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8 수준별 최대하중에 도달한 지점을 연결하여 포락곡선 을 작성하고 <그림 7>에 기존 PC 벽체 실험체와 내력 PC 벽체 실험체의 포락곡선을 나타내었다. 기존 PC 실험체는 최대강도 도달 후 급격하게 내력 이 감소되었다. 벽체가 최대강도에 도달하기까지 충분 한 내력을 나타내지 못하여 가력 프로토콜의 이른 시점 에서부터 패널 간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하 여 소성거동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력 PC 벽체는 최대강도 도달 이후 강도 저감 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패널 분리 거동이 뚜렷 이 관찰된 이후에는 강도가 40% 이상 급격히 감소하 였다. <표 1>에 각 실험체의 정방향 및 부방향 최대하중과 정방향 및 부방향의 초기강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초기 강성은 Priestley와 Park(1987)가 제시한 방법으로 도 출하였다. 당사가 제안한 내력 PC 벽체의 실험체는 기 존의 PC 벽체 상세를 가지는 실험체와 비교하여 철물 에 매입에 따른 초기강성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최대하 중은 약 60% 증가하였다. 2.3 수평 접합부 성능 실험 2.3.1 실험 계획 수평 접합부 성능 실험은 수직 접합부 실험과 동일하 게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2021년 3월에 수행되었고 실험체는 현장타설과 비교를 위한 RC 벽 체, 기존 PC 벽체, 내력 PC 벽체로 총 3개의 실험체 성 능을 비교하였다. PC 벽체 실험체는 수평 접합부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벽체를 하나의 패널로 제작하였다. <그림 8(a)>와 같이 기초부를 제작하고 <그림 8(b)>와 같이 하나의 벽 체 패널을 기초부에 설치한 후 <그림 8(c), (d)>와 같이 접합부를 무수축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타설하였다. 기 존 PC 벽체의 경우 스플라이스 슬리브 4개로 수평 접 합부를 구성하였다. 2.3.2 실험 결과 <그림 9>에 실험 균열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림 9(a)>는 RC 벽체 실험체의 실험결과이고, <그림 9(b)> 는 기존 PC 벽체 실험체의 실험결과이며, <그림 9(c)> 는 PC 전단벽체 실험체의 실험결과이다. 실험으로 얻은 하중-변위 곡선을 바탕으로 변위수 준별 최대하중에 도달한 지점을 연결하여 포락곡선을 작성하였다. 캔틸레버형 경계조건을 가지는 RC 실험체 에 대해서는 강성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에 대한 보수적인 평가를 위하여 부방향의 포락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 10>에 나타내었다. RC 실험체는 최대강도 시점까지 단면해석 결과와 포락곡선이 거의 일치하였다. 가력변위가 증가함에 따 라 벽체 경계부 패널 및 기초부에 균열이 고르게 분포 하였다. 표 1. 수직 접합부 실험의 실험체별 최대하중 및 초기강성 최대하중(+) [kN] 최대하중(-) [kN] 초기강성(+) [kN/mm] 초기강성(-) [kN/mm] 기존 PC331.8306.621.4 22.0 내력 PC510.8491.622.8 22.0 (a) 기초부 제작(b) 벽체 패널 설치 (c) 스플라이스 슬리브 무수축 몰탈 타설(d) 벽체 패널 각형강관 콘크리트 타설 그림 8. 기존 PC 벽체 실험체의 하중-변위 곡선제 35 권 6 호 2023. 11 89 기존 PC 실험체는 최대하중 도달 이후 강도가 급격 히 저감되었다. 균열 또한 벽체 전체에 휨 균열로 분포 하지 않고 수평 접합부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횡하중을 받는 전형적인 PC 벽체의 거동 양상을 보였다. 내력 PC 실험체는 기존 PC 실험체에 비해 최대하중 도달 이후 강도 저감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또한, 균열 이 수평 접합부에 집중되지 않고 하단부에 다수의 균열 로 분포되었다. 포락곡선을 활용하여 도출된 최대하중과 이론값 대 비 백분율 및 초기강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모든 실 험체는 이론값을 15~34% 범위로 상회하는 최대하중 이 실험결과로 나타났다. 당사가 제안한 내력 PC 벽체 의 실험체는 수평 접합부에 적용된 각형강관 철근의 영 향으로 최대하중이 RC 실험체 및 PC 실험체와 비교하 여 각각 16% 및 4%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PC 실험체 는 RC 실험체에 비해 초기강성이 80%로 감소하였으 나, 내력 PC 벽체의 실험체는 RC 실험체 및 PC 실험체 와 비교하여 각각 10%, 37% 증가하였다. 3. 내력 PC 코어 현장 적용 3.1 내력 PC 코어 부재 생산 개발된 내력 PC 코어를 (주)까뮤이앤씨의 물류센터 신축공사 현장에 적용하였다. 