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최신 터널 뉴 스 5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서울시, 대규모 지하개발사업 ‘유출지하수’ 100% 활용키로 유출지하수의 76% 공공에서 발생…선도적 활용 위한 기본계획 전국 최초 수립 서울시가 도시철도 건설, 역세권 개발 등 대규모 공공 지하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를 버리지 않고 100% 활용한다는 목표로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서울시는 유출지하수의 최적 활용을 위한 기본계획을 전국 최초로 수립한다고 밝혔다. 3월 기술용역을 통한 기본계 획 수립에 착수해 연말까지 완료,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지하공간 개발로 인해 최근 10년 새 20% 가까이 증가했지만 연간 2,000만 톤 넘게 버려지고 있는 유출지하수에 대 한 선제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 기후위기 시대 수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하수처리 등에 소요되는 예산도 절감하는 효과를 낸다는 목표다. 유출지하수는 건물 신축이나 지하철 공사 등으로 지하공간을 개발할 때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는 지하수다. 서울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유출지하수는 2011년 16만6천 톤에서 2021년 19만9천 톤으로, 최근 10년간 약 20% 증가했다. 활용 되지 못하고 하수도로 버려지는 유출지하수 양은 작년 한해만 서울시 전체 2,460만 톤에 달한다. 하수처리비용으로 환산시 연간 270억 원이다. 이와 관련해 이번 기본계획은 ▲도시철도망 ▲광역철도망 ▲터널 ▲저류배수시설 ▲지하도로 ▲대규모복합시설 ▲ 역세권개발 등 7종 20개 대규모 지하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사업 시행 예정이거나 공사가 진행 중인 곳들을 대상으로 해 사업 초기 단계부터 유출지하수 활용 방안이 계획‧설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최신 터널 뉴 스 Vol. 24, No. 1 59 서울시는 7종에 해당하는 다양한 사업지를 검토해서 유출지하수 발생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20개소를 우선 선 정해 추진한다. 위례신사선, 서부선 등 서울시 도시철도망과 GTX 광역철도망, 이수~과천 복합터널, 영동대로복합 개발사업, 창동차량기지 등 다양한 사업이 검토될 예정이다. 각 사업지별로 주변입지와 발생량 등에 따른 최적의 유출지하수 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생애 전주기별로 발생되는 유출지하수 활용 제고 방안, 활용시설 초기투자비 종합분석, 친수공간‧중수도 등 활용용도 우선순위 등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시작으로 향후 시가 추진하는 모든 대규모 지하개발사업에서 유출지하수 활용계획이 설 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사업시행기관(부서)에 권고할 예정이다. 또한, 유출지하수 활용률 향상을 위한 중장기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해 민간 분야 확산도 적극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한유석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공공에서 우선적으로 효율적인 유출지하수 활용방안을 마련해 깨끗한 지하수가 하수도로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적극적인 수자원 활용 정책 토대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6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서부선 도시철도 사업 1. 