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7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19> Integrated Digital Underground and 4D-BIM 출처: Crossrail(영국 2018) 5.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 구축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지하정보 기술과 해외에서의 개발되고 있는 지하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국가에서 운영가능한 통합 디지 털 지하정보플랫폼(DUIP, Digital Underground Information Platform)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안하였다. 5.1 DUIP의 기본 방향과 정보 구성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 플랫폼(DUIP)의 정보 구성은 표 2와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상 정보와 지하 정보 그리고 기타 정보 등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터널을 기반으로 모든 관련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플랫폼이다. <표 2>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정보구성 구분 정보 내용비고 지상 정보 도로선형, 폭원 등 도로에 대한 상세 정보 지리정보 시스템(GIS) 연계 지상시설물도로 주변에 위치한 각종 시설물 (가로등 등) 지상구조물도로 횡단/교차하는 각종 구조물 (도로, 교량 등) 지형지형(DEM)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 (항공사진 포함) 지질위험 지진발생 위치, 급경사지 분포, 도로함몰 위치 등 지하 정보 지하시설물상수도, 하수도, 전기, 통신, 가스, 난방, 송유관 디지털 지하 Digital Underground 지하구조물지하철, 지하보도, 지하차도,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공동구 지질/지반지질, 시추, 관정 (지층 및 지오리스크 구간 등) 건설 정보 설계도로, 터널 및 교량 등 설계에 대한 정보 (주요 구조물 등) 설계 BIM 및 시공 BIM과 연계 시공시공에 대한 상세 정보 (설계변경 및 문제발생 구간 등) 유지관리유지 관리에 대한 정보 (안점점검 및 안전진단 등)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Vol. 25, No. 2 79 지하 정보는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그리고 지질/지반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디지털 지하(Digital Underground)를 구축하도 록 하였다. 지상 정보는 지하터널에 대한 기본정보와 지상시설물, 지상구조물, 지형정보, 지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지리정보(GIS)시스템과 통합하도록 하였다. 건설 정보는 설계 정보, 시공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포함하고 BIM 시스템과 연계하도록 하였다. 5.2 DUIP의 시스템 구성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 플랫폼(DUIP)의 시스템 구성은 표 3과 그림 20에 나타나 있다. 표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합관리 시스 템, BIM 연계 시스템, 디지털기술 시스템 및 상호표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관련정보를 가시화 하고 표준화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표 3>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시스템 구분 주요 구성비고 통합관리 시스템계획, 설계 및 시공 그리고 유지관리 단계의 통합관리Better BIM연계 시스템BIM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Smarter 디지털기술 시스템 고정밀 고정도의 3차원 정보데이터 구축Higher 상호표준 시스템데이터 표준화 및 관리기관과위 상호 연계 Better <그림 20>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시스템 구성 통합관리 시스템은 지하터널에 대한 계획, 설계 및 시공 그리고 유지관리 단계의 모든 정보와 지하공간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다. BIM연계 시스템은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적용되는 BIM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하도록 하고, 4D-BIM과 같이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시간개념을 포함하도록 한다.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8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디지털기술 시스템은 최신에 개발된 고정밀 고정도의 3차원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모든 지하시설물 및 지하구조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구축하도록 한다. 상호표준 시스템은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보의 정확도 및 정밀도를 표준화하고 지하시설물 관리기관과위 상호 연계를 용이하게 하 는 것이다. 5.3 DUIP 플랫폼 특성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 플랫폼(DUIP)의 주요 특성은 표 4와 그림 21에 나타나 있다. 