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인문학 산책 6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터키 네발리 초리 신전과 돌기둥 석상조각 4) 네발리 초리는 괴베클리 테페에서 북쪽으로 약 100킬로미터 떨어진 기원전 8500년 경에 건설된 신전도시다. 괴베 클리 테페와 비슷하게 시대가 지나면서 유사 구도의 신전을 지었는데 가장 최근 것이 기원전 7700년 경으로 드러났다. 괴베클리 테페의 경우엔 대부분 신전에 둥근 모습으로 지어진 반면 네발리 초리는 정방형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그 근본적인 형태는 매우 비슷했다. 네발리 초리의 밀농사는 세계 최초의 밀 재배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 슈미트는 야생 곡물을 채집하여 식량원으로 삼던 이곳 사람들이 어느 순간부터 집단적으로 곡식을 재배하기 시작했다고 추정했다. 이는 농경 정주를 위해 집단 사회 체계를 구축했다는 기존 가설과 반대로 수렵 채집인들도 집단적 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오히려 농업이 이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기존 인류 역사관은 먼저 원시적 농업활동이 일어나 식량이 충분해지면 여유 가 생겨 종교적 유적을 만들게 되었다는 것이었는데 그게 아니라는 얘기다. 오히려 먼저 종교가 중요했고 종교적 유 적을 만들기 위해 사람이 모여야 했으며 그렇게 모인 많은 인력을 먹여 살리기 위해 농업이 시작된 것이다. 사실 원시적인 농업은 결코 수렵채취보다 많은 식량을 얻기 힘들었으며 또한 영양학적으로도 수렵채취 쪽이 더 나 았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그럼에도 농업을 시작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종교적 동기로 사람들이 다수 모여야 했고, 일정 지역 내에 제한적인 식량만이 생산되는 수렵채취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어 인위적으로 식량 생산을 증 가시킬 방도를 찾았다고 봐야한다는 것이다. 4) http://www.andrewcollins.com/page/news/eq_0315.htmVol. 22, No. 1 69 아나톨리아 고원의 초고대 문명과 농업의 기원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이 글을 처음 시작하면서 자라투스투라 이야기를 꺼냈었다. 터키의 초고대 문명을 소개하면서 뜬금없이 그의 이야기로 서두를 시작한 이유가 있다. 세테 가스트는 그녀의 저서 <자라투스트라가 말한 때When Zaratustra Spoke>에 서 조로아스터교가 출발한 때를 춘분날 태양이 쌍둥이 자리에 있었던 시기인 기원전 5500년 경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본격적인 종교 활동이 그 시기부터 있었다면 창시자인 자라투스투 라는 이 보다 앞선 시기에 살았을 것으로 본다. 주류 학계에선 그가 기원전 6300년 경에 활동했다고 플리니가 전한 아리스토텔레스와 에우독서스의 주 장을 지금까지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으로 폄하했다. 하지만 이제 그의 역사 적 존재와 그의 시대를 고대 그리스와 로마 학자들이 제대로 전달했음을 깨 닫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농업이 기원전 7000년경 순전히 종교적 이유 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짜라투스투라가 말했다고 기록했다. 자라투스트라가 옳았다는 사실이 금세기 접어들며 확인되었다. 매리 세가스트의 책 <자라투스트라가 말했을때>의 책표지터널 질의 답변 7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현재 시공 중인 공사에 대해 간단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 공사명은 삼척화력발전소 1 ‧ 2호기 EPC 건설공사로써 강원도 삼척시 적노동 일원에서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부지조 성, 터널, 항만, 침식 및 친수의 부대토목을 시공하는 공사입니다. 2018년 8월 착공하였으며 2024년 3월 준공을 목표 로 현재 25%의 공정률로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이중 터널공사는 2018년 10월 착공하였고 22년 5월 마무리 예정이며 진입도로터널(1.543km), 석탄이송터널(1.613km), 취수터널(2.048km), 배수터널(2.073km)의 4개터널을 NATM공법을 적용하여 시공중입니다. ○ 지금까지 다양한 터널 현장에 계셨는데, 기억에 남는 현장이 있다면 어떤 현장이었으며 이유는 무엇인 가요? 답변 : 철도, 지하철 터널을 주로 경험하였으며 이중 가장 기억에 남는 현장은 원주제천현장의 철도터널로 11.23km의 장대터 널로 터널진입을 위한 출입구는 본선터널의 시종점 갱구 및 시공 및 환기를 위한 경사터널(0.82km)입구 단 3개소로 시 공시 환기 및 공사차량의 운행관리가 가장 관건이었고, 라이닝 타설시 6조의 폼을 동시에 운영하여 일일 약 900m3 이 상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였으며, 경사터널은 12%의 경사가 있어 안전에 취약한 상황이라 상당한 어려움을 격은 현장 이었습니다. 터널기술자 인터뷰 김재근 포스코건설 삼척화력토목사업단 부소장Vol. 22, No. 1 71 또한 철도터널은 노반(토목)공사 완료시점에 전력, 전차선, 신호, 통신 궤도등 별도의 후속공사업체가 들어와서 동시작 업 및 인수인계를 해야하는 상황으로 각 파트별 시공기준 및 설계가 상이한 부분이 많아 인터페이스의 어려움이 많았 던 현장이라 더욱 기억이 나는 현장입니다 ○ 지금까지 공사를 해오면서 현장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어떤 것 들이 있었나요? 답변 : 첫째 용출수 발생시 대처방법입니다. 