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Q & A | QUESTION & ANSWER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8 표 1. 콘크리트의 주요 성능저하와 현상 구분작용 기구주요 현상 염해 (Chloride attack) 내부 또는 외부염화물에 의해 철근 표면의 부동태 피막이 깨지면서 철근 부식 및 팽창압 발행 • 피복 콘크리트 균열, 탈락 • 철근 단면적 감소 등 내력 감소 탄산화 (Carbonation)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시멘트 수화생성물인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알칼리성을 상실하는 현상, 부동태 피막 파괴로 철근 부식 및 팽창압 발생 동결융해 (Freezing-Thawing) 콘크리트 내부의 모세관 공극 중에 존재하는 수분이 동결과 융해의 반복적인 작용으로 수화조직이 물리적으로 손상되어 탄성계수 및 강도 저하 발생 • 콘크리트 표면 박리 • 골재 탈락 • 콘크리트 표면균열 발생 황산염해 (Sufate attack) 외부에서 침투한 황산염이온과 시멘트 수화생성물이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을 생성 • 반응생성물에 의한 팽창압으로 균열과 박리 발생 • 수화물 변질로 강도저하 알칼리-골재반응 (Alkali-aggregate reaction) 반응성 골재가 사용될 경우 콘크리트 내부 공극수에 용해된 알칼리 금속이온( Na + , K + )가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을 생성 • 골재의 팽창압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균열 발생 표 2. 노출 범주 및 등급(KDS 14 20 40, KCS 14 20 10) 범주등급조건예 일반E0 물리적, 화학적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손상의 우려가 없는 경우 철근이나 내부 금속의 부식 위험이 없는 경우 • 공기 중 습도가 매우 낮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EC (탄산화) EC1 건조하거나 수분으로부터 보호되는 또는 영구적으로 습윤한 콘크리트 • 공기 중 습도가 낮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 물에 계속 침지 되어 있는 콘크리트 EC2 습윤하고 드물게 건조되는 콘크리트로 탄산화의 위험이 보통인 경우 • 장기간 물과 접하는 콘크리트 표면 • 외기에 노출되는 기초 EC3 보통 정도의 습도에 노출되는 콘크리트로 탄산화 위험이 비교적 큰 경우 • 공기 중 습도가 보통 이상으로 높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1) • 비를 맞지 않는 외부 콘크리트 EC4 건습이 반복되는 콘크리트로 매우 높은 탄산화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 • EC2 등급에 해당하지 않고, 물과 접하는 콘크리트 (예를 들어 비를 맞는 콘크리트 외벽, 난간 등 2) ) ES (해양환경, 제빙화학제 등 염화물) ES1 보통 정도의 습도에서 대기 중의 염화물에 노출되지만, 해수 또는 염화물을 함유한 물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 해안가 또는 해안 근처에 있는 구조물 3) • 도로 주변에 위치하여 공기 중의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ES2 습윤하고 드물게 건조되며 염화물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수영장 • 염화물을 함유한 공업용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ES3항상 해수에 침지되는 콘크리트• 해상 교각의 해수 중에 침지되는 부분 ES4 건습이 반복되면서 해수 또는 염화물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해양 환경의 물보라 지역(비말대) 및 간만대에 위치한 콘크리트 • 염화물을 함유한 물보라에 직접 노출되는 교량 부위 4) • 도로 포장 • 주차장 5) EF (동결융해) EF1 간혹 수분과 접촉하나 염화물에 노출되지 않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비와 동결에 노출되는 수직 콘크리트 표면 EF2 간혹 수분과 접촉하고 염화물에 노출되며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공기 중 제빙화학제와 동결에 노출되는 도로구조물의 수직 콘크리트 표면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국가 기준의 강화 제 35 권 6 호 2023. 11 99 준)에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그 밖의 요구사항을 설 계기준 KDS 14 20 50(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 과 시방서 KCS 14 20 10(일반콘크리트)에서 나누어 규 정하고 있습니다. KDS 14 20 40과 KCS 14 20 10에서 는 우선 노출환경을 일반, 탄산화 환경, 염해 환경, 동결융 해 환경, 황산염해 등 5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범주별로 노 출 수준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도록 규정한 다음 등급에 따 른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노출등급별 요구사항 은 콘크리트 강도(KDS 14 20 40 및 KCS 14 20 10), 콘 크리트 재료 및 요구사항(KCS 14 20 10), 최소 철근 피복 두께(KDS 14 20 50)로 나누어 제시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는 노출환경의 구분과 대책을 중심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 다. 