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8 Q & A | QUESTION & ANSWER 2. 합성수지 거푸집 제작공정 합성수지 거푸집은 합성수지 원료(LDPE, HDPE 등) 만 으로 제작됩니다.(단 거푸집 색상을 내기 위해 알갱이 형태 의 색소를 첨가할 수 있습니다.) 먼저 직경 3∼ 5 mm 알갱 이 형태의 폴리에틸렌 원료를 사출기에 투입한 후 사출 공정 에 대한 세부사항을 세팅합니다. 이후 세팅 조건에 따라 거푸 집 사출이 진행되고 최종 냉각과정을 거쳐 완제품이 생산됩 니다. 제품원료 투입 후 완제품 생산까지 약 2∼ 3분가량 소 요되는데 이러한 제작공정은 유로폼과 비교해도 제작 공정 종류, 제작시간, 안전성 등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 습니다. 3.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적용검토 1단계 가열 길이 변화 실험, 충격시험, 소음 테스트를 마친 후, 2단계 화재 연소실험, 구조성능실험, 제품생산 및 폐기 전 과정의 환경영향평가, 콘크리트 수화열 검토를 거쳐 3단 계 현장 적용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림 2>는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 시공 현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 적용은 첫 번째 그림과 같이 전체가 아닌 현장 일부분에 높이 2.4m, 길이 5 m 정도로 설 치하였습니다. 두 번째 그림은 유로폼과 합성수지 거푸집 접 합부 체결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합성수지 거푸집은 플랫 타 이, 웨지 핀 등 기존 유로폼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시공방법 또한 기존과 동일합니다. 마지막 그림은 합성수지 거푸집 콘크리트 충전 상황을 나 타낸 것입니다. 수평 거푸집의 경우 기존 슬래브 전용 합성 수지 제품 시공으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내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수직 벽체의 경우 콘크리트 충 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은 흔치 않았습니 다. 콘크리트 충진성은 슬래브보다 수직 벽체 부위가 구조적 으로 더 중요한 사안이므로 합성수지 거푸집을 적용했을 시 수직 구조체 충전 현황을 거푸집 탈형 전에 확인할 수 있습 니다. 또한 수직 벽체 콘크리트 타설량을 즉시 확인할 수 있 어 시공 중 콘크리트 잔여물량 조정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됩 니다. (a)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시공(b) 유로폼과 합성수지 거푸집 체결(c) 합성수지거푸집 부위 콘크리트 충진 확인 그림 2.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시공 담당 편집위원 : 임명관(송원대학교) limmk79@songwon.ac.kr제 33권 4호 2021. 07 99 합성수지 거푸집 현장 적용성 검토 1. 대한주택공사, 계획에서 시공까지 거푸집공사 길라잡 이, 2008. 2. Kim T.H, Ahn, S.J, Lee, Y.D, Nam, K.Y,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Synthetic Resin Form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8(6), 577~584, Dec, 2018. 3. Nam, K.Y, Yang, K.H, Lee, Y.D, A Study on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 of Synthetic Resin Form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3), 245~252, Jun, 2020. 4. Nam, K.Y, Lee, H.J, Yang, K.H, Mun, J.H, Evaluation on Flexural Behavior and Proposals of Stiffness Model for Synthetic Resin Formwork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8), 153~159, August, 2020. 참고문헌 남경용 박사는 단국대학교 건축 공학과에서 콘크리트 품질향상을 위 한 단열갱폼의 적용성 평가 및 개선 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7년부터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기술연구소에서 재직하고 있 다. 