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5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4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건설공사 지하안전평가 소고 미한 변경사항 등으로 구분하여 지하안전평가의 협의내용을 이행토록 관리하고 있다. 이에 당 현장에서도 지하안전관리 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7조 2항에 의거하여 경미한 변경사항에 대해 기록ㆍ관리 중에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는 표 10과 같다. 5.7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의 점검 사례 착공후지하안전조사시 협의기관 및 검토기관은 시공중 지하안전확보방안 및 협의내용 이행 여부 등의 적정성을 판단 하기 위하여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현장점검은 착공후지하안전조사 현장점검(조사서 제출 후), 지하안 전 이행실태 확인점검(년도별 1회 이상), 고위험군 굴착공사 현장점검(년도별 1회 이상, 임의 점검) 등으로 구분할 수 있 다. 현장점검시 주요 점검사항은 인접배면 유해 변위 발생 여부, 굴착중 과굴착 여부, 지보재 적정 설치 여부, 계측기 적 정위치 설치 및 관리상태, 계측 측정 빈도 적정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당 현장의 현장점검시 대표적인 보완요청 사례 는 다음과 같다. 5.7.1 유량계 계측관리 보완요청 현장점검시 광주천과 인접한 238환기구 등의 위치적 특성과 굴착저면이 풍화토층인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사 중 굴착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의 유출량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시공시 안전성을 확보토록 보완요청 한 사례이다. 이에 시공사는 굴착면을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의 유출량 관리를 위해 유량계를 설치토록 실정보고 및 승인을 득하여 설치 관리 중에 있으며, 유출량 관리를 통해 지하수 저하에 따른 인접지반 침하 여부 등의 안정성 판단에 활용 중에 있으 며, 유출량 관리기준은 금회 개정된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2022.04)을 적용하여 관리 중에 있다. <표 11> 유량계 계측 관리 전경 유량계를 통한 유출량 관리 5.7.2 CCTV 조사 보완요청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 제정 이전 협의 완료된 현장으로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국토교통부)에 의거하여 CCTV 조사 계획을 수립토록 한 보완요청 사례이다. 이에 시공사는 과업노선 전 구간에 대하여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국토교통부)에 의거하여 CCTV 조사를 계획Vol. 24, No. 3 59 하여 실정보고 및 승인을 득하여 지하매설관로 내부조사(하부관로 등)를 수행하여 하수관로의 이상유무 및 지반침하 발 생 원인 등에 대해 사전 파악하였으며, 향후 준공시 제출되는 CCTV 조사자료와 비교하여 공사중 영향에 의한 매설 지장 물의 피해 발생 여부 등의 분석에 활용할 계획이다. 5.7.3 공사재개를 위한 안전점검 보완요청 당 현장 공사 진행 중, 일부 공구에서 불가피한 현장상황으로 지하굴착 공사중 약 2개월 정도 공사가 중지된 상태에서 공사재개 전 안전점검을 통해 가시설공법의 안전성, 공사목적물의 품질, 시공상태 등의 적정성, 인접건축물 또는 구조물 의 안전성 등 공사장 주변 안전조치의 적정성을 평가하여 이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토록 한 보완요 청 사례이다. 이에 해당 시공사는 관련 전문기술자에 공사재개를 위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시공상태의 적정성과 공사장 주변 안전 조치의 적정성을 사전 파악 및 대책 수립 후, 지하굴착 등의 후속공정을 진행 중에 있다. 5.8 시공중 발생한 issue의 기술적 대응 사례 5.8.1 가시설 우각부 보강 및 추가 계측관리 가시설 우각부는 구조적 취약부로 현장 시공시 면밀한 관리가 필요한 구간으로 당 현장 일부 구 간에서 우각부 굴착중 흙막이 벽체의 배부름이 발 생하였다. 