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최신 터널 뉴 스 11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편집위원 : 도종남(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한국도로공사, ‘제11회 도로경관디자인 대전’ 개최 수상작 일부는 고속도로 디자인 개선사업에 반영...총 25건 현장 적용 [고속도로 휴게소 주차장 표준모델] 한국도로공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제11회 도로경관디자인 대전(大展)’을 개최한다. 도로경관디자인 대전(大展)은 고객의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고속도로 디자인 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2012 년부터 매년 개최되었으며, 올해로 제11회를 맞이했다. 공모 주제는 ‘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도로경관디자인 구현’으로 모든 고속도로 시설 및 주변 경관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주제 공모’와 터널 유도표시등 픽토그램 등 6개 특정 주제에 대해 디자인하는 ‘지정주제 공모’로 진행된다. 응모는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가능하며, 개인 또는 팀(최대 2인)으로 참가할 수 있다. 출품 수에는 제한이 없으 며, 10월 16일까지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서와 작품을 제출하면 된다. 수상작은 11월 중으로 발표할 예정이며, 대학부와 일반부로 나누어 대상(국토부장관상/상금 500만원)과 최우수상 (한국도로공사장상과 한국디자인진흥원장상 등/상금 200만원), 우수상 등을 수여한다. 수상작 중 일부는 고속도로 디자인 개선사업에 반영된다. 실제로 고속도로 환승정류장인 ‘ex-Hub’, 휴게소 주차장 표준모델 등 25건의 아이디어가 고속도로 현장에 적용되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국민이 바라는 디자인을 고속도로에 반영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환경을 조성하겠다” 고 말했다.최신 터널 뉴 스 Vol. 24, No. 3 119 □ 국가철도공단, 터널 막장 관찰교육 실시...시공 안전성 확보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대심도 터널 안전 강화 협력 [국가철도공단 수도권본부가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지난 31일 공단 및 협력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터널 막장 관찰 교육을 시행] 국가철도공단 수도권본부는 대심도 터널 시공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터널 막장 관찰 교육 을 8월 29부터 31일까지 사흘간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공단과 (사)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가 지난 6월 체결한 업무협약(MOU)에 따른 것으로, 양 기관은 ▲철도 터널 건설에 따른 지하시설물 안전 강화를 위한 기술협력 및 연구사업 추진 ▲인적자원 지원 및 기술교류 확대 등에 상호 협력하기로 한 바 있다. 교육 내용은 공단 직원과 협력사 터널막장안전팀 약 300여 명을 대상으로 터널 전문가와 함께 실제 시공 중인 터널 막장 상태를 면밀하게 관찰하고, 이론 수업 바탕의 토의를 통해 공학적 판단 능력을 배양하는 ‘소통형 커리큘럼’으로 진행되었다. 이계승 수도권본부장은 “수도권 광역교통체계 개선에 따라 도심지 대심도 터널이 급증하고 있어, 시공 안정성 확보 를 위한 기술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교육이 터널 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정례 교육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져 시공 안전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12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남해~여수 국도건설공사 1. 사업개요 □ 사업명 :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 □ 사업목적 - 국도77호선 중 단절구간인 경상남도 남해군과 전라남도 여수시를 해상연결망 확충으로 관광자원 개발효과를 증대시키고, 인적· 물적 자원의 원활한 교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 □ 사업내용 - 사업구간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서상리~전라남도 여수시 신덕동 - 총사업비 : 6,824억(예비타당성) - 연장 : 7.31km(4차로 신설) - 공사기간 : 2029년 완공(계획) 2. 사업진행 본 사업은 1998년 7월당시 문화관광부가 남해군과 여수시의 두 지역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한려대교(현 수교)로 계획하였으나 공사비가 과다하여 해저터널 계 획을 변경하고 2002년, 2005년, 2011년, 2015년 4차례 국내사업 편집위원 : 김기환((주)삼보기술단)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 위치도]Vol. 24, No. 3 121 국내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대비 편익(B/C)이 낮아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지 못하다가 2021년 8월 기획재정부의 “제5차 국 도· 국지도 건설 5개년 계획(2021~2025) 대상 사업일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통과 되었다. 이후 2021년 11월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진행되었고, 12월 대형공사 입찰심의로 일괄입찰(가중치 기준방식)으로 결정되었다. 현재 기본계획이 완료되 고 입찰안내서 심의를 거쳐 2022년 하반기 일괄입찰방식의 기본설계 T/K 입찰공고를 앞두고 있다. 향후 남해~여수 해 저터널은 일괄입찰 기본설계(4개월)를 걸쳐 낙찰자를 선정 후, 약 6개월의 실시설계를 걸쳐 2029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3. 사업범위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건설공사의 사업연장을 기본계획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업시점은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서상 리이고, 종점은 전라남도 여수시 신덕동로로 약 7.31km구간이다. 구조물로는 교량(육상) 2개소(150m), 해저터널 1개소 (5.93km), 토공구간은 1.23km로 교차로 2개소로 계획되었다. 또한, 기타 시설로 경관조명과 기타부대시설도 포함된다. 