물류센터 현장은 지하 2 층 지상 4층으로 RC 벽체와 내력 PC 코어 시스템이 같 이 적용되었고, 2개소의 계단실(3.3m×5.8m)에 내력 PC 코어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건축물의 층고는 10m 내외로 총 4개 층(지하 2층, 지하 1층, 지상 1층, 지상 3 층)에 적용하였다. 부재는 <그림 11>과 같이 층당 6매 로 나뉘어 총 48매의 부재를 생산하였다. <그림 12>에 생산된 부재 사진을 나타내었다. PC 벽 체 패널 전체 높이에 걸친 스터드 부착형 각형강관을 부 재 측면에 매입하였고, 각형강관 상단의 매입 철물은 공 장에서 용접하여 현장 작업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3.2 내력 PC 코어 조립 <그림 13>에 당사 물류센터 현장의 내력 PC 코어 시 스템 시공 절차를 나타내었다. 먼저 <그림 13(a)>와 같 (a) RC 벽체 실험체(b) 기존 PC 벽체 실험체(c) PC 전단벽체 실험체 그림 9. 수평 접합부 실험체의 균열 양상 그림 10. 수평 접합부 실험의 실험체별 포락곡선 표 2. 수평 접합부 실험의 실험체별 최대하중 및 초기강성 최대하중(+) [kN] 백분율 [%] 초기강성(-) [kN/mm] RC250.911570.3 기존 PC279.912956.2 내력 PC292.213477.2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0 이 기둥 및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먹매김을 하고, <그 림 13(b), (c)>와 같이 기둥과 보를 조립한 후, <그림 13(d)>와 같이 PC 전단벽체를 조립하였다. PC 코어 작업 기간은 총 1.5일이 소요되었다. <그림 11>의 ‘ㄱ’자 부재 4매는 오전에 작업하였고, ‘ㅡ’자 부 재 2매는 오후에 작업하였다. 이후 스플라이스 슬리브 에 무수출 몰탈을 타설한 후, 다음날 오전에 내부 계단 을 조립하여 1개 층 코어 1개 소의 작업 기간은 총 1.5 일이었다. <그림 14>는 조립 후 마감작업이 완료된 PC 코어 내 부와 상부 슬래브 조립 및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PC 코어 외부 사진이다. 내력 PC 코어 시스템을 적용한 결 과 현장작업이 줄어 시공성이 향상되었다. 3.3 내력 PC 코어 시스템의 적용 효과 내력 PC 코어 시스템은 PC 벽체 패널 전체 높이에 걸친 스터드 부착형 각형강관으로 PC 벽체의 수직 접 합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별도의 접합 철물 설 치가 필요하지 않아, 기존 PC 전단벽체 대비 시공성이 향상되고 현장 관리가 용이하였다. 또한, 수평 접합부의 스플라이스 슬리브와 단면 내에 서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용접된 각형강관 철근이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전단력과 휨모멘트에 저항하여 PC 골조의 물량을 감소 시킬 수 있었다. 당사 물류센터 현장에서는 현장 특성상 기둥과 보의 골조를 선 시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기 둥-보 골조를 선 조립하였으나, 내력 PC 코어를 선행한 그림 11. 당사 물류센터 내력 PC 코어 평면 그림 12. 공장에서 생산된 PC 전단벽체 그림 13. 당사 물류센터 현장 내력 PC 코어 시스템 시공 절차 (a) 기둥 및 벽체 먹매김(b) 기둥 조립 (c) 큰 보 및 작은 보 조립(d) PC 전단벽체 조립 그림 14. PC 전단벽체 시공 사진제 35 권 6 호 2023. 11 91 다면 공사관리가 더욱 쉽고 장비 효율이 극대화될 것으 로 판단된다. 5. 맺음말 최근 현장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PC 공법이 이슈 화되며 기존의 지하주차장, 물류센터, 반도체 공장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도 PC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동 시에 받는 코어 벽체에 PC 공법을 적용하면 공사관리 가 용이하고 장비 효율이 극대화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주)까뮤이앤씨는 각형강관/스터드 볼트 등을 사용 하여 PC 벽체의 수평 및 수직접합부에서 일체화된 거 동으로 횡력 작용 시 내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PC 전 단 벽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PC 전단 벽체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대형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직 접합부 실험에서 개발된 PC 전단벽체는 국내 건 설현장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존 PC 벽체보다 전 단내력이 우수하였고, 수평 접합부 실험체서는 RC 벽 체의 전단내력 대비 동등 성능 이상 발현되었다. 내력 PC 코어 시스템을 당사의 물류센터 현장에 적 용한 결과, 내력 PC 코어의 횡력저항으로 PC 골조의 물량이 감소하였고, 공장에서 각형강관을 매입하여 기 존 PC 전단벽체 대비 벽체 간 연결 철물이 불필요하여 시공성이 향상되었다. 