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스스로를 제한된 울타리라는 틀 속에 갇히게 하고, 한정된 기술적 사고 속에 새로운 변화에 대하여 대응하 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세상,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우연한 기회로 싱가포르 PB에서 터널엔지니어로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와 같은 수준의 설계 엔 지니어링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지만, 설계단계에서 리스크 관리와 안전보고서를 작성하는 PSR 프로세스, 하드카피 도면이 필요 없는 E-Submission 시스템, 일정규모이상의 프로젝트에서의 BIM의 작성의무, 설 계자와 시공자의 동등한 기술자 권한과 책임 등으로 놀라지 않을 수 없었으며, 모든 도심지 터널구간에서 의 TBM 기계화 굴착적용과 Underground Master Plan을 수립하고 지하공간개발을 Next Frontier로서 준비하는 과정이 참으로 대단하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호주 UNSW 대학에서의 연구자로서 경험을 하게 되었는데, 호주의 경우 메가 프로젝트개발에 있어 제기되는 다양한 민원을 해결하고자 모든 기술적 노력과 소통 플랫폼을 만들고 운영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먼저 도심지구간에서의 발파 진동소음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로드헤더를 이용한 기계굴착공법 우선적 용, 민원인들과 소통하기 위한 코뮤니티 센터 운영, BIM적용으로 공사 전체 과정의 구현, 누구나 쉽게 이 용할 수 인터액티브 맵 운영 등과 같이 발주자와 시공자/설계자뿐만 아니라 제 3당사인 주민들과 안전 및 환경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소통하고 있음에 정말로 대단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올해 개통된 홍콩과 마카오를 연결하는 강주아오대교(HZMB) 해저터널 현장을 방문하게 되었습 니다. HZMB 해저터널은 중국이 자랑하는 세계 최장대의 교량과 터널 로 구성된 메가프로젝트로서, 안전 과 환경문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한 E&MA 프로그램과 주민참여 프로그램 그리고 설계‧ 시공 전단계에 4D-BIM 적용을 통하여 메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에 다시 한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세상은 분명 변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는 대형화되고, 다양한 첨단기술이 접목되고 융합되고 있으며, 안전과 환경문제가 중요한 이슈화되어 이를 우선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엄청난 규모의 노력과 관심이 계 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심지 터널의 경우 기계화 시공(Mechanized Tunnelling) 및 통합 디지털 기술 (Integrated Digital Technology)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대규모 지하 프로젝 트를 둘러싼 관련 민원인들의 요구도 엄청나게 증가하고 변하고 있으며, 우리가 만들어낸 기술도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음을 우리 모두 명확히 인식해야 합니다. 터널맨, 무엇을 할 것인가? 우리 엔지니어링 업계가 정말 어렵다고 합니다. 국가사회의 인프라 사업의 축소에 따른 건설 분야의 위 기는 이제 우리들의 현실이자 숙제이기도 합니다. 오래전부터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해외로의 진출을 고민Vol. 21, No. 4 9 해왔지만 생각보다 쉽지만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엔지니어링 능력은 되는데 뭔가 부족하고 자신감이 없 는 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준비하고 배우고 공부하는 수밖에 없 다고 생각합니다.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가를 중심으로 힘을 모아야 합니다. 학계의 리딩, 산업계의 노력 그 리고 관의 적극적인 지원, 산학관의 합심이 가장 필요한 때가 아닐까 합니다. 지금까지의 우리만의 시스템 을 분석하고, 우리만의 관행을 과감히 개선하고,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적극 적인 자세가 요구되는 시간입니다. 우리 터널기술자들의 열정과 노력만큼은 세계 그 어느 누구보다도 우수하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아마도 그러한 우리의 자산이 글로벌 시장에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입니다. 