표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DUIP는 기술 플랫폼(Technology Platform), 정보 플랫폼(Information Platform), 관리(Management Platform) 및 소통 플랫폼(Communication Platform)의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지하공간 정보를 구현하여 모든 관계자 및 관계기관이 접근가능한 종합플 랫폼이다. <표 4>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특성 구분 정보 내용담당자 기술 플랫폼Technology Platform스마트 기술, 디지털 기술, 신기술Engineer 정보 플랫폼Information Platform지상정보, BIM 정보, 지하정보O&M 관리 플랫폼Management Platform시공관리, 안전관리, 유지관리Project Owner 소통 플랫폼Communication Platform발주자, 관리주체, 지하시설물관리자Third Party <그림 21>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특성과 상호연계 기술 플랫폼은 스마트 기술, 디지털 기술 및 신기술 등을 반영하여 고정도/고정밀 3차원 지하공간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보 플랫폼은 지상에 대한 GIS 정보, 설계 및 시공에 대한 BIM 정보 및 지하공간에 대한 Digital Underground 정보 등이 모두 포함되고 통합되도록 한다.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Vol. 25, No. 2 81 관리 플랫폼은 설계 및 시공정보 뿐만 아니라 지하터널의 지상 지하정보를 분석하여 지하터널의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업무에 활용 하도록 하는 것이다. 소통 플랫폼은 발주처뿐만 아니라 설계자, 시공자 및 유지관리 주체 그리고 도로 주변 지하시설물 관리자 등이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5.4 DUIP 구축을 위한 해결과제와 목표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은 스마트 건설과 디지털 기술에 맞춰 지하터널의 효율적인 시공관리, 선진적인 안전관리 및 통합적인 유지관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축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DUIP의 구축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 이를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고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Digital - 지하공간정보의 고정밀 Mapping 기술 확보 본 플랫폼은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고정밀 Mapping 기술을 확보하여야 한다.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고정밀 Mapping은 3D 가시화 기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4D 구현을 목표로 개발되어야 한다. ∎ Smart - 지하공간정보의 정밀탐사 및 정보획득 기술 확보 본 플랫폼은 다양한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정밀탐사 및 정보획득 기술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로 봇 탐사기술, AI 데이터 처리기술 등의 스마트 기술이 응용 및 적용되어야 한다. ∎ Integrated - 지하공간정보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본 플랫폼은 관리주체인 발주처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관계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지하터널의 설계/시공단계와 운영/유지관리단계의 지하터널의 전 공정에서 활용되어야 한다. ∎ Strategic - 지하공간정보 통합관리에 대한 전략 수립 본 플랫폼은 정부의 장기발전 미래전략과 함께 발주처 주관으로 지하공간정보의 통합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구성하고 실 천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DUIP의 프레임워크와 데이터셋 구성과 개발조직이 포함되어야 한다. <표 5>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의 과제와 목표 과제목표 Digital지하공간정보의 고정밀 Mapping 기술 확보 고정밀 3D가시화 및 4D구현 Smart 지하공간정보의 정밀탐사 및 정보획득 기술 확보지하정밀 탐사 및 지하정보획득 Integrated지하공간정보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지하정보, 지상정보 및 건설정보 Strategic지하공간정보 통합관리에 대한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 구성 및 로드맵 수립 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8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6. 결 언 본 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지하정보기술과 시스템을 살펴보고, 싱가포르 등의 해외에서의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지하와 지하인프라 디지털 시스템을 분석하여, 국가에서 운영가능한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에 대한 기본방안 제안하였고, 그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Digital Underground로의 전환 지하터널, 지상 및 지하에 대한 수많은 정보들이 만들어지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하정보는 정보의 신뢰도와 정확도가 낮고, 누락되는 경우가 많은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하터널의 철저한 안전관리와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지하공간정보의 디지털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고정밀 기술 확보 지하공간정보에는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및 지질/지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기존에 만들어진 데이터의 수준인 낮고, 관리주 체가 상이하여 기존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도 매우 부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지하터널 주변 지하공간에 대한 정보를 정비하고 표준화기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에 