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8강.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8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6.2.4 The Underground City Helsinki 그림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헬싱키 지하도시 구축은 모든 유틸리티(터널, 지하 공간, 파이프, 케이블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지도 및 GIS 시스템에 추가하여 지도가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유틸리티 소유자는 데이터 품질에 대한 책임이 있다. 핀란드 토지 이용 및 건축법 및 법령에 따라 헬싱키시는 파이프, 케이블 등의 소유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지도나 파일을 유지할 수 있다. 케이블 및 케이블 전송 건설 중인 지역에는 건설 전에 제거해야 하는 지하 케이블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한 가지 특별한 특징은 헬싱키시의 케이블 지도이다. 케이블 지도는 지하 케이블의 위치를 나타낸다. 지도에는 케이블 치수, 케이블 재료 및 케이블이 매설된 깊이도 어느 정도 표시된다. 케이블 정보 서비스, 즉 굴착, 시추 및 관련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케이블 정보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림 29> The Underground City Helsinki 6.2.5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Facility 헬싱키에는 지하공간을 활용한 지역난방 및 냉방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40km 이상의 다중 유틸리티 터널로 구성된 대규모 지하 터널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된다. 그러나 Helen Helsinki의 에너지 회사는 항상 시스템을 개선하고 확장할 방법을 찾고 있다. Mustikkamaa의 오래된 지하 연료 저장소는 지역난방 저장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개조되었다. 2,600억 리터의 따뜻한 물을 저장 <그림 30>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Facility제8강.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6, No. 2 89 하여 겨울철에 히트 펌프가 사용된다. 헬싱키 중심부의 Kruunuvuori에 있는 지하 시설에서 더 야심찬 프로젝트가 제안되었다. 쉘 (Shell)은 70년대에 Kruunuvuori 지하 50m(300,000m3)에 있는 두 개의 거대한 암반 동굴을 굴착했는데 지금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Helen은 여름에는 따뜻한 바닷물(약 3억 리터)을 동굴로 펌핑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바닷물을 지역 난방시스템의 히트 펌프의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는 계절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안하였다(그림 30). 6.2.6 Underground Shelter for Civil Defense 헬싱키의 지표면 아래에는 거의 500개에 달하는 지하시설과 300km에 달하는 터널이 도시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정교한 지하시스템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구역은 공공 용도이며 주차장, 철도 터널, 폐수 처리장, 쇼핑몰, 수영장 및 기업 데이터 센터까지 포함된다. 그러나 지하공간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건설되었으며, 지상의 도시의 전체 인구보다 더 많은 750,000명의 사람들을 위한 대피소 역할을 하기 위해서이다. 최첨단 공기 및 물 여과 시스템, 화장실, 침대 및 식량 공급을 갖춘 주요 대피소는 최대 14일 동안 사람들을 지하에 지속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그림 31> Underground Shelter for Civil Defense 6.3 헬싱키의 지하공간의 주요 보고서 핀란드의 지하공간개발은 대표적인 수도 헬싱키시의 중심으로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보 다 상세한 연구를 수행하여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보고서와 가이드의 형태로 발간되어 기술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림 32에는 대표적인 도심지 지하공간에 관한 보고서 및 가이드가 나타나 있다.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8강.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9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32> 헬싱키 도심지 지하공간에 관한 보고서 및 가이드 참고문헌 1. Hanamura T., 2011,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and Underground Structures, Oral Presentation, Open Session in World Tunnel Congress 2011, 24 May 2011, Helsinki. 