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2025 학회상 안내 Resources Recycling Vol. 34, No. 4, 202578 피 추 천 자 이 력 서 성 명 (한자) (한글) 생년월일 소 속직위 및 직급 주 소 학 력 기 간학 력기 간학 력 주 요 경 력 기 간이 력기 간이 력 과 거 포 상 기 록 수상일자내 용수상일자내 용 제반 기록이 상위 없음을 확인함. 년 월 일 피추천자 성 명 (인)기술강좌 결과보고 79 자원리싸이클링 제 34 권 제 4 호 , 2025 2025 순환자원 재활용공정 기술강좌 개최 결과보고 총무부회장 유경근 ‘ 순환자원 재활용공정 기술강좌 - 2025 년 1 차 기초 및 중급 교육 ’ 이 대전 KW 컨벤션센터에서 6 월 24 일 ( 화 )~26 일 ( 목 ) 에 개최되었다 . 재활용공정 구성에 필수적인 자원처리공학 , 습식제련공학 , 건식제련공학 등의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국내 재활용 및 제련업체의 회원이나 연구계 및 학계에서 관련 지식을 새롭게 얻으려는 회원들의 요구가 많아 본 교육과정이 2021 년 마련되었으며 올해로 다섯 번째 강좌가 진행되었다 . 재활용공정 기술강좌는 수강생들이 수준별로 수강할 수 있도록 기초과정과 중급과정으로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 기초 과정은 재활용을 위한 주요 공정인 자원처리공정 , 습식제련공정 , 건식제련공정의 기본개념 및 단위공정 이해에 초점을 맞 추어 준비하였고 , 중급과정은 용매추출기술 응용 , 리튬광의 선광과 침출 공정 , 리튬화합물 회수기술 동향 등 최근 국내에 서 관심이 있는 공정들에 대해 이론과 사례로 구성된 심화 수준으로 준비하였다 . 그리고 , 기초과정과 중급과정 모두 1 회씩 간친회를 준비하여 수강생들이 서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을 함께 마련하였다 . 기초교육과정은 30 명이 수강하였고 , 중급교육과정의 경우 29 명이 참가하였는데 , 재활용업체는 물론 대학생과 대학원 생 , 연구원 등 참여 인원의 구성도 다양하였다 . 강좌당 3 시간씩 , 교육과정별 9 시간에 걸친 강의임에도 불구하고 강의시간 중 수강생들의 배우고자 하는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 . 강좌 후 강의평가에서 한정된 시간에 다소 넓은 범위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졌음에도 수강생들은 분량과 난이도가 적절하며 전반적으로 재활용공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였다고 평가하 였다 . 이번 기술강좌에 협조해주신 회원사와 자원처리공정 기초강좌의 한양대 김현중 교수님 , 건식제련공정 기초강좌의 인 하대학교 김영재 교수님 , 용매추출기술 응용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홍인 박사님 , 리튬화합물 회수기술 동향의 한국지 질자원연구원 류태공 박사님께 감사드린다 . 그리고 향후 개최될 재활용공정 기술강좌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 는 바이다 . 순환자원 재활용공정 기술강좌 강연장의 모습 ◎ 기술강습회 일정 -기초과정 : 6월 24일 9시 30분 ~ 6월 25일 12시 30분 •6 월 24 일 8 시 30 분 ~ 9 시 30 분 : 등록 및 자료 수령 •6 월 24 일 9 시 30 분 ~ 12 시 30 분 : 자원처리공정 ( 강사 김현중 ( 한양대 ))기술강좌 결과보고 Resources Recycling Vol. 34, No. 4, 202580 •6 월 24 일 12 시 30 분 ~ 14 시 : 점심식사 •6 월 24 일 14 시 ~ 17 시 : 습식제련공정 ( 강사 유경근 ( 해양대 )) •6 월 24 일 17 시 30 분 : 초급과정 간친회 •6 월 25 일 9 시 3 0 분 ~ 