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8 이 변하고 있다. 건설노동자의 노령화와 숙련인력 부족을 해결하고 안전한 건설현장에서 건설 생산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로공사에도 구조물 의 모듈화, 자동화, 디지털화 시도가 필요하다. 본 시공을 통해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바닥판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함으로써 품질 및 안전을 확보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공법임을 확인하였다.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공법은 교량 바닥판 모듈화 를 완성하였고 향후 개발 진행 중인 제작 설치 자동화 공 법을 접목하면 스마트 건설 기술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본 공사에서 습득한 노하우를 향후 유지보수 현장 및 급속 시공이 필요한 곳에 적용하면 도로공사 시공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담당 편집위원 : 홍성원(한국교통대학교) shong@ut.ac.kr 강현억 차장은 한국도로공사 아 산천안건설사업단의 품질안전환경팀 장에서 품질차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현장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단면 프 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및 품질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사항 발굴에 참여 했다. kheid@ex.co.kr 최병희 차장은 한국도로공사 아산 천안건설사업단의 1공구 주감독으로 근무하고 있다. 1, 4공구 현장에 설계된 석정3교, 세 교3교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및 품질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사 항 발굴에 참여했다. soilmeca@ex.co.kr 박상진 대리는 한국도로공사 아산 천안건설사업단의 1공구 시공감독으 로 근무하고 있다. 1공구 현장에 설계된 석정 3교 전단 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및 품질 관 리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사항 발굴에 참여했다. kingdom222@ex.co.kr 태경찬 대리는 한국도로공사 아산 천안건설사업단의 4공 품질감독으로 근무하고 있다. 4공구 현장에 설계되어있는 세교 3 교 전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및 품질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사항 발굴에 참여했다. tkc91@ex.co.kr 임철훈 단장은 한국도로공사 아산 천안건설사업단의 사업단장을 역임하 고 있다. 아산천안 사업단의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품질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 고 개선사례 발굴에 참여하고 있다. Ichkhs@ex.co.kr 박규만 팀장은 한국도로공사 아산 천안건설사업단의 품질안전환경팀장 을 역임하고 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품질, 안전 문제 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사례 발굴에 집 중하고 있다. himan@ex.co.kr포토에세이 | PHOTO ESSAY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에 있는 '톱으로 자른 산’ 이라는 뜻의 '몬세라트’ , 이름처럼 6만 개가 넘는 기암괴석과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 곳이다. 몬세라트 산 중턱(해발 1,235 m)에 위치한 이 수도원은 스페인 3대 순례지이며, 카탈루냐 사람들이 죽기 전 꼭 한번 찾아야 할 곳으로 여길 만큼 종교적, 민족적 의미가 큰 장소이다. 지난 겨울방학 스페인 여행에서, 이 아름다운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산미겔십자가(Creu de Sant Miquel)전망대에 갔었던 것은 큰 행운이었다. 사진/글 : 배기선(한양대학교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 연구교수) 제 32권 1호 2020. 01 69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0 1. 머리말 리모델링연구소는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에 자리 잡고 있다. 리모델링연구소는 2003년 2월에 내진리모델링연구소로 개소하여, 국가지정연구소(NRL), 공동주택 리모델링연구단, 2단계 BK21 사업팀을 거쳐 현재는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2018년 ~ 2027년)을 추진하고 있다. 이상현 Sang Hyun Lee 단국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허무원 Moo Won Hur 단국대학교 건축대학 표 1. 리모델링연구소 연혁 및 활동 구 분연혁/활동주요 내용 개 소 기 2003.02 내진리모델링 연구소 개소 - 노후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구조보강 관련 특성화연구 시작 - 리모델링연구소 논문집 및 소식지 발간(2회/연 발행) - 노후 건축물의 구조안전 및 친환경/에너지절감 설계기술 특성화·전문화 추진 성 장 기 1999 ~ 2006 1단계 BK21 사업팀 - 단국대 건축공학과 1단계 BK21 사업 수행 “주거건축 연구인력 양성사업팀” 2003 ~ 2007 국가지정연구실 (NRL) - 노후 공동주택의 내진보강 및 리모델링 요소기술연구를 주제로 NRL지정 - 2004년 국가지정연구실 건설·에너지환경 분야 평가 1위 2005 ~ 2010 공동주택 리모델링 연구단 - 국토교통부 발주 공동주택 리모델링연구단(1단계) 연구과제 수행 - 노후공동주택 수직/수평증축 및 내진평가/보강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3개 층 수직증축 리모델링 방안 정책 반영(2013년 주택법 개정) 2006 ~ 2013 2단계 BK21 사업팀 -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2단계 BK21 사업 수행 - 테크노마트 수직진동(2011) 원인 분석 ➔ 진동문제 해결을 위한 수동/능동제어 하 이브리드 감쇠장치 개발(장치/구동알고리즘 100% 국산화) 및 설치 - 2011년 서울시 내진성능 자가점검 SW 개발 - 저비용 · 고효율 · 내진보강 연구(SCI급 73편, 국제발표 60편, 특허 등록 6건, 기술 이전 27건, 국제공동연구 3건, 교수급 연구인력 4명 배출) 성 숙 기 2013 ~ 현재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및 진동제어 - 2015년 12월 롯데월드타워 영화관 이상진동현상 원인 규명 - 2016년 롯데월드타워 내진성능평가 - 2017년 LG 디스플레이 공장 진동저감대책 - 2018년 필로티 등 지진취약 건축물 내진성능 실태조사 용역 - 2018년 LH 저층공동주택 내진보강성능평가 - 2019년 관제탑 비선형 정밀내진해석 및 타당성 검토 용역 - 2019년 비구조요소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접합부 설계 및 성능평가 2013 ~ 현재 IT 기반 설계기술 개발 - BIM 기반 구조물 구조해석 및 최적설계 프로그램(StrAuto) 개발 - RC골조 3D-BIM 기반 시공도 생성/모델링/공사관리 SW 개발 - 가변/개폐식구조물 구조해석 및 최적화 프로그램 개발(2015.07, 국토부) - 발주 및 건축공사 계획 및 관리를 위한 Smart Platform 개발 (2017.04 ~ ,과기부) - LH BIM 기반 견적 지침서 “RC 공사 Cost-BIM 가이드라인”수립(2017. 7) - 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선정 2017 ~ 현재 ICT융합 내진 · 초고 층분야 특화 전문인 력 양성 - 정부(중소기업청) 지원사업 수주로 대학 내 정규 석사과정 설립 - 총 40명(100 %) 모집(전국 총 63개 학과 중 정원달성학과는 단 2곳) - ICT융합 / 내진 / 초고층의 3가지 키워드로 특화인력 양성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와의 협업으로 국내 최고수준 전문 강사영입 2018 ~ 2027 대학 중점연구소 ICT융복합 기존건축물 내진리모델 기술 개발 - 1단계 : 지반/구조재/비구조재 내진성능 3D DB 구축 - 2단계 : 지반-구조-비구조재-ICT 분야의 통합연구시스템 구축 - 3단계 : 기존 건축물 내진보강사업 컨설팅 및 현장지원 ICT시스템 구축제 32권 1호 2020. 01 71 단국대학교 부설 리모델링연구소 <표 1>은 리모델링연구소의 연혁과 활동을 간략하게 정리하 여 나타내었다. 리모델링연구소의 건축물 전 생애주기의 지진 재난에 대응 한 안전하고 편리한 장수명 건축을 실현하는 공공연구소이며, 지진 재난에 대응하는 구조안전/방재 기술 개발, IT 기술을 기 반으로 지반 · 구조재 · 비구조재 등 기존건축물의 방대한 내 진 데이터 설계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 지반, 구조재, 비구조재 내진설계분야 전문 고급 기술/연구 인력양성, 내진분야 연구/ 교육 활성화 및 관산학/국제 연구 협력 네트워크구축을 목표 로 하고 있다. 2. 리모델링연구소의 구성 및 연구수행사례 리모델링연구소는 2018년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ICT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기존건축물의 지 반/구조물/비구조재에 대한 3D-DB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 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보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 고자 한다. 리모델링연구소의 구성은 6명의 상임연구인력, 6 명의 전임연구교수 및 18명의 석사와 박사로 구성되어 있으 며, 14개의 참여기업(㈜동양구조안전기술, ㈜세진기술, ㈜ 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CS구조엔지니어링, ㈜TM E&C, ㈜이레구조내진기술, 센구조연구소, ㈜창소프트I&I, ㈜KIT Valley, ㈜씨티월ENG, ㈜VNIEL 컨설턴트, ㈜S-TECH 컨설 팅 그룹, ㈜DCR&CH 엔지니어링, 씨엠알기술연구원(주))이 함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1 내진보강상세를 고려한 골조상세설계 기능 고도화 BuilderHub 활용한 건축물의 배근상세설계 자동화 기능 개선하였고, 내진보강상세를 반영한 배근 상세설계 및 3차원 시뮬레이션을 개선하였다. 또한, 배근상세도 추출 및 현장 시 공을 위한 상세설계 및 편집 기능 강화하였다. 배근상세설계 3D 모델링을 실시하여 배근상세설계 결과를 검증하였다. 2.2 부축벽을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개발 내진설계 이전에 지어진 비내진설계된 공동주택에 대한 내 진성능을 확인하고 내진보강 필요시에 적절한 보강방안을 제 안하고자 한다. 내진보강공법 제안 시 고려사항은 ① 내부 보 강이 어려움, ② 입주민이 거주하고 있어 이주가 어려움, ③인 동간격을 고려하여 제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상 공 동주택은 벽식구조와 라멘구조 두 가지 종류가 있었고, 벽식구 조는 공동주택의 좌측 및 우측 측벽을 모두 활용한 부축벽 보 강방안을 제시하였고, 라멘구조는 카고메 감쇠시스템을 제안 하였다. 제안된 내진보강공법에 대한 구조성능실험을 통해 안 전성을 검토하였다. 비내진설계된 공동주택에 제안된 보강방 안을 적용할 경우 내진성능 향상 및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경량 패널 벽체의 반복가력 실험을 통한 내진성능평가 비구조재 요소인 경량 패널 벽체를 대상으로 반복가력 실험 그림 1. 배근상세설계 자동화 기능 개선그림 2. 골조 모델링 및 기둥/보 배근 상세 모델 그림 3. 부축벽 보강 실험체 셋팅 현황 및 실험결과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2 국내외 연구실 탐방 | OVERVIEW OF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LABORATORY 을 통해 내진성능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경량 패널 벽체의 내 진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골조 내부에 경량 패널 벽체를 설치 하여 반복가력 실험을 하였다. 