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8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제4회 지반공학 및 지하건설 국제회의(GiBP2025) 개최 (23 September 2025) 일시 : 2025년 9월 23일(화) ~ 25일(목) 장소 : Hotel Ambasador Premium, 우치(Ł ódź), 폴란드 주최 : Wydawnictwo In żynieria 후원 : ITA(국제터널협회) 제4회 지반공학 및 지하건설 국제회의(Geoengineering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GiBP2025)가 오는 9월 23일부 터 25일까지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립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제터널협회(ITA)의 후원을 받아 개최되며, 지반공학과 지하 공간 분야의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산업과 학문을 잇는 교류의 장 이번 대회에는 발주처, 시공사, 설계사무소, 기자재 업체 등 인프라 건설 전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모입니다. 지하공간 개 발과 인프라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주요 쟁점과 과제를 함께 논의하고, 학문적 성과와 현장 경험을 교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주요 프로그램 대회 기간 동안 전문가 초청 강연, 패널 토론, 산업 전시회, 기술 시찰 등이 진행됩니다. 학문적 논의뿐만 아니라 실제 프로젝트 사례 와 기술 교류도 이뤄져 학계와 산업계 간의 협력과 소통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TYTAN 2025 시상식 학술대회와 함께 ‘TYTAN 2025’ 시상식도 열립니다. 본 시상식은 지반공학 및 지하건설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둔 프로젝트와 인물을 선정해 그 업적을 기리는 권위 있는 상입니다. 편집위원 : 서상연(GS건설 부문장)Vol. 27, No. 3 89 2 ITACET Lunchtime Lecture Series 제48회 개최 안내 (9 September 2025) 일시 : 2025년 9월 9일(화) 13:00 (CET) 주최 : ITACET 재단 협력 : ITACUS 국제터널협회 교육 ‧ 훈련재단(ITACET)이 주관하는 Lunch- time Lecture Series 제48회 강연이 오는 9월 9일 온라인으로 개최됩니다. 이번 강연은 *“지하공간의 잠재력: 도시 성장과 기후 회복력의 동력”*을 주제로 ITACUS와 함께 진행됩니다. 주요 강연 내용 이번 프로그램은 세 개의 주제 강연으로 구성되며, 이후 발표자 전원이 참여하는 Q&A 세션으로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 “에너지 전환과 지하공간의 잠재력” – Antonia Cornaro (ITACUS 의장) ∙ “Young Professional Think Deep Programme: 홍콩 사례” – Petr Salak (YPTDP 프로그램 리드, ITACUS) ∙ “기후 대응형 도시와 지역을 위한 지하공간 활용” – Mahak Agrawal (Urban Adaptation Lead, ITACUS) 등록 안내 이번 강연은 누구나 사전 등록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등록은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ITACET Lunchtime Lecture Series 제48회 등록: https://www.itacet.org/session/lunchtime-lecture-series48/9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학회학회 시작일개최도시 Southeastern Europe Tunnelling Conference (SETC-2025)2025.10.01.Belgrade, Serbia Geotech Asia 20252025.10.07.Goa, India DFI 5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2025.10.20.Nashville, USA Australasian Tunnelling Conference 20252025.11.12.Perth, Australia STUVA Conference 20252025.11.25.Hamburg, Germany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ural Hazards 2025.12.05.Lahore, Pakistan TUNNEL 20262026.01.19.Melbourne, Australia Underground Infrastructure Conference (UIC 2026)2026.01.27. San Antonio, United States 22nd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SEAGC 2026)2026.01.29.Taguig, Philippin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mechanics (ICG 2026)2026.02.02. Christchurch, New Zealand Underground Infrastructure Conference (UIC 2025)2026.03.04.Houston, United States Geo-Congress 20262026.03.09.Salt Lake City, Utah, USA LANDSLIDES 2026 - Landslide Geo-Education and Risk (LAGER)2026.04.27. Queenstown, New Zealand World Tunnel Congress (WTC 2026)2026.05.15.Montreal, Canada 2026 DFI-PFSF Piling & Ground Improvement Conference2026.05.18.Sydney, Australia DFI-EFFC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and Ground Improvement2026.05.21.Bruges, Belgium 8th International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2026.06.11.Graz, Austria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ICSMGE) 2026.06.14.Vienna, Austria North American Tunneling Conference (NAT 2026)2026.06.15.Anaheim, United States LARMS2026 - X Latin American Congress on Rock Mechanics2026.08.26.Brasília, Brazil 편집위원 : 정연종(서울연구원 연구위원)Vol. 27, No. 3 91 학교 및 학과 : 강원대학교 건설융합공학과 지 도 교 수 : 반호기 학 위 자 : 김정국 학 위 : 공학박사 (2025. 2.) 열화로 인한 터널의 노반융기에 관한 연구 국문 초록 터널 변형의 대표적인 원인에는 지반 열화가 있다. 지반 열화는 터널 주변 지반의 주요 물성치인 지반반력계수와 강 도정수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열화는 지반의 물리적 강도와 안정성을 약화시켜 주변 지반 의 소성화와 소성압증가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노반 융기를 유발시킨다. 