3. 전동화 [Electrification] 자동차 CO 2 배출량 및 연비규제 강화에 따라 모빌리티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담보할 전동화 부품 시장을 자동차안전학회지:제14권,제2호,2021 선도합니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에 필요한 전력구동 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및 핵심부품, 그리고 수소연 료전지차의 연료전지 시스템 등 다양한 전동화부품 신기술을 개발하고, 신제품 양산체제 구축을 통해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사업 소개 및 사업현황 1. 자동차 시스템 솔루션 1-1. ADAS/센서: 자율주행 gor심 기술을 확보하고, 고객의 개발 생태계 참여 및 전문사와의 사업 협력 을 통해 자율 주행 시스템 사업 확대 - 주행보조 카메라, 레이더 등 센서에서 인식한 결과를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전달함으로써 주 행 안전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 LKAS(Lane Keeping Assist System), SCC(Smart Cruise Control), AEB(Autonomous Emergency Braking), HDA(Hihgway Driving Assist) - 편의사양 센서를 통해 인식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해 편의를 제공하는 시스템 SVM(Surround View Monitor), CMS(Camera Monitoring System), DMS(Driver Monitoring System), BSD(Blind Spot Detection) - 센서류 차량기준 전방, 후방, 측방에 대한 모든 사물을 감지하기 위한 핵심 부품 초음파센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 전자제어 시스템 기계(mechanics)와 전자(electronics)의 융합기술로서 차량 편의 기능 제어를 총괄하는 시스템 스마트키, 인증제어기(최신 IT 기술과 생체인식 등 활용)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