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계기준에서는 책임 구조기술자 는 구조용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 예측되는 노출 정도를 고 려하여 <표 2>와 같이 노출 범주 및 등급을 결정하고 각각 의 노출 등급에 따른 최소 설계기준압축강도는 <표 4>에서 규정하는 값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설계기준압축강도 및 배 합 관련 요구사항은 <표 4>와 같고 이 표에서 규정하는 값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다만, 별도의 내구성 설계를 통 해 입증된 경우나 성능이 확인된 별도의 보호조치를 취하 는 경우에는 규정 값보다 낮은 강도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범주등급조건예 EF (동결융해) EF3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나 염화물에 노출되지 않고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비와 동결에 노출되는 수평 콘크리트 표면 EF4 지속적으로 수분과 접촉하고 염화물에 노출되며 동결융해의 반복작용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는 도로와 교량 바닥판 • 제빙화학제가 포함된 물과 동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표면 • 동결에 노출되는 물보라 지역(비말대) 및 간만대에 위치한 해양 콘크리트 EA (황산염) EA1 보통 수준의 황산염이온에 노출되는 콘크리트<표 2> • 토양과 지하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해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EA2 유해한 수준의 황산염이온에 노출되는 콘크리트<표 2> • 토양과 지하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EA3 매우 유해한 수준의 황산염이온에 노출되는 콘크리트<표 2> • 토양과 지하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하수, 오·폐수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주 1) 중공 구조물의 내부는 노출등급 EC3로 간주할 수 있다. 다만,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하거나 노출되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표면은 EC4로 간주하여야 한다. 2) 비를 맞는 외부 콘크리트라 하더라도 규정에 따라 방수 처리된 표면은 노출등급 EC3로 간주할 수 있다. 3) 비래염분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로 해양환경의 경우 해안가로부터 거리에 따른 비래염분량은 지역마다 큰 차이가 있으므로 측정결과 등을 바탕으로 한계영향 거리를 정해야 한다. 또한 공기 중의 제빙화학제에 영향을 받는 거리도 지역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기존 구조물의 염화물 측정결과 등으로부터 한계 영 향 거리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차도로부터 수평방향 10m, 수직방향 5m 이내에 있는 모든 콘크리트 노출면은 제빙화학제에 직접 노출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또한 도로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기 쉬운 신축이음(expansion joints) 아래에 있는 교각 상부도 제빙화학제에 직접 노출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5) 염화물이 포함된 물에 노출되는 주차장의 바닥, 벽체, 기둥 등에 적용한다. 표 3. 수용성 황산염이온 농도에 따른 노출등급 구분 등급토양 내의 수용성 황산염(SO 4 2- )의 질량비(% 1) )물속에 용해된 황산염(SO 4 2- ) (ppm 2) ) EA10.10 ≤ SO 4 2- < 0.20150 ≤ SO 4 2- < 1,500, 해수 EA20.20 ≤ SO 4 2- ≤ 2.001,500 ≤ SO 4 2- ≤ 10,000 EA3SO 4 2- > 2.00SO 4 2- > 10,000 주 1) 토양 질량에 대한 비로 KS I ISO 11048에 따라 측정하여야 한다. 2) 수용액에 용해된 농도로 ASTM D516 또는 ASTM D4130에 따라 측정하여야 한다.Q & A | QUESTION & ANSWER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0 콘크리트 배합은 노출등급에 따라 KCS 14 20 10(1.10)에 서 규정하는 물-결합재비, 결합재 종류, 연행공기량, 염화 물 함유량 등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특히,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중요한데 AE제, AE감수제 또는 고성 능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굵은 골재 최 대 치수와 노출 등급을 고려하여 <표 5>와 같이 정하며, 운 반 후 공기량은 이 값에서 ±1.5% 이내이어야 함을 규정 하고 있습니다. 한편, 노출범주 EC와 ES의 경우 KDS 14 20 50(4.3) 에서 규정하는 최소 피복두께 이상의 피복두께를 확보해야 합니다. 4. 