발생된 노반 융기로 인해 터널의 장기적인 안 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터널의 장기 안정성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는 터널 주변 지반의 물리적 변화와 열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정밀한 수치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주로 터널 굴착 시 발생하는 일시적인 지반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지반 열화로 인한 장기적 변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여러 열화 모델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터널의 장기 거동에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반 열화와 노반 융기 현상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터널 주변 지반의 응력 변화, 변형, 열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터널의 장 기 거동을 예측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간 경과에 따른 지반 열화 현상을 예 측하는 여러 모델을 검토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열화로 인한 지반 물성 저하를 설명할 수 있는 일반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식을 활용해 열화된 물성을 반영한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반 열화로 인한 터널의 장기 거동을 예측하고자 한다. 수치해석은 제시된 열화모델 식을 기반으로 하여, 인버트 시공 유무와 열화율 10, 30, 50, 70% 조건에서 수행되 었다. 해석 시간은 10년으로 수행하였으며, 가장 큰 변화가 발생한 열화율 70%에 대해 30년간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인버트가 없는 경우에 비해 인버트가 있는 경우 지반 융기 및 수평 변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한, 지반 열화율이 낮을수록 지반 융기와 수평 변위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 열화 율에 따른 터널의 지반 융기 발생 양상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논․ 문․ 소․ 개 + 학위논문 소개 편집위원 : 나유성(서하기술단 부장)9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학위논문 소개 학교 및 학과 :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지 도 교 수 : 송기일 학 위 자 : 이경주 학 위 : 공학박사 (2025. 2.) Break-Joint Mode를 고려한 쉴드TBM 터널 세그먼트 라이닝의 거동 특성과 Ovality 국문 초록 쉴드TBM 터널은 NATM 터널과 달리 라이닝이 세그먼트로 분절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닝에 동일 하중이 발생되어도 NATM 터널 라이닝과 쉴드TBM 터널 라이닝의 응력과 변위 분포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쉴드TBM 터널 세그먼트 라 이닝에 발생되는 응력을 분석하는 대표적 방법은 연결부를 고려하지 않는 강성일체법인 Non- joint mode(NJM, Gha- rehdash and Barzegar, 2015)와 링간 이음 및 세그먼트 연결을 고려하는 2링 빔-스프링 모델이 있다. 본 연구는 세그 먼트 라이닝에 대한 해석 방법으로 분절(Segmentation)을 고려한 해석법인 Break-joint mode(BJM, Gharehdash and Barzegar, 2015)를 적용하여 세그먼트 라이닝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BJM은 연결 볼트 등 세그먼트 라이닝 연결재 의 구조적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세그먼트와 링들이 서로 마찰력으로만 관계된 모델링이다. 이를 구현하는 수치해석적 경계조건은 세그먼트와 링 간 접합부에 계면활동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 모델로 해석된 결과는 세그먼트와 링들은 불연속적인 블록 단위의 상대적 변위를 일으킨다. BJM은 토사 지반, 특히 연약지반에 시공된 세그먼트 라이닝 의 변형 형상을 비교적 잘 구현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은 세그먼트와 링 접촉면에 Coulomb의 마찰법칙에 근거 한 인터페이스 요소(interface element)를 적용하여 세그먼트 간 계면 거동하는 모델링으로 라이닝의 Segmentaion을 고려한 BJM 해석 방법이다. 마찰력 성분인 수직강성과 전단강성 만 도입된 인터페이스 요소를 이용한 모델링으로 라이 닝의응력 및 변위에 대한 정적 하중과 동적 하중 및 다양한 조건에서의 응답 결과를 기존의 연속체 모델과 비교 분석하 였다. 또한, 터널링 공정이 끝난 쉴드TBM 터널 세그먼트 라이닝은 Ovality가 발생된다. 각국마다 5 ‰∼10 ‰ 범위의 Ovality 품질기준을 갖고 있지만 구조적 해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은 기준이다. 기존의 기준치는 쉴드TBM 터널이 토사 지반에 설치된경우 실현되기 어려운 범위이다. 본 연구에 적용한 Break-joint mode는 Ovality 품질기준을 구조해석적 근거를 통해 재정립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Vol. 27, No. 3 93 학교 및 학과 :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지 도 교 수 : 김영욱 학 위 자 : 박원일 학 위 : 공학박사 (2025. 2.) 동시주입 강관 다단 그라우팅을 통한 터널 안정성 강화: 양생 시간 단축과 시공 효율성에 관한 연구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터널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동시 주입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DG 공법)의 성능과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기존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 은 주입재의 불균일한 확산, 긴 겔화 시간, 낮은 시공 효율성 등으로 인해 시공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DG 공 법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여러 지점에서 동시 주입을 수행하여 주입재의 균일한 확산과 빠른 겔화 시간을 실현 한다. 