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9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국제&회원기고(photos courtesy of NYC EDC)During the final stage of preparation, the following train commuting system between airlock and tunnel portal should be established for smooth operation:The 1st train set is the main service train, used to shuttle personnel and material from the shaft to the TBM. It consists of the locomotive-tandem-mantrip.The 2nd train set is the emergency train which remains at the front of the TBM ready to evacuate serious injuries from the man-lock to the shaft and consists of the locomotive-tandem-mantrip.The last train set is in the California switch as a backup, used to transport the material taken out after the creation of the air bubble in the chamber. It consists of the locomotive-tandem-muck car-mantrip.Hyperbaric Intervention ProcedureAfter completion of the entire the preparation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Hyperbaric Operation Manual and Health and Safety Plan, the actual hyperbaric intervention is eligible to begin. Specifically, the procedures introduced below show a typical hyperbaric intervention performed in sandy and granular soil layer conditions.∙ Pumping 7 to 9 % of bentonite mix into the plenum chamber until the pressure reaches up to maximum target pressure. It is approx. 0.5 bar higher than target operational pressure.Compressed Air FilterControl PanelVol. 20, No. 3 99Introduction to Hyperbaric Intervention for Close Mode TBM∙ Extract material from the screw conveyor while adding 7 to 9% of bentonite mix simultaneously from the chamber until the pressure drops to target operational pressure (TOP). Then close the guillotine gate of screw conveyor and keep pumping same mix again until reaching up to maximum target pressure.∙ Repeat the steps above until the pressure differential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sensor drops to 0.2 bars. Then empty the plenum chamber.∙ Once achieving empty chamber (replaced the soil inside the chamber with bentonite-mix), retract the cutterhead as far as possible (active articulation closed) by maintaining the pressure between 95% and 100% of target maximum pressure (TMP) by supplying bentonite mix (caking).∙ Inject 60 liters of polymer chemical while rotating the cutterhead.∙ Keep the cutterhead rotated for min. 3 minutes to ensure better mixing.∙ Inject 40 liters of superabsorber simultaneously while rotating cutterhead for more than min. 3 minutes (hardening cakes at the face).∙ In the process of above items, perform cleaning at airlock, forward and station shield.∙ Seal all the cables, screw conveyor, hydraulic hoses, etc. that pass through the bulkhead between stationary and forward shield.∙ Install and clean air supply pipe all along the TBM.∙ Install all auxiliary equipment needed for the hyperbaric operation∙ Test all hyperbaric related equipment until approval by intervention supervisor∙ If pressure at the front is stable (timing between bentonite mix consecutive injections to keep target operation pressure is longer than 1 hour) replace material in the chamber for air keeping the minimum target operation pressure. Plenum chamber will keep material below the axis to assure a plug for the screw conveyor.