12 시 30 분 : 건식제련공정 ( 강사 김영재 ( 인하대 )) -중급과정 : 6월 25일 14시 ∼ 6월 26일 17시 •6 월 25 일 13 시 ~ 14 시 : 등록 및 자료 수령 •6 월 25 일 14 시 ~ 17 시 : 용매추출공정의 응용 ( 강사 김홍인 (KIGAM)) •6 월 25 일 17 시 30 분 : 중급과정 간친회 •6 월 26 일 9 시 30 분 ~ 12 시 30 분 : 리튬광 선광과 침출 공정 ( 강사 유경근 ( 해양대 )) •6 월 26 일 12 시 30 분 ~ 14 시 : 점심 •6 월 26 일 14 시 ~ 17 시 : 리튬화합물 회수기술 동향 ( 강사 류태공 (KIGAM)) ◎ 참여 기관명 No. 기관명 No. 기관명 1Akita University12㈜ 이에이포스 2Hokkaido University13 포항산업과학연구원 3LS 전선 ㈜14 한국미래소재 ㈜ 4 고등기술연구원 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5 국립한국해양대학교 16 한국자동차자원순환협회 6 동아대학교 17 한국재료연구원 7 성일하이메탈 ㈜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 전북대학교 19 한국첨단소재 9㈜ 다원화학 20 현대엔지니어링 10㈜ 동아특수금속 21 희성피엠텍 ㈜ 11㈜ 에코프로이노베이션 ◎ 기술강좌 정산서 수입지출 내역금액내역금액 참가수입 (59 명 )17,700,000 원교육장 임대료 (3 일 )2,739,000 원 ( 기초 30 명 , 중급 29 명 ) 식비 ( 중식 2 회 , 간친회 2 회 )2,665,000 원 강연료 (6 명 )4,800,000 원 자료집 , 수료증 인쇄비 627,200 원 다과 , 현수막 , 배송 , 포인터 등 911,700 원 특별회원사 기념품 690,000 원 카드수수료 292,200 원 수입 총계 17,700,000 원지출 총계 12,725,100 원학회 소식 81 자원리싸이클링 제 34 권 제 4 호 , 2025 2025 년 제 2 차 이사회 및 제 3 차 확대회장단 회의록 ○ 2025 년 7 월 24 일 ( 목 ) 16 시 ~18 시 / 한국과학기술회관 소회의실 1-1 제 3 차 회장단 : 16 시 – 17 시 / 제 2 차 이사회 : 17 시 ~18 시 ○ 참석자 : 손성호 회장 , 유경근 , 왕제필 , 이훈 , 박지환 , 김홍인 부회장 , 김대근 , 김용환 , 박종력 , 박현철 , 변석현 , 이진영 , 정상진 이사 , 안재우 고문 , 이강명 부회장 대리 문남일 부사장 보고 1. 2025년 제2차 확대회장단 회의록 접수 - 만장 이의 없이 승인함. 보고 2. 업무보고 (1) 경과보고 ·4 월 10 일 : 2025 년 제 2 차 편집위원회 개최 , 온라인 서면회의 ·4 월 15 일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시행하는 제 35 회 과힉기술우수논문상 후보 추천에 1 순위로 한요셉 박사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2 순위로 권한중 교수 ( 전북대학교 ) 추천 ·4 월 30 일 : 국문학회지 “ 자원리싸이클링 ” 제 34 권 2 호 전자저널 발간 ·5 월 7 일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25 년 학술활동지원사업 관련 , 학술지 평가자료 제출 및 지원금 신청 ·5 월 14 일 ~16 일 : Recycling Korea 2025 Seoul – 2025 년 춘계임시총회 및 제 62 회 학술발표대회 개최 ,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 , 398 명 참석 ·6 월 19 일 : 2025 년 제 3 차 편집위원회 개최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동 113 호 ( 대전 ) ·6 월 24 일 ~26 일 : 2025 년 순환자원 재활용공정 기술강좌 개최 , KW 컨벤션센터 , 21 개 기관에서 총 59 명 참석 ·6 월 27 일 : 