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시론시론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터널과 철도손병두부회장나는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같이 지금의 시간대를 보내고 있는 것이 좋다. 난 눈이 안 좋아 술을 먹으면 안 되는 상황인데도 회원 분들과 같이 저녁에 소주를 곁들이며 지반을 열렬히 논하는 시간,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같은 전공을 가진 분들이 끌어들이는 마음의 정을 거부하지 못하고 호프에 통닭을 앞에 두고 터널의 발전을 얘기하는 시간이 참 행복하다. 모든 회원 분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성공한 바쁜 교수님, 사장님, 임원님, 박사님 등등 인데, 좁은 회의실에서 터널, 지하공간이라는 대상을 두고 열심히 토론하며 자원봉사 하는 모습을 보고 많은 힘이 되지 못하는 내가 부끄러울 따름이며, 이 지면을 빌어 힘내시라고 파이팅을 외쳐 본다.나의 마음에 터널이란?경부고속철도가 한창 건설되던 90년대 중반에 화성에서 터널공사를 하던 중 예전에 채굴되었던 대규모 광산 갱도와 마주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 광산의 규모,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그 안을 관찰하는 동안,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원지반이 자립하여 훌륭한 갱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보고 터널의 원리에 대해 이해하며 지반공학에 빠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Vol. 21, No. 2 990년대 후반 현장 감독 업무 수행 중 독일에서 온 Mr. Schon(숀)이라는 분을 만났다. 그는 17세에 광산부터 시작하여 평생을 터널 속에서 사신 분이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박사학위까지 취득하였다. 그는 경부고속철도 터널현장의 감리다. 비록 나이 차이는 많이 났지만 지반을 사랑한다는 공감을 가지고 특히 친하게 지냈고 내가 그의 공학정신을 배우려고 노력을 했다. 숀박사는 발파 후 매 막장 Face Mapping, RMR, 그리고 보강방안을 먹지가 들어간 기록지에 직접 현장에서 기입 및 분석을 한 후 하얀색은 본인이 노란색은 감독인 나에게 빨간색은 시공사에 파랑색은 감리본사에 제출하여 본인의 공학적 판단대로 시공하게 했다.NATM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설계 시 제한된 지반정보로 인해 시공 중 막장을 관찰하여 취득된 상세 지반정보를 가지고 설계를 향상 시킨 후 시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터널현장에서는 과연 유능한 지반공학 전공자에 의해 막장이 관리되고 있는지 우리 스스로 의문을 제시해 보고 그 해결점을 고민해 봐야 한다.나도 그 후 석, 박사학위로 지반공학을 전공하여 향후 내 마음의 고향인 터널 현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가득하다.철도와 우리민족의 미래난 2008년부터 2011년 까지 하얼빈에서 대련까지 고속철도 건설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 곳에서 중국사람, 조선족과 업무하며 그리고 서로 술잔을 마주치며 느낀 것은 성격과 생활습관이 우리와 너무나 비슷하다는 것이다. 아주 옛적 언젠가 우리의 선조들과 옆집에서 많은 교류를 하며 살았던 사람들 일지도 모른다.그런데 지금 우린 북한과의 교류 단절로 대륙과는 연결될 수 없는 섬나라와 같은 상황이 되어, 옆 나라인 중국을 마치 멀리 떨어져 생각이 매우 다른 유럽의 외국 사람과 같은 의미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듯하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더 많은 시간이 지나면 우리민족의 생각이 국제적이지 않고 국내적으로 고립될 수 있다. 지금은 글로벌한 생각이 매우 중요한 시대이다. 그것은 우리가 살며 자연스럽게 옆 나라 사람과 어울리며, 갈 수 있을 때 형성되는 것이다.서울부터 단동까지 약 400km가 고속철도로 연결된다면, 우린 기차에 자전거를 싣고, 선양, 베이징 등에서 유유히 유람을 하며 먼 외국이 아닌 옆집 사람을 만나는 기분으로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호흡하리라 여겨진다.부회장손 병 두제2강.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10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지하터널공사에 대한 리스크 관리시스템은 BTS(영국터널학회)와 ABI(영국보험자협회)에 의해 체계화되었으며, ITA(국제터널협회)와 IMIA(국제엔지니어링보험협회)의 지원하에 국제적 기준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UCA(미국지하공간협회)를 중심으로 터널 및 지하 건설공사에서의 개선된 리스크 관리 지침이 2012년에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이를 지하 터널 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Guidelines for Improved Risk Management on Tunnel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s