2. Helsinki City, 2009, The Helsinki Underground Master Plan, Brochure, Helsinki City Planning Department, www.hel2.fi/ksv/jul kaisut/esitteet/esite_2009-8_en.pdf 3. Helsinki City, 2011, Annual Report 2010 of the Helsinki City Real Estate Department (in Finnish and in Swedish). 4. Helsinki Energy, 2012, Production of District Cooling. 5. Kalliala M., 2008, Talsinki Island, A 21st Century Pragmatic Utopia, Master’s Thesis in Architecture,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6. Vhaho I., 2011a Keynote lecture (Helsinki Experience with Master Planning for Use of Underground Space), Proceedings of the Joint HKIE-HKIP Conference on Planning and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The Hong Kong Institution of Engineers & The Hong Kong Institute of Planners, 23-24 September 2011, Hong Kong, pp. 1-9. 7. Vhaho I., 2011b, Workshop on “Use of Underground Space in Hong Kong” for the Hong Kong Government’s engineers and city planners, 26 September 2011, Hong Kong. 8. Vhaho I., 2016, Land Use : Underground Resources and Master Plan in Helsinki. 9. Vhaho I., 2012, Development for urban underground space in Helsinki, SBE16 Tallinn and Helsinki Conference; Build Green and Renovate Deep, 5-7 October 2016, Tallinn and Helsinki. 10. Detailed and accurate online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Helsinki City region by various maps, aerial photography, plans and real estate data can be found at: http://ptp.hel.fi/index_en.html 11. Technical services and large-scale utility tunnel networks in bedrock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at: www.geotechnics.fi 12. The Finnish Geotechnical Society SGY maintains the website www.sgy.fi/ for professional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ground engineering. News in English about the Helsinki - Tallinn Rail Tunnel can be found at: www.getunderground.fi 13. Finnish experts belong to the highest international level in the field of hard rock engineering. The Finnish Tunnelling Association MTR-FTA is a trailblazer that represents Finland in the International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ITA). 제8강.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6, No. 2 91 ∎ 요약 - Breaking the New Ground Together 제8강에서는 핀란드 헬싱키에서 수행된 지하 마스터 플랜(UMP) 내용을 중심으로 도심지 지하공동개발의 주요 특징, 도심지 지하공 간개발의 주요 이슈 및 지하공동개발 사례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고에서는 헬싱키의 도심지 지하공간개발(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의 필요성과 현재 추진중인 지하공간 및 지하인프라 등의 도심지 지하공간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도심 지 지하공간개발에서의 해결해야 할 주요 이슈와 전망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 마스터플랜(UMP) 핀란드 수도인 헬싱키는 지상공간의 제약과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1980년 이후로 지하공간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었으 며, 계속적인 연구 검토를 통하여 2010년 지하 마스터 플랜(Underground Master Plan, UMP)을 발표하고,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대한 정책적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지하 마스터 플랜(UMP)에서는 지하공간 개발에 유리한 핀란드의 지질 조건과 지하공간 개발시 의 필수 고려사항 등을 검토하고, 지하공간개발시의 지반공학이라는 기술적 측면과 비지반공학이라는 기술외적 측면에 대하여 체계적 인 연구를 수행하므로서 핀란드에서의 지하공간개발 추진시의 주요 지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핀란드의 지하공간의 특성과 장점 핀란드는 국토의 대부분이 양호한 기반암으로 구성되는 지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경암반을 활용하는 지하공간 개발이 요구되고 있 다. 