한국재료관련학회연합회 2025 년도 제 1 차 연합총회 개최 , 대한금속재료학회 대회의실 , 온라인회의 동 시 진행 , 한국재료관련학회연합회의 회비를 현재 200,000 원 / 년에서 500,000 원 / 년으로 인상하는 것으 로 승인 ·6 월 30 일 : 국문학회지 “ 자원리싸이클링 ” 제 34 권 3 호 전자저널 발간 ·7 월 10 일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개최하는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 와 연계하여 제 35 회 과힉 기술우수논문상 시상식을 진행하였으며 , 우리 학회에서 1 순위로 추천한 한요셉 박사 논문이 우수논문 상 수상 ·7 월 24 일 : 2025 년 제 3 차 회장단 및 제 2 차 이사회 개최 , 학회 사무국 (2) 2025 순환자원 재활용공정 기술강좌 결과보고 - 기초 3 강좌 , 중급 3 강좌 진행 , 총 21 개 기관에서 59 명 참석 ( 기초 30 명 , 중금 29 명 ) (3) Recycling Korea 2025 Seoul - 2025 춘계임시총회 및 제 62 회 학술발표대회 결과보고 - 특별강연 2 편 , 구두 38 편 , 포스터 58 편 , 특별심포지엄 5 개 분야 , 총 398 명 참석 (4) 2025 리싸이클링백서 진행 상황 보고 - 목차와 집필진 확정하고 지난 7 월 1 일에 8 월 29 일까지 원고 요청 공문 발송학회 소식 Resources Recycling Vol. 34, No. 4, 202582 ≪ 심의안건 ≫ 1. 202563 - 행사명 : Recycling Korea 2025 Yeosu - 2025 년 추계정기총회 및 제 63 회 학술발표대회 - 일 시 : 2025 년 11 월 5 일 ( 수 ) ∼ 7 일 ( 금 ) - 장 소 : 소노캄 여수 ( 전남 여수시 오동도로 111) (1) 참가비 인상 논의 - 학술대회 참가비를 아래와 같이 인상하고 , 사전등록을 독려하기로 함 . 회원비회원학생 사전현장사전현장사전현장 200,000220,000250,000270,000100,000120,000 - 현장등록 및 명찰인쇄의 시간 단축을 위해 등록시스템을 활용하기로 하고 , 이번 추계학술대회에서 사용 후기를 확인해서 계속 사용 여부에 대해 논의하기로 함 . - 등록시스템 업체 견적 : 봄봄시스템 , 총 칠백만원 예상 ( 부가세 포함 ) (2) 개회식 논의 - 일정 : 2025 년 11 월 6 일 ( 목 ) 오전 예정 - 개회사는 손성호 회장님 , 축사는 여수시장 및 지역 인사의 영상자료를 요청하는 방안 논의하고 준비위원장이 추 진하기로 함 . (3) 특별강연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리싸이클링 담당 PD, 지역의 리싸이클링기업 ( 포스코 HY 클린메탈 등 ) 의 소장 등을 추 천 , 준비위원회에서 검토하고 확정하기로 함 . (4) 추계학술대회 후원요청 - 현재 LSMnM( 주 ), ㈜ 엠티아이지 , ㈜ 대흥엠앤티 , 한국광해광업공단 , 엔에이치리사이텍컴퍼니 ( 주 ) 등이 예정이 며 , 추가로 참여할 기업에 대해서는 관련 임원이 검토하고 후원을 요청하기로 함 . (5) 준비위원회 구성 및 포토월 제작 - 추계학술대회 준비위원회는 왕제필 학술부회장님이 준비위원장을 맡아 ,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함 . - 지역의 리싸이클링기업도 학술대회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위원으로 영입하는 방법 검토 요청 . - 포토월은 지난 춘계학술대회를 기준으로 진행하고 , 색상과 후원업체 명시 등에 대해서는 준비위원회에서 확정하 기로 함 . (6) 특별심포지엄은 2025 년 9 월 19 일 ( 금 ) 까지 개최 신청서 제출 마감이며 , 현재 2 개 기관에서 참여에 대해 문의함 . 다 만 , 일반학술대회에 지장이 없는 선에서 조절해서 받기로 함 .학회 소식 83 자원리싸이클링 제 34 권 제 4 호 , 2025 (7) 전 · 현직 임원 사전모임 - 2025 년 11 월 5 일 ( 수 ) 18 시 예정이며 , 장소는 주변 식당을 추천받아 추후 결정하기로 함 . 