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포토에세이 | PHOTO ESSAY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8 세월이 빚어낸 백색의 아름다움 영국 ‘세븐 시스터즈(Seven Sisters)’에서~ 글/사진 : 배기선(한국신소재융합시험연구원 부원장) 강우와파도에깎여나간세월의흔적을찾아서영국남쪽해안지역까지가보았다. 백악(白堊)의절벽으로이루어진이곳은“일곱개의절벽모습이자매들의머리모양”을 닮았다하여세븐시스터즈라불려왔다. 지금도이절벽은빗물과파도의침식작용으로매년최대70 cm까지깎여나가고있다. 이렇게아름다운절경이사라져간다는것은아쉽지만자연의유한함에서겸허한마음이든다.논단 | EXPERT OPINIONS 제35권 4호 2023. 07 19 1980년대 후반 AutoCAD 프로그램이 등장한 이후 암모니아 냄새 흠씬 풍기던 청사진 도면이 없어질 즈음, AutoCAD Lisp을 이용한 자동화 설계 및 도면 생산체계가 급진적으로 도입된 바 있 다. 이후 On-line 상에서의 Web 기반 설계 자동화, BIM을 이용한 시공관리 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있었다. 아직 모든 분야에서 설계 자동화가 되지는 않았으나, 2차원에서 3차원으로의 표현과 모바일 장 비 등을 통하여 현장에서도 쉽게 도면을 보며 시공관리나 유지관리 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제 는 CAD 도면 작성으로부터 구조거동 시뮬레이션까지 연속적으로 쉽게 할 수 있고, 머지않아 계획 단계로부터 폐기단계까지 일관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 자료를 통 하여 구조물 전 생애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필자는 2016년도에 열렸던 우리 학회 특강에서 대학 4년간 들어 보지 못했던 AI(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Big data, Mobile, Robotics, IoT 등 4차 산업혁명과 콘크리트에 대하여 발표한 바 있다. AI는 건설 현장의 안전과 위험을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IoT는 건설 현장의 기계와 장비를 원격으로 관리 ·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빅데이터는 건설 현장의 데이터를 수 집 · 분석하여 생산성 향상에 적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현장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 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은 건설 현장 시공을 시뮬레이션하고 작업자를 교 육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로봇공학은 건설 현장의 단순하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생명공학은 건설 자재의 내구성과 안전성의 향상, 나노기술은 건설 자재의 강도와 경량화 개 선, 에너지 기술은 건설 현장의 에너지 효율성의 향상 그리고 자율주행 자동차는 건설 자재와 장비 를 운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내용 등이었다. 불과 7년이 지난 현재 이 기술들은 우리 건설 현장에 깊숙이 침투되고 있다. 이들 중 주목할 것은 AI가 다른 4차 산업혁명 기술들과 다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특별히 대화형 AI는 우리의 일반적 궁 금증은 물론이고, 새로운 계획을 세우는 데에도 훌륭한 참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미 건설 분야에 도 AI를 이용한 균열 분석, 안전관리, 유지관리, 건설경영 등 급진적인 진화가 일어나고 있다. AI는 콘크리트 산업 및 기술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AI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품질 향상 은 물론이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향상 및 콘크리트 구조물 전 생애에 걸친 효율적 관리를 시 도하고 있다. 콘크리트 분야에서 AI는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머신 러닝, 데이터 마이닝, 시뮬 레이션 등을 통하여 모든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우리가 AI를 알아야 콘크리트 분야 AI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콘크리트 산업의 미래를 이끌 수 있는 새로운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것 이다. 인공지능과 콘크리트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crete 노병철 Byeong-Cheol Lho 상지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논단 | EXPERT OPINION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 문제는 이러한 AI의 기본 원리를 어디에서 학습하여야 하 는가이다. 오래전 유한 요소 해석법에 대한 학습을 대학원 에서 접하였듯이, 건설 관련 A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AI 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은 대학과정 또는 대학원 과정에서 습득할 수 도 있고, 필자와 같이 최근 발달한 YouTube나 화상강의 등 을 통하여 학습할 수도 있다. 