특히 북유럽의 혹독한 겨울 추위로 인하여 생활편의시설에 대한 지하화에 대한 니즈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 한 지질 및 기후 특성으로 인하여 오래전부터 지하공간개발이 활성화 되었으며, 특히 주차장, 스포츠 센터, 교회, 박물관 같은 주요 편익시설 등이 지하에 구축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지하철 및 지하도로 등과 같은 지하인프라 뿐만 아니라 지하수 처리시설 및 지하 지열저장시스템 등이 건설되거나 추진중에 있다. 헬싱키의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의 특성 헬싱키에서의 도심지 지하개발 및 지하공간의 이용은 중점 과제가 되었다.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은 복잡한 문제로서 도심지 개발에 최적의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문제뿐만 아니라 법적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헬싱키에서는 기본적으로 지하소유권을 지 하 6m로 제한하고, 부동산 소유자는 개발되는 지하공간이 유해하거나 소유자에게 손해를 끼칠 경우에만 지하공간의 사용을 제한하거 나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지상시설물과 지하 시설물과의 연결(Link)을 통하여 지하공간의 개발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공간혁명으로서 지하공간개발 지하에 기술 네트워크를 배치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다중 링크가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에너지 생성 최적화, 비용은 여러 사용자가 공유, 토지는 다른 건설 목적으로 활용, 지상개발의 최소화로 도시의 미관과 이미지가 향상, 지하공사가 지상공사보다 유리, 지하암반굴착으로 인한 암버력의 활용, 지하인프라의 유리관리 비용 절감, 선형계획상 지하터널이 유리, 지하시설 물의 폭발 및 지진 등에 안전 등이 있다. 지하공간개발은 복잡한 도심지 개발에서 하나의 중요한 대안이자 솔류션으로서 공간혁명이 될 것이다. 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8강. 핀란드 헬싱키의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9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이제 제8강이 마무리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헬싱키 지하공간 및 지하공개발에 대한 참고문헌을 읽어주기 바란다. 현재 헬싱키는 토지 부족과 지상공간의 한계로 인한 심각한 개발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지하공동 개발 에 대한 주요 문제점을 검토하고 지하공동개발 이니셔티브를 설정하는 지하 개발 마스터 플랜(UMP)을 수립하여 도심지에서의 지하공 간개발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발 가능한 지하암반지역을 상세히 조사하고, 지하공간개발을 위한 법적 제도적 정비 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에 대한 보고서 및 가이드를 발간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핀란드 정부에서는 헬싱키와 탈린을 지하 해저터널(The FinEst Railway tunnel)로 연결하는 국가적 메가 지하프로젝트를 추 진하고 있다. 두 수도 지역은 지난 20년 동안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서로 연결이 제한되어 있어 도시를 분리하고 사람과 물품의 이동 을 제한하고 있는 실정이다. 탈린과 헬싱키 사이의 해저터널은 EU 회원국 간의 남북 연결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인 Rail Baltica 철도 링크의 확장이 될 것이며, 핀란드의 상징적인 지하프로젝트가 될 것이다. 다음 강의에서는 영국 런던에서의 진행중인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에 대한 상세 내용과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 현황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도심지 지하개발을 위한 다양한 이슈와 전망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현재 런던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은 가장 중요한 이슈로서 도심지 재생공간의 주요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심지 지하공간개발과 지하공간 이용에 대한 이슈와 전략 방안을 기술하여 지반 및 터널 기술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Vol. 26, No. 2 93 지속 가능한 학회의 조건 안녕하세요, 이번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16대 YE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국립한밭대학교 김도현입니다. 저는 이번 글을 다소 진부하지만, 한 편으로는 무서운 내용으로 시작하고자 합니다. 1. 흔히 말하는 MZ 세대는 그 전 세대와는 매우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자신이 속한 집단보다는 자신의 선호도가 중요하고, 자신이 몸담고 있는 직장의 성장보다 자신의 생활이 중요합니다. 