건설사업관리단은 용출수 발생시 차수그라우팅을 종용하나 막장에서의 차수그라 우팅은 지속적인 막장이상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아 가급적 유도배수를 하고 연후에 차수를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저의 경험입니다. 그러나 설계도서에 표기되어 있다며 지속적으로 차수를 종용하는 경우가 있어 매우 난감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둘째 기존구조물 하부통과시 기계굴착으로 설계된 경우가 있었는데 암질이 너무 좋아 기계굴착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 는데 공법변경이 안되어 공정이 지연되어 후속공정에서 이를 만회하는데 애를 먹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근래에는 제어 발파 및 전자뇌관등을 이용하여 진동이 거의 없이 발파가 가능한 상황이나 옛 방식에 얽매여 신기술 신공법을 적용치 못하여 안타까웠습니다. 셋째 민원입니다. 터널의 발파는 진동‧ 소음을 발생하며, 숏크리트 및 갱내 발생수는 환경오염, 버력의 운반은 비산먼 지유발로 문제를 야기함에 따라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으나, 근래 주민들은 공사의 피해가 없어도 피해가 있다며 민원 을 제기하고 보상, 마을발전기금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주처는 시공사에서 알아서 처리하라 하고 관계기관 은 이해는 하지만 민원이 우선이라고 합니다. 민원에 대한 대책은 이제 현장만의 문제가 아닌 것이 되었다 생각됩니다. ○ 다양한 터널현장을 경험 하셨을 텐데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답변 : 터널 현장은 굴진시 페이스 매핑에 의한 RMR값으로 암판정을 통하여 굴진타입을 결정하고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데 RMR 값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판단이 암판정단의 경험을 통한 사견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가 왕왕있음에 따라 안정 적이고 경제적인 시공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습니다. RMR값 판단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설 명된 자료가 있고 이에 대한 규정을 엄격하게 지켜준다면 현장에서의 암판정에 대한 이견을 줄이고 신속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지 않을까 합니다. 이에 더해 암판정 관련한 IT 기술의 적용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 터널 기술자로서의 아쉬웠던 점과 보람은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답변 : 터널은 암반등급에 따라 정해진 방법으로 시공을 하도록 되어 있으나 갱문이 열리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갱문부 용지보상이 늦어 착수가 늦어지면 특별한 대책이 없는한 정해진 공기로 공사를 지행할 수밖에 없으나 단순히 공기를 단축하기 위해 무리한 암판정을 동의하고 진행한 결과 작업원들을 위험에 빠뜨린 경우가 있었습니다. 만일 당 시에 무리한 요청을 거부하였다면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보람찬 7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경우는 역시 관통 후 모든 공사가 끝나고 인수인계까지 무리없이 진행된 경우일 것입니다. 이후에 인프라 구축이 완료 되고 직접 제가 시공한 구간을 이용할 때는 너무나 가슴 벅찬 희열을 느꼈습니다. ○ 마지막으로 터널분야의 미래전망과 후배 터널 기술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답변 : 『터널은 위험하다』라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얘기하고 있습니다. “터널”이라는 영화가 방영되고 난 이후 이런 얘기를 더 욱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터널은 위험하지 않습니다. 정해진 패턴에 따라 무리하지 않고 작업한다면 오히려 가장 쉬운 공종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지금 현장은 스마트 기술의 적용 및 개량된 장비의 사용으로 인력작업이 많이 줄어들고 많은 부분이 기계작업 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터널 또한 마찬가지로 기계화, IT 화로 변하고 있으며 선배들은 개선과 발전을 주도하고 후배 님들이 제대로 편하게 일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습니다. 후배님들이 현장에 들어올 때는 더욱 발전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터널이 없이는 도로, 철도, 댐, 항만 등 어떠한 인프라도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터널 기술자는 현재도 그렇고 앞으로도 마찬가 지로 계속 필요한 분야라 생각됩니다. 후배님들이 전공으로 터널을 선택하였을 경우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Vol. 22, No. 1 73 학교 및 학과 : 아주대학교/건설교통공학과 지 도 교 수 : 이상덕 학 위 자 : 정찬기 학 위 : 공학박사 (2019. 2.) 