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6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터널 16.330km, 교량 1.200km로 정거장은 없고 터널 내 신호장#1이 계획되었다. 3공구 전체 연장은 17.501km로 토공 1.900km, 터널 0.270km, 교량 15.331km이며 성주 정거장이 신설로 계획되고 있다. 4공구 전체 연장은 16.997km로 토공 4.464km, 터널 10.028km, 교량 2.505km이며 신설로 합천정거장 구조물이 계획되었고, 5공구 전체연장은 20.150km로 토공 1.453km, 터널 17.337km, 교량 1.360km이며 정거장 없지만 신호장#2이 계획되었다. 6공구 전체 연장은 1.565km로 토공 2.774km, 18.116km, 교량 0.675km이며 신호장#3이 있고, 7공구 전체연장은 16.777km로 토 공 3.389km, 터널 10.508km, 교량 2.880km이며 기존 정거장을 활용한 진주정거장 구조물이 있다. 8공구 전체연장은 20.307km로 토공 5.372km, 터널 13.130km, 교량 1.805km이며 신설로 고성정거장과 신호장#4 시설이 계획되었고, 9 공구 전체연장은 24.600km로 토공 0.147km, 터널 24.453m, 교량 구조물 없으며 신설로 통영정거장이 계획되어있다. 마지막으로 10공구 전체연장은 1.315km로 토공이 1.245km, 교량이 0.070km로 거제 정거장이 계획되었다. 대부분의 공구에서 터널구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9공구의 경우에는 공구 대부분이 산악터널과 해저터널로 계획되어져 있다. 각 공구별 공구 연장과 구조물 현황은 그림 2와 같다. 4. 설계기준 및 구조물 계획 남부내륙철도에 적용된 설계기준을 살펴보면 설계속도는 250km/h로 적용하였고, 구간별로 일부 구간에 대해서는 철 도선로 조건과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구간별 설계속도를 별도로 설정하여 적용하였다. 최소곡선반경은 자갈도상 2,900m, 콘크리트리 도상 2,400m를 적용되었고, 최대 캔트는 자갈도상 160, 콘크리트 도상 180을 적용하고 하였고, 건축한계는 4,200×6,450mm를 적용하였다. 설계기준을 적용한 토공설계는 쌓기부에는 방음벽 기초와 전철주 기초를 절토부에는 전철주 기초를 설치하여 안전성과 주변 소음환경을 보호하도록 계획되었다(그림 3 참조). (a) 쌓기부 표준단면(b) 깎기부 표준단면 <그림 3> 토공 표준단면 교량 구조물설계는 설계속도 250km/h를 고려한 탈선 방호벽 계획으로 상부폭원 6.6m로 하였고, 타당성 조사 및 기 본계획 대비 0.6m가 증가하였다. 이는 방호벽 구조물 외에 최근 단선철도사업의 자문의견 및 시스템 분야 기준을 반영하Vol. 27, No. 1 69 국내사업 여 유지보수자, 대피자의 안전과 열차의 전원공급, 통신, 신호제어 등의 케이블 수용을 위해 공동구를 양측에 설치계획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그림 4 참조). (a)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표준단면(b) 기본 및 실시설계 표준단면 <그림 4> 교량 표준단면 터널 구조물설계는 공사 중에는 공사장비교행 및 작 업자 이동통로확보를 운영 중에는 대피통로 0.8m 이상 을 확보하도록 하여 설계기준을 설정하고, 터널 연장별 공기압(이명감, 미기압)과 시스템분야(전기, 신호, 통신) 인터페이스 협의를 반영하여 연장이 3km 이상인 터널은 0.9m의 대피통로를, 3km 이상의 터널에서는 대피통로 1.2m확보한 표준단면으로 선정하여 경제성 및 안전성, 시공성을 확보하였다(그림 5 참조). 또한, 9공구의 경우 에는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통영~거제 구간에 남해와 견 내량에 쉴드TBM 터널계획으로 양측의 대피통로 850m 와 안전손잡이를 반영하여 굴착직경 9.0m로 계획되었 다. 향후 실시설계를 통해 최적화가 이뤄질 것으로 판단 된다(그림 6 참조). <그림 5> 터널표준단면7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a) 쉴드 TBM 적용구간(기본설계)(b) 내부내륙선 철도 쉴드TBM 표준단면 <그림 6> 남부내륙선 해저구간 및 쉴드TBM 터널 표준단면 정거장 및 신호장시설은 총 11개소이고, 그중 정거장은 7개소, 신호장 시설은 4개소이며, 정거장 7개 중 2개는 기존 정 거장과 연계하여 개량하거나 활용하는 것으로 계획되었고, 정거장 형식은 대부분 토공형식의 지상역사로 노약자를 고려 하여 열차차량을 탈 때 별도의 발판 없이 차량으로 승하차가 자유로운 고상홈 형태가 적용되었다. 신호장은 총 4개소로 대부분 터널 신호장으로 계획되어 있다(표 1, 그림 7 참조). 마지막으로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에서의 운영계획은 경부고속철도 및 수서고속철도 연계 운행을 고려한 EMU-320운 영하고, 서울발과 수서발 수송수요를 고려하여 서울발 15회/일, 수서발10회/일, 총 25회/일 운행계획으로 계획하고 있다. <표 1> 정거장 및 신호장 계획 정거장명구분시설규모승강장비고 김천개량선상역사(토공정거장) 저상홈(9.5×101.0m) 고상홈(9.5×210.0m) 신호장#1신설터널 신호장- 성주신설지상역사(토공정거장)고상홈(9.5×210.0m) 합천신설지상역사(토공정거장)고상홈(9.5×210.0m) 신호장#2신설터널 신호장- 신호장#3신설토공, 교량, 터널 신호장- 진주활용지상역사(토공정거장)경전선 승강장 활용 신호장#4신설터널 신호장- 고성신설지상역사(토공정거장)고상홈(9.5×210.0m) 통영신설지상역사(개착정거장)고상홈(7.0×205.0m) 거제신설지상역사(토공정거장)고상홈(9.5×210.0m)Vol. 27, No. 1 71 국내사업 <그림 7> 정거장 및 신호장 계획 개념도 5. 