주 관심 연구 분야는 단열갱폼, 합 성수지 거푸집, 한중콘크리트 등이다. skaruddyd@hanmail.net 김성덕 박사는 단국대학교 건축 공학과에서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 라이 애시를 이용한 80 MPa급 고강 도콘크리트의 품질 및 시공성 평가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국 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근무를 거쳐 2018년부터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기술연구소에서 재직하고 있 다. 주 관심 연구 분야는 P.C와 AI 등 을 통한 품질, 자재관리 시스템 구축 등이다. skyksd1@nate.com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출판사 : 기문당 •발행일/Page : 2021.03.15 •정가(비회원가) :68,000원 •회원할인가 : 54,400원(20%) 도서 소개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해설 2021 2021년2월KDS142000:2021이새롭게고시됨에따라이를사용하여콘크리트구조물의설계에종사하는 실무기술자의이해를돕고기준활용의편의성을제공하기위하여설계기준해설집을발간하게되었다.이해설집 은새로고시된기준의각조항에대한배경및필요성,학술적근거및적용범위,적용방안및제한,조항의변천등 에대하여상세히기술하여실무기술자뿐아니라콘크리트설계에관련된분야의학생들에게도도움이되도록하 였다.해설집의작성은우리학회에서발간한콘크리트구조학회기준(2017)의해설내용을근간으로KDS1420 00:2021의집필에참여한전문가들을중심으로진행되었으며,사용자의편의를위하여학회기준과달리KDS의 체제및순서에따라이루어졌다.또한,고시된기준의일부편집오류및오자등경미한사항에대한수정및보완 을통하여기준의사용에불편함이없도록하였으며,각조항과관련된우리학회의실무지침을소개하여기준의이 해및활용을돕고자하였다.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100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Concrete International(May, 2021) 5월호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열화 메커니즘 기사와 콘크리트의 재료적 개선으로 인한 무근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대한 기사를 소개하고 있다. 1. Microbially Induced Corrosion of Concrete 콘크리트 열화 원인으로 미생물에 의한 콘크리트 부식(Microbially Induced Corrosion of Concrete, MICC)은 동결융해, 염해, 탄산화 등에 비해 덜 알려져 있다. 미생물에 의한 콘크리트 부식과 이를 유발하는 생태환경 조건에 대한 이해는 신설 구조물의 설계와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본 기사는 미생물에 의한 발생한 콘크리트 부식에 대한 열화 메커니즘을 소개하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2. Structural Plain Concrete Gets a Fresh Look 무근 콘크리트 부재는 아치, 받침대, 기초 등에 사용되며 ACI는 2019년에 무근 콘크리트 위원회(ACI Committee 380, Structural Plain Concrete) 다시 설립하였다. 본 위원회 설립 목적은 무근 콘크리트 구조물 성능 향상과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설계법 및 시공법 개발에 있다. 최근 콘크리트의 재료적 향상과 관련 설계법 개발에 의해 시공 현장에서의 무근 콘크리트 부재의 지속적/경제적 사용이 예상되고 있다. ACI 주요기사 사진 1.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pH versus time for three-stage process of MICC (left) and Calcium sulfate (gymsum) forms a whitish foamy mass on concrete (right) 사진 2. The title page from the ACI 322-72, Building Code Requirements code for Structural Plain Concrete (left), and A 114 mm thick tilt-up concrete panel designed using performance-based design principles in lifted (right)제 33권 4호 2021. 07 101 3. Industrial Fiber Concrete Floors 공장의 바닥판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경우 지면 위에 바닥판을 타설 하는 형식 또는 파일에 의해 지지되는 형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웨덴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 바닥판 설계 시, 안전수준에 따라 두 가지 방법 중에 하나를 사용한다. 