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ITA 참가기 8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ITA 제49차 총회 및 WTC 2023 학술회의가 지난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진행되었다. 올해 행 사는 “Expanding Underground : Knowledge & Passion to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World”라는 주제로 Hybrid 행사로 기획되어 세계 각국에서 2,000여명이 현장에 참석하였고 온라인으로도 100여명 이상이 참석하였으며, 우리 학회에서도 김낙영 회장을 비롯하여 국가철도공단, 한국수력원자력 등의 발주기관을 포함하여 50여명의 회원이 현장에 직접 참가하였다. 개최국 그리스는 인구는 1,034만명(2023년 1월), 면적은 131,960km2 정도(본토 81%, 도서 19%, 한반도의 2/3배)로 그리스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남유럽 발칸반도 남쪽 끝에 있는 국가이다. 남유럽의 발칸반도를 바탕으로 유럽, 북아프 리카, 아시아의 교차점에 있는 국가로, 알바니아와 북서,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와 북쪽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동남 쪽으로는 튀르기예와 접한다. 그리스 본토 동쪽에는 에게해, 서쪽에는 이오니아해가 있으며, 남쪽에는 크레타만과 지 중해가 흐른다. 동쪽과 남쪽에는 1,400여 개에 달하는 섬과 바위가 흩어져 있다. 대표적으로 크레타섬, 로도스섬, 산 토리니섬이 있는 키클라데스 제도 등이 있다. 해안선 길이는 13,676km (8,498mi)로 지중해 지역에서 가장 길고, 세계 에서 11번째로 길다. 그리스는 냉전시기 공산주의 국가와 인접하였고, 가상 적국이던 터키 영향으로 말미암아 발칸반 도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편으로, 그리스군은 유럽에서도 강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부터 1973년 그리스 군사 정권이 무너지기 전까지는 연평균 7% 고속 성장을 이루어 그리스의 경제 기적으로 불린다. 그 뒤 성장세는 꺾였으나 경제 성장률은 남유럽에서 높은 편에 속했으며, 1인당 국민총생산도 1949년에는 프랑스의 40%이 되었으나 2008년에는 98%에 달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실제 국민 소득은 크게 진보한 점 없어 현재 최 저 임금은 시간당 3.5유로로 프랑스의 8.9유로 절반 이하이고, 평균 소득도 절반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이다. 1인당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박준경 대림대학교 교수 / 학회 국제전담이사Vol. 25, No. 2 89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GDP는 17,000달러 수준이다. 현대 그리스는 고대 그리스 문명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동로마 제국 시대 그리스인 후 손이다. 근대까지는 그리스인 대신 로마인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현재에도 그리스에서 로마인들이라 함은 자기 자신들을 가리킨다. 민주주의와 서양 철학, 올림픽, 서양 문학, 역사학, 정치학, 수많은 과학적ㆍ수학적 원리, 희 극이나 비극 같은 서양 희곡 등 서양 문명의 발상지다. 그리스의 터널 건설은 적어도 기원전 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물 채굴을 위해 많은 터널이 굴착되었을 때, 아테네 근처에 위치한 라브리온 은광은 고전 시대에 살라미스 해전에서 페르시아를 물리치기 위해 고용된 막강한 해 군 자금을 조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전 시대의 아테네 제국을 탄생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다른 잘 알려진 고대 광산은 에게해의 타소스 섬과 시프노스 섬에 있다. 이 시기의 업적 중 하나는 고대의 가장 중요한 공학적 업적 중 하 나로 간주되는 Eupalinos Tunnel로, 그리스 사모스 섬에 있는 1,036m 길이의 터널로 기원전 6세기에 수로 역할을 하 기 위해 건설되었다. 엔지니어 Eupalinos는 정반대에 있는 두 개의 포털에서 동시굴착을 시작하여 산 아래에 터널을 건설했으며 수학과 기하학을 사용하여 양쪽에서의 드라이브가 편차 없이 중간에서 만나도록 관리하였다. 개최도시 아테네(Athens)은 그리스의 수도로서 경제, 금융, 산업, 정치 및 문화 생활의 중심지이다. 아테네의 지하 네트워크는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히 확장되었으며 현재 이 개발은 크게 가속화되고 있다. 2022년 10월, 마니아티카 (Maniatika), 피레우스(Piraeus), 디모티코 테아트로(Dimotiko Theatro) 역의 마지막 3개 역이 대중에게 공개되면서 지하철 3호선 피레우스(Piraeus) 확장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이 프로젝트에는 총 7.6km 길이의 Twin track 터널, 6개의 새로운 현대식 지하정거장 및 7개의 Ventilation Shaft가 포함되었으며 수십 년 동안 아테네와 피 레우스의 더 넓은 지역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하공간확장 중 하나이다. 그 이후로 아테네의 메트로 시스템과 관련된 많은 향후 확장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아테네에 110개 이상의 역이 있는 메트로 네트워크는 도시 교통을 위한 더 나은 조건을 만들고 인구 밀집 지역에서 메트로 네트워크 연결, 네트워크 확장 및 새로운 성장 창출을 위해 9개의 확 장에 35개의 새로운 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아테네는 이제 100개 이상의 정거장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2년 초, 그리스 인프라 교통부는 2023년 1분기에 10개의 새로운 주요 프로젝트(16억 유로)에 대한 입찰을 발표했다. 