맺음말 도로구조물의 경우 습염식 제설방식이 도입된 2000년 대 초반에는 주로 제설제 사용량이 많은 강원지역 등을 중 심으로 측구, 다이크 등의 배수시설물 콘크리트와 중앙분 리대, 난간방호벽 등의 기계타설 소구조물에서 콘크리트 표면의 스케일링과 콘크리트 자체 열화(강도소실) 등의 열 화현상이 보고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최근 국도는 물론 도 심지 아파트 단지 등에서도 빈번하게 관찰되고 있습니다< 그림 1>. 이는 대상 콘크리트가 구조물의 주요부재가 아니 라는 이유로 요구되는 설계기준 압축강도가 낮을 뿐만아니 라 소규모 타설 물량이므로 공기량 확인 등의 품질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구조물의 노출환경이 제설 환경임을 감안하여 10여 년 전부터 선제적으로 배수시설 물 콘크리트인 측구, 다이크와 같은 무근콘크리트 부재도 30MPa, 방음벽 기초, 난간방호벽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35MPa 이상으로 설계기준 압축강도를 상향한 바 있습니다. 또한, 포장콘크리트의 설계 휨강도를 4.5MPa 에서 5.0MPa로 상향하였음은 물론 동결융해 저항성을 확 보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공기량도 일반 노출환경이 아닌 표 4. 노출등급에 따른 최소 설계 기준압축강도 등 콘크리트 배합관련 요구사항 항목 노출등급 일반 EC (탄산화) ES (해양환경, 제설염 등 염화물) 1) EF (동결융해) 2) EA (황산염) E0EC1EC2EC3EC4ES1ES2ES3ES4EF1EF2EF3EF4EA1EA2EA3 최소 설계기준 압축강도 3) (MPa) 21212427303030353524273030273030 최대 물-결합재비-0.600.550.500.450.450.450.400.400.550.500.450.450.500.450.45 주 1) 해양환경, 제설염 등 염화물 환경에서는 최소 단위결합재량 참조 2) 동결융해의 경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라 보통의 조건과 심한 조건의 요구 공기량 기준이 상이함 3) 콘크리트 표준시방서(KCS 14 20 10)에서는 내구성 기준압축강도 표 5. 공기연행콘크리트 공기량의 표준값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mm) 공기량(%) 심한 노출 1) 일반 노출 2) 10 15 20 25 40 7.5 7.0 6.0 6.0 5.5 6.0 5.5 5.0 4.5 4.5 주 1) 노출등급 EF2, EF3, EF4 2) 노출등급 EF1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국가 기준의 강화 제 35 권 6 호 2023. 11 101 심한 노출환경으로 간주하여 6~7%를 요구하고 있습니 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계기준 및 콘크리트 표준시방서가 콘크리트의 노출환경을 상세히 구분하고 각각의 노출범주에 대해 설계단계에서부터 콘크 리트의 내구성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방 기준의 강화 추세와도 부합됩니다. 2023년 4월, 성남 정자교(PSC슬래브교, 설계기준압축 강도 40MPa, 공용 30년)의 보도부분 붕괴로 안타까운 인 명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국토안전관리원의 사고조사위 원회는 “도로부 하부 콘크리트와 캔틸레버부 인장철근 사 이의 부착력 상실이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이고, 도로부 콘 크리트가 동결융해와 제설제에 의해 손상되어 캔틸레버부 를 지지하는 철근의 부착력 감소”가 사고 원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레미콘의 표준적인 공기량이 4.5%이고 주로 사 용되는 굵은골재 최대치수가 20mm 이하인 건축구조물 용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동해 저항성이 충분할 수 있으나 도로구조물과 같이 제설환경에 노출되는 경우라면 심한 동 해환경에 해당하므로 동해 저항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에 해당하는 적정 공기량 확보는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 1. 도로 배수시설물 및 소구조물 콘크리트의 제설염해 사례 (a) 표면 스케일링(b) 측구 콘크리트 열화(c) 경계석 열화(d) 난간방호벽 열화 1. 국토교통부, KDS 14 20 30 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 계기준, 2022. 1. 2. 국토교통부, KCS 14 20 10 일반콘크리트, 2022. 9. 3. 김홍삼, 고속도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 및 내구성 확 보, 한국콘크리트학회 전문위원회 구두발표, 2023.11. 4. 국토안전관리원 사고조사위원회, 경기 성남 정자교 보 도부 붕괴사고 사고조사 결과보고서, 2023. 7. 참고문헌 담당 편집위원 : 김성겸(금오공과대학교) skim@kumoh.ac.kr 김홍삼 박사 는 ‘전기화학적 기법 을 이용한 콘크리트 확산평가 및 철 근 부식 개시시기 예측에 관한 연구’ 로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도로공사 도 로교통연구원 구조물연구실에 근무 중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 성 평가 및 설계 등 콘크리트 구조물 의 내구성 향상 및 대책과 관련된 연 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학회의 특수 환경위원회 및 내구성위원회 위원장 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는 두 위원 회의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hskim68@ex.co.kr학회소식 | KCI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2 제5차이사회 • 일 시 : 10월 20일(금)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회장)김지상, (감사)최경규, (부회장)김장호, 류재석, 차수원, (이사)김길희, 김동주, 김승훈, 김우석(충), 김진국, 김태훈, 문도영, 심별, 양준모, 전세진, 천성철, 최선미, 최세진, (소장)김영진, (위임) (감사)지광습, (부회장)김강수, 김규용, 이강석, (이사)강수태, 강현구, 권성준, 김우석(금), 김원기, 김재요, 김재홍, 김희선, 문재흠, 문주혁, 박경수, 박민용, 양인환, 오재은, 윤세윤, 이도형, 이방연, 이성철, 이승태, 이주하, 임우영, 정철우, 조창근, 최승원, 최윤석, 최종권, 홍성욱 • 토의안건 (1) 제32회(2023년도) 학회상 선정 승인 (2) 2024년도 사업 및 예산 계획(안) 승인 (3) 사무국 직원 채용 및 사무국장 연임 승인 (4) 신규가입회원 승인 (5) 공학연구소 및 위원회 보고 제8차회장단회의 • 일 시 : 10월 20일(금) 15: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회장)김지상, (감사)최경규, (부회장)류재석, 차수원, (이사)김승훈, 전세진 • 토의안건 (1) 5차 이사회 의제 검토 외 제9차회장단회의 • 일 시 : 11월 17일(금)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회장)김지상, (감사)지광습, (부회장)김강수, 김장호, 류재석, 이강석, 차수원, (이사)김승훈, 전세진 • 토의안건 (1) 위원회별 2023년도 활동 상황 검토 외 위원회 제1차학회상심사위원회 • 일 시 : 10월 4일(수)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대면)차수원, 전세진, 김희선, 김승훈, (비대면)조재열, 양인환, 이도형, (발표자)김용로, 고효진, 정창화, 백철승, 노태환, 손창호, 이상현, 박창규, 정상균 • 토의안건 (1) 기술상 및 작품상 후보자 발표 및 학술상 후보자 선정 제4차콘크리트품질향상협의체 • 일 시 : 10월 5일(목) 14: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홍건호, 장승엽, 박민용, 이용수 • 토의안건 (1) 시방서 개정안 연구결과 설명 및 레미콘단체 의견접수 (2) 연구과제 관련 추진현황 점검 이사회및회장단 ▲ 제5차 이사회 ▲ 제8차 회장단 회의 ▲ 제9차 회장단 회의 ▲ 제1차 학회상심사위원회제 35 권 6 호 2023. 11 103 제1차콘크리트구조물평가기준위원회 • 일 시 : 10월 5일(목)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지상, 백인열, 권승희, 오홍섭, 김형기, 이주형 • 토의안건 (1)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결정 방법 논의 제2차슬래브벽체위원회 • 일 시 : 10월 5일(목) 16:00 • 장 소 :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정지훈, 정주홍, 윤현도, 서수연, 정성훈, 이창석, 홍성욱, 배백일 • 토의안건 (1) 기준개정안 검토 및 슬래브 용어 검토 제9차콘크리트표준시방서위원회 • 일 시 : 10월 5일(목)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상철, 박민용, 이창홍, 김영진, 장승엽, 이현호, 안준혁, 류동우, 배성철, 양근혁, 장봉석, 홍건호, 고정원, 권승희, 이웅종, 염광수, 최경규 • 토의안건 (1) 국토부 기술혁신과 TF 협의 보고 (2) 조경공사표준시방서 검토 협의 (3) KCS 거푸집 및 동바리 표준시방서 개정안 협의 제3차FRCM복합재위원회 • 일 시 : 10월 5일(목) 17: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이진용, 하상수, 최동욱, 김형열, 최경규, 주현진, 김승직 • 토의안건 (1) 실무매뉴얼 집필 준비 제5차학술위원회 • 일 시 : 10월 6일(금) 16:00 • 장 소 :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김주형, 정연웅, 배성철, 김형기, 최윤석, 안경희, 박원준, 최하진, 김재홍, 강수태, 김지수, 신경준, 이병재, 김상희, 권성준, 김건, 표석훈, 최형길, 임홍재, 민태범, 윤용식, 정철우 • 토의안건 (1) 2023년도 가을 학술대회 준비 및 점검 제4차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위원회 • 일 시 : 10월 6일(금) 16:00 • 장 소 :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전세진, 이재훈, 성연규, 심별, 김경단, 양준모, 김진국, 전교영, 김상현, 김기현, 신형엽 • 토의안건 (1) 주제 발표 후 논의 - PSC 구조물의 인장작업 시 올바른 마찰계수 추정을 위한 신장량 관리의 중요성/전세진(아주대) 제4차구조기준위원회 • 일 시 : 10월 12일(목) 14: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대면)이정윤, 전세진, 조재열, 천성철, 최정욱, (비대면) 김동주, 김창수, 서수연, 이재훈, 장승엽, 정석재, 최경규 • 토의안건 (1) KDS 14 20 강도설계법 개정 진행 보고 (2) KDS 14 22 한계상태설계법 제정 관련 보고 (3) 가을 학술대회 공청회 준비 보고 (4) 기준 개정(안) 확대 설명, 기준 전체 일관성 검토 (5) KDS 14 20과 KCS 14 20 중복 규정 검토 보고 제4차콘크리트문화위원회 • 일 시 : 10월 13일(금) 14: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권승희, 최명성, 표석훈, 김진국 • 토의안건 (1) 사진 공모전 입상작 선정 ▲ 제1차 콘크리트구조물평가기준위원회 ▲ 제9차 콘크리트표준시방서위원회학회소식 | KCI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4 