많은 사람과의 네트워킹과 만 남을 통해서 더 큰 그림을 그리고 영역을 확장하기보다는,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소수의 친구들과 맛집을 다니고 사진을 찍어서 SNS에 올리며 자신만의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중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힘들게 들 어간 직장에서도 개인의 즐거움에 반하거나 선호에 맞지 않으면 쉽게 이직 및 퇴사를 해 1년 안에 퇴사하는 비율이 50%를 넘기기도 하고, 이는 사회적 통계에도 반영이 되어 2020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신입사원 평균 근속 연 수가 2.7년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어르신들이 MZ 세대들을 보고 ‘사회성이 떨어진다’, ‘희생 정신이 없 다’, ‘인간 관계의 소중함을 모른다’라는 말로 우려를 표현합니다. 회사에서는 회식을 하면서 오히려 역으로 어린 사원들의 눈치를 보며 일정을 정하고, 개인의 생활에 최소한으로 영향을 주는 점심 회식을 하는 곳이 늘어난 것도 그러한 MZ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대표적인 예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MZ 세대에서 ‘M’을 담당하고 있는 80년대 중반, 대학교 2000년 초반 학번 출신입니다. 사회에서는 이제 막 40대에 접어든 어리다면 어리지만, 또 그렇다고 그렇게 어린 나이도 아닙니다. 특히 학교에 있는 사람으로 저는 대 부분 ‘어른’으로 분류가 됩니다. 하지만 제가 유난히 어린 나이로 귀여움을 받고, ‘막내’ 취급을 받는 곳이 있습니 다. 바로 학회입니다. 제가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학회는 총 세 곳입니다. 그곳 모두에서 저는 막내 역할을 지속 가능한 학회의 조건 김도현 국립한밭대학교 교수 / YE위원회 위원장회원칼럼 9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맡고 있는 YE위원회의 선배 위원장 분들을 보면 90년도 학번으로 저와 거의 10년 차이 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분들은 몇 번씩 위원장 자리를 연임을 하기도 하셨습니다. 그 자리를 물려줄 학회에 열심 인 후배가 없어서였다고 합니다. 과연 저는 현재 저에게 주어진 2년의 임기를 마치고 바로 이 자리를 넘겨줄 수 있 는 후배를 만날 수 있을까요? 2. 우리나라 출산율이 0.6명이라는 소식은 뉴스에서 지겹도록 들으셨을거라 믿습니다. 하지만 그 0.6이라는 수치가 얼마나 심각한 수치인지는 별로 피부로 와닿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씀을 드리면 50명의 남자, 50명의 여자가 있어 서 총 50쌍의 부부가 있으면(요즘은 비혼주의, 독신주의가 많아서 이러한 기본 전제부터가 성립되지 않습니다만), 30명을 출산하게 됩니다. 또, 이상적으로 이 30명이 남자 15명, 여자 15명으로 균형 맞춰서 태어나서 전부 결혼을 해서 15쌍의 부부가 맺어지면, 다음 세대에는 9명의 아이들이 태어난다는 산술적인 수치가 도출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이는 혼인율 100%에, 남녀가 동등한 숫자로 태어난다고 하는 이상적인 조건을 따져서 나온 수치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0.6명이라는 숫자는 단 두 세대만에 한 세대를 이루는 인구가 10분의 1 이하가 된다는 아주 무서운 숫자입니다. 이러한 추세는 수 많은 기관, 산업 그리고 국가의 존망 자체를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과연 학회는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 가지 이슈는 절대 과장된 것도 아니고, 당장 바꿀 수도 없는 사회적 현상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학회란, 학문적으로 제일 뛰어난 학회가 아닐지도 모릅니다. 물론 학회의 기본적인 기능 차원에서 학문 적인 파급력과 영향력이 전제가 되어야 하겠지만, 앞으로는 후속세대의 Needs를 파악하고, 후속세대 양성에 적극적 이며, 그를 바탕으로 후속세대 인재를 유치하는 것이 학회 지속에 가장 결정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앞으로 학회의 후배로 맞이할 수 있는 인원의 절대적인 숫자가 줄어들 것이 자명합니다. 거기다 그 적은 수 의 인원들마저 어떤 단체나 학회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것에 소극적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비록 선배 세대께서 보시기에 현재 젊은 세대는 부족함이 많고, 마음에 들지 않으실지 모릅니다. 하지만 조금만 너그러운 시선으로, 포용 적인 마음으로 바라봐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부족한 점이 많은 제게 YE위원회의 위원장이라는 임무를 주셨습니다. 제가 능력이 있어서, 잘할거라 생각하셔서 일을 맡기셨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소한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은 알기에, 많은 선배님들께 열심히 배우고 자 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할거라는 생각에 저에게 정말 중요한 일을 맡기셨다고 생각합니다. 절대 저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 많은 학회 선배님들과 동료 분들에게 염치불구하고 도움을 청하고 가르침을 받겠습니다. 많이 응원해주시고, 힘을 보태주시길 부탁드리고자 이렇게 학회지를 통해 첫 인사를 올려드립니다. 감사합니다.Vol. 26, No. 2 95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ITA 제50차 총회 및 WTC 2024 학술회의가 지난 4월 19일부터 25일까지 중국 선전시(深圳, Shenzhen)에서 진행 되었다. 