2. - 행사명 : 제 1 회 희소금속 자원리사이클링 기술교류회 - 희토류 재활용 기반 소재화 기술 - 행사날짜는 2025 년 8 월 28 일 ( 목 ) ∼ 29 일 ( 금 ) 개최로 결정 - 장소는 인천 POSCO 인재창조원 러닝센타 세미나실로 결정 , 만찬 진행 가능 여부에 대해서 확인하기로 함 . - 참가비는 회원 350,000 원 , 비회원 400,000 원 , 연사 강연료는 300,000 원으로 확정 - 시일이 촉박한 관계로 준비위원회에서 빠른 진행을 할 수 있도록 전권 위임 . 3. 2026 (1) 2026 년 춘계임시총회 및 제 64 회 학술발표대회 - 일시 및 장소 : 2026 년 5 월 20 일 ( 수 ) ∼ 22 일 ( 금 ), 오리엔탈호텔 제주 (2) 2026 년 추계정기총회 및 제 65 회 학술발표대회 - 날짜는 2026 년 10 월 둘째 주 또는 셋째 주 정도 , 대전지역에서 개최하는 것으로 정하고 세부장소는 한국지질자 원연구원 , 인터시티호텔 , KW 컨벤션 등의 견적과 날짜를 확인 후 확정하기로 함 . - 2026 년 태국에서 개최하는 EARTH 2026 의 개최 일정과 추계학술대회 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확인하기로 함 . 4. (1) 제 16 대 이사회 임원 추가 선임 논의 - 학회 특별회원사인 엔에이치리사이텍컴퍼니 ( 주 ) 에서 학회 임원 활동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 , 엔에이치 리사이텍컴퍼니 ( 주 ) 는 2022 년 회원사로 가입해서 현재까지 활동 . - 기업에서 추천한 나윤호 전무 ( 경영총괄 ) 에 대해 논의하고 , 제 16 대 이사회 활동을 하실 수 있도록 승인함 . (2) 2026 년 학회상 수상후보자 추천에 대해 공지하고 추천받고 , 9 월 중 개최예정인 제 3 차 이사회에서 확정하기로 함 .학회 소식 Resources Recycling Vol. 34, No. 4, 202584 한국재료관련학회연합회 2025 년도 제 1 차 연합총회 회의록 1. 일 시 : 2025 년 6 월 27 일 ( 금 ) 오전 10:30-12 시 2. 장 소 : 금속재료학회 대회의실 3F (Zoom: https://us02web.zoom.us/j/82404320175) 3. 출석상황 : 정원 13 명 중 출석 10 명 , 위임 3 명으로 성원됨 . 출 석 : 한국열처리공학회 이영국 회장 , 한국자기학회 임혜인 회장 , 주조공학회 유승목 회장 , 한국재료학회 김윤기 회장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손성호 회장 , 분말재료학회 이정구 부회장 , 표면공학회 김경남 학술부회장 , 용접접합학회 박영환 기술부회장 대한금속재료학회 김성연 부회장 , 한국세라믹학회 황해진 회장 위 임 : 한국소성가공학회 이영선 회장 , 한국부식방식학회 최한철 회장 , 복합재료학회 윤성호 회장 4. 회의결과 가 . 2024 년도 한국재료관련학회연합회 회무 보고 : 2024 년 회무보고를 원안대로 승인함 . 나 . 2025 년 임원 선출 ( 정관 제 12 조 ( 임원의 선출 )) (1) 회 장 : 한국열처리공학회 이영국 회장 (2) 부회장 : 대한금속 · 재료학회 김영근 회장 , 한국열처리공학회 윤성호 회장 (3) 감 사 : 한국표면공학회 염근영 회장 - 2025 년 제 1 차 연합총회에서 부회장 1 인은 대한금속 · 재료학회에서 매년 역임하며 , 나머지 부회장 1 인은 차기 담당학회 , 감사는 이전 담당학회에서 역임하는 것으로 의결함에 따라 부회장은 대한금속 · 재료학회 , 부식방 식학회 , 감사는 한국열처리공학회로 선출함 .학회 소식 85 자원리싸이클링 제 34 권 제 4 호 , 2025 * 회장순번표 (2014년도 연합회 총회에서 순번 정함) No. 