in USA김영근(주)건화 기술연구소소장/공학박사/기술사<그림 1> Guidelines for Improved Risk Management on Tunnel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s(UCA, 2012)Vol. 21, No. 2 11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프로젝트에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본 지침(GIRM)은 리스크 평가 및 관리방법과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보험자의 책임 그리고 프로젝트 각 단계에서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제4강에서 UCA(미국지하공간협회)에서 발간한 GIRM을 중심으로 터널 및 지하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 지침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하였다.1. 목적(Goals and Objective of This GIRM)본 개선된 리스크 관리 지침(Guidelines for Improved Risk Management, GIRM)의 목적은 터널, 지하공동, 수직구 및 기타 지하 구조물의 설계 및 시공과 관련된 리스크의 완화 및 관리를 위한 개선된 실무를 증진하고 달성하는 데 있다. 본 지침은 리스크 식별, 프로젝트 계약 당사자와 보험자 사이의 리스크의 할당 그리고 리스크 평가, 리스크 등록부 및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리스크의 관리와 통제를 규정한다. 또한 본 지침(GIRM)은 모든 프로젝트의 주요 실무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미국 내에서 지리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프로젝트 계획, 설계, 조달 및 시공 단계에 적용된다. 본 지침(GIRM)은 건설 계약 완료이상의 프로젝트의 운영 성과를 제외하지만, 리스크 관리 원칙을 프로젝트의 전체 수명주기에 걸쳐 확장하여 리스크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공공 의견을 통한 개념, 정치적 및 자금 조달 리스크 그리고 공공과 민간 제휴에 관여하는 발주자(Owner)와 시공자(Contractor)에게 중요한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이 포함된다. 본 지침(GIRM)은 보건 및 안전, 환경 제한, 설계 또는 건설 활동의 후속 이행 등과 관련된 연방, 주 및 지방 법률의 법적 의무, 책임 및 법적 요건을 대체하거나 훼손하지 않는다. 부록에는 프로젝트 참여자가 사용할 최소 성과물에 대한 권장 체크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제시된 체크리스트가 완전한 것이 아니므로, 특정 프로젝트의 성과물은 계약 문서에 명시된 프로젝트 요건에 따라 결정된다.2. 위험요소의 식별(Hazard Identification)“위험요소(hazard)”은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다음과 관련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사건으로 정의한다.a) 보건 및 안전b) 환경c) 프로젝트의 설계 및 시공d) 공사비 및 공기e) 제3자 및 기존 시설프로젝트가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또는 환경적으로 민감하며, 공공 의견이 프로젝트 개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는 경우, 영업권과 평판도의 상실은 평가하기에 적절한 위험 범주가 될 수 있다.위험요소는 프로젝트별로 식별하고 평가해야 하며, 결과적인 리스크는 계획, 설계, 시공 계약조달, 시공, 시운전 및 규정된 유지보수 기간에 대한 운영 등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를 통해 리스크 평가를 통해 식별하고 정량화해야 한다. 위험요소의 특성(그리고 그에 따른 리스크)은 고려중인 프로젝트의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한 낮은(ALARP)” 수준으로 감소하기 위한 위험요소의 식별 및 리스크 관리는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조달 및 시공에 있어 필수적인 실천사항이 되어야 한다.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한, 적절한 설계 및 시공 절차를 통해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3. 리스크 평가 및 관리(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3.1 일 반“리스크(위험도)”은 위험요소의 결과/심각성 및 해당 위험요소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곱으로 정의된다. 