당사 현장에서는 기둥-보 골조 를 선시공하였으나, 추후 PC 공동주택에 적합한 최적 의 내력 PC 코어 모듈 형상을 도출하여 코어를 선시공 한다면, 시공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어 공동주택에서도 PC 공법 적용이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1. 연속 시공형 PC벽체 구조성능평가, 서울시립대학교, 2020. 2. Strength and ductility of concrete bridge columns under seismic loading, ACI Structural Journal, M. J. N. Priestley and R. Park, 1987. 3. https://www.dnews.co.kr/uhtml/view. jsp?idxno=202302241633096050821 참고문헌 담당 편집위원 : 심혜정((주)까뮤이앤씨) hjsim@camusenc.com 권순영 미래연구소 소장 은 1990 년 성균관대학교에서 건축공학을 전 공하였고, 1990년부터 (주)까뮤이앤 씨(구 삼환까뮤)에 재직 중이다. 2006 년에는 까뮤이앤씨 이천 공장의 공장 장으로 재직하였고, 현재는 PC 사업 부문의 부문장(전무)를 맡고 있다. sykwon@camusenc.com •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대한건축학회 • 정가(비회원가) : 60,000원 • 발행일/Page : 2021.04.26 • 회원할인가 : 48,000 원(20%) • 구입방법 : 우리 학회 온라인 도서구입 홈페이지 | 도서소개 | 이 도서는 내진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점차 성능기반 내진설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고 층의 공동주택 외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에 대해서도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적용할 수 있 도록 기존 대한건축학회에서 발간한 「공동주택 성능기반 내진설계 지침」을 개편하여 발간하였 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성능기반 내진설계를 위한 비선형해석모델국제소식 및 국제학회지 주요기사 | NEWS AND ARTICLES IN INTERNATIONAL CONCRETE MAGAZIN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2 ■ Concrete International(October, 2023) 1. A New Way to Predict Creep and Shrinkage 매년 ACI 콘크리트 연구위원회는 여러 콘크리트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제안요청(RFP) 프로그램을 주최한다. 이 기사는 크리프 및 수축 현상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복잡한 현실을 포착하는 시간 종속 설계 모델 개발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에 관한 것이다. ACI 주요기사 사진 1. The research project’s calibrated model predictions compared to measurements from the Northwestern University creep and shrinkage database 2. Building Code Compliance of Alternative Applications Case Study 이 기사는 미국의 현행 건축법에 따라 콘크리트를 설계하기 위한 대체 방법 개발에 대한 것이다. 이는 국제 규정 위원회 평가 서비스(ICC-ES AC470)에 대한 적합성 검증 및 허용 기준 문서 개발에 관한 것이다. 3. Improving Customer Service through AI 이 기사는 콘크리트 생산에 인공 지능(AI)을 구현하는 방법, 특히 AI가 콘크리트 생산업체에 어떤 이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AI의 도움으로 고객의 요구 사항을 더 깊이 이해하고 공급망을 최적화하여 이러한 요구 사항을 효과적으로 충족하고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앞서 나갈 방법을 설명한다. 사진 2. ASTM C78/C78M flextural test setup; Shrinkage specimen for ASTM C1579 testing제 35 권 6 호 2023. 11 93 ■ Concrete International(November, 2023) 1. Fiber-Reinforced Concrete for Long-Term Durable Structures—Case Studies 섬유는 시멘트계 재료를 강화하고 균열 전후 거동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이 기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섬유 강화재의 사용과 최대 40년 동안 다양한 지리적 위치의 다양한 응용 분야를 포괄하는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유형의 섬유를 사용하는 이점을 강조한다. 