회원학회창립연도년도년도 1 대한금속재료학회 194620142027 2 한국부식방식학회 197220152028 3 한국주조공학회 197720162029 4 대한용접접합학회 198220172030 5 한국소성가공학회 199120182031 6 한국분말야금학회 199320192032 7 한국자기학회 199120202033 8 한국재료학회 199120212034 9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220222035 10 한국세라믹학회 195720232036 11 한국표면공학회 196320242037 12 한국열처리공학회 198320252038 13 한국복합재료학회 198820262039 합 계 다 . 2025 년도 사업 및 향후 발전방향 논의 (1) 20245 년 한국열처리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재료관련학회연합회 공동 심포지엄을 진행하기로 함 (10 월 16 일 -17 일 예정 ). 13 개 학회에서 연사 1 명씩 참여하여 총 13 개로 구성하고 , 발표자들의 참가비는 연합회 예산 에서 지불하기로 함 . (2) 재료관련학회협의회 회비 소폭 인상 ( 현재 20 만원 ) (3) 공동워크샵 과총회관에서 진행 ( 연 1 회 ) (4) 연합회 + 외부기관 합동 진행 (5) 연합회 유관 정부 부처 ( 과총 ) 와의 협력 강화 (ex 화학연합회 , 물리연합회 ) ≪ 회원동정 ≫ 【신입회원명단】 2025 년 6 월 21 일부터 2025 년 8 월 20 일까지 입회하신 회원입니다 . 성명출신교 ∙ 학위입회일자근 무 처비고 오마이마 즈바리 서울대 ( 학사 )2025. 8. 12.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석사과정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38 동 322 호 2020-13917@snu.ac.kr 정 1268 【신입 회원사】 •( 주 ) 이에이포스 : 대표 문용수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해안로 705 경기테크노파크 기술고도화동 711 호 , https://eaphos.com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 동향 Resources Recycling Vol. 34, No. 4, 202586 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 동향 국가별 산업 소식 2025-2분기 핵심광물대응처 재자원화사업팀 국내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 점검회의」 개최 (4.7) 1) ◦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에 따른 국내 수급 동향 및 영향 점검 - (참여기관) 관계부처 , 소부장 공급망센터 , 한국광해광업공단 , 국가희소금속센터 등 ◦ 향후 수출통제 세부품목별로 영향 추가 점검 및 품목별 수급동향 모니터링 예정 - 한중 공급망 핫라인 , 수출통제 대화체 등을 통해 중국 정부와 다각도 소통 계획 - 희토류 보유국과의 협력 강화 , 희토류 사용 저감 / 대체 / 재활용을 위한 R&D 지원 확대 계획 기획재정부, 핵심광물 재자원화 관계부처 TF 킥오프 회의 개최 (4.16)2) ◦「 핵심광물 재자원화 활성화 추진방향 」 의 연내 구체적 실행계획 마련을 위해 구성 - (참여기관) 기재부 경제공급망기획관 ,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국장 , 환경부 자원순환국장 한국광해광업공단, 「핵심광물 재자원화 민간전문위원회」 출범 (4.18) 3) ◦「 핵심광물 재자원화 활성화 추진방향 」 의 후속조치로 산업지원 Ⅰ⸱Ⅱ , 규제개선 , R&D 4 개 분과 운영 - (구성) 성일하이텍 ㈜ , ㈜ 포스코인터내셔널 , ( 사 ) 한국금속재자원산업협회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재자원화 분 야별 기업인 , 연구원 등 민간전문가 22 명 ◦ 각 분야별 장애요인 및 해결방안에 대한 심층 분석 후 , 그 결과를 핵심광물 재자원화 관계부처 TF 제출 예정 