리스크의 중요성은 어떤 것이 잘못될 가능성뿐만 아니라, 만약 그것이 일어난다면, 그 결과가 얼마나 심각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리스크 평가, 12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특성화 및 대응뿐만 아니라 제거, 완화, 회피, 이전 또는 수용을 포함한 리스크 관리의 프로세스는 리스크의 소유권을 식별하고 명확히 해야 하며 리스크의 배분, 통제, 완화 및 관리 방법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는 다음의 체계적인 과정이다.a) 리스크 평가 및 특성화로 공사비, 공기, 환경, 정치적 결정 및 제3자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프로젝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와 이와 관련된 리스크를 식별한다.b) 리스크의 특성화 및 정량화(공기 및 공사비 영향 포함)c) 리스크를 제거, 완화, 회피, 이전 또는 수용하기 위해 계획된 사전 조치 식별d) 계약 당사자에게 리스크 배분e)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개인(리스크 관리인)을 지정리스크 관리에 대한 책임은 계약서를 통해 관련 당사자에게 명시적으로 배분하여, 리스크가 프로젝트의 계획, 설계 및 관리단계에서 적절하고 다루어지고, 적정한 재정비용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리스크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은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비상조치와 통제를 통한 리스크 관리와 완화를 가능하게 해야 한다.3.2 리스크 평가리스크 평가는 예방 및 비상조치에 대한 전략과 함께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발생의 결과 및 확률을 평가하는 공식화된 과정이다.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리스크 감소조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리스크 평가 작업을 충분한 시간 내에 완료해야 한다.리스크 평가 워크숍은 프로젝트의 각 단계 전체에 걸쳐 정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그 결과는 프로젝트 리스크 등록부에 요약되어야 한다.리스크의 발생 확률과 심각도/결과 측면에서의 리스크 평가에 사용할 매개변수는 프로젝트별로 다르며, 검토 대상 프로젝트 단계에 적합해야 한다.3.3 리스크 등록부공식화된 리스크 등록부 및 리스크 매트리스는 프로젝트 당사자에 대한 리스크의 식별, 평가, 특성화, 완화 및 배분을 공식적으로 문서화하는 수단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리스크 매트릭스 방법론은 발생 가능성과 심각성의 결합 효과를 하나의 의미 있는 숫자로 효과적으로 평가하여 리스크의 우선순위 설정과 관리를 크게 단순화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리스크 등록부에는 리스크 완화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비상조치뿐만 아니라 식별된 리스크의 통제 및 관리에 대한 당사자의 책임(계약 책임과 법적 책임 고려)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리스크 등록부는 언제든지 적절하고 감사 가능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검토 및 개정되는 “살아있는(living)” 문서여야 한다. 또한 리스크 등록부는 본 지침(GIRM)의 준수를 증명하기 위해 프로젝트의 수명 동안 감사 가능한 기록을 제공해야 한다. 3.4 리스크 대응리스크 대응계획은 리스크 관리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핵심 리스크에 대한 관리 계획(특히 가능성이 낮지만 프로젝트에 매우 높고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뿐만 아니라 리스크 완화조치(기술적 및 재무적)를 개발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제공되어야 한다.보험은 리스크가 ALARP 수준으로 완화될 때까지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 평가에서 1차 대응, 비상대책 또는 완화 조치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4. 발주자 책임(Owner Responsibilities)특히 리스크 프로필이 높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계획, 설계, 시공 및 관리하는 발주자의 능력은 리스크의 전반적인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주자를 위한 최소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확립하는 것은 본 지침(GIRM)의 필수적인 부분이다.Vol. 21, No. 2 13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발주자는 다음의 각 단계에서 계획, 설계 및 조달할 프로젝트의 유형, 정도 및 범위에 적합한 기술 및 계약 관리 능력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a) 프로젝트 계획 단계b) 설계 단계c) 시공 계약 조달 단계 절차(계약 형식 선택 포함)d) 시공 단계 및 관리e) 시운전 및 시작이러한 역량은 다음을 근거로 입증하고 평가해야 한다.a) 제안된 프로젝트와 관련된 소유자 조직의 기업 역량b) 프로젝트에 대한 가용성을 포함하여, 소유자 조직 내 개별 직원의 역량프로젝트의 어떤 부분에 대한 적절한 경험이 없는 경우, 발주자는 발주자 대표(Owner's Representative)를 임명해야 한다. 발주자 대표자 임명은 구조화된 선정과정 에 기초해야 한다. 