∙ Check stability of the air pressure in the front∙ Filling the check list by hyperbaric supervisor∙ Start hyperbaric intervention: First trial is to inspect the stability of the material in the front and prepare all the safety equipment for working in the right condition with the following shifts.∙ Then, the rest of the crew will check and replace the cutting tools.∙ Once the completion of the inspection and replacement, divers dismantle all the hyperbaric equipment. And then, plenum chamber is to be filled with bentonite mix up to target operational face pressure.100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국제&회원기고Technician taking care of hyperbaric condition in the airlock and motor roomDriver going into hyperbaric condition in airlockDiver entering plenum chamber through manhole from motor room View of Cutting Tools from Plenum ChamberDiver preparing intervention in the plenum chamberDiver changing cutting tools in the plenum chamberVol. 20, No. 3 101Introduction to Hyperbaric Intervention for Close Mode TBMOther Considerations for Hyperbaric InterventionTo carry out hyperbaric interven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procedures:∙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procedures (air mode, air or oxygen decompression, etc.)∙ Hyperbaric Working Procedures (inspection, tool replacement, hyperbaric welding, hyperbaric air‐arc cutting, etc.)∙ Training procedures∙ Emergency procedures (Contingency Plans)These procedures shall be developed in compliance with guidance of the OSHA requirements, Regulations of U.S. Department of Labor CFR 1926.803. The regulations provide the minimum standards which should be observed on compressed air projects in general. The purpose of these specific procedures is to ensure maximum safety according to the particular needs of the hyperbaric intervention.The Hyperbaric, Medical, Health and Safety parameters are required to provide operating parameters for the compressed air workforce and to satisfy all interested parties by providing insight into how the intended compressed air aspects of the hyperbaric intervention are to be conducted. These procedures are required to provide routine operational guidance in the pressure range from 0 up to approx. 4.5 bars. The Hyperbaric Safety Manual should contain:∙ A description of each actor’s roles and responsibilities∙ Normal and emergency procedures in hyperbaric conditions∙ A description of the equipment and means available∙ Basic safety precautions specific to hyperbaric work.The procedures, while containing specific items for Risk Analysis, may also be overviewed as a global risk/ health and safety plan for compressed air and compressed breathing gases use on each hyperbaric activity. The related regulations and manuals are listed below:∙ Regulations of U.S Department of Labor- Standards- Compressed Air Work- 1926.803∙ Regulations of U.S Department of Labor -Standards- Definitions applicable to this subpart -1926.804102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국제&회원기고∙ European Standard: EN 12110 – Tunnel machines – Air Locks – Safety requirements∙ French Decree of 28 March 1990 regarding Safety precautions applicable to hyperbaric workers∙ French Decree of 28 January 1991 defining the procedures for safety training of personnel taking part in hyperbaric operations∙ French Decree of 15 May 1992 defining the procedures to be used in a hyperbaric environment as regards access, work duration, evacuation and organization of work.