본 기사는 관련 콘크리트 바닥판 설계에 대한 두 개의 설계 방법의 장단점을 소개하고 있다. ■ Concrete International(June, 2021) 6월호에서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건축 관련 내용과 경량콘크리트의 특성과 미래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리고 2020년 숏크리트 공법을 사용한 우수 콘크리트 구조물 시상도 다루고 있다. 1. Structure of Biblical Proportions 1882년 안토니오 가우디가 설계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을 건축하기 시작했을 당시, 사암이 주된 건축 재료였다. 하지만 지난 20년간은 사암 대신 고성능 콘크리트를 주요 건축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고성능 콘크리트 사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였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영구 거푸집으로 사용되었다. 본 기사는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건축을 소개하면서 재료 발달로 인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에 사용되는 시공재료의 변천 및 적용을 소개하고 있다. 2. Is Lightweight Concrete a Viable Product? 본 기사는 경량콘크리트 사용에 대한 기술적, 경제적 이점을 다루고 있으며 경량콘크리트 시장 상황에 대한 것도 다루고 있다. 더불어 미래 경량콘크리트 시장 예측과 경량콘크리트의 새로운 적용 사례 및 시장 확대에 있어 예상 가능한 장벽 또한 다루고 있다. 현재 미국의 경량콘크리트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관련 당사자(콘크리트 재료 판매 및 제품 판매자, 구조 기술자, 건축가, 경량골재 판매자 등) 517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본 기사를 작성하였다. 사진 1. The Nativity facade features two 107 m towers flanked by 98 m towers. This facade was nearly completed under the direction of Gaudi (left) and Stone or precast concrete exterior “drums”were used to form the trunks and branches with reinforced concrete cores (right) 사진 3. Contribution from the ground 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102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 2020 ASA(The American Shotcrete Association) Outstanding Shotcrete Project Awards 본 기사는 2020년 미국 숏크리트협회에서 발표한 우수 숏크리트 프로젝트 상을 수상한 구조물을 소개하고 있다. ■ JCI 콘크리트학회지(April, 2020) 1. [해설] 콘크리트 메인터넌스 협회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 는 아질산 리튬에 의한 보수 설계·시공 지침(안)」의 개요 2020년 4월 일본 콘크리트 메인터넌스 협회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아질산 리튬에 의한 보수 설계·시공 지침(안)」이 발간되었다. 본 지침(안)의 구성은 공통편과 공법별 매뉴얼편으로 나뉘어진다. 공통편에서는 주로 아질산 리튬의 재료 특성과 아질산 리튬을 이용한 보수공법 선정의 흐름에 대해 기술하고 있고, 공법별 매뉴얼편에서는 표면함침공법, 단면수복공법, 균열주입공법 및 내부 압입공법 등 각 공법의 설계, 시공, 시공관리 기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는 이번 발간된 본 지침(안) 주요 부분의 개요를 소개한다. 2. [기술기사-1] 벽을 대상으로 하는 Fc30 클래스 보통 콘크리트 타설 시 이어치기 시간 간격에 대한 고찰 건설현장에 있어 문제 발생 등으로 콘크리트가 연속적으로 타설되지 않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탈형 후 외관을 검사하고 이어치기 면을 확인하여 색상 차이가 생기는 정도라면 문제없다 판단하지만, 이음매가 생기는 경우는 콘크리트 타설의 불량이라 판단하여 보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저한 색상 차이 또는 색상 차이와 이음매 발생의 중간 또는 혼재 상태 등 객관적으로 명확히 판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대한 보수의 여부 판단은 감리자의 주관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이어치기 시간 간격을 3시간으로 한 시험체 및 코어 시험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비파괴 시험 결과 및 재하시험 결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JCI 