사진 1. Pavement with Type I steel fibers at the Maersk Container Terminal, Algeciras, Spain, constructed in late 1990s; Precast pipes with steel fibers have been manufactured by SIMAT in France since 1995 2. The Essence of Carbon Neutrality in Concrete- Related Technologies 슬래그와 플라이애시는 시멘트 클링커 사용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CO 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시멘트 대체재로 콘크리트 혼합물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은 철강 생산 및 전기 생산과 동시에 발생하므로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에서 파생되는 CO 2 를 함유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3. Overcoming Barriers to Adopting Carbon Reduction in Concrete 시멘트 및 콘크리트 규정, 사양 및 표준, 현재 지속가능성 코드, 콘크리트 건설의 위험 및 재료 생산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에 대한 탄소 감소 전략을 논의한 보고서가 2023년 4월 Breakthrough Energy Foundation에 제출되었다. 이 기사는 보고서 결론에 제공된 실행 계획을 요약한다. 사진 2. An estimate of CO 2 emission intensity of steel and slag국제소식 및 국제학회지 주요기사 | NEWS AND ARTICLES IN INTERNATIONAL CONCRETE MAGAZIN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4 ■ JCI 콘크리트학회지(October, 2023) 1. 2022년 제정 일본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개정 개요(1) - 전체 개요와 기본 원칙편에 대해 - 토목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 기준인 일본토목학회의 ‘콘크리트 표준시방서’가 개정되어 2022년에 기본 원칙편, 설계편, 유지관리편의 세 편이 발간되었다. 본고에서는 첫 번째로, 세 편의 개정 개요와 기본 원칙편을 소개한다. 이번 개정에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전반적인 특징은 최근 사회적 배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해설의 본래 취지를 기반으로 한 서술로 통일을 추구하였으며, 전자출판을 동시에 발간하였다. 또한, 10년 만에 개정되는 기본 원칙편에서는 2012년 개정판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개정하였다. 2. 토목 분야에서 지오폴리머 기술의 실용화 추진을 위한 이니셔티브 건설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를 기반으로 하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를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한 것이 주류이다. 이는 저탄소와 다양한 부산물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강산과 고온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갖는다. 또한, 중금속이나 세슘 등의 유해 물질을 고정하는 능력도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토목학회에서 구성한 ‘토목 분야에서 지오폴리머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소위원회(2019~2022년)’의 성과 일부와 여러 필자가 진행한 최신 연구 및 대응 방안을 소개한다. 3. 미야코지마 투리버 지구 호텔 계획에 있어서 장대 건물에 대한 콘크리트의 수축을 고려한 설계 대응 본고에서는 미야코지마 서해안의 투리버 지구에 있는 리조트 호텔을 소개하고 있다. 이 호텔은 미야코지마와 이라베섬을 잇는 이라베 오하시를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미야코지마는 콘크리트 수축에 매우 이상적인 조건을 가진 지역이므로, 그 장점을 활용하여 양익 80m, 전체 길이 약 190m의 장대 건물을 일체화하는 계획을 실현하고 있다. 일체화를 위해, 설계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수축량을 예측하고, 그를 이용한 응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공 단계에서는 광섬유 계측을 통해 분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 4. 뉴마틱 케이슨 공법을 이용한 배수지 건설에 있어서의 대규모 콘크리트 공사에 대해서 최근 정수장 정비의 필요성, 지진 등 상수도와 관련하여 여러 문제를 직면하고 있다. 