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ITA WTC 참관기 9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ITA 총회(General Assembly) ITA 총회(General Assembly) 총회는 ITA 회장단과 임원 및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하여 한 해 동안의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주요 의제를 논의하며 예· 결산에 대한 토의와 승인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3년 후 ITA 총회 및 WTC 개최도시를 결정하게 된다. 이번 총회에 우리 학회에서는 16대 조계춘 회장 및 최항석 ITA 부회장을 비롯하여 학술부 회장 등이 참석하였다. 이번 총회에서는 필리핀(Philippine Tunneling Society)을 만장일치로 신규 회원국으로 승인하 여 회원국의 숫자가 80개국이 되었다. 또한, 회원국의 투표를 통해 WTC 2027 개최지는 단독으로 개최의사를 표시했 던 벨기에 앤트워프(Antwerp)가 추인되었다. 우리 학회에서는 4월 17일에 있었던 신임 16대 조계춘 회장의 취임소식 을 알리고, Activity Reports에는 작년에 있었던 ICTUS23(2023/08/16~08/18)을 비롯한 다양한 학회 행사소식과 현 재 진행중인 터널프로젝프와 발주예정인 터널프로젝트에 대한 소식을 보고하였다. WTC 2025의 개최지 스웨덴(2025/05/09~15, Stockholm)과 WTC 2026의 개최지 캐나다(2026/05/15~21, Mont- réal)은 개최준비현황을 총회에서 보고하였으며, 비유럽권에서 개최될 WTC 2028 개최지에 대해서는 싱가포르(Singa- pore, 2028/04/21~04/26)와 호주(Brisbane, 2028/03/31~04/06)가 경쟁을 벌이게 되었다. 참고로 인도도 개최의 <그림 3> ITA 50th General AssemblyVol. 26, No. 2 99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향서를 제출하였으나 서류미비로 탈락하였으며, 2030년에 재도전 의사가 있음을 구두로 총회에서 보고하여 아마도 우리나라와 2030년 WTC 총회 유치경쟁자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총회에서 비공식적으로 각 국가의 대표자들과 논의 한 결과 인도이외에도 말레이시아도 2030년에 유치경쟁에 뛰어 들것으로 보여지고, 일본의 대표자인 노부하루 이사 고 교수(Nobuharu Isago,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는 일본의 경우 논의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려 2030년 유 치에는 나서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일본측의 참가자도 비자발급 등의 이유로 작년에 비해 다소 감소한 20여명 정도가 이번 학회에 참가하였으며, 대만에서도 20여명 정도, 싱가폴에서 35명 정도가 참석하였다. <그림 4> ITA 50th 총회 자료집ITA WTC 참관기 10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Round Table 올해는 2회의 Round Table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Opening Ceremony 직후 Round Table 행사에서는 “Challenges and the Path of Developing Future Tunnelling Technology” 라는 주제로 Andre Assis(전 ITA 회장, 브라질)이 진행하고 터널 및 지하공간 관련 5명의 세계적인 전문가들(Rick Lovat(캐나다), Jenny Jinxiu Yan(ITA 전 (a) 1st Round Table(b) 1st Round Table (G. K. Hun 발표) (c) 1st Round Table (첫 번째 질문 결과)(d) 1st Round Table (두 번째 질문 결과) (e) 2nd Round Table(f) 2nd Round Table (Sam Huckle 발표) <그림 5> Round Table 전경Vol. 26, No. 2 101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임회장, 중국), François Renault(프랑스), Wojciech Mleczko(폴란드), Goh Kok Hun(싱가포르))이 모여 터널 및 지 하공간의 향후 미래의 발전방향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였다. 업계에 대한 새로운 혁신은 팀워크를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으며 "팀"에는 발주자와 금융가가 포함되는 것에 모두 동의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실시간으로 현장참가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질문에 대한 실시간 현장투표를 진행하였는데, “터널산 업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해야 할 문제는?”에서는 지반상태와 거동을 이해하는 것(Understanding the ground con- ditions and behaviour)이 선정되었고, “어떠한 기술혁신을 통해 도전을 해결할 수 있을까?” 질문에서는 설계와 시공 에서의 Digitization 및 인공지능기술(AI)이 장비자동화(equipment automation)를 누르고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다. 두 번째 ITA 50주년 기념식후의 Round Table 행사에서는 “Tunnels and Underground Space Towards Sustain- able Development” 라는 주제로 ExCo 멤버인 Sanja Zlatanic(미국) & Andrea Pigorini(이탈리아)의 사회로 Sheng Ying(중국), Ke Fang(중국), Alexis de Pomerol, Mrs Buniyamin(말레이시아), Arnold Dix(ITA 회장, 호주), Samuel Huckle(ITA Young Member Steering Board, 영국)가 모여 엔지니어의 임무는 지하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전 하며 경제적으로 설계 및 굴착하고 목적에 적합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유지관리 효율성이 뛰어난 지하 구조물을 만 드는 것으로 토론하였다. Muir Wood Lecture & Key Note Lecture Sir Muir Wood Lecture는 초대 ITA회장인 Alan Muir Wood(1921-2009)를 기리는 특별한 의미의 강의이다. 