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Owen Cheung and Semee Yoon •344• Perspectives, Vol. 33, No. 4, 2019, pp. 3~26. Dhote, L., P. Sharma, S. Dogra, P. Arulrajan, P. Pandey, A. Kansal, M. Dhiman, A. S. Gautam, and S. Gautam, “Quantifying the Effects of the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on Air Quality Parameters in Chandigarh: A Scientific Assessment,” Aerosol Science and Engineering, Vol. 8, No. 1, 2024, pp. 66~76. Fowlie, M., R. Walker, and D. Wooley, Climate Policy, Environmental Justice, and Local Air Pollution, Brookings Economic Studies, 2020. Ganguly, T., L. S. Kurinji, and S. Guttikunda, How Robust Are Urban India’s Clean Air Plans?, Council on Energy, Environment and Water, 2020. Gopikrishnan, G. S., and J. Kuttippurath, “Four Years of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NCAP) in Indian Cities: Assessment of the Impact on Surface Ozone during the Period 2018–2022,”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Vol. 101, 2024, 105207. Guttikunda, S. K., S. K. Dammalapati, G. Pradhan, B. Krishna, H. T. Jethva, and P. Jawahar, “What Is Polluting Delhi’s Air? A Review from 1990 to 2022,” Sustainability, Vol. 15, No. 5, 2023, 4209. Halkos, G. E., and E. A. Paizanos, “The Channels of the Effect of Government Expenditure on the Environment: Evidence Using Dynamic Panel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Vol. 60, No. 1, 2017, pp. 135~157. He, L., M. Wu, D. Wang, Z. Zhong, “A Study of the Influence of Regional Environmental Expenditure on Air Quality in China: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Polic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Vol. 25, No. 8, 2018, pp. 7454~7468. Huang, J., X. Pan, X. Guo, G. Li, “Health Impact of China’s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Action Plan: An Analysis of National Air Quality Monitoring and Mortality Data,” The Lancet Planetary Health, Vol. 2, No. 7, 2018, pp. e313~e323. Huang, J. T., “The Influence of Government’s Expenditure in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on Air Pollution in Taiwan,” The Singapore Economic Review, 2021, pp. 1~13. Implementation Committee at National Level, Minutes for Sixteenth Meeting of Implementation C ommittee for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2024. https://prana.cpcb.gov.in/ncapDashboar d/download_public_portal_file/16_IC_MoM_03.05.2024_1716812157333661.pdf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 Air Pollution - Level 2 Risk, 2024. https://The Effect of the Underutilization of Funds by Non-Attainment Cities in India’s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345• www.healthdata.org/research-analysis/diseases-injuries-risks/factsheets/2021-air-pollution- level-2-risk IQAir, 2022 World Air Quality Report, Green Peace, 2022. https://www.greenpeace.org/static/pl anet4-india-stateless/2023/03/2fe33d7a-2022-world-air-quality-report.pdf Kapoor, R., V. Limaye, and A. Tiwari, Estimating the Health Benefits from Air Quality Improvements in Ahmedabad, India Under the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European Geosciences Union General Assembly, 2024. Krupnick, A., and R. Morgenstern, “The Future of Benefit-Cost Analyses of the Clean Air Act,”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 23, 2002, pp. 427~448. Kuklinska, K., L. Wolska, and J. Namiesnik, “Air Quality Policy in the U.S. and the EU – A Review,” Atmospheric Pollution Research, Vol. 6, No. 1, 2015, pp. 129~137. Liu, M., D. Wei, and H. Chen, “Consist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Pollution and the Urban Form: Evidence from the COVID-19 Natural Experiment,”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Vol. 83, 2022, 103972. Ministry of Environment, Forest & Climate Change Government of India,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2019. https://prana.cpcb.gov.in/ncapDashboard/download_public_portal_file/ NCAP_Report.pdf Ministry of Environment, Forest and Climate Change and Government of India, Overview of NCAP and XV-FC MPCCF and Convergence of Central Schemes/Programmes for Air Quality Improvement in Identified Cities, 2023. https://prana.cpcb.gov.in/assets/pdf/NCAPWorksho p/Day-1/TechnicalSession1/1.Overview_Convergence_Session_1_23Nov21.pdf Mousavinezhad, S., Y. Choi, A. Pouyaei, M. Ghahremanloo, and D. L. Nelson,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Surface Ozone Pollution in China, 2015–2019: Separating the Contributions from Meteorology and Precursor Emissions,” Atmospheric Research, Vol. 257, 2021, 105599. Muhammad, S., Y. Pan, M. H. Agha, M. Umar, and S. Chen, “ Industrial structure, energy intensity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across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The intermediary role of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y,” Energy, Vol. 247, 2022, 123576. Neidell, M., and N. Pestel, “Air Pollution and Worker Productivity,” IZA World of Labor, 2023, Article number 363. Pandey, A., and India State-Level Disease Burden Initiative Air Pollution Collaborators, “Health Owen Cheung and Semee Yoon •346• and Economic Impact of Air Pollution in the States of India: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9,” The Lancet Planetary Health, Vol. 5, No. 1, 2021, pp. e25~e38. Ravindra, K., M. K. Sidhu, S. Mor, S. John, and S. Pyne, “Air Pollution in India: Bridging the Gap between Science and Policy,” Journal of Hazardous, Toxic, and Radioactive Waste, Vol. 20, No. 4, 2015. Samet, J. M., “The Clean Air Act and Health — A Clearer View from 