어려운 시대에 우리가 모두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우리 분야의 발전과 원대한 웅비를 생각하며, 그동안의 엔지니어링의 경험을 통 하여 나름대로 정리한 터널맨(Tunnel Man)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째는‘설계시공 능력을 겸비한 토탈 엔지니어(Total Engineer)’입니다. 모든 엔지니어링에 있어 종합화를 통한 분야별 경계는 무너지고 있습니다. 설계능력을 갖춘 기술자가 시공과 감리를 수행함으로서 보다 체계 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미래 터널시장에서는 이러한 기술자를 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글로벌 능력을 갖춘 글로벌 엔지니어(Global Engineer)’입니다. 현재 우리의 공사 시스템으로는 해 외시장의 진출에 그 한계를 노출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국제기준의 공사시스템을 이해하고, 엔지니어의 역 할확대를 통하여 우리 엔지니어들의 위상을 강화하여야만 합니다. 셋째는‘소통 능력을 갖춘 통합 엔지니어(Integrated Engineer)’입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안전 및 환경문제에 대한 민원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바로 기술적 도구를 이용한 소통의 능력이 요구 되며, 다양한 분야 적용되고 있는 첨단 기술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엔지니어로서 살아온 길을 생각해봅니다. 우연한 선택과 그 속에서의 고민들 그리고 성장하고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우리 일을 이해하고 우리 업에 대한 애정을 가지게 되어 이제야 진짜 엔지니어가 뭔지를 깨닫 게 됩니다. 비록 멋지고 화려하진 않지만, 정말 가치롭고 멋진 길이었음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목표를 향 하여 열심히 논의하고, 꾸준히 일하는 과정을 통하여 진정한 엔지니어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또한 기 술경쟁력 있는 엔지니어로서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우리 모두가 만들어낸 성과물은 우 리업의 발전을 위해 보다 나은 것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며, 변화에 대한 갈망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아 직 극복해야할 문제가 쌓여있고, 해야 할 일이 많지만 터널기술의 발전에 작은 힘이나마 기여하고, 터널엔 지니어로서 그리고 터널전문가로의 성장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고 열심히 달려가야 할 것입니다. 끝으로 변화속의 현재를 극복하고 발전적인 미래를 준비하기 위하여 지금 우리들에게 우리 모두의 히어 로이자 우리 자신의 영웅인 진정한 터널맨(Tunnel Man)이 아주 많이 나타나서 모두가 함께 즐겁게 일할 수 있으며, 모두가 같이 인류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행복한 멋진 미래를 그려봅니다. 또한 지하터널을 굴착하고, 1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지하공간을 건설하고, 지하세계를 구현함에 있어 첨담 터널기술로 완전 무장하고 적극적으로 응답(應答)하 며, 지하를 헤치고 지하공간속으로 엄청나게 비하(飛下)하는 우리들의 터널맨(Tunnel Man)을 꿈꿔봅니다. ∙ 응답(應答)하라 터널맨(Tunnel Man)이여! ∙ 비하(飛下)하라 터널맨(Tunnel Man)이여! (주)건화 기술연구소 김 영 근제2강.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Vol. 21, No. 4 11 지하터널공사에서의 발생하는 다양한 리스크를 설계단계에 서부터 반영하여 사전에 대책을 수립하고 시공단계에서 이를 반 영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은 기존 설계접근방법을 개선 하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개발되었다. 영국터널학회(BTS, 2004) 에서는 공학설계절차(Engineering Design Process)를 만들어 서 리스크 관리절차를 계획 및 설계단계에 반영하도록 권고하였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 리스크 분석기반 설계를 중심으로 - Risk Management Applied to Urban Mechanized Tunnelling - Focus on Risk Analysis-driven Design in Tunnelling - 김영근 (주)건화 기술연구소 연구소장/공학박사/기술사 Mechanized Tunnelling in Urban Areas (P.Grasso 등, 2007) Risk Management Applied to Mechanized Tunnelling in Urban Areas (P. Grasso, 2008)1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으며, 프랑스 터널협회(AFTES, 2012)은 설계단계에서 지식과 불확실성을 검토하여 리스크를 평가하고 특성화하는 리스크 관 리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터널공사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고에서는 리스크 분석기반 설계(RAaD)와 터널 굴착계획 (PAT, Plan for Advance for Tunnel)을 이용한 리스크 관리 계 획(RMP)을 바탕으로 도심지 기계화 터널시공에서의 리스크에 대한 분석방법과 리스크 관리대책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하였다. 