올해 행사는 “Tunnelling for a Better Life (Focus on the sustainability of tunnelling, Energy-saving and eco-friendly, green and low-carbon, Promotion and application of intelligent construction technology)”라는 주제로 Hybrid 행사로 기획되어 세계 65개국에서 2,700여명이 현장에 참석하였고 온라인으로도 150여명 이상이 참 석하였으며, 우리 학회에서도 조계춘 회장, 이인모 고문을 비롯하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발주기관 임 직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및 대학원생 연구자 등을 포함하여 40여명의 회원이 현장에 직 접 참가하였다(Visa 발급 등의 문제로 평소보다 참석인원 감소). 개최지인 선전시는 중국 광둥성의 부성급시로서 홍콩 접경지에 위치했으며 약 1,756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경제 특별구역이다. 화웨이, 티피링크, 텐센트 등 수많은 글로벌 IT 대기업 본사들이 위치해 있으며 세계 물류량 4위의 대 도시이다. 홍콩과 마카오 다음으로 소득이 높다. 2020년의 1인당 국민 소득은 $31,887로 중국내에서 3번째로 높은 지 역이다. 2019년 선전시의 국내총생산(GDP)은 3,740억달러(약 416조원)로 홍콩을 뛰어 넘었다. 역사적으로는 주나라 대까지의 선전은 백족의 갈래로 여겨지는 남월 부족의 거주지였다. 중국의 사서에 최초로 등장한 것은 기원전 214년 의 진나라 때이며, 영남 지구인 남해, 계림, 상군의 세 군이 설치되었을 때 선전은 남해군으로 구분되어 중원과의 문 화 교류가 시작되었다. 현재의 선전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 사서에 등장하는 것은 331년의 보안현 설치이다. 동진은 이 땅에 6현을 설치하였으며, 그것을 관할하는 군으로 동관군을 설치해 현재의 선전, 동관 및 홍콩을 관할하여, 군청 이 현재의 남두 지구인 보안현에 설치되었다. 송나라 때가 되면서 보안현은 남방 해상교역의 거점이 되었고, 제염업 이나 쌀, 차의 재배로 번영을 시작했다. 원나라 때에는 진주의 산지로서 사서에 등장했고, 명나라 때가 되면서 동완수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박준경 대림대학교 교수 / 학술 부회장ITA WTC 참관기 9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어천호소(東莞守御千戶所) 및 대붕수어천호소(大鵬守御千戶所)가 설치됨과 동시에 신안현이 설치되어 1573년, 선전은 화남 지구의 정치 중심이 되었다. 청나라 말기가 되면서 난징조약과 베이징조약으로 신안현의 일부가 되어 홍콩섬 및 구룡반도를 영국이 조차하게 되면서 신안현이 분할되었고, 홍콩과의 국경으로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중화민국이 시 작되면서 1913년에 신안현은 보안현으로 개칭되었다. 1953년, 광선철로의 개통으로 선전 지구의 인구는 빠르게 증가 하였고, 상공업이 발전하게 된다. 1953년 현 정부를 종래의 남두보다 동쪽 10km 정도 떨어진 선쩐허로 이동해, 현재 의 도시 구성에 토대가 되었다. 그 후 홍콩과 인접하는 지리적 중요성으로 1979년 3월, 보안현을 성할시인 선전으로 승격시켰고, 1980년에는 개혁개방 노선을 채용한 덩샤오핑의 지시에 의해 선전경제특구가 지정되면 급속히 발전했다. 1981년 부성급시로 승격하였으며, 1988년 성급 경제 관리를 인정받고 있다. 2020년에 세계 제3위의 국제도시를 목표 로 홍콩과 합병 계획, 검토하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없다는 비판이 많다. 학회장으로 사용된 Shenzhen World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Shenzhen World”)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전시장 건물로 연면적 160만m2, 실내전시장 40만m2의 규모로 만 명까지 수용가능한 시설로써 설계부터 시공 까지 3.5년만에 완성된 시설이다. <그림 1> WTC 2024 Venue (Shenzhen World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전경 및 학회장 입구Vol. 26, No. 2 97 ITA WTC 2024 중국 선전 학회 참가기 ITA의 Member Nation으로서 중국은 1979년에 ITA에 가입하였고 이번 행사를 中国土木工程学会(China Civil Engi- neering Society, CCES)가 주관하였으며, CCES는 1912년에 설립되어 1,000개의 기업회원과 약 100,000명의 회원 을 보유하고 있다. 이미 중국은 1990년에 Chengdu에서 ITA WTC 행사를 개최한 바 있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아시 아권에서는 2번째 ITA WTC 행사를 개최하는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터널 및 지하 공사 건설은 중국이 수행할 잠재력 이 큰 주요 과제 중 하나로 현재 중국에서 운영 중인 철도, 고속도로, 지하철 터널의 총 길이는 42,187km에 이른다 (국내의 경우 도로터널 2,499km, 일반철도 618km, 광역철도 284km, 도시철도 342km로 전체 약 3,743km 정도). 선전 지하철(深圳地铁)은 총 길이 555.43km에 달하며 현재 16개 노선, 373개 역을 운영하고 있다. 중국에서 5번 째, 세계에서 6번째로 긴 지하철 시스템으로 2035년까지 이 지하철 네트워크는 총 1,142km의 노선에 달하는 8개의 급행 노선과 24개의 비급행 노선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그림 2> 선전시의 지하철 System Map 및 Shenzen Metro Line 11 지하철 터널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