주요기사 사진 2. Respondents’opinions regarding factors that limit the sued lightweight concrete: (left) primary factor limiting current use; (center) primary factor limiting future use; and (right) understanding of local availability of lightweight concrete type 사진 3. Las Olas Corridor Improvements-Shade Canopy, Fort Lauderdale, FL, USA (left), The Kaitif Skatepark, Christ Church, Barbados (center), and Park Avenue Tunnel Rehabilitation, New York, NY, USA (left)제 33권 4호 2021. 07 103 3. [기술기사-2] 이어치기 시간 간격에 착안한 콘크리트의 최적 타설 계획 시뮬레이션 수법의 개발 콘크리트 이어치기 시간 간격에 기인한 초기 결합의 방지는 시공 관리의 기본 사항이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 계획은 현장 기술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책정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공사의 자동화를 추진한다는 관점에서 타설 계획도 자동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어치기 시간 간격이 최단 또는 그와 같은 정도가 되도록 타설 순서를 계산하는 계산 수법을 검토하고 타설 계획 책정을 지원하는 시뮬레이션을 작성하였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설 순서나 타설 개시 위치, 타설개소 수를 검토하고 이를 포함한 타설 계획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4. [기술기사-3] 중부 지방 반응성 골재의 암석·지질학적 조사와 플라이 애시 콘크리트의 지역 적용 신설 및 기설 콘크리트 구조물을 불문하고 알칼리-실리카 반응(ASR)의 조사·진단에서 지역에는 유통되고 있는 골재의 암석·지질학적 검토가 필수적이나 일본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의 골재 ASR 조사는 이전부터 실시되지 않았다. 본 보고에서는 「급속 팽창성」 및 「지연 팽창성」의 2 종류 반응성 골재가 혼재하는 중부지방의 암석 · 지질학적 특징과 ASR 반응성에 대해서 조사함과 동시에 ASR 억제 대책으로 플라이 애시(FA) 콘크리트의 지역 적용 방향에 대해 소개한다. 5. [공사 · 프로젝트 기록] PC 상자형교의 고밀도 배근 개소의 충전 시뮬레이션 및 시멘트 응집저감제의 적용 – 히 가시네가와교 - 히가시네가와교는 110 m의 지간 길이 및 22.6 m의 교각 높이를 가진 PC 3경간 연속 라멘 상자형교이며, 웨브 두께가 400 mm로 얇고 내부 케이블이 다열 다단으로 배치된 개소가 있다. 웨브 상부로부터의 콘크리트 타설이나 다짐은 내부 케이블과 간섭할 수 있어 재료 분리나 다짐 부족에 의한 충전 불량이 우려된다. 따라서 협소한 웨브 부분의 충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콘크리트 충전 시뮬레이션이나 목업에 의한 시험 시공을 실시하였다. 또한, 내밀기 시공 중 배관 압송 일부가 여름 시기에 이루어짐에 따라 압송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멘트 응집저감제를 적용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노력에 대해 보고한다. ■ JCI 콘크리트학회지(May, 2021) 1. [특집] 콘크리트 내 강재의 부식 진단과 방식·보수의 현황과 미래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기 열화 현상 중에서도 염해나 중성화 등에 의한 콘크리트 내 강재의 부식은 주요 열화 메커니즘이다. 1970년대에 염해에 의한 열화가 사회 문제가 된 이후 토목분야, 건축분야를 불문하고 수많은 열화 사례가 보고되어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그러나, 적극적인 조사 · 연구 활동을 통해 많은 지식이 집적되고 있는 현재에도 콘크리트 내부의 강재 부식 현상은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 방식·보수 기술 또한 충분한 신뢰성이 확보되었다고 말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과거 콘크리트 공학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강재 부식과 방식」이 특집으로 소개되었던 것은 40년 전인 198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의 특별호에서는 이미 JCI에서 발간된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 방식 지침(안)」의 소개와 함께 콘크리트 내 강재 부식 메커니즘, 자연전위법에 의한 부식 진단, 각종 방식 수법 등을 폭넓게 설명하고 있다. 