본 연구에서는 DG 공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실 실험, 모형시험, 현장시험, 수치해석의 다각적 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실험실 실험에서는 DG-M 첨가제를 포함한 주입재(DG-M/O)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4시간 20분 만에 2MPa 이상의 초기강도를 발현하고, 28일 후에도 9MPa 이상의 장기 강도를 유 지하였다. 또한, 겔화 시간은 평균 21.93초로 짧고 일정하게 나타나, 터널 시공 초기 안정성 확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 였다. 차수 성능 실험에서는 DG 공법이 지하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터널 내부의 수밀성과 장기적 지반 보강 성능을 입증하였다. 모형시험을 통해 DG 공법이 주입재의 균일한 확산과 안정적인 구근 형성을 보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밀폐형 환경에서 주입재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조건에서 일관된 성과를 보였다. 현장시험에서는 다양한 지질 조건에서 DG 공법이 일반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 대비 시공 시간을 약 75% 단축하였고, 차수 성능과 지 반 보강 효과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활용하여 주입재의 확산 범위를 시각적으로 검증 하였고, 주입재가 지반에 균일하게 침투함을 확인하였다. 수치해석은 MIDAS GTX NX를 사용하여 DG 공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DG 공법이 복잡한 지질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하며, 터널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DG 공법은 기존 공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터널 시공에서 안정성, 시공 효율성,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기 및 장기 강도 발현, 겔화 시간 단축, 차수 성능 개선, 시공 시간 단축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9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http://www.jkta.or.kr Volume 27, Issue 4 (July 2025) 목 차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defect progress of concrete lining in urban railway tunnels Jinho Choo*, Chang-Kyoon Yoo, Jin-Woo Park, Kwang-Lim Park Development of satellite-based ground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tunnel construction Kang-Ryel Lee, Tae-Zin Ahn, Hee-Hwan Ryu, Shin-Kyu Choi* Performance verification of deep-learning based tunnel crack detection using 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Chulhee Lee, Dongku Kim, Donggyou Kim* A study on the utility tunne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grey clustering Yongjun Lee*, Young-Jong Sim Prediction of long-term tunnel behavior using a ground strength degradation model Jungkuk Kim, Heesu Kim, Sangyun Kim, Byounghun Kim, Hoki Ba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Vol. 27, No. 3 95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ume 161 (July 2025) https://www.sciencedirect.com/journal/tunnelling-and-underground-space-technology 목 차 Simulation for non-uniform seismic motion based on frequency-wavenumber spectrum and its application in seismic analysis of long tunnels Juncheng Wang, Yongxin Wu*, Jiazhi Yang, Bin Ruan, Yue Hou An efficiently designed CNN-Transformer fusion network for automatic and real-time microseismic signal classification Dingran Song, Feng Dai*, Yi Liu, Hao Tan, Mingdong Wei A sensitivity study and robustness evaluation of the CWFS and DISL approaches for brittle failure continuum modelling around underground excavations L.F. Gomez de Alba, A.G. Corkum*, N. Bahrani, D. Mas Ivars Dynamic response of shallow dual unlined circular tunnels subjected to incident P, SV, or Rayleigh waves in an elastic half-plane Cheng Yue, Qijian Liu*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shearer movement and drum rotation effects on airflow and methane dispersion in longwalls using integrated dynamic and overset meshing Sadegh Sadeghi*, Saiied M Aminossadati, Mehmet Kizil, Christopher Leonardi Integration of FEM and DL for seismic performance prediction and optimization design of tunnels Bin Ruan, Yang Chen, Yipei Ye, Zhenglong Zhou, Hao Huang* TBM rock fragmentation classification using an adaptive spot denoising and contour-texture decomposition attention-based method Guoqiang Huang, Chengjin Qin*, Haodi Wang, Chengliang Liu + TUST 논문집 논문소개9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TUST 논문집 논문소개 Long-term properties of grout-soil composite eroded by seawater environment in submarine tunnel Chengqian Wang, Peng Li*, QingSong Zhang, Tianshu Wang Traffic-based resilience