정밀탐사기술이 개발되어야 하고,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고 구현하는 고정밀 기술이 필수적이다. ∎ 지하공간정보의 개방적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확실한 지하공간정보는 발주처와 같은 운영주체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기관 및 지하개발사업자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정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하터널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실제적인 정보는 지하터널의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업무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가 된다. 따라서 지하공간정보 관련기관과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는 개방적(Explicit) 통합관리시스템이 구 축되어야 한다. ∎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DUIP)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은 스마트 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응용하여 지하터널에 대한 Digital Twin을 실현하고 Digital Underground를 구축하고자하는 플랫폼이다. DUIP는 지하터널에 대한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통합하는 플랫폼으로서 지하터널의 시공관리,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에 활용가능하고, 궁극적으로는 스마트 디지털 지하터널(Smart Digital Underground Tunnel)로 실현 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지하공간통합지도, http://www.jihacenter.or.kr. 2. 국토교통부,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및 탐사현장 활용지원 기술 개발 기획보고서, 2019. 3. 강경남, 김우람, 황승헌, 안준상, 지하공간통합지도 기반 3차원 지하정보 구축 및 가시화시스템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Vol. 25, No. 2 83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9, No. 6, 497-505, 2021. 4. 이인환, 지하공간 안전관리기술, 2018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세미나, 2018. 5. 이태형, 김현우,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제공 플랫폼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4) 2020, pp.173-183, 2020. 6. 김광수, UGS 지하공간 가시화 기술, UGS융합시스템연구단, 2018. 7. Victor Khoo, Digital Underground : Towards a reliable underground utility map in Singapore, SLA and Singapore-ETH Centre, 2018. 8. Rob van Son, A Reliable 3D Map of underground utility for planning and Land administration, UNWGIC 2018. 9. Gerhard Schrotter, Towards a reliable map of subsurface in Singapore Digital Underground, 2020. 10. Geoff, A user platform for digital twins of underground utility infrastructure, 2021. 11. Geoff, UK’s bottom-up/top-down approach to creating a voluntary National Underground Asset Registry, 2021. 12. Geoff, Challenges of subsurface digital twins, 2022. 13. 財団法人 エンジニアリング振興協会 地下開発利用研究センター, 3次元地下空間情報の利活用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平成2年. 14. NTTグループのSmart Infra, 高精度3D空間情報を活用した地下設備の高精度3D位置情報管理, 2022. 15. 独立行政法人国際協力機構 (JICA), 地理空間情報の整備と利活用に係る情報収集・確認調査報告, 2021. 16. 国土交通省, 3次元空間情報基盤に関する検討 (ベース・レジストリなどとの連携), 平成20年. 17. 国土交通省, 3次元地理空間情報を活用した安全・安心・快適な社会実現のための技術開発, 平成27年. 18. 国土交通省,大深度地下情報システムについて, 令和 3年. ∎ 제4강 - 요점정리 제4강에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디지털 지하와 통합 지하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디지털 지하의 주요 특징, 디지털 지하의 주요 이슈 및 통합 지하정보시스템 사례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지하의 필요성과 국내외적으로 현재 운영중이거나 개발중인 지하정보시스템 그리고 통합 디지털 지하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시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 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지하 Digital Underground 현재 건설분야에서의 디지털화는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주요 토목공사에서의 BIM 기술의 개발과 적용은 디지털화의 실현을 앞당기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화의 흐름에서 지하(underground)는 불확실성을 내포한 특수한 공간으로 지하공간 개발시 지하공간에 대한 정보를 구체화하고 정보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하공간에 대한 모든 정보를 고정밀 수준으로 정량화하는 디지털 지하(Digital Underground)라고 개념이 만들어졌다. 