발주자 대표 선정 및 임명 기준은 발주자가 프로젝트 시작부터 자신의 능력을 평가하고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a) 회사의 기업 능력b) 직원의 역량c) 프로젝트에 제안된 핵심인력의 호환성 및 가용성 확인. 핵심인력의 경력은 공사의 설계, 시공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지정된 인원의 역량을 입증해야 한다.d) 현장 및 지반조사의 계획, 조달, 시공 및 해석을 프로젝트 계획 역량e) 설계할 터널 프로젝트 유형 및 관련 시공 기술에 대한 역량을 포함한 설계 능력f) 설계, 설계 체크 및 검토 절차, 적절한 설계 관련 리스크 평가 및 리스크 등록부 작성 등에 대한 관리(또는 설계-시공 계획의 경우에 조달)와 관련된 능력g) 보건 및 안전 설계 관련 문제의 설계 단계과정에서 식별 및 관리와 관련된 능력. 여기에는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는 모든 개인과 직접 관련된 사항과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제3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 그리고 적절한 리스크 평가 및 리스크 등록부 준비 등이 포함된다.발주자(또는 발주자 대표)는 자신이 작성하고 입찰자(bidder)에게 입찰서류로서 발행하는 정보에 대해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 발주자는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경험이 있으며 리스크 관리 실무에 능통한 리스크 관리자(Risk Manager)의 임명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자는 위험요소와 관련 리스크의 식별, 수집, 조사 및 조정, 그리고 프로젝트의 각 단계와 모든 단계에 대한 적절한 리스크 평가, 리스크 등록부 및 리스크 대응계획의 개발과 준비를 포함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실행을 책임진다. 리스크 관리자는 발주자의 프로젝트 책임자 또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해야 한다.발주자는 설계 점검, 시공 감리 및 프로젝트 모니터링을 위해 이용 가능한 준비를 해야 한다. 발주자는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를 통해 독립적인 조언을 제공하기 위해 컨설팅 위원회(Consulting Board)와 주제 전문가(Subject Matter Experts)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프로젝트 진행 중에 발주자는 발주자, 설계자(Designer), 시공자간의 보고 구조와 소통 라인을 식별하도록 하고, 특히 리스크 관리자의 역할과 권한을 보여주는 전반적인 관리 조직도(Management Organization Chart)를 개발하고 유지해야 한다. 이 조직도는 정기적으로 검토해야 하며 주요 인력에 대한 변경이 있을 경우 업데이트해야 한다. 발주자는 앞에 명시된 규정에 따라 리스크 기록부를 유지해야 한다. 발주자는 설계자와 시공자의 계약에 요구되는 리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규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여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 걸쳐 리스크 완화, 대응 및 관리 전략을 통합한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계획(Project Risk Management Plan)을 준비해야 한다. 발주자는 시공자가 프로젝트를 완료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계약에 허용해야 한다. 발주자는 본 지침(GIRM)에 언급된 역할 및 책임과 관련된 기타 모든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14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5. 설계자 책임(Designer Responsibilities)설계자는 설계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계약되는 프로젝트의 유형, 범위 및 단계에 적합한 입증 가능한 기술 및 관리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다음을 근거로 입증 및 평가되어야 한다.a) 제안된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회사의 기업 능력b) 프로젝트에 대한 가용성을 포함한 직원 개인의 역량설계자는 설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계약되는 프로젝트의 유형, 범위 및 단계에 적합한 리스크의 평가 및 관리에 있어 입증 가능한 경험을 가져야 한다. 설계자는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경험이 있으며 리스크 관리 실무에 유능한 리스크 관리자의 임명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자는 설계자의 프로젝트 책임자(Designer's Project Director) 또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해야 한다. 프로젝트의 과정을 통해 설계자는 리스크 등록부를 유지해야 한다. 