그 후 약 40여 년 동안 다양한 부식 진단 기술과 방식 기술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실 구조물로의 적용 실적도 축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현황과 실 구조물로의 적용 사례는 콘크리트 공학지에서도 「장수명화」나, 「점검·모니터링」등의 특집호에서 종종 소개되었다. 본 특집호에서는 콘크리트 내 강재 부식 진단 기술과 방식 기술에 대한 지금까지의 변천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도록, 현황에서 충분한 실적을 가진 기술을 소개하기 보다 이후 주목할 만한 비교적 새로운 기술을 중심으로 다방면에 걸쳐 최신 화제를 모으는 기술을 모아 소개하기로 했다. 「콘크리트 내 강재의 부식과 방식」이라는 오래되고도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지금의 움직임을 느끼면서 이후 이 분야의 발전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방향성과 과제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좋을 듯하다. 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104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또한, 본 특집호에 게재된 기사에서는 「강재」나 「철근」이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부식·방식 분야에서는 예전부터 「철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대상물이 반드시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으로 한정되지 않음에 따라 최근에는 보다 폭넓은 의미를 가진 「강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단, 본 특집호에서는 반드시 통일된 정의를 바탕으로 구분하지 않았다는 점은 양해해주길 바란다. (콘크리트 공학 편집위원회) 콘크리트관련 국제 학술회의 일정 안내 ▣ Concrete 2021 기 간 : 2021년 9월 5일 ~ 8일 개최지 : Perth, Australia 주 최 : CONCRETE INSTITUTE OF AUSTRALIA ▣ fib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crete Sustainability 기 간 : 2021년 9월 8일 ~ 10일 개최지 : Prague, Czech Republic 주 최 : CTU, fib, CBS ▣ RILEM-fib X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bre Reinforced Concrete(BEFIB2021) 기 간 : 2021년 9월 20일 ~ 22일 개최지 : Valencia, Spain 주 최 : RILEM, ACI, fib 외 ▣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rcularity in the Built Environment(CiBEn) 기 간 : 2021년 11월 24일 ~ 26일 개최지 : Delft, Netherlands 주 최 : TU Delft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Concrete Federation(ACF2020) 일 시 : 2021년 11월 26일 ~ 27일 장 소 : Online 주 최 : CONTEC, SIIT, TCA 외 ▣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lcined Clays for Sustainable Concrete(ICCCSC) 기 간 : 2022년 4월 25일 ~ 27일 개최지 : Beijing, China 주 최 : The Chinese Ceramic Society 홈페이지 : ▣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r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ICDCS 2022) 기 간 : 2022년 5월 20일 ~ 22일 개최지 : Jinan City, China 주 최 : University of Jinan 홈페이지 : ▣ Concrete Solutions -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crete Repair, Durability and Technology 기 간 : 2022년 7월11일 ~ 13일 개최지 : Leeds, UK 주 최 : RILEM, Engineering Council, ACI 홈페이지 : ▣ Numerical Modeling Strategies for Sustaionable Concrete Structures(SSCS 2021) 기 간 : 2022년으로 연기 개최지 : Marseille, France 주 최 : RILEM, AFGC, UGE, AUGC 홈페이지 : 담당 편집위원 : 정유석(경북대학교) yosoksi@gmail.com 강용학(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yhkang@kcl.re.kr도서소개 | BOOK REVIEW 제 33권 4호 2021. 