반복가력 실험의 각 단계에 적 용된 횡 변위(㎜)는 순길이로 나눈 값에 따라 12개의 스텝으 로 각 3 사이클씩 단계별로 점증 가력 하였다. LVDT는 수평 엑 츄에이터 하중 작용점에 설치하였다. 반복가력 실험결과, 층 간변형각 0.75 %까지는 경량벽체의 손상 및 외부 변화가 없 었으며, 층간변형각 1.00 %에서는 패널과 패널 사이 코깅이 약 10 % 정도 탈락하였고, 걸레받이와 패널도 약 5도가량 틀 어졌다. 층간변형각 2.00 %에서 상부러너의 단부가 항복하기 시작하였고, 층간변형각 2.50%에서는 걸레받이가 약 50 % 정도 탈락하였다. 실험이 진행될수록 상하부 러너 단부와 걸레 받이가 탈락하였지만, 실험 종료 시까지(6.00 %) 경량벽체가 탈락하거나 전도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2.4 필로티 등 지진취약 건축물 내진성능 실태조사 공공 시설물은 관리 주체별로 내진성능평가, 내진보강을 통 한 내진성능개선 등의 중장기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으나, 민 간건축물에 대하여는 지진대책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내진 성능 자가점검 시스템 구축, 정기적인 민간건축물 내진성능실 태조사, 긴급피난공간제안 및 매뉴얼 작성 등 민간건축물에서 의 지진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수의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를 위해 내진성능지표에 영향을 주는 건물별로 구조형식을 분류하고, 소규모 노후주거건물을 중심으로 100개 동에 대한 샘플점검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초로 표준보강방안 및 보강비 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내 진성능 향상방안에 대한 단기, 중장기 시책을 제안하여 민간건 축물의 내진보강을 촉진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5 조적채움벽 DB 구축 현행기준인 ASCE41 및 FEMA356, 학교시설 내진성능평 가 및 보강 매뉴얼에 제시된 조적채움벽골조의 내진성능평가 및 설계 관련 규정을 분석하고 PC패널 자켓팅 공법에 대한 적 용 범위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내진성능상세평가를 위한 비선 형 유한요소해석법 제안하였고, 실무 적용을 위한 PC패널 보 강 조적채움벽의 등가스트럿 모델 제안하였다. 2.6 실제 학교시설물에서 채취한 조적채움벽체의 미끄러 짐 전단강도실험 수행 2017년 11월 포항지진에 의해 피해를 본 포항시 OO초에서 (a) 2005년 이후 (b) 2005년 이전 그림 5. 내진설계 비대상 건물에 대한 예비평가(강축방향) 그림 4. 경량 패널 벽체의 셋팅 및 실험결과 그림 6. 내진복합패널을 이용한 조적채움벽 보강공법그림 7.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조적채움벽의 하중메커니즘제 32권 1호 2020. 01 73 단국대학교 부설 리모델링연구소 조적채움벽체를 채취하여 미끄러짐 전단강도실험을 수행하였 다. 실험 결과 조적채움벽체는 평균 0.28MPa의 전단강도를 가지며, 이는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 강 매뉴얼(2018, 교육부)”에서 규정하고 있 는 양호한 상태의 조적벽체가 가지는 전단강 도(0.19 MPa)보다 큰 결과를 나타내었다. 교실 간을 구획하는 일반적인 조적채움벽 체는 대부분 20 ~ 30 ㎜의 모르타르로 마감 되어 있으며, 마감재에 의해 미끄러짐 전단강 도가 많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2019년 개정된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2019, 교육부)”에 모르타르 마 감에 의한 조적채움 벽체의 상태평가 기준을 반영하였다. 2.7 건축물 내진성능 자가진단 SW 기술 개발 31개 시설물의 공통항목(ex 내진설계 수행 여부, 지반, 지 역계수 등)과 상세항목(ex 연면적, 높이, 길이, 층수 등)에 대 하여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내진보강 우선순위 알고리즘을 작 성하였다. 또한, 기존 내진보강사례를 중심으로 시설물별 보 강비용을 산정하여 우선순위 선정 이후 예산을 편성할 수 있도 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1개 시설물의 시설물별 내진보강 안에 대해서는 8개(건축물, 댐, 터널 등)의 보강방법으로 분류 하여 AHP분석을 통해 내진보강방법을 선정하고, 8개의 보강 방법에 대한 세부 보강방법들을 사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시 스템을 개발하였다. 2.8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 기반 액상화 관련 연계 DB 정밀도 분석 일반적으로 액상화 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를 위해 액상화 가능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도입하여 그림 8. 조적채움벽 전단강도 실험 수행 그림 9. 내진보강 우선순위 결정 프로그램 그림 10. 내진보강 공법 선정 및 보강방법 소개 (a) 인천 간척지 (b) 송도 간척지 (c) 새만금 그림 11. 측정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4 국내외 연구실 탐방 | OVERVIEW OF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LABORATORY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한다. 먼저 보다 정확히 LPI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액상화 발생가능 지층의 두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 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획득할 수 있는 지층정보는 시추를 통한 1차원적인 점에 대한 심도별 정보이기 때문에 근본적으 로 해당 지역에 대표성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표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GIS를 통한 공간보완을 통하여 기존의 보유하고 있는 지층정보의 대표성을 문제를 해결하고 지층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여 더욱 높은 신뢰도를 가진 지층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인천 간척지, 송도 간척지, 새 만금지역을 대상으로 지층심도DB구축에 따라는 방안을 세 가 지(Method A, Method B, Method C)를 제시하였다. <그림 11>은 실측값을 통하여 얻은 예측값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이다. 