제1차16-17기회장단초청간담회 • 일 시 : 10월 13일(금)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지상, 김장호, 차수원, 최석환, 김강수, 이현호, 류재석, 장봉석, 지광습, 전세진, 최경규, 홍건호, 김진만, (서철) • 토의안건 (1) 학회 현황 발표 및 기타 토의 제4차도서출판위원회 • 일 시 : 10월 13일(금) 17: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동주, 강희룡, 김태훈, 이득행, 안태호, 배성철, 이창준, 최명성, 이상윤 • 토의안건 (1) 발간문 저작권 관련 회의 (2) e-book 발간물 방안 논의(기문당) (3) 도서출판위원회 업무 검토 및 계획 논의 제5차전단-비틀림위원회 • 일 시 : 10월 16일(월) 14:00 • 장 소 :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최경규, 황현종, 박홍근, 김성현 • 토의안건 (1) 전단비틀림 기준 개정 검토 제1차KCI-ICI회의 • 일 시 : 10월 18일(수) 17: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장호 교수(KCI)-Kalgal 교수(ICI) • 토의안건 (1) KCI-ICI 미래 협력방안 논의 제1차시멘트-콘크리트그린뉴딜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11:3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볼룸B • 참석자 : 김진만, 김원기, 문주혁, 신상철, 이웅걸, 김영진, 홍근태, 송치원, 류현, 이재원, 차윤선, 장진욱, 강선호, 차인영, 박재연, 허성원, 황병일, 권준영 • 토의안건 (1) 시멘트-콘크리트 탄소중립 기술동향 발표 및 협의 제2차구조물진단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09: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볼룸A • 참석자 : 최하진, 송호민, 안은종, 주현진, 진승섭, 김상희, 양준모, 기승훈, 이지영 외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장기거동 개정 추진방향 및 실적용 사례소개 제5차골재품질관리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09: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볼룸B • 참석자 : 김진만, 이재형, 박민용, 라정민, 이재삼 외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관리 현황 제1차내구성&특수환경콘크리트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09: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스톤흘A • 참석자 : 김홍삼, 김주형, 장봉석, 권성준, 장승엽, 최윤석, 이종석, 정자혜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내구성 설계 데이터 수집 현황 및 활용 방안 ▲ 제1차 16-17기 회장단 초청 간담회 ▲ 제1차 KCI-ICI 회의 ▲ 제2차 구조물진단위원회제 35 권 6 호 2023. 11 105 제5차FRP구조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09: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스톤흘B • 참석자 : 노화성, 문도영, 이승정 외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유리섬유보강근(GFRP) 설계기준 개발 추진배경과 현황 제2차장기거동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10:3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스톤흘A • 참석자 : 권승희, 김진근, 김홍삼, 장승엽, 지광습, 최명성, 이정수, 박산하, 지기범, 김태훈, 전세진, 장봉석, 서승훈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장기거동 개정 추진방향 및 실적용 사례소개 제2차프리캐스트콘크리트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12:4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스톤흘A • 참석자 : 이득행, 홍건호, 서수연, 임병호, 최석동, 이상원, 한선진, 이용준 등 • 토의안건 (1) 가을학술대회 연구전문위원회 특별세션 개최 - 주제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연구동향 제3차슬래브-벽체위원회 • 일 시 :11월 2일(목) 11: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스톤흘C • 참석자 : 배백일, 이현호, 윤현도, 서수연, 홍성욱, 백장운, 정주성 • 토의안건 (1) 슬래브 관련 기준 용어 검토 및 실무지침 작성 계획 제2차내화콘크리트위원회 • 일 시 :11월 2일(목) 14:0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좌장실 • 참석자 : 박철우, 김승원, 김희선, 한승연 • 토의안건 (1) 실무매뉴얼 집필 준비 제6차학회지편집위원회 • 일 시 :11월 2일(목) 14:20 • 장 소 :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볼룸B 및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대면)최명성, 표석훈, 최종권, 이희영, 박병선, 안경희, 이미향, 심혜정, 송호민, 김은주, 박진영, 최수진, (비대면)천성철, 김우석, 윤진영 • 토의안건 (1) 학회지 11월호 편집 진행사항 검토 및 1월호 계획 (2) 학회지 원고료 정상화 논의 외 제5차실무매뉴얼편찬위원회 • 일 시 :11월 