사업개요 □ 사업명 : 서부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 사업목적 및 기대효과 - 환경친화적인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통한 균형있는 도시발전 도모 - 서울시 서북 및 서남권역의 새로운 교통축 완성 및 지역 간 균형발전 유도 □ 사업위치 - 시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새절역(6호선), 종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입구역(2호선) □ 사업규모 - 연장 : 15.852km(입출고선 219.46m 포함), 정거장 : 16개소(환승 6개소, 일반 10개소), 차량기지 : 1개소(지하) □ 사업연장 - 터널 : 12km210.4(NATM), 1km664.6(Shield) - 주요경유지 : 새절역(6호선)~신촌역(2호선)~광흥창역(6호선)~여의도~노량진역(9호선)~장승배기역(7호선)~ 서울대입구역(2호선) □ 총사업비 : 1조 6,191억원(사업방식: 위험분담형(BTO-rs) 수익형 민간투자사업) □ 사업기간 : 2023년~2059년(공사기간: 착공일로부터 6년, 운영기간 30년), 현재일정 □ 사업추진경위 및 사업일정(현재계획) - 2008.08 : 서부경전철 민간투자사업 최초제안서 제출(두산건설 컨소시엄) - 2015.06 :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국토교통부) - 2020.06 : 민자 적격성조사 완료 - 2020.12 : 제3자 제안공고 - 2021.05 : 우선협상자 선정(서부도시철도(주), 두산건설 컨소시엄) - 2029.12 : 개통목표 국내사업 편집위원 : 김기환((주)삼보기술단)Vol. 24, No. 1 61 국내사업 [사업 위치도] 2. 서부선 도시철도 사업 서부선 도시철도 사업은 기존 도시철도망의 연계를 고려하여 지하철 2호선(2개소), 6호선(2개소), 9호선, 7호선과 연 계하여 계획되었다. 제3자 공고를 통한 제안에서는 기존 지하철과 연계는 물론 종단 기울기 완화를 통해 철도의 승차감 을 개선하였고, 전구간 NATM 터널 굴착 공법이 적용되었으나 지반특성과 한강 하저구간의 굴착 및 방재를 고려하여 한 강통과구간은 기존 NATM공법에서 쉴드TBM공법의 비배수 터널로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전체 노선 연장은 15.852km(입출고선 219.46m)로 일부 개착구간이 536.68m, NATM굴착 구간이 12,210.4m이고, 쉴드 구간은 1,664.6m이다. 정거장은 총 16개소 953.22m이고, 그중 환승정거장 6개소, 일반정거장 10개소이다. 본선 환기소는 16개소로 계획되었다(표 1, 그림 1 참조). <표 1> 시설규모 구분시설규모비고 연장(m) 연장비율(%) 개착L = 0km536.68복선 터널 NATML = 0km536.68복선 쉴드L = 1km664.60한강 통과구간 (단선병렬) 정거장16개소L = 0km953.22 (환승 6개소, 일반 10개소) 환기구16개소L = 0km267.10 (본선환기구) 연장L = 15km632.00- 입출고선L = 0km219.46복선(환기구1개소 포함) 총연장L = 15km851.46-6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그림 1> 계획노선 종평면도 3. 터널 현황 3.1 터널 단면계획 본 사업구간은 대부분 도심지 구간 대심도 터널로 계획되어졌으며, 경전철(고무차륜)의 차량한계(2,420mm×3,520 mm), 선로중심간격 3.7m, 구축한계는 W1, W1′은 150mm 이상으로 적용하여 고무차륜 기준을 준수하였고, 운행 안전성 을 위해 하부 인버트는 400mm를 적용하였다. 세부사항으로 도상형식은 일체형 도상방식으로 두께 200mm을 적용하였고, 전차선은 고무차륜 특성을 고려하여 외 측전차선과 내외측의 안내레일 설치공간을 확보하였다. NATM구간에 적용된 복선터널단면의 중앙대피통로는 열차출입 문 높이를 고려하여 대피통로 순폭 800mm를 확보하고 안전난간을 설치하였고, 단선 병렬 터널구간에는 터널 내에 대피 통로(750mm×2,100mm)를 설치하고, 상하행선 간에는 피난 연결통로를 설치하여 운행 중 승객의 대피 안전성을 확보 하였다(표 2, 3 참조).Vol. 24, No. 1 63 국내사업 <표 2> 터널표준 단면계획 복선터널단면(NATM 터널-일반구간)단선터널단면(쉴드TBM-한강하저구간) ∙ 굴착단면적 : 47.44m2∙ 구조물 직경(D)=6,020mm <표 3> 표준단면 인터페이스 일체형 도상방식(궤도)안전레인 배치(전차선)중앙대피통로(방재) 3.2 터널구간의 주요현황 도심지 일반 구간은 대부분 기존 지하철노선 환승과 정거장 계획의 종단선형, 지반조건 등을 고려하여 GL-40m 이상 의 대심도로 계획되었으며, 주요현황을 4개구간으로 살펴보면 1구간은 과업시점에서 107정거장 강북 구간으로 비교적 양호한 암반구간을 통과하고 명지전문대 및 명지대학교 인근 노후주택 구간을 통과하는 구간이다. 2구간은 107정거장에서 108정거장 구간으로 한강하저를 통과하고 서강대교가 근접되는 구간이다. 3구간은 108정거 장에서 111정거장 구간으로 주로 국제금융로 하부와 지하철 5호선, 샛강하부 및 노량진역을 통과하지만 비교적 양호한 암반구간이다. 