리스크 관리는 1990년대 후반부터 대부분의 지하 건설프로 젝트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또한 안전 측면에서 증가 하는 필요성과 주민, 발주자, 운영자 및 보험사로부터 환경 및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게 되었다. 현재 광범위하게 적 용되는 리스크 관리 절차를 적용하면 설계단계에서부터 주요 리 스크 노출이 크거나 적절한 대책을 통해 시간/비용 절감을 달성 할 수 있는 곳에 기술적 노력을 집중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리스크 관리는 단순히 리스크 회피와 완화를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전체 프로젝트를 개선하면서 공사비와 공기를 최적화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터널공사에서 리스크 분석 기반의 설계 개념이 개발되 고 적용되고 있다. 리스크 기반 설계는 어떤 문제가 파악됨에 따 라 문제를 감소시키는 사전 예방적(proactive) 리스크 관리를 실현하는 것으로, 이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기다렸다 가 대응을 실시하는 기존의 건설방식과 차별화된다. 본 고에서 는 리스크 기반 설계 방법을 기술함으로서 도심지 터널공사에서 의 리스크 관리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1. 서론(Introduction) 안전과 환경 및 사회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주민, 발주 자 및 보험사 요구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터널에서의 리스 크 분석 및 관리(RA&M)는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더욱이 리스크 관리는 리스크 회피와 완화를 다룰 뿐만 아니라, 가치 창 출의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익을 얻어야 한다. 국제 터널협회(ITA)가 2004년 발간한 ‘터널 리스크 관리 가이드 라인’은 상당히 개선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강조하는 이정 표로서, 초기 설계 단계부터 시작하여 전체 터널 프로젝트 개발 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초기의 체계적인 리스크 접근 방식을 사 용할 것을 권고한다. 정부 외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공학적 프로젝트의 민간 투자 가 증가해왔는데, 이는 민간 투자가들이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예측, 실사, 리스크 평가를 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모든 당사자는 투자를 결정하기 전에 먼저 명확한 리스크의 식별, 평 가 및 완화를 요구한다. 보험사, 특히 재보험사는 보험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 의 모든 단계에서 리스크 관리를 매우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 다. ITA 가이드라인을 밀접하게 준수하는 국제 실무코드가 국제 터널보험그룹(ITIG, 2012)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 국제 코드는 영국터널학회(BTS)가 개발한 초기 코드에 기초했다. 리스크 분 석 및 관리(RA&M)의 사용에 대한 더욱 강력하고 적극적인 추진 은 보험사가 직면하는 모든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초점을 맞추도 록 요구하는 표준인 보험 지급능력 II 지침에서 나올 수 있다. 지 급능력 II에 따르면, 자산의 종류(예: 고위험 프로젝트)에 대한 금지는 없지만, 보유하고 있는 모든 자산에 대해 보험자는 신중 한 개인투자원칙(PPIP)을 준수하고 관련 리스크를 충분히 이해 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정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의무적 접근방식은 발주자,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 요구 되어, 전체적인 계획,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운영 및 유지보수 단계를 포함)에서 효율성 및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 을 목표로 하는 선도적 요소로서 리스크 관리를 다루어야 할 것 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사업 분야의 개척과 기후변화와 불리한 조건에서의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빈도와 강도의 관점에서 나타나 는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하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요구사항 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RA&M은 모든 프로젝트 단계에 적용된다. 