기대 효과 현재 수도권과 경남 ․ 북 내륙 및 남해안의 서부경남권은 KTX가 다니지 않는 지역으로 경전선을 통해 유일하게 KTX가 연결되어 있는 진주시 역시 삼랑진을 통해 전용선이 아닌 일반 철도 노선으로 우회하는 경로로 버스 소요시간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철도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한 사항이며 지역주민과 주변 자연환경의 관광지의 접근이 쉽지 않다. 따라서, 남부내륙선 개통되면 서울~진주간 소요시간이 2시간 반 내로 크게 완화되고 대전 등의 경부선 연선 도시들과도 접근성이 개선되어 인프라 구축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통영 거제 등의 남해안 관광지나 합천의 해인사 진주 남 강유등축제 등 서부경남 권역의 다양한 관광지의 수도권 관광객 유치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진주역과 연계 되어 사천시의 삼천포 혹은 산청군의 지리산 등 주변 지역과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 기대된다.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구조물중 토공이 13%, 터널 64%, 교량 23%로 대부분이 터널 구간으 로 장대터널과 해저터널이 계획되어져 있어 터널의 안전한 시공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며, 향후 최종 설계가 마무리되면 회원들에게 학회지를 통해 장대터널과 해저터널 위주로 본 사업을 다시 소개할 기회가 있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사업은 지역발전을 위한 공익성이 큰 사업으로 설계와 시공이 원활하게 이뤄져 2030년 개통을 통해 사업목적을 달성 하기를 기원한다. 참고문헌 1. 남부내륙 기본계획 보고서 2. 사업실명제 내정사업[2024-18] 남부내륙철도 건설사업 3. https://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1100569&boardSeq=1119400 4. https://namu.wiki/w/%EB%82%A8%EB%B6%80%EB%82%B4%EB%A5%99%EC%84%A0 5.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038 6. https://blog.naver.com/doongdoong_224/223332492304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7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제6회 브라질 터널 및 지하구조물 학술대회 (10-12 March 2025) 제6회 브라질 터널 및 지하구조물 학술대회(6th CBT)가 ** 라틴아메리카 터널링 세미나(LAT 2025)**와 공동으로 개최 되며, 2025년 3월 10일부터 12일까지 브라질 상파울루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 “터널 및 지하구조물을 통한 개발과 지속가능성”으로, 전 세계 터널 산업의 저명한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일 예정입니다. 학술대회에서는 지하구조물 분야 전 문가들을 위한 16개의 주요 주제 가 다루어질 예정입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터널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운영 분 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이 발표되며, 전문가들 간의 토론과 경험 공유, 기술적 업데이트의 기회도 제공될 예정입니다. 본 학술대회는 국제터널협회(ITA)의 공식 후원을 받으며, 터널 및 지하공간 분야의 발전과 혁신을 위한 중요한 기술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ITACET 런치타임 렉쳐 #43 (11 February 2025) 이번 런치타임 렉쳐 시리즈(LLS #43)는 국제터널협회(ITA AITES) WG3와 협력하여 **“우수한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계약 도구”**를 주제로 진행됩니다. 이번 강연은 **2025년 2월 11일 오후 1시(CET, 중앙유럽 표준시)**에 개최될 예정 입니다. 이번 LLS #43에서는 세 개의 강연이 진행되며, 모든 연사가 함께하는 질의응답(Q&A) 세션으로 마무리됩니다. 