이에 즉각적인 보강공법으로 배면하중 제거와 X-Bracing으로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여 추가적인 배부름 발생을 제어하였으며, 배부름 발생 구간에 대한 추가적인 모니터링 계획으로 육 안조사와 함께 토류판 변형관리로 후속 굴착 및 구조물 시공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이상유무를 확 인하며 공사를 진행한 사례이다. 5.8.2 우수 BOX 등 지장물 하부 다짐관리 당 현장은 연장 17km로 대부분 기존 도심지 도 로를 따라 계획된 선형구조물로 기존 도심지 특성 상, 통신, 상수관, 가스관 및 우수 Box 등 다수의 지장물 하부를 통과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대부분 지장물은 매달기 또 는 이설로 계획되어 지하철 Box 구조물 시공 후,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다짐을 실시하여 공용중 지하수 흐 름에 따른 토사 유출로 지반침하 발생을 방지토록 계획되었다. 그러나 일부 대형 지장물(우수 Box 등)의 경우, 지하철 Box 구조물 상단과 이격거리가 30cm 내외로 매우 협소하여 충분한 다짐을 실시할 수 없어 공용중 지반침하 발생이 우 <표 12> 흙막이 벽체 배부름구간 토류판 변형관리 토류판 변형관리6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4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건설공사 지하안전평가 소고 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지장물하부 다짐 불량에 의한 토사 유출 및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구간에서는 매달기 된 우수 BOX 하부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밀실하게 충진한 사례이다. <표 13> 매달기 된 우수 BOX 콘크리트 보강 우수 Box 매달기우수 Box 콘크리트 보강 5.8.3 계측 관리기준 초과시 대응 방안 지하굴착 공사중, 공사현장의 이상 징후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공사현장 및 인접구조물, 지하매설물의 사 고 예방을 위하여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을 지하안전평가서 및 지하안전평가서 표준매뉴얼(국토교통부)에 제시 하고 있다. 이에 당 현장에서는 평상시, 1차관리기준 초과시, 2차관리기준 초과시, 3차관리기준 초과시로 구분하여 계측 관리 중에 있다. 현재 구간별 지하굴착 진행에 따라 누적지하수위가 3관리기준치인 H=8.0m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는 경우가 일부 구간 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해당 시공사에서는 누적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지반침하 및 가시설 부재력 변화 등의 상관성 분석를 실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배면지반 육안조사 및 계측빈도 강화, 흙막이벽체 및 유출수의 토립자 유출여부 등의 관리를 통해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인접지반 및 가시설 영향을 면밀히 관리 중에 있다. 또한 관련 검토자료는 대응 매뉴 얼에 따라 시공사-건설사업관리단(기술지원기술인)-지하개발사업자-착공후지하안전조사 전문기관 등에 공유되어 집 중 관리 중에 있다. 6. 맺음말 지하를 안전하게 개발하고 지반침하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여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 법이 제정되었다. 지하개발로 인한 지하안전영향을 사전에 조사하여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지하안전평가를 수행하 며, 착공 후 지하개발사업이 지하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계측을 통해 파악하여 조치하기 위해 착공후지하안전조사를 수 행하고 있다. 대규모 선형구조물 공사의 경우 시공조건(토질·지하수 조건, 지하매설물 현황) 변경, 민원 등으로 인해 시공계획 변Vol. 24, No. 3 61 경이 불가피하므로 변경사항을 경미한 변경, 중대한 변경, 일반 변경, 기타 사항으로 정확히 구분하여 승인기관 및 검토 기관과 면밀히 협의하여야 한다. 조사서 작성 시에는 승인· 검토기관이 정확히 현장사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고, 필요시 표준매뉴얼이나 설계기 준 변경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 반영해야 한다. 또한, 변경사항을 사항에 맞게 구분하여 정리하고 현장점검시 보완사항, 시공 중 이슈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안전시공을 도모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1.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22.01.28.) 2.