디지털 지하는 지하에 존재하는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 모 두 포함하여 고정밀 3D로 구현하게 된다. 지하공간정보의 디지털 기술 지하공간에 존재하는 정보는 지질/지반에 대한 정보, 지하매설물 정보, 기존 지하구조물 정보 그리고 신설하고자하는 새로운 지하 인프라구조물 정보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든 지하공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정리하고, 정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미처 파악하지 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4강. 디지털 지하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과 전망 8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못한 지하정보를 정밀하게 조사하는 기술, 지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는 기술, 다른 정보와 통합하는 기술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 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공간정보는 GPR 탐사기술, 3D 고정밀 가시화기술, 4D-BIM 기술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여 운영하게 된다. 도심지 지하개발과 디지털 지하 도심지 지하개발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지상소유권자와의 법적문제와 기존 지하시설물과의 간섭문제 그리고 지하시설물에 대한 관리주체의 상충문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이 바로 디지털 지하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지하에서 제공하 는 지하공간에 대한 모든 객관화된 정량적인 자료는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에 관계된 모든 주체(발주자, 시공자 및 제3자)에 제공됨으로 서 지하공간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 구축 지하공간정보 관련기관과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확인할 수 있는 개방적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은 스마트 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응용하여 지하터널에 대한 Digital Twin을 실현하고 디지털 지하 를 구축하고자하는 플랫폼이다. DUIP는 지하터널에 대한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통합하는 플랫폼으로서 지하터널의 시공관리, 안전관리 및 유지관리에 활용하게 된다. 이제 제4강이 마무리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지하와 지하정보시스템에 대한 참고문헌을 읽어주기 바란다. 현재 선진국 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시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공간정보를 데이터화하는 지하공간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 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싱가포르 전 구역에 대한 디지털 지하시스템 구축을 지속적 으로 추진하여 왔다. 도심지 지하공간개발시의 지하공간정보의 부정확으로 인한 지상건물의 손상, 기존 시설물의 파괴 및 주민들의 안전문제 등을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주도의 지하공간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 건설 분야의 스마트화 및 디지털화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특히 설계단계에서부터 전면 BIM 기술의 실행은 당면한 과제이다. 지하터널과 지하공간개발이 이슈가 되고 있는 지금 디지털 지하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궁극적으로 모든 지하공간정보가 함께 구현되는 플랫폼으로 가야만 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통합 디지털 지하정보플랫폼(DUIP)로 실현되고 구체화되길 바래본다. 다음 강의에서는 국제터널협회(ITA)의 기술위원회를 중심으로 검토된바 있는 도심지 지하개발(Urban Underground Development)에 대한 주제를 세계 각국에서의 지하공간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이슈에 대하여 설명 하고자 한다. 현재 세계 주요 메가시티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은 가장 핵심적인 이슈로서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지하공간개발을 도시 재생(urban regeneration)과 도심지 안전(urban safety)의 중점 과제로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심지 지하공간개발 과 지하인프라 구축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과 기술 논점을 기술하여 지반 및 터널 기술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다.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Vol. 25, No. 2 85 터널 엔지니어의 꿈을 이루기 위한 나의 여정 안녕하십니까. 저는 강원대학교 에너지·인프라 융합학과의 석사과정, 홍주표입니다. 