16일(목)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홍건호, 김상철, 이창홍, 이도형, 김영진, 문도영, 이성태, 김수환, 최수진 • 토의안건 (1) 연도별 실무매뉴얼 집필 현황 검토 (2) 진행상황 보고 (3) 기타토의 ▲ 제5차 FRP구조위원회 ▲ 제6차 학회지편집위원회 ▲ 제5차 실무매뉴얼편찬위원회학회소식 | KCI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6 제4차FRCM복합재위원회 • 일 시 : 11월 2일(목)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이진용, 최동욱, 김형렬, 하상수, 김현진, 조민수, 장준호 • 토의안건 (1) 실무매뉴얼 집필 준비 제6차국문논문집편집위원회 • 일 시 : 11월 24일(금) 16:30 • 장 소 : 학회 회의실 • 참석자 : 김우석, 윤세윤, 박성우, 표석훈, 정동혁, 류두열, 최인섭, 김은주, 박진영 • 토의안건 (1) 35권 6호(12월호) 게재 예정 목록 검토 및 권호 확정 (2) 논문 투고 확대 방안 논의 학회행사 미래융합기술위원회공개세미나 :Cable청진기시스템개발 • 일 시 : 10월 12일(목) 16:00 • 장 소 : 학회 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 참석자 : (대면)홍성걸, 김희선, 조창빈, (비대면)학회 회원 • 웨비나 상세 (1) 주제 발표 및 토의 - Cable 청진기 시스템개발 / 조창빈 박사(한국건설기술 연구원) KCILectureSeries3무료웨비나 • 일 시 : 10월 26일(목) 15:00 • 장 소 : ZOOM 웨비나 • 참석자 : 학회 회원 • 웨비나 상세 (1) Concrete Structures for Sustainable and Resilient Built Environment (2) Petr Hájek (Professor, Faculty of Civil Engineering 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 3rdACFWebinar (KCILectureSeries4무료웨비나) • 일 시 : 11월 20일(월) 14:00 • 장 소 : ZOOM 웨비나 • 참석자 : 학회 회원 • 웨비나 상세 (1) Moderator: Thomas Kang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2) Introduction to Utilization of CO₂in Concrete (Takafumi Noguchi,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kyo, Japan) (3) Life Cycle Maintenance of Concrete Infrastructures:Some Recent Research and ACF Technical Committee Activities (Jian-Guo Dai, Professor at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Hong Kong) (4) Introduction of a New ACF Technical Committee -A rtificial Intelligence in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Hyeon-Jong Hwang, Associate Professor at Konkuk University, South Korea) (5) Low-carbon and Highperformance Portland Cement/Geopolymer Pervious Concrete for Permeable Pavement (Hui Li, Professor at Tongji University, China) ▲ KCI Lecture Series 3 무료 웨비나 신규가입회원명단 정회원 번호성명생년소속 11,916 이상열1968(주)하제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11,917 김상훈1984국민대학교 간디자인과 졸업 11,918 이관우2001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11,919 한상민1996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0 김민원1999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1 김준구1999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2 공현2001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3 정시현1999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4 최윤수1999공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25 박원주1977국토안전관리원 교량실 부장 11,926 이승엽1992 경상대학교 건축도시토목대학원 대학원생 11,927 오유미1988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28 박해용1983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11,929 홍종원1998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제 35 권 6 호 2023. 