그림 12. 2축 진동대그림 13. 진동대 제어반 그림 14. 학술발표회 및 국제세미나 개최 그림 15. 2018년 정기 워크샵 및 2019년 학술심포지엄 사진제 32권 1호 2020. 01 75 단국대학교 부설 리모델링연구소 2.9 2축 진동대 구축 <그림 12> 및 <그림 13>과 같이 2축 진동대를 2019년 9월 설치하여 비구조재 관련 다양한 실험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진 동대의 모터는 37 kW이며, 최대 스트로크는 350 ㎜이다. 상 부 하중은 50 kN이며, 최대속도는 1 m/s이다. 2.10 학술대회 및 세미나 개최 연구성과를 각 연구 분야의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여 국내외 연구진들과의 연구성과 공유 및 활발한 교류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매년 정기적으로 학술대회 및 세미나를 자체적으로 개최하여 중 점연구소 참여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산업계 종 사자들과 활발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3. 맺음말 단국대학교 부설 리모델링연구소는 개발기술 의 기술이전 및 관련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학 · 산 · 연 통합 시스템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 건축물 리모델링 기술 관련 공무원/실무자 교 육을 수행하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 콘텐츠 및 관 련 지침서를 활용한 공공교육기능을 확대하고 있 다. 또한, 기술이전 및 산학연의 공동연구에 의한 새로운 협력모델 제시해 왔다.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내진보강공사 가상시뮬레이션 기술 을 활용한 공기단축을 통한 비용감소, 공공건축물의 재해위험 감소로 인한 재해대피시설 활용 및 국민 불안감 해소하고자 한 다. 본 연구소는 리모델링 분야의 인프라 활성화와 관련 분야 의 연구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국내 리모델링 기술력의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다. 이상현 교수는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07년부터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5년도 부터 리모델링연구소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건축 구조물의 비선형 진동제어, 내풍설계,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평가 등이며, 우리 학 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lshyun00@dankook.ac.kr 허무원 박사는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등방성 에너지소산 특성을 가지는 외부설치형 카고메 감쇠시스템으로 2016년 박사학위를 취득하 였으며, 현재 동 대학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감쇠구조 및 면진장치 설계 및 해석과 기존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등이며, 우리 학 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hmw01@nate.com 담당 편집위원 : 박태원(단국대학교) tw001@dankook.ac.kr국제학술대회 참가기 | INTERNATIONAL CONFERENCE REVIEW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76 Prof. Dong-Guen Lee from Korea and Prof. Fumio Watanabe from Japan decided to establish a seminar titled by Earthquake Engineering for Building Structures in 1998. The intention was to exchange bilaterally the enginee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s well as to advance and promote the scientific level of research among young scholars and researchers in both countries. The target of this agreement was a fruitful discussion within a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fterward, the seminar activities began in 1999 for the first time and have been continued until 2019. Later when two distinguished keynote speakers of Taiwan were invited for the second seminar in 2000 held in Kyoto <Figure 1>, the agreement was reached to join Taiwanese researchers as the third host of the seminar in 2001. Hence, The Japan-Korea-Taiwan Joint Seminar on Earthquake Engineering for Building Structures, also known as SEEBUS, has been held once a year in Taiwan, Korea, and Japan by turn in order to make an impressive discussion and obtain research promotion among the delegates from all three countries. 