그것은 개념 및 설 계 단계, 시공 단계, 운영 및 유지 관리(O&M), 그리고 최종적으 로 폐기 단계(수명주기 지속가능성을 이차적으로 고려하지 않 음)의 리스크를 구별할 수 있다. 모든 리스크 범주는 서로 다른 Vol. 21, No. 4 13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리스크 원천을 관리할 수 있는 특정 당사자의 고유한 능력을 고 려하여 사전에 엄격하게 할당(방지)되어야 한다(그림 1). 우선, 상위 단계에서는 세 가지 기본 리스크 관리 전략이 있다. • 리스크 유지 • 주요 당자자 중에 한 곳에 리스크를 할당하여 리스크를 이전 • 리스크 관리가 핵심 사업인 전문 에이전트(보험사)로 리스크 이전 설계자와 시공자는 리스크 예방 및 통제 실무에 있어 마지막 까지 남아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장 적정한 프로젝트 리스 크를 일부를 유지하게 된다. 본 논문은 특히 계획 및 설계 및 시 공 리스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 기본 용어 기본 용어와 정의는 ISO/IEC 가이드 73:2002 리스크 관리 : 용어 - 표준에 대한 사용 지침 중에서 가장 관련성이 높은 몇 가지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위험요소(hazard) H : 손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건이다. 각 위험요서는 안전,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발생 확률(또는 가능성) P와 영향(또는 결과 또는 심 각도) I와 관련이 있다. • 식별된 위험요소와 관련된 위험도(risk) R : 제품 R = P ☓ I 로 정의되며, 초기 리스크(initial risk) 라고 한다. • 프로젝트 기반 리스크 허용(project-based risk acceptability) :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특정 맥락에서 초기 위험도를 가정할 수 있는지 또는 특정 완화 조치를 통해 줄여야 하는지를 정의 하기 위한 일련의 기준이다. • 완화 조치(mitigation measure) : 각각의 단일의 허용불가한 초기 위험도를 허용 기준에 대하여 확률 및/또는 영향에 작용 하여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로젝트의 다양한 단계에서 체계적 으로 구현되는 일련의 사전 정의된 조치로 구성된다. • 잔류 위험도(residual risk) : 완화 조치 실행 후 남아 있는 위 험을 말한다. 잔류 위험도는 허용 가능한 위험도 수준을 참조 한다. • 핵심 매개변수(key parameter) : 잔존 위험도가 의존하거나 잔류 위험도를 제어할 수 있는 요소들이다. <그림 1> 각 단계별 리스크 종류와 분담 주체1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 대책 방안(countermeasure) : 핵심 매개변수가 사전 정의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사전 정의된 트리거 기준에 따라 시공 중에 활성화되는, 설계 단계에서 정의된 조치이다. 간단히 말하면, 리스크 관리 접근방식은 터널 공사와 관련된 잠재적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열거하고, 각 위험요소에 발생 확 률과 결과에 대한 심각도 지수를 할당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 음 단계에는 사건의 발생 확률을 낮추고 그 결과의 심각성을 감 소시키기 위한 조치의 정의가 포함된다(이른바 ‘경감조치’). 실제로, 확률-영향과 관련된 리스크의 정도는 종래의 최대값 의 백분율로서, 확률(퍼센트)과 심각도(또는 영향) 지수의 곱으 로 정량화할 수 있으며, ‘초기 위험도 수준(initial risk level)’을 정의한다. 초기 위험도 수준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 관련 완화 조치를 규정하고 설계해야 한다. 완화 조치의 적용 후, “잔류 위험도 수 준(residual risk level)”(그림 2)이라고 하는 업데이트된 위험도 수준을 얻는다. 잔류 위험도 수준은 리스크를 감소하거나 완전 히 제거하는 필요한 “전반적인 비용(global cost)”에 필요한 최 대 위험도 수준으로서 수용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남아있는 위험도 수준을 재평가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리스크 감소에는 위험요소를 방지하거나 줄일 때의 능동적인 절차와 특 정한 리스크 감소-경감 조치를 선택할 때의 수동적인 절차가 포 함된다. 