지상 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얕은 터널의 측벽변형에 따른 터널 주변지반의 이완거동 Loosening of the Ground Around Shallow Tunnel Induced by Sidewall Deformation under the Influence of Structure on Ground Surface 국문 초록 최근 도시지역 등에서 구조물 하부지반에 얕은 터널을 굴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얕은 터널은 토피가 얕기 때 문에 상부지반이 함몰파괴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상구조물 하부에 얕은 터널을 굴착하면, 터널굴착에 의한 하중전 이와 터널변위 및 지표침하 등이 상호 간섭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얕은 터널의 측벽변형 에 따라 발생하는 주변지반의 이완거동을 모형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조물의 위치와 토피고를 변화시키면서 터널 에 작용하는 하중, 터널 주변지반의 하중, 터널상부의 지표침하, 터널주변의 파괴영역 등을 분석하였다. 모형시험은 지 상구조물이 없는 경우와 지상구조물이 있는 경우에 대해 수행하였고, 각각 토피조건 6가지 및 구조물 위치조건 4가지 를 조합하여 모형지반을 조성하고, 실제터널을 1/35 규모로 축소한 모형터널의 측벽에 변위를 가하였으며, 각 조건별 로 측벽하중, 천단하중, 주변지반 하중전이, 지표침하 및 터널주변지반의 파괴영역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터널주변 지반의 이완영역은 지상구조물이 없는 경우의 이완영역을 하나의 모델로 제시하였고, 지상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지 상구조물이 없는 경우의 이완영역을 중첩하여, 구조물에 의한 영향권과 측벽변위에 의한 영향권으로 구분한 모델을 제 안하였다. 최대침하량은 구조물의 위치가 이동되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발생하였으므로 각각의 토피별로 평 균한 침하량 값들을 최대침하량 값으로 제안하였다. 최대침하위치는 터널중심축에서 0.75D 이격된 수직선에 분포한다. 침하범위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은 터널천단부의 구속에 의한 영향으로 1.25D까지 형성되고, 좌측은 1.75D까지 형 성되었다. 지표면 침하에 의한 구조물의 침하경향은 모델에서 제시한 역삼각형 하부의 경사진 2개의 직선과 동일한 기 울기로 부등침하 하였고, 구조물의 위치가 L10(터널중심축에서 1.0D 이격) 지점에 근접할 경우 등분포 침하하는 경향 을 보였다. 따라서 최대침하위치 및 침하경향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하나의 모델로 제안하였다. 논․ 문․ 소․ 개 + 학위논문 소개7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http://www.jkta.or.kr/ Volume 22, Issue 1 (January 2020) 목 차 Study on optimal design method for estim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bandoned mine ground Min Son, HyunKoo Moon*, HyukSang Jung, YoungSu Kim, SungHyun Park A study on the behaviour of pre-existing single piles to adjacent shield TBM tunnelling from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es Young-Jin Jeon, Seung-Chan Jeon, Sang-Joon Jeon, Cheol-Ju Lee* Waterproofing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 for shield TBM segment hydrophilic rubber waterstop Soo-Kwon Ham, Hoon Jung, Beom-Ju Kim, Kyeong-han Jeong, Seok-Won Lee* Fundamental study on enlargement method of existing subway tunnel during operation for sidetrack construction Hyobum Lee, Sung-Yil Koh, Jonghun Jun, Hee Taek Yoon, Na Hyun Yi, Hangseok Choi* Numerical study on tunnel design for securing stability at connection between submerged floating tunnel and bored tunnel Seok-Jun Kang, Gye-Chun Cho* A basic study on the mixing bar interaction efficiency in shield TBM chamber Beoung-Hyeon Hwang, Sang-Hwan Kim, Kyung-Heon Lee, Jun-Kyu An, Sung-Woo Cho, Yeon-Deok Kim* A study on performance-based evaluation system for NATM tunnels in us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and validation Joon-Shik Moon, Hong-Kyoon Kim*, Jai-Wook An, Jong-Gun Lee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Vol. 22, No. 1 75 A study on freeze-thaw evaluation criteria for road tunnels considering climate characteristics Joon-Shik Moon, Jai-Wook An*, Hong-Kyoon Kim, Jong-Gun Lee Derivation and verif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theory for surrounding ground condition prediction of TBM Chang-Ho Hong, Minhyeong Lee, Gye-Chun