파히메 야바타누 Fahimeh Yavartanoo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박사과정 Figure 1. The 2nd SEEBUS(Kyoto, Japan, 2000)제 32권 1호 2020. 01 77 SEEBUS The Japan-Korea-Taiwan Joint Seminar on Earthquake Engineering for Building Structures SEEBUS seminar is a two days program including paper presentation, discussion on research, settlement of topics of the next seminar, and a technical tour prepared by the host country. Seminar proceedings will be published from the host country. The purpose of this joint seminar is to bring together researchers and experts from Taiwan, Korea, and Japan to discuss and exchange the most recent developments and scientific progress on earthquake engineering for building structures between young and senior researchers who are motivated in earthquake engineering. SEEBUS also has some restrictions, which are appointed by the coordinators in the early years. For exampl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limited to achieve a fruitful discussion during the seminar. Some of the participants from each country must be fixed for the continuation of the seminar. Participation is not possible via the application process; therefore, participants except the fixed members will be requested to join the seminar by the coordinators based on the topics to be taken at the seminar. The travel expenses such as overseeing transportation and hotel accommodation shall be prepared by the visitor or visitors’ country. SEEBUS continues to manipulate its targets strongly and has taken an explicit and purposeful path. This year, the 21st run of Japan-Korea-Taiwan joint seminar on earthquake engineering for building structures (SEEBUS 2019) was held in Hsinchu, Taiwan on December 6th~7th, 2019. The program was organized by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of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and hel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 in the library of the university <Figure 2>. All visitors were welcomed at the hotel Landis Inn Chuhu close to the seminar venue for their accommodation in Hsinchu-Taiwan. The honorable coordinators, Professor Tzu-Kang Lin, Professor Jung-Yoon Lee and Professor Masanori Tani from the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of Taiwan, Sungkyunkwan University of Korea and Kyoto University of Japan, respectively, were responsible to hold the seminar. This year (2019) the 21st seminar was hosted by Taiwan under the coordination of Professor Tzu-Kang Lin. From my University, Professor Sung-Gul Hong, Professor Hong-Gun Park and Professor Thomas Kang, who are all KCI members, attended this seminar, along with several graduate students including myself. The two days presentation sessions were divided into seven parts - five and two sessions in the first and second days, respectively, and the program on the second day was followed by a technical tour. The main focus of the sessions was under the headings of Reinforced Concrete 1, Reinforced Concrete 2, Steel Structures, Dampers, and Other Structures. The title of my presentation was “The structural evaluation of jointed Granite members with epoxy resin and Tainatium bars” and I presented in the session of “Other Structures”, on the second day of the seminar. At the end of the presentation sections and having lunch with other participants, Figure 2.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t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