이제는 건설 관련 대학에서도 AI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내용들이 포함된 전공과목들이 설강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학 현장의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줄어드는 대 학 졸업학점(120 ∼ 130학점) 틀 안에서, 교양과목과 전통 전공교과목, 기사 시험과목 등을 고려하면, 이를 위한 강의 시간 배려는 쉽지 않게 된다. 여기에 교수의 책임시수, 전통 학문 고수 등 이런저런 문제가 결합하면 난제 중의 난제로 변질한다. 유아기부터 모바일 환경과 가상현실을 체험한 아이들이 어떤 생각을 할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코딩을 익히고 대학 에 입학한 MZ세대 이후의 학생에게 알맞은 교육이 무엇인 가 생각하여야 한다. 뉴턴역학적 사고에서 진일보하기 위하 여 그동안 우리가 맹신했던 것이 어떤 것이었는가를 찾아 봐야 한다. MZ세대 건설 분야 기술자들은 워라벨과 4차 산 업혁명 기술이라는 두 마리 용을 잡아야 한다. 아마도 디지 털 세대인 MZ세대는 DX를 이용하여 워라벨을 향상시키려 는 노력을 최우선에 두는 차세대 인재로 성장할 것이다. 이 는 건설기술 분야에서의 거버넌스 변화를 만들 것이다. 누 가 콘크리트 문제(재료 및 설계)를 다룰 것이며, 어떻게 다 룰 것인가 예상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대형화, 복잡화 및 다양화에 대응하여 콘크리트 기술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이를 위한 전문기술자의 역할 은 더욱 전문화되고, 더욱 다양화될 것이다. 그리고 이의 효 율적 해결을 위하여 AI 및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될 것 이다. 혁명이란 본질적으로 거버넌스가 변화하는 것이고, AI는 이 혁명을 이끌 것이다. 대학의 본질인 교육과 연구가 학과의 틀을 벗어나게 되고, 콘크리트 설계/시공/유지관리 방법과 산업 주체의 변화도 일어날 것이며, 건설이라는 이 름도 큰 변화를 겪을 것이다. AI와 콘크리트가 공존하는 시 대에는 양적 팽창보다는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의 고도화와 다양화를 생각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학문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노병철 교수는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에서 콘크리트 슬 래브의 미진동 해석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 를 취득한 후 한국고속철도 공단에서 2년간 근무한 후 1996 년부터 상지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 관심 연구 분야는 비파괴 장비 개발, web 기반 설계 자동화, 융빙 콘크리트, 미래 콘크리트 기술자의 교육과 취업환경 등 이며, 우리 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bclho@sangji.ac.kr 담당 편집위원 : 최명성(단국대학교) choims@dankook.ac.kr기술인증 소개 제35권 4호 2023. 07 21 CSA복합 자극제 기반 무시멘트 탄소저감형 콘크리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보통모멘트골조 (인증분야 : 구조설계기준 적합성 인증(KDS 14 20 00)) 박찬규 | Chan-Kyu Park | 삼성물산(주)건설부문 ENG실 Master 정재홍 | Jae-Hong Jeong | 삼성물산(주)건설부문 ENG실 프로 이회근 | Hoi-Keun Lee | 삼성물산(주)건설부문 ENG실 프로 1. 인증기술 소개 본 인증기술은 CSA복합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자극제와 3종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활용 한 무시멘트 탄소저감형 콘크리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보통모멘트골조용 보, 기둥, 보-기 둥 접합부 및 벽체가 휨, 전단, 압축을 받는 경우 KDS 14 20 00 강도설계법(2022)에 따라 구조성능을 적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다. 2. 기술개발 배경 최근 지구 온난화 대책의 일환으로 이산화탄소(이하 CO2)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 세계 CO 2 배출량 중 시멘트 산업의 배출량은 6~ 8 %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멘트 1톤 제조 시 0.7 ~ 1톤의 CO 2가 배출(국가 LCI DB 926 kgCO2e/ton)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를 주요 성분으로 하여 물, 모래, 골재, 광물혼화재, 화학혼화제가 함께 배합되어 제조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야 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와 같은 산업부산물은 1톤당 0.01 ~ 0.07톤의 CO2가 배출되는 수준이기 때문에 시멘트의 대체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인증기술에서 사용된 콘크리트는 CO2 배출 저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시멘트를 전혀 사 그림 1. 