주요 진행 중인 프로젝트로는 Thessaloniki METRO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Thessaloniki의 첫 번째 지하철 노선은 2023년에 운행을 시작할 예정으로 이 프로젝트에는 18개의 지하철역, 약 14.4km의 터널링 및 50,000m2의 차량기지 포함, 승객 서비스와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최신 기술의 완전 자동 무인 및 냉난방 열차와 각 역의 자동 플랫폼 스크린 도어 설치 예정), Crete 섬의 Northern Road Axis (총 길이가 13km가 넘는 수 많은 터널이 포함된 전체연장 200km 길이의 고속도로 프로젝트, 공사비 약 14억 6천만 유로), 레프카다 섬 과 본토를 연결하는 수중도로(Underwater road link to connect Lefkada island to mainland, 레프카다 섬과 본토 국도를 연결하기 위해 현재 3.11km의 도로가 설계 중이며, 이 중 1.2km는 기존 해협을 가로지르는 해저터널) 등이 있다.ITA 참가기 9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1> 아크로폴리스 전경, 그리스 터널의 역사 및 WTC 2023 Venue (Megaron Athens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re, MAICC) 전경 <그림 2> 지하철 역사내 WTC 2023 홍보 및 지하철 복선터널(Megaro Moussikis역) 현황Vol. 25, No. 2 91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ITA 총회(General Assembly) ITA 총회(General Assembly) 총회는 ITA 회장단과 임원 및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하여 한 해 동안의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주요 의제를 논의하며 예· 결산에 대한 토의와 승인절차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3년 후 ITA 총회 및 WTC 개최도시를 결정하게 된다. 총회에 우리 학회에서는 최항석 부회장을 비롯하여 국제담당이사 등이 참석하였다. 이번 총회에서는 지난 덴마크 총회에서 선출하지 못한 부회장 1인의 선출이 있었으며, 79개 회원국 중 50개국의 투표를 통 해 Mr. Ioannis Fikiris (그리스)를 선출하였다. 회원국의 투표를 통해 WTC 2026 개최지는 캐나다의 몬트리올과 남아 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 타운이 최종까지 치열한 경쟁을 펼친 끝에 33:16으로 캐나다 몬트리올이 선정되었으며, Mr. Rick Rovat (ITA 전임 부회장)은 WTC 2026 개최국의 Correspondent 자격으로 ExCo(Executive Council) 멤버로 합류하게 되었다. WTC 2027 개최의사는 벨기에 앤트워프(Antwerp)가 단독으로 개최의사를 표시하였다. 우리 학회에 서는 8월에 예정되어 있는 ICTUS 2023 개최예정현황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다른 회원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 하였다. <그림 3> ITA 49th General AssemblyITA 참가기 9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4> ITA 49th 총회 자료집Vol. 25, No. 2 93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WTC 2024의 개최지인 중국(2024/04/19~25, Shenzhen)과 WTC 2025의 개최지인 스웨덴(2025/05/09~15, Sto- ckholm)은 개최준비현황을 총회에서 보고하였으며, 비유럽권에서 개최될 WTC 2028 개최지에 대해서는 아시아권 최 초로 중국이 2회 개최(1990년 Chengdu, 2024년 Shenzhen) 및 50주년 ITA 총회를 유치한 것에 자극을 받아서인지 아시아권의 싱가포르(2004년), 태국(2012년 방콕), 일본(1978년 도쿄) 등이 비공식적으로 각 국가의 대표자들이 개최 의사를 표시하였다(참고로 우리나라는 2006년에 성공적으로 ITA 총회를 개최한 이력이 있다).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일본에서도 다른 ITA때와는 다르게 40여명 정도, 중국에서도 50명 이상이 이번 학회에 참가하였으며, 대만에서도 20 여명 정도가 참석하여 아시아권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할 수 있다. Round Table 올해는 Opening Ceremony 직후 Round Table 행사가 진행되었다. “Underground Space for Mobility: Frontier Technologies” 라는 주제로 터널 및 지하공간 관련 5명의 석학들(Lord Robert Mair(영국 Cambridge 대학교 명예교 수), Tarcisio Celestino(ITA 전임회장, University of Sao Paulo 교수), Martin Knights(ITA 전임회장, Independent Consultant at Martin Knights Consulting Ltd), Kancheepuram N. Gunalan(ASCE 전임회장, AECOM Senior Vice President), Marco Rosso(President of Supervisory Board, CST Switzerland))이 모여 터널 및 지하공간의 향후 미 래의 발전방향에 대한 토의를 진행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실시간으로 현장참가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질문에 대한 실 시간 현장투표를 진행하였는데, “어떤 혁신적인 기술이 터널 및 지하공간을 활용한 화물운송기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까?”