11 107 정회원 번호성명생년소속 11,930 이승현2000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11,931 권우리1997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32 구다혜1988 롯데정밀화학(주) 그린소재연구팀 책임 11,933 박현도1989금호건설(주) 기술연구소 매니저 11,934 최은석1997대구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생 11,935 전승배1994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11,936 박인호1998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37 김한별1998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대학원생 11,938 이선재1995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39 Ali Farman 1999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생 11,940 강태훈1996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대학원생 11,941 김기석1984 (주)도담이엔씨 연구개발전담부서 부장 11,942 김선형2000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생 11,943 한동윤1997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대학원생 11,944 장정민1999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45 김수연2000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46 남영진1998세명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대학원생 11,947 김민국1997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48 백영범1997중앙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49 임하준1992세명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대학원생 11,950 김태형1996세명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대학원생 11,951 1996한국교통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52 Usman Hanif 1989한국교통대학교 건축공학과 연구원 11,953 박지훈1996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54 무함마드 하시브 자히르 199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학생연구원 11,955 Inzimam1996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56 차윤선1999 경희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11,957 김민영2001 이화여자대학교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대학원생 11,958 MENG LIYI 2000 강원대학교 에너지인프라융합학과 대학원생 11,959 양박1999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60 심성일1982유네코(주) 기술연구소 연구소장 정회원 번호성명생년소속 11,961 이원영1984유네코(주) 환경영업팀 팀장 11,962 이정환1981유네코(주) 환경사업본부 본부장 11,963 윤현1961성보넥스코(주) 대표 11,964 오현주1992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65 이문희1993한국도로공사 대리 11,966 장지호1973관수이앤씨 기술부 상무 11,967 이선민1990국토안전관리원 진단TFT 사원 11,968 강감찬1998군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69 구재혁1998공주대학교 농공학과 대학원생 11,970 박상현1999공주대학교 농공학과 대학원생 11,971 남궁경욱1998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72 1999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73 김영민1998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74 박인성1973중흥건설(주) 건축부 부장 11,975 조규형1998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대학원생 11,976 박철1971(주)유신 구조부 상무이사 11,977 임정현1999(주)삼표산업 기술협력팀 매니저 11,978 박성진1991(주)삼표산업 기술평가팀 매니저 11,979 정민구1994 한양대학교 스마트시티공학과 대학원생 11,980 이한나1998공주대학교 농공학과 대학원생 11,981 우성엽1997 동아대학교 ICT융합해양스마트시티 공학과 대학원생 11,982 김지원1983(주)은일 대표 11,983 Pitajeng Rizky 1995 동아대학교 ICT융합해양스마트시티 공학과 대학원생 11,984 Ngan Nguyen 1999 동아대학교 ICT융합해양스마트시티 공학과 대학원생 11,985 김종언1977에이티엘피(주) 대표이사 11,986 양지환1993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11,987 유현지2000 울산과학기술원 지구건설도시환경 공학과 대학원생 11,988 김수나1984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과 대학원생 11,989 공금배1977(주)서린브릿지텍 설계팀 부장 11,990 이문섭197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위원 11,991 김영석197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북방인프라특화팀 팀장 11,992 안기홍197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연구본부 수석기술원 11,993 남욱찬1986롯데정밀화학(주) 그린소재연구팀 책임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