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1강.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에 관한 고찰 9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a) UUI 구현이 다른 UUS 자산에 미치는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보여준다. (b) 3D 공간에서 UUS 사용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 (c) UUS 개발의 수요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 (d) UUS 배치를 지원하기 위하여 공간 Syntax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e) UUS 사용으로 인한 SDG에 대한 기여나 손실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보여준다(예: 비용 편익 분석). (f) 화재 또는 홍수 재해를 시뮬레이션한다. (g) UUS 프로젝트의 건설 프로세스를 모델링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면은 쉬운 작업이 아니며, 공유되고 지능적인 SDI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많은 기술적 문제가 남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통합적 접근방안의 수립에는 대부분의 관할 지역의 제도적 장치가 입법, 데이터 취득 및 등록, 계획 및 설계 승인, 재해 관리, 건설 등에 대한 다면적인 도전에 필요한 엄청난 작업량이 수반된다. 따라서 특히 초기 단계에서 UUS 발주자에 맞춘 기관이나 부서의 일치되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6. 결 론 본 고에서는 UUS와 도시 지속가능성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UN SDGs의 관점에서 제시하였으며, 특히 최근 10년 동안의 광범위한 연구결과 검토를 통하여 UUS 개념과 주요 이슈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주요 목표는 SDGs를 달성하는 데 있어 UUS의 역할에 대한 이해 관계자들의 인식을 높이고 도시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한 UUS의 합리적인 이용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검토는 UUS 이용이 17개의 SDG 중 11개, 즉 SDG 3(건강과 웰빙), SDG 6(맑은 물 및 위생), SDG 7(저렴하고 깨끗한 에너지), SDG 8(적정 업무 및 경제 성장), SDG 9(산업, 혁신 및 인프라), SDG 11(지속가능한 도시 및 커뮤니티), SDG 12(책임 소비와 생산), SDG 13(기후 행동), SDG 15(육상 생활), SDG 16(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그리고 SDG 17(동반자 관계)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SDG에 대한 UUS의 기여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SDG에 대한 UUS 사용의 전반적 인 목표는 UUS 자산 및 도시 기능에 대한 잠재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방안이 필요하다. 통합적 접근방안은 현대적 토지관리, 통합 계획, 지하공간 설계 및 건설기술 등 네 가지 중요한 요소를 통합하며, 각각은 지속가능 한 UUS 이용 측면에서 확실한 연구 문제와 특정 요구사항을 가진 도전적인 영역이다. UUS를 위한 현대적 토지관리 시스템은 법적 장벽을 제거하고 3D 지적관리시스템을 설립해야 한다. 통합 UUS 계획은 다양한 계획 수준에서 적합성 평가, 수요 예측, 배치 방법 및 비용 편익 분석을 고려한다. 지하 품질을 개선하고 지하 내부 화재 또는 홍수 재해를 줄이고 완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설계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갈수록 복잡해지는 지하 환경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첨단 건설기술과 관리 또한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와 요구 사항은 SDI의 적용에 의해 상당 부분 해결될 수 있다. SDI 기반 통합적 접근법은 다양한 공간 데이터를 갖추고 3D 모델링, 시각화 및 분석이 가능한 공유 지능형 플랫폼에서 구축되어야 한다. 앞으로 UUS가 SDG에 미치는 기여도를 정량화해 UUS가 사용할 수 있는 보다 명확한 목표가 설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한편, 네 가지 중요한 요소뿐만 아니라 SDI 플랫폼 구축에서도 방법론적, 기술적 과제가 해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제1강.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4, No. 3 99 향후 지하공간을 포함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도시를 발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지하공간은 가치 있는 사회 적 자산이며, 우리가 그것을 이해함에 따라, 사용 가능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림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공간 이용에 대한 미래 비전을 통하여 도심지 지역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빠른 교통수송을 담당하는 대심도 지하인프라는 조만간 더 많고 더 다양하게 실현될 것이다. 보다 나은 도심지 지하공간은 보다 나은 지속가능한 미래 삶에 기여할 것이다-[Better Urban Underground, Better Sustainable Lives]. 따라서 도심지 지하공간 이용은 도시 지속가능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우리 모두가 이것을 정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지하공간 개발을 위한 비전과 계획 수립은 물론 지하공간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필요할 것이다. <그림 13> Vision on Underground Space Use 참고문헌 1. Fang-Le Peng, Yong-Kang Qiao, Soheil SabrI, Behnam Atazadeh, Abbas Rajabifard. A collaborative approach for 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ritical dimensions and future directions. Front. Struct. Civ. Eng. 2021, 15(1): 20–45 2. ITACUS, Better Cities, Better Lives - The contribution of Underground Space to Urban Development, 26-10-2011, Wuhan, ITA Technical Seminar - ISOCARP congres 3. Kaliampakos, D., Underground Development: A Key to Unlock the Sustainability of Modem Cities,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ACUUS Conference: “Underground Space: Planning, Administration and Design Challenges”, 24-26 September, Seoul, 2014. 4. Admiraal, H. and Comaro, A., Underground Space Unveiled: Planning and creating the cities of the future. ICE Press, London, UK.s, 2018 5. Jean Paul Godard, Urban Underground Space and Benefits of Going Underground, World Tunnel Congress 2004 and 3dh /TA General Assembly- Singapore, 22-27 May 2004 - ITA Open Session, 2004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1강.