일부 용어는 잘못된 개념의 원천이 된다. 첫째, ‘불확실성 (Uncertainty)’의 잘못된 개념은 종종 위험도와 직접적인 동의 어로 의도되는데, 불확실성은 위험도과 기회를 모두 나타내며, 가치를 감소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이 다. 또한 (1)알 수 있는 확률을 가진 사건의 위험도, (2)진정한 불확실성, 알 수 없는 확률을 가진 알려진 사건 또는 (3)전혀 알 수 없는 사건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경우의 “알 수 있는 기지의 것(Known Knowns)”은 합리적인 설계에 직면할 수 으며, 충분하고 양호한 데이터 입력 과 강력한 처리 방법에 근거한다. (a) 초기 리스크의 수용/불수용 범위(b) 잔류 리스크 <그림 2> 초기 및 잔류 리스크 <그림 3> 지식의 범위 <그림 4> 불확실성과 리스크의 범위Vol. 21, No. 4 15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또한 ‘알 수 있는 미지의 것(Known UnKnowns)’라는 요구사 항은 유연한 계약적 기술로 완화되어야 하며, 실제로 직면하는 조건에 설계 및 시공 절차를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야 한다. ‘알 수 없는 미지의 것’(UnKnown-UnKnowns)의 개념은 최 악의 시나리오를 말하며,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것을 모른다.’ 는 것과 프로젝트 해결책이 실제 조건에 대체로 부적합한 경우 이다(그림 3, 4). 이 경우에는 높은 충격, 예측하기 어렵고 드문 사건인 이른바 ‘검은 백조(black swans)’도 포함된다. 3. 도심지 기계화 시공에서의 리스크 (Risk in Mechanized Urban Tunnelling) 도심지 터널 기계화시공에 대한 계획, 설계 및 시공 리스크의 주요 원천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지질 및 수리지질학 관련 리스크의 원인 - 설계 및/또는 시공 단계 중 제한된 조사(시간 및 예산 제한, 현장 접근성 부족 등) - 현장 및/또는 실험실 시험에서 부적절함 - 암반/토질의 고유 특성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 지반 파괴의 특별한 메커니즘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 터널링에 대한 암반/토질의 반응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 - 시공중 체계적인 조사 및 모니터링 부족 - 시공중 지질 및 수리지질학적 모델의 검증/업데이트 부족 • 설계 관련 리스크의 원인 - 경험이 없는 설계자 - 잠재적 리스크 시나리오의 불완전한 분석 - 라이닝에 작용하는 하중 조건의 불완전한 평가 - 부적절한 시공성 분석 - 실제 지반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설계 유연성 부족 - 침하 예측과 기존 건물/유틸리티에 대한 잠재적 피해를 평 가하기 위한 부적절한 방법 - TBM의 핵심 매개변수의 작동 범위에 대한 부적절한 정의 - 부적절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또는 판독 빈도 - 모니터링 변수에 대한 사전 정의된 임계값 한계 부족 - 대책의 정의가 잘못되었거나 누락 - 대책에 대한 주의-경보 기준 수준의 정의가 잘못되거나 누락 • 시공 관련 리스크의 원인 - 시공 방법의 부적절한 선택 - ‘학습 곡선’ 기간의 관리 불량 - 시공자 경험 부족 - 직원의 훈련 부족 - 부적절한 절차 - TBM과 지반의 비호환성; - 중대한 기계적 고장 - 부적합한 운반 - 부적합한 막장압 - 테일공극의 부적절한 주입 - TBM의 매개변수 제어 및/또는 검토 및 해석 부족 - 막장전방 탐지가 불충분함 - 불안정성 발생 - 쉴드 장비 자체의 비정상적인 성능 또는 거동 - 이론적인 것과 실제 지반-장비 시스템 거도의 편차 4. 리스크 관리 계획 (Risk Management Plan, RMP) RMP(Risk Management Plan)의 가치는 관련 리스크에 대 한 위험요소를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직면하는 강력하고 투명한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프로젝트에 대한 RMP를 구현하는 목적은 모든 리스크를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줄이고 가 장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RMP는 다음의 4가지 기본 원 칙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1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 리스크 식별 - 프로젝트 목표 및 요구사항 정의한다. - 불확실성 정도와 리스크 가정 수준 모두에 대해 발주자의 리스크 허용오차를 설정한다. - 프로젝트 기준 시나리오의 특성과 리스크 등록부(즉, 잠재 적 위험요소 및 관련 초기 리스크의 목록)를 작성하여 모든 프로젝트 분야와 단계를 포괄하는 리스크를 식별한다. • 리스크 정량화 - 확인된 각 위험요소에 대해 잠재적 원인을 명시하고, 발생 확률 