도로기능은 보조간선도로(지방지역)로써 본선 설계속도는 60km/h이다(그림 1, 표 1 참조). <그림 1> 사업구간 기본계획 노선도12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표 1> 사업연장 및 본선 시설물 현황 구분본선비고 총연장7.31km 차로수4차로 교량(육상)2개소/150m 해저터널1개소/5.93km 토공1.23km 교차로2개소 기타경관조명, 기타부대시설 등 포함 토공부 도로폭원은 좌측길어깨 2.0m, 도로폭 3.5m(2차로), 중분대 1.5m, 우측길어깨 2.0m로 상하행선 전체 19.5m 이고, 터널 구간은 2차로 병설터널로 여수방향 도로폭원은 좌측길어깨 1.0m, 도로폭 3.5m(2차로), 우측길어깨 2.0m로 전체 10.0m이다. 좌우측에 공동구가 있고, 상부에는 검사원통로를 양방향에 계획하였고, 환기방식은 종류식 환기방식 으로 계획되었다. 터널의 시설한계높이는 4.8m이다(그림 2 참조). (a) 토공구간(b) 터널구간 <그림 2> 표준횡단면도(기본계획) 4. 기대효과 본 사업은 국도77호선 중 미개통구간인 경상남도 남해군과 전라남도 여수시를 해저터널로 연결함으로써 간선도로의 기능회복을 통한 국토균형발전에 목적이 있으며, 남해군과 여수시를 연결하여 인적· 물적 자원의 원활한 교류를 통한 지 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남해~여수간 이동시간 대폭 단축으로 지역접근성 향상으로 생활권간 연 계를 강화하며 지역 주민간 화합을 도모하며 전국 수준과 균등한 간선도로 서비스 제공으로 낙후된 생활수준을 제고하 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해저터널이 완공되면 현재 1시간 20분 걸리는 80km 거리의 여수~남해 구간이 10km로 단축돼 ‘10분대 공동 생 활권’이 가능하게 된다. 남해군은 20분대에 여수공항과 KTX를 이용할 수 있고, 전남을 비롯한 수도권에서는 해저터널 을 이용, 남해안 곳곳을 여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그림 3 참조).Vol. 24, No. 3 123 국내사업 <그림 3> 해저터널 위치 및 주변 교통시설 본 사업이 하반기 경쟁설계에서 유찰없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2023년에 착공하여 안전한 시공을 통해 2029년에는 계 획대로 준공하여 그 역할을 충분히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참고문헌 1.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824149000054 2. 한국일보,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82416490005757 3. 2006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국도77호선(여수~남해) 건설사업” 4. 뉴시스,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10824_0001558222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12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지속가능한 지하공간 설계 및 실제 구현 방안에 대한 교육 과정 (09 September 2022) 여러 해 동안 ITACET 교육과정은 World Tunnel Congress 의 시작을 알리는 전통적인 행사였습니다. 올해는 9월 2일부터 3일까지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 이번 교육 과정에서는 지속가 능한 지하공간 설계 및 이를 실제로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1일 차에는 발주처와 시공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터널 프로젝 트의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할 예정 이며, 2일 차에는 침매 터널 및 기계화시공 터널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교육과정은 대면으로 진행되며 WTC회장에서 한 정거장 떨어 진 코펜하겐 Ramboll 본사에서 열립니다. 일시 : 2022년 9월 2일~3일(토) 장소 : WTC 덴마크 코펜하겐 웹페이지 : https://wtc2022.dk/training-session 2 World Tunnel Congress (02 September 2022) 일시 : 2022년 9월 2일~8일 장소 : 덴마크 코펜하겐 웹페이지 : https://www.wtc2021.dk 전화번호 : +45-4492-4492 편집위원 : 서상연(GS건설 책임)Vol. 24, No. 3 125 3 지속가능한 프리캐스트 섬유보강 콘크리트 세그먼트 ITACET 강의 (07 July 2022) 7월 12일 화요일 13:00 (파리 시간)에 ITACET 점심시간 강의 시리즈가 열립니다. 이번 세션은 지속 가능한 프리캐스트에 대 하여 다음과 같은 주제로 강의가 진행됩니다. - Verya NASRI (AECOM) - Design approach and detailed principles - John DAY (Wagners Industrial Services) – Production aspects of low-carbon segments - Jean-Luc BISCHOFF (Eiffage) – Case study: the Grand Paris Express project 강의 후 Q&A 세션이 진행되며, https://www.itacet.org/session/lunchtime-lecture-series-17에서 무료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해외학회 일정 12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학회학회 시작일개최도시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Geoengineering2022.08.04.Singapore, Singapor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2022.08.28.Austin, USA 1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Computer Methods and Advances in Geomechanics 2022.08.30.Torino, Italy World Tunnel Congress 20222022.09.02.Copenhagen, Denmark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eld Monitoring in Geomechanics2022.09.04.London, United Kingdom EUROCK 2022 Rock and Fracture Mechanics in Rock Engineering and Mining2022.09.12.Helsinki, Finland International Workshop: Advances in Laboratory Testing of Liquefiable Soils2022.09.14.Kyrenia, Northern Cyprus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Geotechnology,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Sustainable