지난 2010년부터 선정되기 시작하여, 올해는 14번째로 Dr. Priscilla P. Nelson (Colorado School of Mines)가 선정되었 다. 선정된 강의는 매년 WTC 개회식에서 첫 번째 발표로 진행되며 WTC 2024에서 Professor. Priscilla P. Nelson는 “Underground Resources for a Sustainable Global Future”라는 제목으로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Changing Infra- structure Framework, Underground Urbanism in the Future, Chronic Issues for Underground Space, 토목 및 광산산업(civil and mining industries)에서의 여러 가지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다. 특히, Nelson 교수는 선진국에서 엔지니어링 인력의 상태와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사항을 언급하며, 중국 의 한 광업(Mining) 대학이 미국의 모든 광업(Mining) 대학을 합친 것보다 1년에 더 많은 자격을 갖춘 광업 엔지니어 (Mining engineer)를 배출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주제강연(Keynote Lecture)은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Intelligent Tunnel Construction: the state- of-the-art and future perspectives (Dr. Hehua Zhu 교수, Tongji University, 중국)”의 주제로 중국의 터널건설기 술 발전현황 및 터널시공에 실제 적용된 디지털 건설(digital construction)에서 지능형 건설(intelligent construction) 로의 전환사례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굴착과정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지하 공공 인프라의 품질, 안전성 및 운영 내구 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능형 터널링 시스템 개발에서 중국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주었다.ITA WTC 참관기 10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a) Sir Muir Wood Lecture (Professor. Priscilla P. Nelson)(b) Keynote Address (Professor. Hehua Zhu) <그림 6> Muir Wood Lecture and Keynote Address Opening Ceremony와 Muir Wood & Keynote Lectures는 아래의 주소에서 녹화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duXuLksO6M ITA 50th Anniversary 올해는 ITA 창립 50주년이 되는 특별한 해로 1974년 창립 이래 ITA 역대 회장 17명 전원을 기억하는 행사를 가졌으 며, 17명 중 7명은 금번 WTC에 직접 참가하였다(Günter Girnau(독일), 1980-1983/Alfred Haack(독일), 1998-2001/ Andre Assis(브라질), 2001-2004/이인모 고문님(한국), 2010-2013/Soren Eiskesen(덴마크), 2013-2016/Jenny Jinxiu Yan(중국), 2019-2022/Arnold Dix(호주), 2022-2025). 또 다른 4명의 역대 회장이 비디오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참석 하였다(Einar Broch(노르웨이), 1986-1989/Sebastiano Pelizza(이탈리아), 1995-1998년/Martin Knights(영국), 2007- 2010)/Tarcisio Celestino(브라질), 2016-2019). ITA 고문들은 자신의 기억에 남는 회장직 업적을 회상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기원하는 축하메세지를 전달하였다. 축하 행사는 1,000장 이상의 사진을 통해 ITA의 역사를 기록한 소책자 출 시와 지난 50년 동안의 50개의 상징적인 프로젝트를 기념하는 책 출판으로 계속되었다. 특히, 본 학회 이인모 고문님께서는 제13대 ITA 회장으로 터널공학 분야의 동양과 서양, 기성세대와 신진세대, 그 리고 모든 구성원들 간의 화합에 역점을 두신 분으로, 아시아인 최초 ITA 회장으로써 20여년간의 꾸준한 국제활동을 통해 회원국 관계자들에게도 높은 신임을 얻고 유럽중심의 학회에서 아시아인으로는 능력을 인정받아 활동하셨다. 임 기중에 회원국 배가운동의 성과(미얀마, 부탄, 코스타리카, 파나마, 에콰도르 등 회원국 숫자를 58개국에서 71개국으 로 확대)를 추억하셨고, 추가적인 회원국의 증대 필요성 및 한국의 여러 지하화 프로젝트 사례들을 언급하시며 ITA의 또 다른 50년에 대한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셨다. ITA 50th Anniversary 행사는 아래의 주소에서 녹화동영상을 시청 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Pt9qPTIvMUVol. 26, No. 2 103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a) 50주년 기념 사진첩(b) Iconic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Projects 1974-2024 (c) ITA 전· 현직 회장 및 ExCo Member 기념촬영(d) 이인모 고문님 50주년 축하 연설 <그림 7> ITA 50th Anniversary 기념 책자와 이인모 고문님 활동 모습ITA WTC 참관기 10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 방문 금번 WTC 기간중에 4/22(월) Guangzhou Herrenknecht Tunnelling Machinery Co., Ltd. (Herrenknecht Nansha) 공장을 방문하였다. 