강연 주제 및 연사: - 우수한 계약을 위해서는 우수한 입찰이 필요하다 - Matthias Neuenschwander - 파트너십을 통한 프로젝트 수행 - Neil Paynter - UGW 계약에서의 BIM 적용 - Rita Sanfilippo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편집위원 : 서상연(GS건설 부문장)Vol. 27, No. 1 73 학회학회 시작일개최도시 American Geophysical Union Annual Meeting (AGU24)2024.12.09.Washington, DC, USA 4th Asia Pacific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in Geotechnics (ACPMG) 20242024.12.11.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TRB Annual Meeting2025.01.05.Washington, DC, USA George A. Fox Conference2025.01.07.New York, NY, USA ADSC Annual Meeting 20252025.01.26.Coronado, CA, USA Symposium on Shear Testing of Soils2025.01.29.Houston, TX, USA PDCA 25th Annual Conference & Expo2025.02.04.San Antonio, TX, USA 2025 NHERI Computational Symposium2025.02.05.Los Angeles, CA, USA 2024 Carolinas Engineering Summit2025.02.17.Concord, NC, USA Geotechnical Frontiers 20252025.03.02.Louisville, KY, USA 3rd Annual Conference on Foundation Decarbonization and Re-Use2025.03.25. Amsterdam, The Netherlands New York City Ports and Marine Seminar2025.03.27.Brooklyn, NY, USA Rocscience International Conference 2025 (RIC2025)2025.04.06.Sydney, Australia Bauma 20252025.04.07.Munich, German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Structura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2025.04.17.Hurghada, Egypt GBA 2025 Annual Conference2025.04.24.Savannah, GA, USA USSD Annual Conference and Exhibition2025.05.05.Kansas City, MO, USA Helical Piles - Tiebacks - Anchors Tradeshow2025.05.07.Durham, CT, USA World Tunnel Congress (WTC2025) – Tunnelling into a sustainable future - methods and technologies 2025.05.09.Stockholm, Swede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ated and Bio-Inspired Geotechnics (I-CBBG) 20252025.05.18.Tempe, AZ, USA 2025 Southwest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2025.05.19.Sacramento, CA, USA Computational Geomechanics2025.05.27.Anaheim, CA, USA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 (ISFOG)2025.06.13. Nantes, Franc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Geotechnology,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Sustainable Engineering 2025.06.14.Vigo, Spain EUROCK 2025 - Expanding the Underground Space: Future Development of the Subsurface 2025.06.16.Trondheim, Norwa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ergy Geotechics 20252025.06.17.Paris, France 9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eotechnical Safety and Risk2025.08.24.Oslo, Norway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IS and Geoinformation Zoning for Disaster Mitigation (GIZ) 2025.08.28.Almaty, Kazakhstan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Pressuremeters (ISP8)2025.09.02.Luxembourg 3rd International Workshop on Landslides in Sensitive Clays2025.09.28. Quebec City, Canada Geotech Asia 20252025.10.07.Goa, India DFI 