07 105 Seismic Design of Reinforced and Precast Concrete Buildings. by Robert E. Englekirk, Wiley / 2003 / p848 해외서적 본저서의저자인Englekirk박사는미국캘리포니아주LA지역의Englekirk구조엔 지니어링회사의설립자이자,현재는명예회장으로활동중이다.현재theUniversityof SouthernCalifornia와UCSanDiego에서겸임교수로서학생들을가르치고있다.그가 현직에있을때1,000억달러이상의가치를갖는건설프로젝트를진행했으며,창의적인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설계에기여한인물이다.해당책은철근콘크리트와프리캐스트 콘크리트건축물의내진설계에대한기본설계원리(구조적거동,강도기반설계,변위기 반설계등)와각주요구조부재에대한부재단위설계부터시스템단위의내진설계전반 에걸쳐서예제와함께소개하고있다.특히,일반철근콘크리트뿐만아니라최근국내주 택의급속공급물량이슈와맞물려관심을받고있는프리캐스트콘크리트의설계를함께 포함하고있다.이러한이유로,해당저서는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내진설계에관심을갖 고있는구조엔지니어,연구자,대학원생등에게추천할만한책으로사료된다. Deep Learning from Scratch by Seth Wedman / O'Reilly Media, Inc / 2019 / p231 최근4차산업혁명과더불어건설산업전반에걸쳐스마트기술과건설분야의융합을 요구하고있다.이에따라4차산업의핵심기술이라고할수있는인공지능기술중딥러 닝에대하여관련전공자가아니어도쉽게따라할수있는도서를소개하고자한다.본저 서의저자는데이터과학자로서기계학습개념을수년에걸쳐가르치고적용해왔으며,현 재는페이스북에서근무하고있다.해당도서는저자의다년간교육경험을바탕으로데이 터학습의기본개념을기계학습을기반으로쉽게설명하고있으며,이를바탕으로딥러닝 의기본개념인CNN(ConvolutionalNeuralNetwork)을개발하는과정을자세히풀어설 명하고있다.이와더불어Python을활용하여독자들이쉽게따라할수있도록설명하고 있다.딥러닝등인공지능기술을적용한다양한스마트건설기술이현재개발및검증중 이다.해당도서는철근콘크리트구조물에적용할수있는다양한스마트기술에관심을갖 기시작한엔지니어,연구자,대학원생등에게추천할수있는기본도서라판단한다. 담당 편집위원 : 신지욱(경상대학교) jiukshin@gnu.ac.kr학회소식 | KCI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06 2021년도 제6차 회장단 회의 •일 시 : 6월 18일(금) 14:00 •장 소 : 학회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회장) 박홍근, (감사) 김강수, 김장호 (부회장) 노병철, 김진만, 김대호, 장봉석, (이사) 최경규 (화상 참여) (부회장) 박철우, 윤현도, (이사) 장승엽 •토의안건 (1) 2021년도 3차 이사회 의제 검토 (2) 학회 위원회-회장단 워크샵 개최 계획(안) 검토 (3) 학회 적립금 운용 현황 및 개선 방안을 2021년도 제3차 이사회 •일 시 : 6월 18일(금) 16:00 •장 소 : 학회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회장) 박홍근, (감사) 김강수, 김장호, (부회장) 노병철, 김진만, 김대호, 장봉석 (이사) 박경수, 신명수, 양근혁, 최경규, 최세진, (화상 참석) (부회장) 박철우, 윤현도, (이사) 강수민, 김동주, 김상우, 김선우, 김우석, 김준희, 김진국, 김창수, 문주혁, 박태원, 심별, 안기용, 이성철, 이재하, 이종구, 이종한, 이주하, 이창준, 임우영, 정철우, 조재열, 천성철, 최명성, 최성철, 최영철, 최윤석, 하상수, (위임) 서철, 강수태, 남정수, 류재석, 양준모, 차수원, 홍성욱 (배석) 김영진, 이진용, 김형열 •토의안건 (1) 우수여성회원상(가칭) 신설 승인 (2) 특별, 특정상설위원회 위원장의 위촉 (3) FRCM 복합재위원회 신설 승인 (4) 영문논문집편집위원회를 특정상설위원회로 변경 승인 (5) 공학연구소 및 위원회 업무 보고 2021년도 제7차 회장단 회의 •일 시 : 7월 16일(금) 16: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회장) 박홍근, (감사) 김강수, (부회장) 노병철, 김진만, 박철우, 윤현도, 장봉석, (이사) 최경규, (위원장) 서수연 •토의안건 (1) 기여도 평가 분석결과 보고 및 논의 (2) 아시아콘크리트엑스포 준비 보고 및 논의 (3) 시멘트-콘크리트 그린뉴딜 위원회 업무 (4) 국제부 활동 관련 보고 및 협조 요청 위원회 2021년도 제1차 연구위원회 위원장-부위원장 연석회의 •일 시 : 6월 10일(목) 14: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천성철, 양준모, 김재홍 •토의안건 (1) 전문위원회 신설 검토 2021년도 제2차 홍보소통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10일(목) 14: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이성태, 강수민, 이성철, 