에서는 AI (Artificial Intelligence) 및 Machine learning 기술이 선정되었고, “어떤 혁신적인 기술이 지속가능 한 터널 및 지하공간의 발전을 위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질문에서는 Material technology/Recycling/Nano technology가 가장 많은 지지를 얻었다. (a) Round Table (Robert Mair 교수 발표)(b) Round Table (K. N. Gunalan 발표) <그림 5> Round Table 전경ITA 참가기 9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c) Round Table (첫번째 질문 결과)(d) Round Table (두번째 질문 결과) <그림 5> Round Table 전경(계속)Vol. 25, No. 2 95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Muir Wood Lecture, Key Note Lectures Sir Muir Wood Lecture는 초대 ITA회장인 Alan Muir Wood(1921~2009)를 기리는 특별한 의미의 강의이다. 지난 2010년부터 선정되기 시작하여, 올해는 13번째로 Professor. Marc Panet (프랑스, Past President of the ISRM 1999-2003, AcadAmie des Technologies)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강의는 매년 WTC 개회식에서 첫 번째 발표로 진 행되며 WTC 2023에서 Professor. Marc Panet는 “The Convergence - Confinement Method (The Tunnel Behavior at the Face of Excavation)”라는 제목으로 50년 이상 본인의 CCM을 적용한 터널설계 및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강연 하였다. 탄성체(Elastic Medium) 및 탄· 소성체(Elasto-Plastic Medium)에서의 CCM의 적용, 다양한 터널불안정 조건 (Structural instabilities, Running of the cohesionless soil, Debris and water inflows, Stress induced failures) 등에 대한 경험 등을 소개하였다. 개회식에서는 한편의 주제강연(Keynote Lecture)이 추가로 있었는데 “Seismic design and risk assessment of tunnels & underground structures (Kyriazis Pitilakis 교수, 그리스)”의 주제로 유럽의 지반 및 터널내진설계에 관한 Eurocode 8의 개선방안 등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a) Sir Muir Wood Lecture (Professor. Marc Panet)(b) Keynote Address (Professor. Kyriazis Pitilakis) <그림 6> Muir Wood Lecture and Keynote Address Working Group ITA WG은 터널 및 지하공간에 관한 의제 가운데 구체적인 주제를 정하여 회원국의 자료수집, 공유, 분석과 토론을 통하여 해당주제에 관한 기술보고서를 발간하고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ITA에는 23개의 Working Group(이하 WG)이 였으며, 현재 15개는 활동 중이고, 8개는 활동이 종료되었다.ITA 참가기 9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7> Working Group 구성 현황 필자가 참여하고 있는 WG2(Research)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연구과제들의 진행상황에 대한 토의가 이루어졌다. “In-situ stress measurement (초안 국제암반공학회(ISRM) 인증완료), 2개월 이내 발간 목표)”, “Damages of seg- mental linings (Part 1 : classification of damages, 2024년 발간 목표, Part 2 : repair works, 2025년 발간 목표)”, “Design of longitudinal joints for fibre-reinforced segments (2024년 발간 목표)” 등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WG3과의 협업을 통해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WG14와 함께 Tunnel Face Pressure, WG20과 협업을 통해 Tunnelling induced settlements에 대한 보고서를 준비 중이다. 또한, 이사회(Executive Council)의 의견에 따라 활동 중인 현재 운영 중인 15개의 WG을 효율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도록 재정비하는 방안 및 명칭변경 등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결론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또한 WG2(Research)는 이번 학회에서 15개국에서 37명의 참 가자가 WG meeting에 참석하였고, Animateur로는 Elena Chiriotti(프랑스)가 연임되고, Vice-Animateur로는 Camilo Marulanda(컬럼비아)가 새로이 선출되었다.Vol. 25, No. 2 97 ITA WTC 2023 그리스 아테네 학회 참가기 <그림 8> ITA WTC2023 Working Group: WG2 (Research) Working Group Report 이번 WTC 2023에서는 2종의 새로운 WG 보고서가, ITAtech (ITA committee on new technologies)에서 2종의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 WG17 : Logistics Aspects of Long and Deep Tunnels ▶ WG20 : Urban Underground Space for Resilient Cities: Urban Problems, Underground Solutions ▶ ITAtech Group Excavation : Guideline for Use of Rock Classification Systems for Ground Support on TBM Tunnels ▶ ITAtech Subgroup Bolts & Arches : Guideline for Radially Installed Bolts in Tunneling (a) WG17 and WG20 Report(b) ITAtech Reports <그림 9> ITA WTC 2023: Working Group Reports & ITAtech Reports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