또한, 인구 감소와 감염증 등 수도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과제도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도쿄도 수도국에서는 미래에 안전하고 고품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견고하고 지속 가능한 수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송수관의 네트워크화, 급수소의 신설 등의 대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배수지 축조 공사는 이런 일환으로, 정수장에서 송수된 5만m 3 의 수돗물을 일시적으로 저수하고, 배수 구역 내에서 안정된 수압으로 물을 배분하는 시설을 뉴마틱 케이슨 공법으로 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도시부의 좁은 작업 공간에서 시간적 제약이 있는 가운데 밀실한 콘크리트를 주입하기 위한 시공 계획과 환경친화적인 콘크리트의 사용 실적에 관해 소개한다. JCI 주요기사제 35 권 6 호 2023. 11 95 ■ JCI 콘크리트학회지(November, 2023) 1. 「콘크리트 압송 공법 지침 2023」의 개요 일본콘크리트학회에서는 2023년 3월에 「콘크리트 압송 공법 지침 2023」을 발간했다. 본 지침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지침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고, (1) 평균 압송량, 계획 토출량 및 필요한 토출량의 명확화, (2) 압송 작업과 배관 사용 (3) 물/시멘트비 0.45~0.65의 보통 콘크리트의 관내 압력 손실(K)의 표준치 제시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다. 2. 2022년 제정 일본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개정의 개요(2) - 설계편 - 2023년 3월에 일본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설계편이 5년 만에 개정되었다. 이번 개정에서는 적용 범위를 기존 구조물로 확대하여 지진뿐만 아니라 충돌, 쓰나미, 홍수 등을 우발적 영향으로 다루고, 고강도 철근을 대상으로 철근 강도의 적용 범위를 변경하였으며, 설계와 시공·유지관리, 특성치와 재료 물성의 설계치 의미를 명확화, 내구 설계 및 내구성의 안전 계수 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 2023년 1월 철도 구조물 등 설계 표준·동해설(콘크리트 구조물) 개정의 개요 「철도 구조물의 설계 표준(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시(2015년 12월)에 따라, 「철도 구조물 등 설계 표준 및 동해설(콘크리트 구조물)」이 2023년 1월에 발간되었다. 본 표준에서는, 주로 구조물이나 재료의 종류별로 제정된 설계 표준의 구성을 개편하고, 제Ⅰ편 기본 원칙, 제Ⅱ편 교량 구조, 제Ⅲ편 콘크리트 구조, 제Ⅳ편 지승 구조를 제정했다. 그리고 철도 시스템에서의 구조물의 최적화를 위해 배근이나 치수의 합리화, 손상 부위나 손상 순서의 적정 평가 등을 위한 설계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4. 건설용 3D 프린터로 건설한 건축물의 설계 및 시공 건설용 3D프린터는 건설의 자동화나 복잡한 형상 제조의 용이함 등의 장점이 있으며, 전통적인 건설 프로세스를 변화시킬 기술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시멘트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구조물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부담 방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필자들은 인장력을 부담하는 재료로써 초고강도 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3D 프린터제의 펀칭 형틀에 충전하는 공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본 공법을 이용하여 실제 건축물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3D 프린터로 건축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당 편집위원 : 신지욱(경상국립대학교) jiukshin@gnu.ac.kr 박솔뫼(부경대학교) solmoi.park@pknu.ac.kr도서소개 | BOOK REVIEW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6 Underwater Inspection and Repair for Offshore Structures by John V. Sharp, Gerhard Ersdal / John Wiley & Sons, 2021, 368p 해안가와 같이 특수한 환경에 놓인 구조물은 일반적인 구조물보다 빠른 속도로 열화가 진행되며, 조기 성능저하를 막기 위한 검사 및 보수가 필수적이다. 이 책은 해안에 위치한 석유 및 가스 설비와 같은 강구조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검사와 보수 방법에 대한 개략적 인 설명과 함께, 구조물의 안전성과 법적인 요구사항, 해양 구조물의 다양한 손상 유형 등 을 서술하고 있다. 