발주자는 필요에 따라 발주자 및 시공자와 조정하기 위해 시공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자와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설계자는 본 지침(GIRM)에 언급된 역할 및 책임과 관련된 기타 모든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6. 시공자 책임(Contractor Responsibilities)시공자는 실행하기로 계약된 프로젝트의 유형, 범위 및 단계에 적합한 입증 가능한 기술 및 관리 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역량은 다음을 기준으로 입증하고 평가해야 한다.a) 제안된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회사의 기업 능력b) 프로젝트에 대한 가용성을 포함한 직원 개개인의 역량시공자는 확인된 리스크 관리자 또는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경험이 있고 따라서 리스크 관리 실무에 유능하고 있는 리스크 관리자의 임명에 대한 규정이 마련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자는 위험요소 및 관련 리스크의 식별, 수집, 수정 및 조정, 그리고 다음 규정과 일치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적절한 리스크 평가, 리스크 등록부 및 리스크 대응 계획의 개발 및 준비를 포함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실행을 책임진다. 리스크 관리자는 시공자의 프로젝트 책임자(Contractor's Project Manager) 또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되어야 하며, 리스크 관리자의 의무는 안전, 품질, 시공 또는 계약 관리자의 의무를 저해해서는 안 된다.시공자는 계약의 실행 과정을 통해 명시된 규정에 따라 리스크 등록부를 유지해야 하며, 설계-시공 계약 형태(Design-Build Form of Contract)에서 시공자의 설계자의 역할은 최소한 제5장의 모든 조항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시공자는 본 지침(GIRM)의 후속 절에 언급된 시공자의 역할과 책임과 관련된 그 밖의 모든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7. 보험자 책임(Insurer Responsibilities)보험자는 보험 제공을 위해 계약되는 프로젝트의 유형과 범위에 적합한 입증 가능한 기술 및 관리 능력을 가진 사람을 보유하거나 자문 역할에 참여해야 한다. 보험자는 프로젝트에 채용되는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와 방법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프로젝트 보험자는 물리적 손실이나 손상 및 관련 지연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터널 및 지하 건설과 관련된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 본 지침(GIRM)의 준수를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한다. 따라서 터널 및 지하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보험 증권은 본 지침(GIRM)에 명시된 조항을 따라야 한다. 프로젝트 보험자는 보험 가입자와 합의하여 본 지침(GIRM)을 준수하는 당사자(Parties)의 의도를 인식하여 보험 가입자의 증권에 구체적인 조항, 승인 및 인센티브를 추가해야 한다. 본 지침(GIRM)의 규정과 관련된 보험/증권 요건에 대해 보험 가입자와 및 프로젝트 보험자 사이에 모호함이 없어야 한다.프로젝트 보험자(발주자 보험관리 프로그램[OCIP, Owner Vol. 21, No. 2 15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Controlled Insurance Program], 시공자 보험관리 프로그램[CCIP, Contractor Controlled Insurance Program] 또는 기타 유형의 보험증권중 어느 것을 제공하든)는 요청이 이루어진 후 적절한 시간 내에 보험 증권 및/또는 관련 문서에 따라 보험 가입된 프로젝트에 대해 검사할 권리를 보유해야 한다. 모든 점검의 목적은 본 지침(GIRM)과 관련하여 정책에 추가된 특정 조항을 포함하여 보험 증권의 요건 준수를 평가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보험 계약을 체결하는 사업의 유형과 범위에 적절한 기술적 역량을 가진 사람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며, 보험 가입자의 대리인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점검은 프로젝트 리스크의 지속적인 관리에 관한 회의와 토론의 전조로 보아야 한다.발주자가 OCIP 또는 CCIP를 보유하지 않기로 선택하고 설계자의 전문 책임보험과 발주자의 일반 책임보험에 의존하는 프로젝트에서, 발주자는 적극적으로 본 지침( GIRM) 준수를 장려해야 하며, 설계자 및 시공자와 합의하여, 본 GIRM을 준수하는 당사자의 의도를 인식한 계약 또는 증권에 대한 특정 조항, 승인 및 인센티브를 추가해야 한다.8. 프로젝트 계획 단계(Project Planning Stage)8.1 일 반 본 지침(GIRM)의 목적상, 프로젝트 계획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a) 프로젝트 타당성, 기본 개념 및 예비 엔지니어링 검토b) 현장 및 지반 조사c) 프로젝트 대안의 평가 및 선호 프로젝트 대안의 식별과 시공 계약의 형태예: 설계-시공 분리입찰(design-bid-build), 설계-시공 일괄입찰(design-build)d) 시공 계약 형태에 적합한 프로젝트 설계 검토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요구되는 업무 범위는 일정상 고려사항 또는 발주자 대표 임명에 대한 조건에 의해 불필요하게 제약되어서는 안 된다. 