∙ Annex V: Procedure for operations in compressed air without submersion (Mention D)∙ U.S. Navy Diving Manual, Chapter 20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compression Sickness and Arterial Gas Embolism∙ U.S. Navy Diving Manual, Chapter 21 Recompression Chamber OperationAdditional Remarks and RecommendationBased on the as-built hyperbaric intervention record for the EPB tunnel project constructed in 2015, it spent an average of six (6) work days to complete a replacement of total twenty-eight (28) cutting tools. The most critical factor was how to select the optimum intervention timing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hyperbaric intervention under the given in-situ geological/geotechnic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cutterhead stationing. In addition to recognizing the requirement of hyperbaric intervention during mining, a periodic periscope inspection as well as a wear indicator instrumentation procedure should be conducted and reviewed prior to deciding to perform a hyperbaric intervention. This is because, it will depend on level of thrust-torque of cutterhead operational condition, and in several instances a wear indicator malfunction was detected.Finally, after the first intervention activity, a detailed cutting tool consumption should be measured and recorded in accordance with geological/geotechnical conditions. This would form the most useful backup data to predict the next hyperbaric intervention distance and stationing.Vol. 20, No. 3 103Introduction to Hyperbaric Intervention for Close Mode TBMCutting Tool Consumption Survey ResultsReferenceSubmittals for - Siphon Replacement Tunnel Project such as Hyperbaric Tool Inspection Procedure, Hyperbaric Operation Manual and Hyperbaric Intervention Report.학생기고104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은, 평생 이렇게 뜨겁고 습한 바람이 나를 감쌀 것만 같아 불안과 짜증으로 가득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입추가 지나 다시금 찾아온 가을바람이 선선히 옷깃에 스며들 때, 새삼스럽게 시간이 빠르다는 것과 또 한 걸음 나아갈 때가 왔음을 느꼈다. 남들이 보기엔 이제 학부를 졸업한 풋내기이지만 이런 풋내기가 되기까지 많은 선택이 있었다. 수능을 다시 한 번 준비할 것인지 아니면 만족하고 학교에 진학할 것인지. 대학은 어디 대학을 갈 것이고 과는 어디로 갈 것이며…. 이러한 사소한 선택지가 끝도 없이 이어져 지금의 내가 된 것으로 생각한다. 모두에게 그렇듯 학부 생활은 정말 빠르게 지나갔다. 친구들보다 ‘1년 늦게 들어온 대학은 이런 곳이구나!’ 설레는 마음에 1학기, ‘이제 공부 좀 해볼까?’ 하니 2학기도 끝나버리고 군대에 가야 했다. 야전공병으로 복무 중 지뢰탐지를 하며 바라본 개성은 곧 통일될지 모르니 토목공학과에 진학하길 잘했다는 생각을 들게 할 뿐이었다. 전역 후 헐레벌떡 복학한 뒤로는 갑자기 시작되는 전공 공부에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보니 3학년 여름방학엔 시공사로 현장실습을, 4학년 여름방학엔 설계사로 현장실습을 하러 갔다. 물론 여유 시간에는 봉사활동이나 대구시에서 진행하는 대학생 현장점검단 활동, 외국인 유학생을 전담하여 도와주는 활동과 같이 기억에 남는 일들도 있기에 빠르고 뜻깊게 지나간 것 같다.토목공학과에 입학 후 7학기를 보낸 학부생 동안 많은 지식을 보고 배웠다고 생각했는데, 많은 것들이 내 머릿속에 남지 못하고 스쳐 지나간 것 같았다. 분명 열심히 공부했는데 어디로 사라졌지, 억울하다는 생각 들었다. 하지만 교수님들이 주신 지식과 부모님이 주신 머리를 탓하기보다는 내 노력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선택의 연속최재훈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대학원Vol. 20, No. 3 105선택의 연속그렇게 졸업에 다다르자 ‘이제 겨우 학부를 졸업한 네가 뭘 알겠냐?’는 말이 귓가에 들리는 것 같았다. 엔지니어로서의 자신감이 옅어지자 더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부생처럼 토목의 전반적인 분야를 공부하기보다는 내가 원하는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그것을 목표삼아 진로를 선택하였다.학부생 때부터 흥미롭게 생각하던 분야는 지반공학이었다. 서울에서 살면서 지상은 이미 과포화라 느꼈기 때문에 미래 도시개발의 핵심은 지하개발이 주축이 될 거란 생각이었다. 조사해보니 우리나라에서도 지하공간 개발 프로젝트를 몇 개 진행하고 있었고, 다른 나라들도 지하공간 개발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깊은 지하에 시공을 하게 되면 공사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소음, 진동의 문제도 적어져 민원이 생길 일이 적게 된다. 