무시멘트 탄소저감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 비교기술인증 소개 | INTRODUCTION TO CERTIFICATE OF CONCRETE TECHNOLOGY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2 용하지 않는 무시멘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이하 무시멘 트 PC)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림 1>과 같이 무시멘트 콘크리트에서 산업부산물은 물과 직접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자극제(Activator)를 첨 가하여 물과 산업부산물이 직접 반응하게 하여 콘크리트 를 경화시키게 된다. CO2 저감을 위해 무시멘트 PC를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한 국내 설계기준이 없으며, 국내 구조설계기준(KDS 14 20 00)에서는 시멘트를 30 % 이상 사용한 콘크리트 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무시멘트 PC를 구조물에 적용할 구조설계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KDS 14 20 01:2021의 1.2 적용 범위 (4)”의 “성능실험을 통한 조사 연구”에 따라 <그림 2>와 같이 재료 및 구조성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한국콘크리트학회 기술인증을 획득하였다 <그림 3>. <그림 2>와 같이 무시멘트 PC의 구조성능 평가를 위해 KDS 41 71 00:2019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및 KDS 14 31 60:2017 강구조 내진 설계기준을 참조하여 보통모멘 트 골조 내진성능 요구사항을 강도와 변형성능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규정하였다. - 강도 : KDS 14 20 01~90 또는 KDS 41 30 00 4.1~4.7 규정에 대한 휨-압축, 전단, 부착강도(추가 로 PC 부재로서 접합부 강도) - 변형성능 : 층간변위각 2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의 내진등급 II급)에서 최대강도의 85 % 이상 3. 인증 내용 무시멘트 PC의 역학적 특성을 시멘트를 사용한 일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이하 일반 PC)와 비교하였다. 일 반 PC는 현재 PC공장에서 제품용으로 실제 생산 중인 45 MPa 콘크리트 배합을 준용하였다. 재료와 구조성능 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개 대학(서울대, 서울과학기술대, 건 국대, 명지대)이 참여하였다. 1) 무시멘트 콘크리트 재료 실험 그림 2. 재료 및 구조실험 개요그림 3. 기술인증서 그림 4. 무시멘트 콘크리트 생산 및 실험체 제작기술 인증 소개 제35권 4호 2023. 07 23 콘크리트 재료실험의 결과는 압축강도는 재령 14일을 관리재령으로 하여 설계강도 45MPa를 만족하였다. 탄 성계수는 공시체에서 측정한 값과 Core를 채취하여 측 정한 값을 모두 KDS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유사한 결 과를 나타내었다. 쪼갬인장강도와 휨강도 실험결과 또한 KDS의 경향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 구조성능 실험 결과 2.1) 보의 휨, 전단, 겹침이음 실험 보의 휨, 전단, 겹침이음(철근 정착) 성능 검증을 위하 여 무시멘트 PC 실험체 30개, 일반 PC 실험체 4개에 대 한 단조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그림 5>. 실험결과 KDS 에 의해 계산된 공칭강도 이상의 실험강도를 나타내었다. 2.2) 기둥 반복 횡하중 실험 휨-압축 부재인 기둥의 강도와 슬라브 철근 이음 성능 검증을 위하여 무시멘트 PC 실험체 3개, 일반 PC 실험 체 2개에 대해 일정한 축력과 반복횡가력(축력비 13 %, 기둥-기초 접합: 슬리브 충진이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 6>. 무시멘트 PC 실험체의 극한변위비(최대강도 이 후 0.85Pu)는 모두 2 % 이상으로 보통모멘트골조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개의 무시멘트 PC 실험체는 ACI 374.1-05에 따른 특수모멘트골조 요구성능을 만족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2.3) 보-기둥 접합부 반복 횡하중 실험 무시멘트 PC 부재와 일반 콘크리트 현장타설(CIP) 접 합부의 보-기둥 접합부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무시멘트 PC 실험체 2개, 일반 PC 실험체 1개에 대한 연속(내부) 접합부 반복횡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그림 7>. 무시멘트 PC 실험체의 극한변위비는 모두 2 % 이상으로 보통모멘 트골조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2개의 무시멘트 PC 실험체는 ACI 374.1-05에 따른 특수모멘트골조 요 구성능을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3) 무시멘트 PC 생산 체계 구축 PC공장에서 기존의 일반 콘크리트 PC 생산라인과 동 일한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무시멘트 PC를 양산할 수 있 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조실험체 제작 시 무시멘트 콘 크리트 생산, 타설, 양생, 제품 출하 가능함을 확인, 검증 하였다. 무시멘트 PC 적용을 통해 CO 2 배출을 시멘트 100 % 사용 콘크리트 대비 약 80 % 수준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4. 