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시행 2022.01.28.) 3.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시행 2022.01.28.) 4. 지하안전관리 업무지침 (2022.01.28.)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4호] 5.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건설공사 착공후지하안전조사서(동부엔지니어링, 삼안, 동아기술공사)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창립 30주년 한국터널백서 6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들어가는 말 - 우리학회 30주년 백서를 만들다 2022년은 우리학회가 만들어진지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우리학회에서는 30주년 백서편찬위원 회(위원장 박광준)을 구성하여 1년간의 작업 끝에 우리학회 창립 30주년 백서(한국터널백서)를 발간하게 되었다. 본 고는 한국터널백서가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게 되 었으며, 한국터널백서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돌 이켜 보고, 지난 1년간의 백서편찬위원회의 노력을 중심으로 한국터널백서의 모든 것에 대하여 우리학회 회원들에게 소 개하고자 작성되었다. 1. 편찬위원회 구성 2021년 1월 KTA 30주년 백서를 준비하기 위하여 편찬위 원회(위원장 박광준)을 구성하였다. KTA 백서편찬위원회는 14대 집행부를 중심으로 총 19명으로 약 1년 동안 백서 구성 에 대한 기본 방향을 논의하고, 원고 모집 및 편집 등의 활 동을 진행하였다.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창립 30주년 - 한국터널백서 The KTA 30 - 함께한 30년 함께할 30년 김영근 한국터널백서 총괄간사 김동규 한국터널백서 편찬부위원장 박광준 한국터널백서 편찬위원장Vol. 24, No. 3 63 The KTA 30 - 함께한 30년 함께할 30년 <표 1> KTA 30주년 백서 편찬위원회 구성 위 원 장박광준 (전)총무전담이사 및 부회장 / (전)대정컨설턴트 대표이사 부위원장김동규14대 기획부회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총괄간사김영근 14대 사무총괄 부회장, 건화 부사장 위 원 손무락14대 기술전담이사, 대구대학교전기찬14대 기술교육위원장, 모든 대표이사 김범주14대 학회지전담이사, 동국대하교신영완14대 이사, 하경엔지니어링 사장 박준경14대 논문전담이사, 대림대학교박종식14대 이사, 한화건설 차장 송기일14대 YE위원장, 인하대학교양정훈14대 기술위원회 위원, 태영건설 차장 문준식14개 국제 특임이사, 경북대학교이강현14대 이사, 도로교통연구원 수석연구원 곽창원14대 출판위원장, 인하공업전문대학이철호14대 이사, 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정혁상14대 이사, 동양대학교이 호14대 특임이사, 에스코컨설턴트 전무 문훈기14대 총무전담이사, 다산 부사장최창림14대 이사, 삼보기술단 전무 총19명 2. KTA 30주년 백서 기본방향과 구성 2021년 1차 편찬위원회에서 백서의 기본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하여 백서에 대한 주요 구성과 내용을 결정하였다. 30주년 백서는 우리학회의 살아있는 역사로서 지난 30년의 학회의 변화와 발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며, 가능한 많은 회원들의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창립 30주년 한국터널백서 6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기본 방향 ∙ 모두가 공감하고 함께 만드는 우리들의 백서 많은 학회 회원들의 참여 ∙ 쉽게, 재밌게 볼 수 있는 찾아보는 백서 사진과 그래픽 위주의 구성 ∙ 스마트, 디지털 트랜드에 맞는 새로운 백서 숫자 등으로 정량적으로 표현 2) 기본 구성과 내용 ∙ 백서 - 총 6 PART / 30 Chapter 로 구성 ∙ 발표 PPT 제작 - 2022년 총회에서 발표 ∙ 동영상 제작 - 학회홈페이지/유튜브에 업로드 및 홍보 <표 2> KTA 30주년 백서 구성과 방향 및 내용 구성 기본 방향주요 내용 주제어 : The KTA 30 / 함께한 30년 함께할 30년 / Better Together PART I 터널 그리고 터널인 사람과 함께한 The KTA 30 30년간의 역사를 키멤버의 이야기로 구성 ∙ 전임 회장님 인터뷰 ∙ 원로 기술자 기고문 ∙ 영 엔지니어의 바램 PART II 활동 그리고 열정 역사로 기록된 The KTA 30 30년간의 활동을 분야별로 총정리 ∙ 학술발표회 ∙ 기술강좌 및 포럼 ∙ 기술위원회 ∙ 기술지 및 논문집 PART III 추억 그리고 