김동주, 김봉주, 김진국, 김태훈, 정동혁, 조창근, 홍성욱, 황현종 •토의안건 (1) 위원회 사업계획 공유 (2) 멘토링 제도 구축 및 추진 논의 2021년도 제3차 학회지편집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11일(금) 15: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최성철, 김우석, 권해원, 김기현, 김동욱, 김상희, 김주형, 김창혁, 남일우, 박병선, 신현오, 이준철, 이형주, 장승환, 정동혁, 정유석, 조병휘, 조홍범, 최승원, 최종권, 조한솔 •토의안건 (1) 7월호 학회지 계획 및 진행 현황 검토 이사회 및 회장단 ▲2021년도제3차이사회 ▲2021년도제7차회장단회의 ▲2021년도제3차학회지편집위원회제 33권 4호 2021. 07 107 2021년도 제4차 제도개선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14일(월) 16: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서수연, 류재석, 최경규, 강현구, 김창수, 박경수, 배백일, 이성철, 전세진, 조재열 •토의안건 (1) 영문논문집편집위 특정상설위원회로의 변경 (2) 최근 3년간(2018~2020) 기여도점수 분포 분석 2021년도 학회발전위원회 제2차 회의 •일 시 : 6월 14일(월) 17: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류재석, 최명성, 최연왕, 표석훈 •토의안건 (1) 젊은 회원 및 여성 회원 활동 활성화 방안 (2) 학회 임원 선출 방식에 대한 건 등 2021년도 콘크리트구조기준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16일(수) 16: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김지상, 조재열, 천성철, 최정욱 •토의안건 (1) LSD 기준체계 결정 2021년도 성능중심콘크리트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17일(목) 16: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이정윤, 박홍근, 이재훈, 김우, 최동욱, 김장호, 이득행, 황현종, 엄태성, 오홍섭, 이성철, 박철우, 김태훈 •토의안건 (1) 만족도 곡선 관한 발표/김장호(연세대) (2) 재료계수를 활용한 성능기반설계에 관한 발표/ 김우(전남대) 2021년도 콘크리트의 날 기념식 준비 현장점검 회의 •일 시 : 6월 23일(수) 17: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강문혁, 김의철, 남기덕, 김범진 •토의안건 (1) 준비사항 및 행사장 점검 (2) 단체장 의전 및 동선 확인 2021년도 제3차 아시아콘크리트엑스포 참여 추진 회의 •일 시 : 6월 25일(금) 11: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노병철, 윤현도, 양근혁, 최세진, 남기덕, 임홍철, 김미희, 김범진 •토의안건 (1) 추진 현황 보고 및 점검 2021년도 제2차 특수환경콘크리트위원회/내구성 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25일(금) 16:00 •장 소 : 학회회의실 및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대면) 권성준, 장승엽, 최윤석 (화상) 장봉석, 이선목, 김준형, 박병선 •토의안건 (1) ‘제설 환경에서의 염해 대책’ 실무지침 집필 논의 (2) 가을학술대회 특별세션 준비 2021년도 대외협력위원회 회의 •일 시 : 6월 28일(월) 11: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이기학, 김준희, 심별 •토의안건 (1) 위원회 전반기 사업실적 및 하반기 사업계획 점검 2021년도 제4차 영문논문집편집위원회 운영진 회의 •일 시 : 6월 28일(월) 10: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조재열, 강수민, 김동주 •토의안건 (1) APC(Article Processing Charges) 코드 지급 (2) 논문 투고시스템-탭 추가 (3) 특정상설위원회-학회 규정 수정 및 검토 (4) 외국인 Reviewer 초청 독려 2021년도 시멘트-콘크리트 그린뉴딜위원회 제3차 회의 •일 시 : 7월 6일(화) 14:00 •장 소 : ZOOM 화상회의 •참석자 : 김진만, 권성준, 남정수, 문주혁, 배성철, 송훈 •토의안건 (1) 콘크리트의 날 행사 결과 보고 (2) 온라인세미나 및 아시아콘크리트엑스포 행사 관련 논의 2021년도 제2차 미래기술융합위원회 회의 •일 시 : 7월 7일(수) 15:00 •장 소 : 학회회의실 •참석자 : 홍성걸, 강수민, 최하진, 김현정, 김재홍, 김희선, 김장호, 심창수, 이득행, 문주혁, 손호균, 이호재, 김강수, 박진영 •토의안건 (1) 주제 발표 및 토의 •비접촉 초음파 콘크리트 모니터링 및 센싱/최하진(숭실대) •BIM-콘크리트 구조(구조계산, 적산)/김현정(현대건설) ▲2021년도제4차제도개선위원회 ▲제4차영문논문집편집위원회운영진회의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