발주자는 충분한 시간 및 예산을 사용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a) 상세 설계 단계 및/또는 시공 계약 조달단계 진행하기 전에 프로젝트의 기술적, 재정적 실행 가능성을 조사하고 입증b)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적합한 리스크 등록부를 개발c) 채택될 계약 형태에 적합한 설계 준비8.2 현장 및 지반 조사 수행해야 할 현장 및 지반조사의 성격, 정도 및 범위는 프로젝트의 특성, 정도 및 범위, 위치 및 지질/수리지질 환경에 기초해야 한다. 설계자는 현장 조사를 적용 가능한 굴착 및 시공 방법을 인지하면서, 프로젝트 시공에 적합한 지반 및 지하수 정보 및 지질학적 특성을 확보하도록 계획하고 설계해야 한다. 이와 같은 적절한 자격을 갖추고 경험이 있는 직원이 설계, 계획 및 조달해야 하며, 제안된 프로젝트에 필요한 현장의 특성 및 지반 조사와 관련하여 능력이 있어야 한다. 현장 및 지반 조사는 해당 지역 및 국가 기준에 따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기준이 없는 경우, 현장 및 지반 조사의 실시 근거를 명확하게 명시해야 한다.발주자에 의해 수행되는 현장 및 지반 조사는 다음을 위해 포괄적이고 단계적이며, 적절히 설계되고 계획되어야 한다.a)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공 및 자연(H2S, 메탄 또는 라돈과 같은 가스 포함)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리스크를 평가한다. b) 광업/광물추출 및 오염과 같은 프로젝트와 관련된 엔지니어링 중요성의 제약을 포함하여, 현장 조건, 인접 구조물, 유틸리티, 지하수 조건 및 프로젝트 현장의 이전 이력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c) 다른 굴착 및 터널링 방법론에 대한 기술적 실행 가능성, 공사비, 공기 및 제3자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현실적이고 신뢰16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할 수 있는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평가는 임시 및 영구 지보/라이닝 요건 및 보건 및 안전 문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d) 계획 및 설계 프로젝트 단계 전반에 걸친 마일스톤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재정적 및 기술적 실행 가능성을 평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e) 실행 가능성, 공사비, 공기, 리스크 및 시공성 측면에서 선형 대안에 대하여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현장 및 지반공학/지질 조사는 조사가 수행되는 범위, 현장 및 지반 조건에 적합한 자격을 갖추고 경험이 있는 조직이 수행하고 감독해야 한다. 조사 범위는 프로젝트의 제안된 성격과 범위와 관련하여 직면하고 있는 조건에 적합하도록 수정되어야 한다. 보고 방법은 명확하고 분명하게 명시되어야 하며, 실험실 및 현장 시험을 포함한 조사 결과는 사실적으로 기록되어야 한다.8.3 프로젝트 대안의 평가 프로젝트 대안 평가는 발주자가 프로젝트 계획 단계 중에 수행해야 한다. 선정한 위치, 선형 또는 선형 대안의 경우 이러한 평가는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a) 지질학(잠재적으로 유해한 성질의 가스에 대한 잠재성을 포함) 및 수리지질학(현장 및 지반 조사에 의해 특성화됨)b) 지반 및 환경의 특성에 적합한 터널 시공 방법론(지하 동굴, 수직구, 인입부 및 기타 지하 구조물과 관련된 다른 시공 방법론)c) 임시 및 영구 지반지보시스템(예를 들어 숏크리트 라이닝, 록볼트/다웰, 스파일링,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라이닝, 현장 타설 콘크리트 또는 터널 라이닝의 다른 형태)d) 지반 및 지하수 처리 조치(예를 들어 그라우팅 사용, 배수/감압, 지반 동결 또는 기타 형태의 지반 안정공화 사용) 및 그 영향(예를 들어 침하, 소음, 진동으로 이어지는 지하수 추출 및 감압)e) 지표에서의 지반 거동 및 침하, 제3자의 구조물 또는 지반 거동에 미치는 영향 및 유틸리티 서비스, 인접 터널 및 지하 구조물과 같은 지장물에 미치는 영향(현장 조사로 특성화됨)f) 먼지, 소음, 진동, 교통 및 장비의 이동을 포함한 환경 고려사항 g) 보건(직업적 건강 고려사항 포함) 및 안전h)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구 시설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스, 화학 물질 및 기타 오염 물질 또는 자연 발생 물질을 포함한 위험 물질i) 관할 당국으로부터의 요구사항에 대한 허가를 포함한 제안된 프로젝트 위치, 지질 및 환경과 관련된 기타 모든 특정 요소j) 시공 중 필요한 계측 및 모니터링을 위한 권장 사항k) 공사비 및 공기 관련 사항프로젝트 대안의 평가에는 관련 대안 관련 위험요소와 그에 따른 리스크의 식별과 평가가 포함되어야 하며, 확인된 각 프로젝트 대안에 대한 공식화된 리스크 평가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리스크 평가는 현장 및 지반조사 결과 및 이 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기타 관련 정보를 고려하기 위해 프로젝트 계획 단계 동안 지속적으로 검토 및 수정해야 한다.