운이 좋게도 저는 지도교수님 의 가르침과 학교강의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곳에서 배움을 얻을 기회가 많았고 여러 전문가분에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저의 대학원 입학 후 터널 엔지니어로 성장하기 위한 배움의 여정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저는 에너지 자원공학이라는 넓은 학문 영역에서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였지만, 특정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지도교수님인 고태영 교수님의 연구실에 학부연구생으로 들어가며, 화약을 사용하 지 않고 그리퍼를 이용하거나 설치된 세그먼트에 의해 반력을 얻어 굴진하는 TBM 공법이 첨단 기술이자 터널 시공 시 추구해야 할 기술로 느껴져, 터널과 TBM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자 대학원에 진학하게 되었습니다. TBM은 복잡한 장비이자 시스템이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TBM의 기초부터 시작하여 설계 최적화, 굴 진율 예측, 디스크 커터의 마모 예측, 터널 보강 및 안정성 등 다양한 세부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저는 TBM의 굴착 도구인 디스크 커터의 마모를 예측하고자,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디스크 커터 마모 지수를 암석 물성으로 추정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의 활용법과 디스크 커터 마모 관련 지수들과 암석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 중입니다. 이러한 제 배움은 연구실 내부에서만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여러 대외 활동들을 통해 다양한 배움의 기회를 얻 었습니다. 김포-파주 2공구 TBM 현장사무소를 견학하면서 아직 조립되지 않은 직경 14m의 국내 최대 규모의 TBM과 공사 현장을 직접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TBM의 거대함과 정교함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TBM의 조립을 위해 고려 해야 하는 사항과 사용되는 장비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굴착토 처리 시설 배치 등을 실제로 확인하여 TBM 장비들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명확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한강 터널 홍보관에서는 굴착 예정인 TBM에 대한 터널 엔지니어의 꿈을 이루기 위한 나의 여정 홍주표 강원대학교 에너지· 인프라 융합학과 석사과정자유기고 8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영상자료와 TBM의 소형모형, 장비 샘플을 통해 TBM의 시공 원리를 배우고 VR 기기를 통해 TBM 내부구조를 자유롭 게 관찰하여 아직 처음으로 보는 시공 중 TBM 내부의 상황을 알 수 있게 되었고 적용된 최첨단 기술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호주 UNSW 대학의 토목공학과와 자원공학과를 견학한 경험은 풍부한 배움을 제공하였습니다. UNSW 대학의 토목 공학과는 암석 시료를 사용하는 우리 연구실과는 다르게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하고 연구하며 폐플라스틱과 폐타이어 폴리에틸렌 등 도시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UNSW 대학의 자원공학과에서는 자원 부국인 호주에서 광산개발을 위한 굴착에 사용하는 장비와 원리에 대하여 배우고 실제 광산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들을 체험할 수 있었는데 최첨단 광산 3D 시뮬레이션 체험을 하고 IT 기술을 응용한 장비들을 보 며, 기존 기술과 IT 기술의 접목하는 연구는 세계적인 흐름이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터널지하공간학회에서 주관하는 행사들은 저의 연구에 많은 부분에서 좋은 영향을 받았는데 TBM 터널 강 의를 통해, TBM에 대한 기초 이론부터 실제 시공 사례까지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고, 특히 TBM 시뮬레이션 프로 그램을 활용한 실습으로 TBM이 어떤 환경에서 작동하며, 어떤 상황을 고려해야 하는지, 그리고 필요한 데이터가 어 떻게 수집되고 활용되는지를 직접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스마트 건설 & TBM 기술 세미나에서는 현장 전문 가들의 발표를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터널 프로젝트와 첨단기술, 그리고 실제 활용되는 기계학습 활용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배움들은 연구실에서는 알 수 없는 실제 TBM 현장에서의 경험을 간접적으로나마 얻을 수 있 는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지난 터널 지하공간 봄 학술대회에서는 제 연구를 발표하는 기회를 얻게 되어 많은 전문가 앞에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부터 발표하기까지 여러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 경험들은 다른 곳 에서는 얻을 수 없는 소중한 배움이었고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다. 발표 중에는 긴장으로 인해 여러 실수가 있었지만, 그 경험은 다음에 더 잘하려는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특히, 학회장님과 다른 참석자들의 격려는 저에게 큰 힘이 되 었습니다. 이 모든 경험을 통해 저는 계속해서 배우고, 성장하며, 도전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터널과 TBM 기술에 대한 더 깊은 열정과 애정을 갖게 되었습니다. 제가 배운 것을 토대로 앞으로도 이 분야에서 깊 이 있는 연구를 통해 터널과 TBM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마무리하며, 제가 지금까지 걸어온 이 길을 위해 기회와 행운을 주신 지도교수님과 가르침을 아끼지 않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이 경험을 통해 더욱 성 장하여 졸업 이후에 이 분야에서 누군가에게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더 깊은 연구를 하고 직무를 수행하 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Vol. 25, No. 2 87 터널 엔지니어의 꿈을 이루기 위한 나의 여정 [기계학습을 이용한 CLI 예측 그래프와 표][김포-파주 2공구 현장견학 단체사진] [UNSW 대학 견학사진][KTA 터널기술강좌 강의사진] [스마트 건설 & TBM 기술세미나 강의사진][2023 KTA 학술발표회 발표사진]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