및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리스 크를 평가한다. - 정성적 정량화 방법(예를 들어 공학적 판단)을 사용하면 서 로 다른 유형의 리스크에 대한 프로젝트 취약성의 예비 추 정치를 만들 수 있으며, 반면에 확률론적 분석과 같은 정성 적 방법을 사용하여 P와 I를 모두 정의할 경우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 식별된 리스크에 우선순위 순서가 할당되고, 나중에 고려되 어야 하고 허용되지 않는 리스크를 선택하게 된다. • 리스크 대응 개발 - 리스크를 피할 수 없는 경우, 초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설계 접근법 및/또는 시공 방법 및/또는 설치 방법 등의 대 응 조치 목록을 파악하여 리스크를 완화해야 한다. - 완화 조치가 이행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완화 조치의 도입 후 잔류 리스크 관리에 대한 책임이 변경될 수 있다는 사실 을 고려하여 잔류 리스크를 정성화하기 위해 리스크를 재 평가해야 한다. - 잔류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고 추가로 감소시킨다. • 리스크 대응 모니터링 - 초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확인된 전략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시공/설치 절차가 마련되었는 지 확인하십시오. - 시공, 설치 및 시험중 잔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 인 제어 계획 설계. 이는 공사의 품질, 안전성 및 공정을 제 어하기 위한 핵심 파라미터/지표를 식별하고 관련 모니터 링 절차(예: 계측기 종류 및 위치, 계측 빈도, 경보 및 경보 임계값 등)을 시행해야함을 의미한다. - 경보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시공 중에 실행해야 할 강력한 대응 조치를 설계한다. 극도로 위급한 상황의 경우 비상계 획도 준비해야 한다. RMP 구성요소의 논리적 순서는 그림 5에 제시되어 있다. RMP의 활성화는 잠재적 문제의 적시에 식별 및 해결을 보장한 다. 따라서 RMP는 가능한 한 빨리 실행되어야 하며, 개념 설계 에서 개발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통합되어야 하 며,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조사, 설계 및 시공 분야로 확장되 어야 한다. 목표는 프로젝트 수명의 각 단계에서 식별된 모든 리스크를 합 리적으로 가능한 한 낮은 수준(As low as reasonably possible, ALARP)으로 줄이고, 시공중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예방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다. RMP는 전체 프로젝트를 통해 처리, 업데이 트, 통합 및 전달되어야 하는 동적 프로세스로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리스크 등록부를 정기적으로 체계적으로 갱신하는 것은 본 접근법을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특징 중 하나 이다. 리스크 관리의 실행에는 다양한 기술적 관점이 포함되어 야 하며 모든 관련 당사자의 참여가 포함되어야 한다(발주자, 프 로젝트 관리자, 감리자, 시공자, 전문가 및 설계자). 또한 프로젝트 리스크는 프로젝트 인터페이스의 관리를 어떻 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심지 기계 화 터널시공은 일반적으로 메트로, 도시철도, 유틸리티, 하수 또 는 도로용 서비스 터널과 같은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와 관련 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젝트는 품질, 공기 및 예산 내에서 최종 성과품을 제공하기 위해 집중해야 하는 서로 다른 분야로 구성된다(즉, 이러한 목표 달성에 잠재적으로 불리한 모든 리스 크를 감소시킴). 이러한 집중을 성공적으로 보장하고 RMP의 실 현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은 설계와 시공 중 분야/활동 사이의 Vol. 21, No. 4 17 제6강. 도심지 기계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인터페이스를 식별, 관리 및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집중 화된 설계 관리구조에서 ‘영구 조정그룹(Group of Permanent Coordination, GPC)’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문제와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갈등이 있을 때 해결책을 찾기 위한 것이다. GPC는 발주자가 만들거나 설계자가 승격할 수 있다. GPC는 프로젝트의 일관성 있고 통합된 개발을 보장하고, 분야 간 인터페이스의 시작을 주도하며, 리스크의 해결과 관리를 담 당한다. <그림 5> RMP 프로세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