Engineering 2022.09.15.Izmir, Turkey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ysical Modeling in Geotechnics2022.09.19.Daejeon, South Korea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ess Wave Theory and Design and Testing Methods for Deep Foundations 2022.09.20.Rotterdam, Netherlands Geoengineering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Congress2022.09.20.Krakow, Poland Conference on Slope Repair and Remediation, Conference of Mountain Roads2022.10.07.San José, Costa Rica Italian Tunnelling Society2022.10.19.Bologna, Italy GEO-EXPO 2022 Scientific and Expert Conference2022.10.21. Prijedor, Bosnia and Herzegovina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ad Tunnel Operations and Safety2022.10.25.Granada, Spain 14th Iranian Tunnuling Conference2022.10.31.Tehran, Iran 50th Conference “Foundation Engineering”2022.11.14.Brno, Czech Republic TBM-DIGS Conference2022.11.23.Leoben, Austria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saturated Soils2023.05.02.Milos, Greece Underground Construction Prague 20232023.05.29.Praha, Czech Republic 17th Danube - European Conference on Geotechnical Engineering2023.06.07.Bucharest, Romania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Environmental Geotechnics2023.06.25.Chania, Greece Numerical Method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20232023.06.26.London, United Kingdom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bris Flow Hazard Mitigation2023.06.26.Turin, Italy 17th Asian Regional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2023.08.14.Nur-Sultan, Kazakhstan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in Geoscience2023.08.29.Cork, Ireland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Geomaterials2023.09.03.Porto, Portugal 10th Nordic Grouting Symposium2023.09.11.Stockholm, Sweden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synthetics2023.09.17.Roma, Italy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AFTES20232023.10.02.Paris, Franc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Resources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Technologies 2023.11.20.Fukuoka, Japan XVIII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2024.08.25.Lisbon, Portugal 편집위원 : 정혁상(동양대학교 교수)Vol. 24, No. 3 127 학교 및 학과 : 건국대학교/인프라시스템공학과 지 도 교 수 : 신종호 학 위 자 : 정재호 학 위 : 공학박사 (2022. 2) 유입량 제어 배수형식 터널의 수리거동 국문 초록 관용터널공법은 NATM(Rabcewicz, 1964)이 발표된 후, 전 세계적으로 터널 건설의 전성기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관용터널공법을 이용하여 대도시 지하공간을 적극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고밀도 도심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다양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관용터널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대부분 배수형 터널형식을 적용해 왔으나, 빈번해지는 도 심지 지반재해 예방대책으로 지하수위 관리기준이 포함된 지하굴착공사 관련 건설제도가 신설 시행되면서 터널 내 유 입량을 제한하는 배수형식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유입량을 제어하는 경우의 지반-지보 수리 상호작용 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은 안정성과 효율성이 확보되는 터널계획 수립을 위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사항이다. 관용터널공법의 이론적 분석 수단 중, 터널 역학거동에 대해서는 전통적으로 지반-지보 상호작용 분석이론인 내공 변위-제어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에 반해, 터널의 수리거동과 관련해서는 지반과 지보의 수리거동특성을 상호 연계하 여 분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입량을 제어하기 위해 다층흐름경계가 형성된 터널의 유입량-라이닝 작용수압 관계에 관 한 이론해를 유도하고 실험적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정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유입량 제어 배수형식 터널의 수리역 학거동 분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공변위-제어법의 중첩원리가 도입된 지반-지보 수리상호작용이론의 도식화 도구를 제안하고 수리특성곡선법(Hydraulic Characteristic Curve Method)로 명명하였다. 수리특성곡선법을 이용하면, 기존의 완전배수형식과 비배수형식이 절충된 균형적 관점의 유입량 제어 배수형식 도 입시, 터널 배수개념을 논리적으로 도식화함으로써, 최적화된 터널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논․ 문․ 소․ 개 + 학위논문 소개 편집위원 : 나유성((주)서하기술단 지반터널부 차장)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