4구간은 111정거장에서 과업종점까지로 양녕로 하부와 서울대 입구역을 통과한다. 도심지 구간은 사전 지반조사를 통하여 양호한 암반구간에 계획하였고, 터널 근접구간은 발파영향검토 및 안정성 검토를 통해 계획 되었다 (그림 2 참조). 6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그림 2> 터널통과 구간별 현황 3.3 한강하저 통과구간 서부선은 한강하저를 통과하는 구간은 본선환기구 #07(Sta.6km 563.2)번부터 #08(Sta.8km276.4)구간으로 약 1,713m 구간이다. 한강 통과구간의 주요 현황으로는 시점부 봉원빗물펌프장 하부통과구간과 서강대교 및 램프교 하부통과구간 종점부 서강대교 측면 통과 구간과 피난연결통로 3개소 설치 계획이 있다. 현재는 기본계획단계로 서강대교 직하부 통 과는 배제하였고, 대부분은 암반층을 통과하도록 계획되었다(그림 3 참조). 또한, 굴착 안정성과 운영중 유지관리, 대피 안전성 확보를 위해 비배수 터널굴착공법인 쉴드TBM 장비를 이용한 굴착공법을 선정하였다. <그림 3> 한강하저 통과구간 현황 4. 기대 효과 본 노선은 교통정책적 측면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시설의 구축과 서울시 서북권, 서남권 지역의 교통난 해소 가 기대되고, 지역개발 측면에서는 서울시 뉴타운 및 지역개발 등과 더불어 지역발전을 위한 교통체계 확충하고, 이용자 측면으로는 도로교통혼잡도 개선을 통한 이용자 편의성 향상과 교통 인프라 확보를 통한 교통 편의 제공이라 목적과 기 존의 차량의 수요를 감소시켜 도심지 대기 환경 개선에도 기대 할 수 있는 사업이다. Vol. 24, No. 1 65 국내사업 현재 우선협상자가 선정되어 실시설계협약을 위한 협의가 진행 중인 사업으로 기존의 광역철도계획이 수도권 지역의 이용자가 서울시(도심지)로의 진입을 위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본 노선은 보다 실질적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곳으 로 연결시켜주는 혈관 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계획된 일정대로 설계 및 시공이 이뤄져 2029년에는 개통되어 기대효과가 모두 이뤄지기를 기원합니다. 참고문헌 1. 서부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제3자 제안공고(2020.12.28.) 2. https://www.seoul.go.kr/news/news_notice.do#view/346348?tr_code=snews 3. 서울시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범위 등의 결정내용공고(서부선)” 4. https://piaozhao.tistory.com/111 5.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112150959491080167 6. https://yesan.seoul.go.kr/wk/wkSelect.do?itemId=105767&tr_code=sweb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6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WTC 2022 일정 변경 (27 January 2022) WTC 2022 조직위원회와 ITA는 WTC 2022의 개최일정을 4월 22일-28일 Bella Center에서 2022년 9월 2일(금)-8일(목) 코펜 하겐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전세계적 보건 위기 상황으로 인하여 업계 전문가들이 4월 WTC 2022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 하여 WTC 2022 조직위원회와 ITA 집행위원회는 WTC 2022를 9월 2일부터 8일 사이에 코펜하겐에서 개최하기로 하였습니다. COVID-19 바이러스가 덜 치명적이었던 2021년의 경우와 마찬 가지로, 터널 및 지하공간 전문가들이 다시금 만날 수 있기를 고대 하고 있습니다. 