Cho*7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TUST 논문집 논문소개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ume 97 (March 2020) https://www.journals.elsevier.com/tunnelling-and-underground-space-technology 목 차 <Research Papers> Dynamic stress state around shallow-buried cavity under transient P wave loads in different conditions Zhanwen Li, Ming Tao*, Kun Du, Wenzhuo Cao, Chengqing Wu Enhancement of carbon monoxide removal in an underground car park using ventilation system with single and twin jet fans Pornthep Sittisak, Tawatchai Charinpanitkul, Benjapon Chalermsinsuwan* Shield-driven induced ground surface and Ming Dynasty city wall settlement of Xi’an metro Jinxing Lai*, Hui Zhou, Ke Wang, Junling Qiu, ... Zhihua Feng A study of various models used in the estimation of advance rates for hard rock TBMs Ebrahim Farrokh* Support pressure for circular tunnels advanced below water bodies Bibhash Kumar, Jagdish Prasad Sahoo* Case study on pressure-relief mining technology without advance tunneling and coal pillars in longwall mining Yajun Wang*, Manchao He, Jun Yang, Qi Wang, ... Yubing Gao A numerical study on the transverse seismic response of lined circular tunnels under obliquely incident asynchronous P and SV waves Longqi Yan, Abbas Haider, Peng Li, Erxiang Song* + TUST 논문집 논문소개Vol. 22, No. 1 77 A fuzzy evidential reasoning-based approach for risk assessment of deep foundation pit Daojiang Wei*, Dongsheng Xu, Yong Zhang Parametric investigation on the sealant behavior of tunnel segmental joints under water pressurization Chenjie Gong*, Wenqi Ding, Dongwu Xie Study on the critical velocity for smoke control in a subway tunnel cross-passage Shan Feng, Yanfeng Li*, Yusheng Hou, Junmei Li, Youbo Huang Excavation and kinematic analysis of a shallow large-span tunnel in an up-soft/low-hard rock stratum Hongliang Tu, Hui Zhou*, Chunsheng Qiao, Yang Gao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pacing of water curtain boreholes for underground oil storage from the perspective of percolation theory Wei Li, Zhechao Wang*, Liping Qiao, Huan Liu, Jinjin Yang An analysis method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pressure water conveyance tunnel in argillaceous sandstone under water-weakening conditions Fanjie Yang, Hui Zhou*, Chuanqing Zhang, Jingjing Lu, ... Yijun Geng Mechanical properties and analytic solutions of prestressed linings with un-bonded annular anchors under internal water loading Yujie Wang, Ruilang Cao*, Jin Pi, Long Jiang, Yufei Zhao Settlement behaviors of existing tunnel caused by obliquely under-crossing shield tunneling in close proximity with small intersection angle Hongpeng Lai*, Haiwei Zheng, Rui Chen, Zuo Kang, Yang Liu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internal erosion around submerged defective pipe Dong-Mei Zhang*, Wei-Wei Du, Mao-Zhu Peng, Shi-Jin Feng, Zi-Li Li Towards a novel auto-rotating lidar platform for cavity surveying Jordan Mitchell*, Joshua A. Marshall Movements of ground and existing structures induced by slurry pressure-balance tunnel boring machine (SPB TBM) tunnelling in clay Liqiang Cao*, Dingli Zhang, Qian Fang, Lin Yu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