assessment on urban road tunnel affected by fire accident Rui Zhu, Dong-Mei Zhang*, Zhong-Kai Huang, Xiao-yang Guo, Bin-lin Gan, Wen-ding Zhou Investigation of the thermal response of an energy raft foundation in Taipei Ignatius Tommy Pratama, Josiane Jello, Xin-Bai Mao, Kuo-Hsin Yang*, Jui-Pin Tsai, Tugce Baser, Chihping Kuo Optimum design specifications of TBM cutterheads in soft ground conditions based on field data analysis Ebrahim Farrokh* Investigations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hield tunnel adjacent to an underground station in liquefiable ground through shaking table tests Xiaohua Bao, Junhong Li, Jun Shen*, Chunxun Liu, Xiangsheng Chen, Hongzhi Cui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hield tunnel face stability under dynamic cutterhead in sandy soil Dalong Jin, Zibang Gong*, Panpan Cheng, Lujiu Xiang, Dajun Yuan Study on mechanical and damage characteristics of segment lining under the squeezing action of shield shell Zhou Shi, Xiongyao Xie*, Kun Zeng, Xiangbo Bu, Hongbo Zeng Prediction of shield tunneling-induced ground settlement using LSTM architecture enhanced by multi-head self-attention mechanism Minghui Yang, Muyuan Song*, Yanwei Guo, Zhuoyang Lyv, Wei Chen, Gaozhan Yao Automated flatness quantization and assessment for tunnel initial support based 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Shi Qiu, Chunzhong Xiao, Jin Wang, Weidong Wang, Chengbo Ai, Yangming Luo , Xiao Wei* Effect of seepage flow on face stability for a tunnel in water-rich silty clay overlying sandy cobble strata Xiaopu Cui, Pengfei Li*, Chuang Wang, Zhaoguo Ge, Shaohua Li, Qiguang Di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thermal stress of segment lining in a heating power energy tunnel Yongyan Wang, Guobing Zhou*, Jun Liu, Fuqiang Wang, Guogang Qiao, Wenhou XiaoVol. 27, No. 3 97 The pressure field inside water-rich cracks of tunnel linings during high-speed train passing through tunnels using air –water two-phase flow simulation Hong He, Wei-Chao Yang, Yi-Kang Liu*, Lun Zhao, E. Deng, Lu-Sen Luo Reliab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water-sealed storage caverns stability: Method and application Wei Li, Chenghua Hong, Liping Qiao, Jingyi Ma, Zhenhua Peng, Zhechao Wang* A novel analytical method for describing ground motion behaviour caused by tunnel excavation Qingtao Lin, Tao Song, Dechun Lu*, Xiuli Du Effective curing of waste mud from slurry shield tunnels using OPC-MCA: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microstructural analysis Henggen Zhang, Tao Liu*, Weihua Wang, Yuxue Cui, Yankun Wu, Xinyi Qiu Study on the effect of high-temperature combustion on damage evolu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like materials Yubai Li, Siyuan He, Yue Zhai*, Junnan Zhao, Yaoying Huang Study on the damage mechanism of water and mud inrush in a tunnel with water-rich fault zones based on experiment and numerical modeling Jiale Xie, Peijie Yin*, Xiaohua Yang, Changgen Yan, Huaixin Li, Duo Yan, Hongzhe Fu GPRTransNet: A deep learning –based ground-penetrating radar translation network Guanhong Lu, Lei Kou, Pei Niu, Gaohang Lv, Xiao Zhang, Jian Liu*, Quanyi Xie A novel multi-scale hybrid connected neural network for anti-noise rock fragmentation classification of tunnel boring machine Guoqiang Huang, Chengjin Qin*, Tao Zhong, Chengliang Liu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laser process parameters on cutting performance of laser-assisted disc cutter Yu Sun, Chenguang Guo*, Jianzhuo Zhang, Binghao Lu, Guochao Zhao Experimental study of the pore pressure variation during EPB shield tunnelling in the saturated sand Jingmin Xu, Xiaoyu Wu, He Huang*, Yifei Mao Soil disturbance induced by urban shield tunnelling in sandy pebble soil considering non-coaxiality and anisotropy Jian Cui, Zhigang Yao, Tao Yu, Kaichen Ying, Yong Fang*, Wanghao Xu, Yufang Zhang, Jian Li Bo Liu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