2003년 7월에 설립되어 400여명의 기술자가 일하고 있으며, 46,000m²의 면적에 워크샵 2개소 (Assembly workshop I: 3,620m², Assembly workshop II: 3,147m²)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는 S-1392A, mixshield, Ф13,560mm, Railway, India와 S-1365A, mixshield, Ф12,680mm, Metro, Singapore가 조립중에 있었다. 공장관계자 미팅과 공장견학을 통해 최신 TBM의 발전현황과 Reuse/Remanufacturing 기술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지면을 빌어 다시 한 번 박성수 지사장님과 Mr. Thorsten Tatzki 아시아지역 부사장님, Mr. Rainer Hirsch 공장 총괄이사님, Mr. Terence Tee 워크샵 매니저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a)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 미팅(b)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견학 (c)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견학 (S-1398 Mixshield) (d)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견학 (S-1365 Mixshield) <그림 8> Herrenknecht Nansha Guangzhou 공장 방문Vol. 26, No. 2 105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Working Group ITA WG은 터널 및 지하공간에 관한 의제 가운데 구체적인 주제를 정하여 회원국의 자료수집, 공유,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해당주제에 관한 기술보고서를 발간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ITA에는 23개의 Working Group(이하 WG)이 였으며, 현재 15개는 활동 중이고, 8개는 활동이 종료되었다. <그림 9> Working Group 구성 현황 필자가 참여하고 있는 WG2(Research)에서는 WG 재개편 관련하여 이름을 “Research”에서 “Design and Engi- neering”으로 바꿀 것을 제안하였고, 현재 진행중인 연구과제들의 진행상황에 대한 토의가 이루어졌다. “In-situ stress measurement (발간완료)”, “Damages of segmental linings (Part 1: classification of damages, 2024년 발간 목표, Part 2: Avoidance anf Repair, 2025년 발간 목표)”, “Design of longitudinal joints for fibre-reinforced segments ITA WTC 참관기 10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2024년 발간 목표)” 등의 연구가 진행중이다. 또한, WG3과의 협업을 통해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WG14와 함께 Tunnel Face Stability, WG20과 협업을 통해 Tunnelling induced settlements에 대한 보고서를 준비중이다. 또 한 WG2(Research)는 이번 학회에서 15개국에서 28명의 참가자가 WG meeting에 참석하였다. <그림 10> ITA WTC2024 Working Group: WG2 (Research) Working Group Report 이번 WTC 2024에서는 2종의 새로운 WG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WG2 : In-Situ Stress Measurements ▶ WG5 : ITA/BTS CAWG Report 10 for Clients and others not familiar with High Pressure Compressed Air Works, Good Working Practice in High Pressure Compressed AirVol. 26, No. 2 107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a) WG2 Report(b) WG5 Reports <그림 11> ITA WTC 2024: Working Group Reports Technical Session WTC 2024에서는 제출된 792편의 논문중에서 486편을 선정하였으며, 5개 기술세션(technical session)을 통해 180편의 논문이 발표되고 300편의 포스터 발표(E-Posters)가 있었다. 또한 2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입주한 거대한 전시장에서 다양한 장비, 기계, 재료, 새로운 시스템 및 서비스를 볼 수 있었다. 예년에 비해 구두발표 논문수를 늘려서 시간관계상 심도있는 토론이 진행되지 못하는 부분이 다소 아쉬운 부분이 었다. 또한, 180편의 발표논문은 모두 Hybrid (대면+온라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현장참가자들은 “WTC2024” 핸드 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퍼런스의 실시간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다른 나라 참가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었다. 또한 Virtual Platform을 통해 실시간으로 technical session 진행현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E-Poster는 사전에 녹화영상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배정받은 시간에는 질의응답이 가능하도록 조 치하였다. (a) WTC 2024 핸드폰 APP 초기화면/상세 메뉴(b) WTC 2024 디지털 E-Poster 설치/운용현황 <그림 12> WTC 2023 핸드폰 APP 및 포스터세션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