또한 지하에서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러한 선호에 힘입어 더 안전하고 저렴한 공법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지하공간 개발, 터널 굴착은 지반공학과 암반공학에 큰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공부하기 위해 진학한 대학원은 나에게 또 다른 출발선이다. 이제 출발선에서 앞으로 생길 문제에 있어서 옳은 선택과 충분한 노력으로 삶의 목표인 ‘스스로에게 떳떳한 사람’, ‘훌륭한 엔지니어’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겠다.<그림 1> 2017년 7월 대구시 현장 점검단 중<그림 2> 2017년 7월 현장실습 중106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인문학 산책터널! 인간의 삶을 묻다. 우리나라의 옜길우리나라 길에서는 터널과 다리를 찾아보기 힘들다. 산이 있으면 돌아가고 물을 만나면 나루를 두었다. 물론 터널과 다리를 놓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단지 그래서였을까...... 길에는 그 땅에서 살아온 사람의 모습이 숨겨져 있다..길을 만들지 마라선자령 고갯길이 수레가 다닐 만큼 넓혀진 것은 조선 중종 때인 1511년이다.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한 고형산1)이 사재를 털어 만든 것이다. 길을 만드는데 3개월 정도 걸렸다는 것을 보면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았던 듯싶다. 강릉은 삼국 시대 김재성(주)동명기술공단 부사장Vol. 20, No. 3 107우리나라의 옜길이래 경주와 직접 연결되는 중요한 도시였고 소금과 양곡이 풍부했지만 태백산맥이 가로막고 있어 한성 쪽으로는 왕래가 쉽지 않았다. 횡성이 고향이었던 고형산이 부임하자마자 길부터 닦은 것을 보면 저간의 사정을 잘 알고 있었던 듯싶다. 신사임당이 어린 율곡의 손을 잡고 대관령을 넘을 수 있었던 것은 이렇게 정비된 수레길 덕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고형산은 죽은 지 1백여 년이 지난 1636년 다시 세상으로 끌려나와 부관참시라는 고초를 치르게 된다. 그의 죄명은 길을 닦아 왜병이 쉽게 대관령을 넘게 했다는 것이었다.2) 가슴 아픈 이야기다. 임진과 병자, 국란을 겪으면서 조선은 이후 길보다는 성을 쌓으면서 점점 수구로 빠져 들었다. 길을 닦았다고 이미 죽은 사람까지 끌어내 다시 죽이는 마당에 누가 길을 닦을 생각을 했겠는가. 길은 원래 있었던 게 아니라 누군가 걷기 시작하면서 만들어진다. 처음에는 보잘 것 없고 희미하지만 한 사람 두 사람 지나가면서 차츰 모양을 갖추어 간다. 사람들의 걸음걸음이 조금씩 더 땅을 단단하게 만들고 길다운 길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지금이야 중장비와 아스팔트로 빠르게 길을 내지만 조선시대 이전까지의 길은 대부분 그렇게 만들어졌다. 물론 도읍이나 대처에는 많은 노역을 들여 만든 길도 있었고, 한양과 각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망도 있기는 했지만 말이다. 구한말 조선에 들어온 서양인들은 길을 보면서 의아하게 생각했다. 도성 주변에는 널찍한 길과 석재 교량이 잘 놓여 있는 반면 제물포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길은 수레가 비껴 다니기도 힘들었기 때문이다. 지방과 지방을 잇는 길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조선시대 이전의 길을 두고 언제 만들어졌는가, 고려시대인가 삼국시대인가를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어 보인다.사라진 길과 수레길을 닦는데 이렇게 소홀해진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말과 수레가 많지 않아 길이 필요치 않았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 얘기다. 수레는 고조선 무렵부터 사용되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귀인들의 일반적인 이동수단이었으니 말이다.3) 고려시대 중기까지도 행차에는 수레가 보편적으로 이용되었고 서민들의 물류 역시 우마차가 주를 이루었다. 고구려 고분이나 국가 행사를 기록한 그림에서도 이러한 사실은 어렵지 않게 확인된다.4) 신라시대에는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승부가 있었다. 이는 많은 수레가 이용되었고 이를 위해 도로가 잘 정비되어 1) 고형산(高荊山. 1453~1528). 조선 중종 때의 문신. 이조, 호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조광조 등 신진세력을 척결한 기묘사화를 일으켰으며 훈구파의 주축이었다.2) 일설에는 병자호란 당시 청군이 주문진을 통해 대관령을 넘었고 이것이 고형산의 죄명이었다고 하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당시 청군은 압록강을 넘어 사흘 만에 서울까지 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부관참시가 사실이라면 그의 죄명은 왜군 침입로 때문이었을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대관령을 넘은 것은 모리요시나리(毛利吉成)가 이끌던 왜병 제4군(14,000명)이었다. 이들은 강원도 일대를 돌며 가장 잔인한 학살극을 벌인 것으로 유명하다.3) 고조선의 무대였던 요서지역의 남산근 유적에서는 기원전 9세기경 말 두 마리가 끄는 전차용 수레그림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이후의 고분에서도 수레는 귀인의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그려졌다.4) 고구려 시대의 덕흥리 고분 벽화에는 40여대의 수레 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안악3호 고분에도 크고 작은 수레를 이끌고 가는 그림이 나온다. 고구려에서는 신분과 용도에 따라 수레가 이용되었으며 바퀴도 쇠로 만든 철륜이 사용되었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