5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2025.10.20.Nashville, USA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 &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ural Hazards 2025.12.05.Lahore, Pakistan Geo-Congress 20262026.03.09.Salt Lake City, Utah, USA LANDSLIDES 2026 - Landslide Geo-Education and Risk (LAGER)2026.04.27. Queenstown, New Zealand 8th International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2026.06.11.Graz, Austria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ICSMGE) 2026.06.14.Vienna, Austria LARMS2026 - X Latin American Congress on Rock Mechanics2026.08.26.Brasília, Brazil 편집위원 : 정연종(서울연구원 연구위원)7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학교 및 학과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토목공학전공 지 도 교 수 : 박두희 학 위 자 : 김종겸 학 위 : 공학석사 (2024. 8.) ACH형식 TBM 장비의 디스크커터 비정상마모에 관한 실증 연구 국문 초록 최근 TBM을 비롯한 지하공간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면적 및 인구대비 터널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상대적으로 TBM 터널의 적용사례는 근래 들어 활성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TBM 기술은 NATM 공법 대비 안전 및 공사기간 측면에서 월등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금회 실증연구에서 적용 한 ACH 형식의 커터헤드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적용된 방식으로, 일반 쉴드 TBM 비교해 보다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다만, 모든 것에 양면이 있듯이, ACH 형식의 커터헤드 경우 디스크커터 고정방식이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해 볼트규격 이 작고 연결부위가 복잡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에 취약하다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H 형식의 커터헤드를 국내 최초로 적용한 현장사례를 바탕으로 디스크커터의 마모유형을 분석하 고, 마모계수 등을 산정하여 ACH 형식의 TBM 장비 적용성에 대한 분석하였다. 경암구간에서 디스크커터의 커터 밀림, 볼트풀림 등으로 인한 비정상마모가 연암 및 풍화암 구간에서보다 극명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났다. GTX-A 등 ACH 형 식의 커터헤드를 적용하지 않은 현장에서 굴진을 성공적으로 끝마친 것을 고려하였을 때, 대체로 암반등급이 높은 국내 에서 ACH 형식의 커터헤드 적용성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TBM 공법에 대한 설계나 시공단계에서 검토 및 검증할 필요가 있다. 논․ 문․ 소․ 개 + 학위논문 소개 편집위원 : 나유성(서하기술단 부장)Vol. 27, No. 1 75 학교 및 학과 :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지 도 교 수 : 최항석 학 위 자 : 류병욱 학 위 : 공학석사 (2024. 2.) 폼 폴리머 주입 조건에 따른 EPB 쉴드 TBM 굴착토의 유동학적 특성 연구 국문 초록 도심지로의 인구 밀집과 유동인구 증가로 인해 지상은 과포화 상태이다. 이로 인해 지하 공간 확보에 많은 관심이 쏠 리고 있다. Earth Pressure Balance(EPB) 쉴드 Tunnel Boring Machine (TBM) 공법은 터널 시공에 있어 가장 활용도 가 높은 기계화 공법이다. EPB 쉴드 TBM 은 배토량의 조절을 통해 막장면의 압력을 유지하며 지반을 굴착하는 장비이다. 이때 첨가제의 적절 한 사용을 통해 굴착토의 물성 개선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쏘일 컨디셔닝이라 하며, 쏘일 컨디셔닝을 통해 막장압 변동 감소, 커터 마모 최소화, 굴착토의 전단강도, 투수계수 감소 및 연속적인 배토 등 다양한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하철 9 호선 △△△현장 보링홀 TB-7 을 모사하여 쏘일 컨디셔닝을 수행하였으며, 슬럼프 시험과 실내 가압 베인전단 시험을 통해 유동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첨가제는 폼, 폴리머 두 종류를 사용하였 으며, 폼 팽창비(FER), 폼 주입량(FIR), 폴리머 주입량(PIR), 폴리머 함량(Cp)에 차이를 두어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내 가 압 베인시험에 있어 챔버압은 150kPa 로 조성하여 EPB 쉴드 TBM 의 15m 심도 지반 굴착 상황을 모사하였다. 