환경부,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발표 (5.14) 4) ◦ 모빌리티 전동화 , 재생에너지 전환으로 사용후 배터리의 대량 발생이 예상됨에 따라 순환이용을 통해 안정적인 핵심 원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마련 ◦ 전세계 순환이용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4 대 부문 14 개 주요 정책과제로 구성 1) 산업통상자원부 , “( 참고자료 )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품목 밀착관리 ”, 정책브리핑 , 2025.04.07. 2) 기획재정부 , “ 핵심광물 재자원화 관계부처 TF 킥오프 회의 개최 ”, 정책브리핑 , 2025.04.16. 3) 투데이에너지 ,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82105 ( 접속일 : 2025.06.30.) 4) 환경부 , “ 사용후 배터리 , 국가 핵심 자원으로 키운다 … 순환이용 활성화 지원 ”, 정책브리핑 , 2025.05.14.핵심광물 재자원화산업 동향 87 자원리싸이클링 제 34 권 제 4 호 , 2025 비전 글로벌 배터리 순환이용 선도국가 도약 목표 ∎ 사용후 배터리의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 재활용 가능자원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화 촉진 추진 과제 1.순환이용 시장 조성 배터리 재생원료 인증제도 마련 재생원료 사용 촉진 재사용제품 시장 창출 2.재활용 가능자원 수급 안정화 재활용 가능자원 공급원 확대 사용후 배터리 회수․유통 체계 개선 순환이용 촉진을 위한 규제 합리화 3.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 초격차 기술개발 선도 염폐수 저감 및 처리 지원 금융․세제 지원 확대 산업 지원 인프라 확충 4.전주기 관리기반 구축 화재․폭발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강화 신유형(LFP) 배터리 관리체계 마련 설계 단계의 순환이용성 제고 순환이용 정보 관리체계 구축 자료원 :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 관계부처 합동 , ’25.5.14)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비축 전략 강화 (5.21) 5) ◦ 전략적 비축정책의 방향 및 과제 점검을 위한 비축전문위원회 개최 - (참여기관) 기재부 , 산업부 , 농식품부 , 조달청 , 환경부 , 해수부 등 ◦ 공공비축 고도화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등에 대해 논의 - 핵심광물 확보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재자원화 원료 신규 비축 예정 환경부, 전지류 통합회수 체계 구축 업무협약 체결 (5.21) 6) ◦ 환경부 , 한국환경공단 ,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 이순환거버넌스 * 가 협약을 통해 회수 체계 구축 , 추진위원회 운영 , 폐전지 회수 , 관련 제도 개선 및 행정 지원 * 전기전자제품 제조 ⸱ 수입 ⸱ 판매자의 회수 ⸱ 재활용 의무를 공동으로 이행하는 비영리단체 5) 기획재정부 , “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비축 전략 강화 ”, 정책브리핑 , 2025.05.21 6) 환경부 , “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전지까지 … 전지류 회수 체계 하나로 통합 ”, 정책브리핑 , 2025.05.20.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