저자인 John V. Sharp는 영국 Cranfield 대학의 객원교수로 주 연구 분 야는 구조물의 열화, 수명연장, 검사 및 보수이며, 영국 보건안전청의 해안구조물 연구 프 로젝트의 책임자를 역임하였다. Gerhard Ersdal 역시 노르웨이 Stavanger 대학의 기계 구조 공학 및 재료과학과의 교수로, 구조안전성, 구조물 수명연장, 그리고 리스크 관리 분 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책은 해양 구조물을 다루는 엔지니어, 설계자, 안전 관리자의 검사 및 보수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Strengthening of Concrete Structures with Adhesively Bonded Reinforcement:Design and Dimensioning of CFRP Laminates and Steel Plates by Konrad Zilch, Roland Niedermeier, Wolfgang Finckh / John Wiley & Sons, 2014, 158p 역사적으로 중요한 구조물 또는 일반적인 구조물 역시 사용성, 경제성 등의 이유로 보강 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콘크리트 부재 보강 방법으로는 탄소섬유시트, 강판의 표 면 부착을 통한 휨 및 전단보강, 탄소섬유판의 매입을 통한 휨보강, 탄소섬유시트를 구속철 근으로 활용한 기둥보강 방법 등을 볼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은 토목 공학 전공으로 독일 의 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교수, 제품 시험 기관 실험실 책임자 및 기업의 설 계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이 분야의 전문성을 쌓아왔다. 저자들은 독일의 철근콘크리트 위 원회(DAfStb)의 지침을 기반으로 이론적 배경과 함께 설계 방법을 설명하고, 슬래브, 보 및 기둥에 대한 예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분야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유럽의 보강 지침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담당 편집위원 : 안경희(한국원자력연구원) akh425@kaeri.re.krQ & A | QUESTION & ANSWER 우리 학회와 학회지편집위원회에서는 콘크리트에 관련되는 현장기술자의 의문사항에 대하여 적절한 답변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구조물에 관하여 질문사항이 있으신 회원은 언제든지 본 난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 35 권 6 호 2023. 11 97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저하와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최소 요구기준이 궁금합니다. 1.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 필요성 콘크리트는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건설자재로 그 지위를 오랫동안 누려 왔으나 유해한 환경 조건에 노출되면 다양한 물리적·화학적 변화 과정을 거치면서 성능이 저하됩니다. 설계단계에서 가 정하였던 내구성능이 기대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조기열화를 겪게 되면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 기 위해 유지관리 단계에서 보수보강의 요구에 직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비용 또한 클 수밖 에 없습니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이 해양환경이나 제설환경에 건설될 경우 조기열화를 유발하는 유해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기후변화로 인해 환경조건은 더욱 악화되고 있으 므로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노력은 기술적으로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 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기도 합니다. 2. 콘크리트의 성능저하 메커니즘 대표적인 성능저하(열화, Deterioration) 현상은 염해, 동해, 탄산화, 알칼리 골재 반응 및 화학적 침식입니다.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성능저하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습니다. 3.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국가 기준 강화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인 노력의 하나로 국가 기준이 강화되었 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확보를 위한 기준은 KDS 14 20 40(콘크리트구조 내구성 설계기 김홍삼 Hong Sam Kim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구조물연구실 연구위원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