본 시험들을 통하여 첨가제 주입 조건에 따른 워커빌리티, 첨두강도, 항복응력, 겉보기 점도, 틱소트로피 면적을 평 가하였으며, 슬럼프 값과 항복응력 결과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 모사 조건에서의 최적 첨가 제 주입 조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EPB 쉴드 TBM 의 시공에 있어 첨가제의 적량 적용을 통한 경제성 및 시 공성 향상에 이바지할 것이라 판단된다.7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학위논문 소개 학교 및 학과 : 부산대학교 산업대학원 토목공학전공 지 도 교 수 : 오태민 학 위 자 : 박근배 학 위 : 공학석사 (2024. 2.) 편마암지대 NATM터널 굴착시 R.M.R 분류인자와 여굴과의 상관관계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선-캠브라이기 변성암류인 경기변성암복합체에 속하는 흑운모 호상편마암지대 ○○터널 굴착시 발생하 는 여굴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시작하였다. 터널 굴착 작업에서 여굴의 발생은 계획단면 확보를 위해 필연적으로 발생하 고 있으며, 여굴 발생으로 인해 공사기간 증가, 공사비 증가, 그리고 터널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굴의 발 생은 터널 굴착과정 중 측량, 천공, 장약, 발파등 인위적인 요인과 굴착 암반의 강도, 절리상태, 충진물, 지하수, 절리방 향, 암석의 등방성, 이방성등 자연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아 여굴이 발생 되고 있다. 본 연구과정은 암반등급을 판정하는 R.M.R(Rock Mass Rating) 분류인자중 암반강도, R.Q.D(Rock Quality Desig- nation), 지하수상태, 절리간격, 절리상태 5개 인자를 독립변수로, 여굴량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상행선 1677단면, 하 행선 1692단면의 R.M.R값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성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R.M.R과 여 굴과의 유의성과 인자별 영향력을 확인 후 두 변수간의 관계식을 성립하였다. 또한 편마암 ○○터널 굴착시 발생하는 여굴량과 설계 허용 여굴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굴이 과다하게 발생하였다 는 결론을 얻게 되었는데 이는 편마암에서 나타나는 엽리, 층리, 절리등의 특성이 터널의 과다 여굴 발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다 여굴로 인해 숏크리트 물량은 설계 물량 대비 상행선 213%, 하행선 211% 초과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숏크리트 타설비용은 약 20억원 증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Vol. 27, No. 1 77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http://www.jkta.or.kr Volume 27, Issue 1 (January 2025) 목 차 Proposal of a BIM construction method for visualizing axial behavior of rock bolts Junhwi Cho, Cherry Rose Godes, Shanelle Aira Rodrigazo, Yongseong Kim, Seungjoo Lee, Yongjin Kim, Jaeheum Yeon* UWB-based positioning technology for real-time safety management at TBM tunnel construction sites Seung-Jae Lee, Jong-Man Kwon, Yu-Seok Kim, Chaemin Hwang* The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necessity of backfill grouting for cast-in-place concrete lining Hong-Joo Lee, Ki-Il Song*, Young-Gyun Na, Tack-Woo Lee, Dong-Gun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fire extinguishing agents for EV (LIB) fire response in underground expressways Hyun O Jang*, Jun Seong Park XGBoost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 for ground settlement by a shield TBM tunnelling Jae-Woo Shin, Yun-Hee Kim, So-Yi Lee, Bumjoo Kim*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