인증 기술의 활용 본 기술은 탄소중립 사회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 그림 5. 보 휨, 전단, 겹침이음 실험 그림 6. 기둥 반복 횡하중 실험 결과 그림 7. 보-기둥 접합부 반복 횡하중 실험 결과기술인증 소개 | INTRODUCTION TO CERTIFICATE OF CONCRETE TECHNOLOGY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4 로 기대하며, PC 보통모멘트골조 뿐만 아니라 블록, 벽돌, 호안블록 등 비구조부재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특히, 탄소배출권 거래제, 탄소세, 탄소국경세 등 탄소 관련 제도로 인해 시멘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경우 보다 경쟁력 있는 기술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2022년 가을학술발표대회 특별세션에서 해당기술 에 대한 상세한 보고를 하였다. 박찬규 Master는 1997년에 한 국과학기술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하였으며, 이후 삼성물산(주) 건설부 문에 근무하면서 콘크리트 관련 기 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관심분야 는 탄소저감 콘크리트, 고감쇠 폴리 머 콘크리트, 고탄성 콘크리트 및 콘 크리트 펌핑 기술 등 이다. helpme@samsung.com 정재홍 프로는 1997년 서울대 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삼성물산(주) 건설부문에 근무 하면서 콘크리트 기술 개발 및 현장 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관심분 야는 탄소저감 콘크리트, 매스 콘크 리트, 고내구성 콘크리트, 친환경 시 멘트 기술 등이다. jackslo@samsung.com 이회근 프로는 2003년에 성균 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 으며, 이후 삼성물산(주) 건설부문에 근무하면서 특수 콘크리트 기술 개 발 및 프로젝트 실용화를 담당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고성능/고유동 콘 크리트, 친환경/탄소저감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등이다. hoikeun.lee@samsung.com 국내외 연구실 탐방 | SPOTLIGHT 1: RESEARCH GROUP (LAB) 제35권 4호 2023. 07 25 1. 머리말 한경국립대학교 건축구조공학연구실은 미래 건설사업에 채택될 수 있는 더 나은 구조 시스템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1년 시작되었다. 철근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을 전공하는 연구원들로 구성된 연구집단으로 비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효율 및 성능 확보에 국한 되지 않고 세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정책에 따라 복합구조물, 친환경 건축구조재 등을 포함하여 재료의 물성을 반영한 구조거동을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기존 건축물의 진단 및 보강에 대해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23년 현재 주현진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과정 3명, 학부연구원 3명, 보조연구원 1명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연구방향의 다각화 및 국제화를 위해 2명의 외국인 연구원이 모국의 연구인프라를 활용하는 등 구조공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주현진 Hyunjin Ju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교수 한경국립대학교 건축학과 건축구조공학연구실 Structural Engineering Laboratory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at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그림 1. 고단열 고성능 콘크리트 재료 개발국내외 연구실 탐방 | SPOTLIGHT 1: RESEARCH GROUP (LAB)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 2. 주요 연구 분야 2.1 친환경 부산물을 활용한 고단열 신속조형 구조시스템의 개발 이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 부산물을 혼 입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재료의 최적 배합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 한 신속조형 구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 이다. 