우리 사진으로 남겨진 The KTA 30 30년의 주요 활동내용을 사진으로 구성 ∙ 주요 학회행사 사진들 ∙ 회원들의 활동 사진 ∙ 역사적인 터널 사진 ∙ 터널 사진전 PART IV 성장 그리고 변화 숫자로 표현된 The KTA 30 30년간의 성장과정을 숫자/그래픽으로 표현 ∙ 30년의 변화를 표/숫자로 표현 ∙ 학회 규모의 변천과정 ∙ 회원수/활동 등 부록 1 KTA 30년 역사30년 연대기를 표로 정리 ∙ 년도별 활동내용을 정리 ∙ 역대 회장별 리뷰 부록 2 KTA 소개14대 중심으로 정리 ∙ KTA 학회 성과 정리 ∙ 편집 후기 등 <표 3> KTA 30주년 백서 구성 편찬위원 및 집필자 구성 상세 구분 PART편찬위원목차집필자쪽수 PART 0 들어가는 말 김영근 P-11발간사이석원2 P-22권두언박광준2 P-33축 사 이승호2 정문경2 최성웅2Vol. 24, No. 3 65 The KTA 30 - 함께한 30년 함께할 30년 <표 3> KTA 30주년 백서 구성 편찬위원 및 집필자(계속) 구성 상세 구분 PART편찬위원목차집필자쪽수 PART I 터널 그리고 터널인 사람과 함께한 The KTA 30 전기찬 송기일 I-14KTA 30년 변천사김영근25 I-25전임 회장님 회고 이인모1 배규진3 유한규1 I-36원로 기술자 기고문 서강천2 문상조2 구웅회3 황제돈2 신용석2 이성기2 이인기2 신희순2 김재성2 김교원2 I-47 학회 멤버 및 영엔지니어 기고문 박진수3 고성일3 곽창원2 김동규4 박종호4 손병두3 I-58터널기술 미래 전망김창용18 PART II 활동 그리고 열정 역사로 기록된 The KTA 30 박준경 문준식 곽창원 손무락 II-19정기총회/학술발표회 조계춘14 II-210국제 활동최항석21 II-311기술강좌 및 포럼전기찬21 II-412기술위원회 활동 손무락22 II-513학회지 김범주14 II-614논문집 박준경14 II-715국가기준 제개정신영완30 PART III 추억 그리고 우리 사진으로 남겨진 The KTA 30 고성일 김범주 III-116역대 회장별 주요 사진김영근13 III-217국내 행사 주요 사진고성일20 III-318해외 행사 주요 사진정종원10 III-419터널 사진(사진전) 등이재국12 III-520친목 사진 (동호회 등)김영근13 PART IV 성장 그리고 변화 숫자로 표현된 The KTA 30 이 호 정혁상 최창림 IV-121회원이 호5 IV-222재정최창림9 IV-323행사문준식5 IV-424출판물곽창원5 IV-525조직장수호30 IV-626종합 분석정혁상2 부록 및 편집후기 문훈기 신영완 사무국 A-127KTA 30 연대기문훈기8 A-228역대 회장별 리뷰김영근23 A-32914대 KTA 리뷰김영근7 A-430편찬 스토리김영근10 총 6 Part / 30 Chapter 총 Page477창립 30주년 한국터널백서 6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3. 백서 편찬회의 백서 편찬위원회는 매월 첫 번째 수요일 편찬회의를 진행하였으며, 지난 1월 1차 편찬회의를 시작으로 총 11번의 편찬회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줌을 이용한 온오프 병행회의를 진행하기도 하였다. <표 4> 편찬회의 일정 구분일시 장소참석비고 1차 편찬회의2021년 01월 28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발대식 2차 편찬회의2021년 02월 24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3명임명장 수여 3차 편찬회의2021년 03월 24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온오프 병행회의 4차 편찬회의2021년 04월 22일AT 센타박광준외 10명단체사진 촬영 5차 편찬회의2021년 06월 02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온오프 병행회의 6차 편찬회의2021년 07월 07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온오프 병행회의 7차 편찬회의2021년 08월 04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온오프 병행회의 8차 편찬회의2021년 09월 09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온오프 병행회의 9차 편찬회의2021년 10월 06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2명1차 원고 취합 10차 편찬회의2021년 11월 03일충북 진천박광준외 7명단합 대회 11차 편찬회의2021년 12월 01일학회 대회의실박광준외 10명1차 리뷰 분석Vol. 24, No. 3 67 The KTA 30 - 함께한 30년 함께할 30년 1차 편찬회의2차 편찬회의 (임명장 수여) 5차 편찬회의6차 편찬회의 7차 편찬회의 (ON-OFF 병행 줌회의)9차 편찬회의 (ON-OFF 병행 줌회의) 1차 취합본 완성(10월 6일)30주년 엠블런 디자인 시안 <사진 1> 편찬회의 모습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