식별된 프로젝트 대안(예를 들어 선형, 터널링 방법론, 환경 고려사항 및 제3자 고려사항에 대하여)의 경우, 발주자는 예정된 활동에 할당된 비용과 함께 각 프로젝트 대안에 대한 전체적인 공사비 및 공기의 추정치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프로젝트 대안 관련 리스크와 관련된 잠재적 공사비와 공기를 결정하기 위해 공사비 및 공기 리스크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주자는 기술적이고 재정적으로 실행 가능한 우선 프로젝트 대안을 결정해야 한다. 선호하는 프로젝트 대안을 위해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 리스크 등록부를 작성해야 한다. 이 리스크 등록부에는 확인된 위험요소와 관련된 리스크가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수행한 연구에 기초해 포괄적인 설명을 통해 잠재적 완화 조치를 표시해야 한다. 완전히 완화되지 않은 리스크는 설계 단계에서 설계자에게 제공되는 계약 정보에 포함되어야 한다. 설계시공 일괄 입찰조달에서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 시공자에게 유Vol. 21, No. 2 17제4강. 지하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GIRM)사한 리스크 정보를 이전하는 문제를 다루는 가이드라인은 본 지침의 10장을 참조한다. 9. 설계 단계(Design Stages)9.1 일 반본 지침(GIRM)의 목적을 위해 설계 단계에는 지속적이거나 발전된 예비 엔지니어링과 영구 및 임시 공사 모두에 대한 상세 또는 최종 설계가 포함된다. 안전이 중요한 공사 및/또는 시공중 지반을 지보하는 임시 공사에 대한 설계 프로세스는 영구 공사와 동일해야 한다.설계자는 발주자 또는 시공자로부터 전반적인 프로젝트 개요(공사의 설명 및 범위)에 대해 제공받아야 한다. 설계자는 이 개요를 검토하고 프로젝트에 리스크를 가져올 수 수 있는 결함이나 누락 사항을 파악해야 한다. 발주자(또는 설계-시공 일괄입찰의 경우 시공자)는 설계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이러한 이슈를 나타내고 계약 조건과 범위를 조정해야 한다.9.2 설계자의 정보의 이전 전통적인 설계-시공 분리입찰 조달에서 프로젝트의 과정을 통해 설계가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이동함에 따라, 발주자는 이전 설계 단계에서 개발되고 수집된 모든 정보가 리스크 평가 및 리스크 등록부를 포함하여 다음 단계의 설계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후 설계 단계에 대해 지정 및 책임을 지는 설계자는 설계에 대한 책임이 있는 범위 내에서 이 정보를 평가하고 후속 설계 단계에 대한 추가 조사 및/또는 검토 에 대해 적절한 발주자(또는 설계-시공 일괄입찰의 경우 시공자))에게 권고해야 한다. 9.3 설계 프로세스 설계 프로세스의 기본 목표는 보건 및 안전 고려사항을 포함하여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모든 원인으로부터 프로젝트 또는 제3자의 파괴 또는 손상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설계를 달성하는 것이다. 프로젝트나 제3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각한 결과지만 낮은 확률을 가진 사건을 고려해야 한다.설계 프로세스에는 다음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민감도 검토가 포함되어야 한다.a) 시공 허용공차b) 지반공학적 설계 값의 변화c) 재료 특성의 변화d) 기술력 및 기하구조의 변화e) 시공법 및 리스크 경감/비상 조치의 실행 f) 홍수, 폭풍, 지진과 같은 프로젝트의 구간에서의 자연 위험에 노출설계자는 다음을 포함해야 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받지 않는 문서를 준비해야 한다.a) 설계할 프로젝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b) 각 구성요소에 대해 채택할 설계 요건 및 기준c) 이용 가능한 지질 및 지반공학적 정보(유해 가스 존재 또는 발생, 지반 및 지하수 오염 포함)를 평가하고, 평가된 지반과 지하수를 설계 값으로 나타내는 지반공학적 평가d) 설계 방법에 대한 설명(해당 모범 사례 및 표준에 대한 참조 포함)e) 설계 및 타당성 검증에 사용되는 분석 방법에 대한 설명f) 제안된 시공법과 관련하여 이용 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채택된 설계 기준 및 설계 값에서의 실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설계 리스크 평가. 설계 리스크 평가는 잠재적인 파괴 메커니즘을 고려해야 하며, 제안된 시공법에 적합한 리스크 경감 및 비상 조치를 포함해야 한다.g) 설계시 실행할 점검 절차h) 제안된 계측 및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이 작업은 설계자가 수집하여 설계 보고서(BODR, Basis of Design and Report)에 제시해야 한다. 계산, 분석 및 평가 또한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