조직위원회와 150여개의 전시업체는 여러분들을 뵙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WTC 2022가 내년 덴마크에서 열릴 수 있도록 철저한 준 비를 하고 있습니다. 총회, 실무그룹 협의 및 위원회 회의 등 모든 ITA 활동은 9월 2일과 8일 기간 동안 열릴 예정입니다. 최근 발표된 바와 같이 향후 모든 WTC 2022행사는 하이브리드(현장 및 온라인)로 개최되므로, 여행이 어렵거나 현장 참석이 불가능 한 분들도 참석하실 수 있으며, 회의 및 주요 전문가 회의에서 발표된 내용이 공유될 예정입니다. 2022년 4월 25일까지 컨퍼런스 웹페이지인 www.WTC2022.dk 에 등록하실 경우 사전예약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9월에 뵙길 바랍니다. 2 Lunchtime Lecture 시리즈 12 (21 January 2022) ITA 위원회와 ITACUS가 협력하여 “지하 계획 및 모델링, 활용” 에 초점을 맞춘 12번째 Lunchtime Lecture를 2022년 2월 8일(화) 13:00-15:00 CEST에서 개최합니다. 이 Lunchtime Lecture는 강 의 3개로 구성되며 모든 발표자와의 Q&A세션으로 마무리됩니다. - 볼류메트릭 어프로치를 통한 지하공간 계획 (Han Admiraal & Antonia Cornaro; ITACUS 공동의장) - 지표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드림커터 기술 (Maarten Vanneste; Denys) - 3D 스캐닝 방법론 및 사례 (Matthias Vollmer; ETH Zurich) 편집위원 : 서상연(GS건설 책임)Vol. 24, No. 1 67 3 ITAYM 터널의 날 (03 December 2021) 부대 행사의 일환으로 ITA young member는 세계 터널의 날과 St Barbara의 날을 기념하여 30여명이 모여 24시간 온라인 zoom 마 라톤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24시간 마라톤을 통하여 오세아니 아를 거쳐 아시아와 아프리카까지 달렸습니다. 이 이벤트는 매우 창의적이었으며, 전세계에서 500명 이상이 참가하였습니다. ITA YM 운영 위원회는 이 이벤트 개최에 도 움을 주신 여러 참여 자들에 게 감사를 표하며, 앞으로 매년 이러한 행사가 열릴 수 있기 를 기원합니다. 42021 ITA 터널링 어워드 (02 December 2021) 올해도 제 7회 ITA 터널링 어 워드는 디지털 행사로 진행됩니다. 2021년 11월 29일부터 12월 2일까지 진행되는 이 행사에서 참가 자들에 게는 본선 진출자 발표 및 수상자 발표는 물론 전시장에서 다 양한 스폰 서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됩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650 여명이나 되는 참가자들이 등록하였습 니다. 2021 ITA 터널링 어 워드 수상자: - 올해의 주요 프로젝 트( €500M 이상): Klang Valley Mass transit Putrajaya Line Tunnels and underground Station Works ( 말레이시아) - (공동수상) 올해의 프로젝트 (€50M 이상 €500M 이하): South E xtension o f the metro Line 14 in Paris (프 랑스), Large-diameter shield tunnel engineering project in karst strata o f sea area ( 중국) - 올해의 기술혁신 상: Riachuelo Lote 3 – Inno vativ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 f sea out fall projects (아 르헨티나) - Beyond Engineering: Is shield tunnelling s poil a waste ? A no vel solution says no. ( 중국) - 올해의 젊은 터널인: Michael Mains (캐나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