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에 관한 고찰 10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6. ITA-AITES, “Why go underground? Contribution of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to Sustainable Development” - TRIBUNE, Special Issue, 2002 7. J.P.Godard, Sub-Surface Development in the Urban Environment - 10th Australian Tunnelling Conference : “The Race for Space” - Melbourne, Australia -21-24, 1999 8. OCDE, “L’environnement urbain: quelles politiques pour Jes annees 1990 ?”, 1990 9. J.P.Godard, “Why Go Underground in Urban Areas” - ACUUS 2002 International Conference Torino, Italy- 14-16, 2002 10. R.L.Sterling & J.P.Godard, Geoengineering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Underground Space - GeoEng 2000 - Melbourne, Australia - 19-24, 2000 11. J.P.Godard,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Urban Area" - Seminar on Underground Works - Santiago, Chile -14, 2001 12. Linxu Tong, Underground Space and Development of Urban Modernization,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13. Nikolai Bobylev, Main stream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a City’s Master Plan, a Case of Urban Underground Space Use. Land Use Policy, 26:1128-1137. 2009 ∎ 제1강 - 요점정리 제1강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에서 지속가능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통합적 접근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고에서는 도심지 지하공간(UUS)의 필요성 및 개발사례, UN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와의 연관성 그리고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안의 네 가지 요소와 기본 시스템에 기술하였으며,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심지 지하공간(UUS)의 중요성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심지 지하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도심지 지하공 간(UUS)이용과 개발은 지속가능한 개발목표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도심지 지하공간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격리, 온도 안정성, 암반에 의한 보호, 높은 개발비용 등의 특성을 가지며, 주요 선진 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이용 및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도심지 지하공간(UUS)와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와의 연관성 도심지 지하공간(UUS) 이용이 17개의 지속가능한 재발목표(SDG) 중 11개와 연관성이 있으며, SDG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DG에 대한 UUS 사용의 전반적인 목표는 UUS 자산 및 도시 기능에 대한 잠재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UUS 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안의 주요 요소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을 위해서는 통합적 접근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며, 통합적 접근방안은 네 가지 중요한 요소 로 구성된다. 이는 현대적 토지관리, 통합 계획, 지하공간 설계 그리고 건설 기술이며, UUS 개발의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4가지 요소간의 협업, 조정 및 소통이 중요하다.제1강. 지속가능한 도심지 지하공간(UUS)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4, No. 3 101 통합적 접근방안의 프레임워크 관련 전문영역에서의 경험과 UUS 개발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SDI(공간데이터 인프라) 기반 통합적 접근방식의 프레임 워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체계는 UUS에 대한 데이터 확보, 모델링과 시각화 및 분석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UUS 개발에 서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수행시스템이다. 이제 제1강이 마무리되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대한 참고문헌을 읽어주기 바란다. 참고로 국제터널협회 (ITA)에서는 지하공간 개발에 대한 활발한 기술위원회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ITACUS(ITA Committee on Underground Space)를 중심으로 관련 보고서를 발간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고 있다. [ITACUS White Papers] 도심지에서의 지하공간 개발과 이용은 현재 그리고 미래에 있어서 필연적인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순한 터널공학적 관점을 넓혀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한 통합적 접근방안만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지하공간 개발과 지하 개발을 둘러한 법적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 모두에게 이롭게 하고,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도 보다 안전한 지하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바로 우리 엔지니어들의 숙제라 할 수 있다. 다음 강의에서는 도심지 대심도 지하인프라(UUI)에 대한 기본 정의와 개발 현황을 중심으로 보다 실현가능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이슈와 전망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현재 도심지 대심도 지하인프라(UUI)는 가장 뜨거운 이슈로서, 특히 도심지 지하교통인프라사 업은 주요 관심을 가지는 현안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형 대심도 교통 지하인프라프로젝트의 계획/설계 및 시공 사례는 터널 기술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102 ù _ÂæÒLNÒ Ò ÍÀ  À Ò ó ÌLN è Ò-NN NÒÒ/"5. æ7PM /P 103104 #### ## ### ù Àì Ï LN /"5. ÂÌ #ë#93(# #7PM /P 105 À äÀÂÌ À À ÂÀÌ ìÁ +,+/## #, ù æ ÂÇÀ   ÀÀ þ ê  ÀÀÀ À Ï ÂÁ106 ù Àù ÁÀ Ì ÂÀ À5#. Âè À ÀÁ 5#. Â Ìê N ÒÈ ù ì óÀÀ À óìì7PM /P 107 æìÀ æ $"% èóÀ Àì ù æÀ ÀÒè  ìÁ  ÒÀ ù ÂÁ ÒóÒ ÂÀÂÀ ùÒ Ò ù ì ì æä æ èì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