현재 재료개발 및 부재 단위의 구 조성능 검증 단계로서 폐유리미분말, 기 포안정제(HPMC)와 함께, 공기연행제 (AE)를 활용한 경량 콘크리트 기법을 도 입하여 낮은 열전도율과 함께 구조재료 로서 충분한 압축강도를 확보하고자 노 력 중이며, 이를 통해 기존의 경량콘크리 트 재료를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친환경 섬유와 결합된 고단열 콘크리트 재료의 최적 배합설계 도출이후 개발 재 료로 구성된 부재의 구조성능 실험을 수 행할 계획이다. 2.2 섬유보강 시멘트 매트릭스 (FRCM)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구조성능 구조물들의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기 존 건축물들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공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기존 FRP(fiber- reinforced polymer) 보강공법과 달리 고온 다습한 환경에 서도 적용이 가능한 섬유보강 시멘트 매트릭스 공법(Fabric- 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FRCM)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 보강공법은 FRP 시트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 되는 유기계 에폭시 대신 무기물인 모르타르와 섬유로 구성 된 복합체로 모르타르 사이에 섬유를 매립시켜 기존 구조물 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와 관련하여 부착거동과 일방 향 철근콘크리트 보강 슬래브의 휨 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으며, 부착길이 및 섬유 배치 형상에 따른 휨 성능과 전 단보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계획 중에 있다. 2.3 이미지 프로세싱을 기반으로 한 건축물 안전진단 프로그램 개발 건축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시 안전성평가 과정 에서 진단자의 주관적 판단 개입을 최소화하고 보강관련 의 사결정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 안전진단 모 듈, 신뢰성 이론 기반 중요도 결정 알고리즘 등을 반영한 3D 모델 기반 현장조사 및 안전등급 산정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현장계측 시 카메라, 3D 스캐너 등을 활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 으로 처짐 및 균열폭 등의 구조물 변형을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 중이다. 그림 2. FRCM 보강공법 관련 연구 그림 3. 이미지 기반 안전진단 프로그램 개발제35권 4호 2023. 07 27 한경국립대학교 건축학과 건축구조공학연구실 2.4 H형강 매입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구조성능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급격히 발전한 플랫폼 산업으로 인 해 대형 물류창고와 데이터 센터 등의 건설 수요가 증가하 였으며, 공간특성상 이러한 건축물들은 장스팬과 큰 적재하 중을 요구한다. 합성 부재 설계는 공장 선제작을 통해 공기 를 줄이고, 현장 가설작업을 최소화하여 시공성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물류창고용 매입형 합 성보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구조성능을 검증하는 것을 목 표로 한다. 이 연구에서 연구개발 중인 합성보는 H형강 하 부 플랜지에 영구 강판 거푸집이 부착되고 내부에 콘크리트 가 채워지는 부분 매입형 합성보로서 설계조건에 따라 단면 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강판 거푸집은 단면강도 산정에서 제외하고 외부 노출되는 하부 강판 플랜지 면적을 최소화하여, 내화 피복의 부담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3. 맺음말 한경국립대학교 건축구조공학 연구 실의 구성원들은 대형 구조실험동, 재 료실험동, 소형 건축구조실험실 등을 기반으로 공동실험실습관의 실험 장비 들과 소프트웨어들을 활용하여 주어진 연구과제들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으며, 앞서 소개한 연구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산업계와 학계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수행하기 위해 노 력 중에 있다. 아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훗날 훌륭한 연구성과와 인재 들을 배출하여 구조공학 분야에 족적을 남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림 4. H형강 매입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개요 및 실험연구 그림 5. 연구실 구성원들과 함께 주현진 교수는 2017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조합하 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비틀림에 대한 다중 잠 재강도 모델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오스트리아 University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s, Vienna(BOKU)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후 카자 흐스탄의 Nazarbayev University 토목환경공학과를 거쳐 2021년부터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공 학전공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 학회에서는 학회지 편집위원회, 도서출판위원회, 전단-비틀림위원회, FRCM 복합재위원회, 프리캐스트콘크리트위원회 등에서 활동 중 이다. hju@hknu.ac.kr 담당 편집위원 : 김민준(LH 토지주택연구원) minjunk@lh.or.kr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