2011,”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5, No. 3, 2011, pp. 198~201. Somvanshi, A., and A. Roychowdhury, Breathing Space: How to Track and Report Air Pollution Under the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Centre for Science and Environment, 2020. Suthar, G., R. P. Singhal, S. Khandelwal, N. Kaul, V. Parmar, and A. P. Singh, “Annual and Season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Variation in PM2.5 and Gaseous Air Pollutants in Bengaluru, India,” Environment,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Vol. 26, 2023, pp. 20629~20652. World Bank, The Global Health Cost of PM2.5 Air Pollution: A Case for Action Beyond 2021, 2022. World Bank, The World Bank In India, 2023. https://www.worldbank.org/en/country/india/over view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Global Air Quality Guidelines: Particulate Matter (PM2.5 and PM10), Ozone, Nitrogen Dioxide, Sulfur Dioxide, and Carbon Monoxide, 2021. Zeng, Y., Y. Cao, X. Qiao, B. C. Seyler, and Y. Tang, “Air Pollution Reduction in China: Recent Success but Great Challenge for the Futur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663, 2019, pp. 329~337. Zhang, Q., Y. Zheng, D. Tong, M. Shao, S. Wang, Y. Zhang, X. Xu, J. Wang, H. He, et al., “Drivers of Improved PM2.5 Air Quality in China from 2013 to 2017,”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16, No. 49, 2019, pp. 24463~24469.The Effect of the Underutilization of Funds by Non-Attainment Cities in India’s National Clean Air Programme •347• [Appendix] <Appendix A> FE vs. RE Hausman Test Results Coef. Chi-square test value19.418 p-value.002 <Appendix B> Modified Wald test for groupwise heteroskedasticity in fixed effect regression model Coef. Chi-square test value4.1e + 05 p-value0.00 <Appendix C> Woolridge Test for Serial Correlation Wooldridge test for autocorrelation in panel data H0: no first-order autocorrelation F(1, 81) = 2.115 Prob > F = 0.1498 <Appendix D> Test for Reverse Causality F.userateCoef.St.Err.t-valuep-value95% ConfInterval PM.149.1590.94.351–.167.466 accFU–5.127***.87–5.890–6.859–3.395 D79.587*40.691.96.054–1.373160.547 D85.302***26.4593.22.00232.656137.947 D48.372*27.6671.75.084–6.677103.421 Constant27.338*15.3671.78.079–3.23957.914 Mean dependent var43.437SD dependent var 38.678 R-squared 0.133Number of obs246 F-test14.158Prob > F 0.000 Akaike crit. (AIC)2381.448Bayesian crit. (BIC)2398.975 ***p < .01, **p < .05, *p < .1Owen Cheung and Semee Yoon •348• <Appendix E> Arellano-Bond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to correct for reverse causality VariableCoefficientStd. Errorz-valuep-value 95% CI (Lower) 95% CI (Upper) L1.userate–0.5280.266–1.990.047–1.049–0.008 D1.gsdp174.713137.9811.270.205–95.725445.151 _cons0.2723.3160.080.935–6.2286.771 Fitting full model: Step 1 f(b) = .11343869, Step 2 f(b) = .00021507 Number of obs = 325, Number of groups = 82 Moment conditions: linear = 4 Instruments corresponding to the linear moment conditions: 1, model(level): 2022:L2.L.PM 2023:L2.L.PM 2023:L3.L.PM 2, model(level): _cons•349• 배출권거래제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기업의 감축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이민경 * ‧김현철 ** 본 연구는 배출권거래제의 감축 부담이 기업의 배출량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 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 중 산업 부문에 해당하는 기업 을 대상으로 배출권 순수요를 산정하고, 이를 초과배출량과 잉여배출권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 업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초과배출량, 잉여배출권) 및 배출권 순매수량이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과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회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배출권 잉여 기업의 배출권 잉 여량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 수익성과도 유의미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배출권 순매수량의 증가는 다음 해 배출량 증가율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의 영향과 시장 거 래의 효과를 파악하여, 정책 설계 및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기 여할 수 있다. 배출권거래제, 온실가스 감축정책, 기업 수익성, 정책효과 JEL분류: L51, Q54, Q58 접수일(2025년 4월 11일), 수정일(2025년 6월 30일), 게재확정일(2025년 7월 8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박사과정, 제1저자(e-mail: minlee72@skku.edu)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교신저자(e-mail: hchkim@skku.edu) 자원 ․ 환경경제연구 제34권 제3호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ume 34, Number 3, September 2025: pp. 349~377 DOI: https://doi.org/10.15266/KEREA.2025.34.3.349•350• The Effect of GHG Reduction Burden of the Korea Emission Trading Scheme on Firms’ Reduction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Minkyung Lee* and Hyunchul Kim** ABSTRACT : In the transition to a low-carbon economy, it is imperative for firms to adeptly comply with increasingly stringent environmental policies. This study examines the ramifications of ETS in Korea, by estimating firms’ net allowance demands and classifying them into excessive emission and surplus allowance categories for analysis. Using panel data from 2019 to 2022, the impact of GHG reduction burden and net purchase of allowance through trading on emission growth rate and profitability was analyzed. Our findings show that at the firm level an increase in surplus allowances leads to a higher emission growth rate and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profitability. In addition, an increase in net allowance purchases tends to lower the emission growth rate. Our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firms’ decisions of reducing emissions and their strategic responses to adjustments of emission trading scheme. Keywords : Emission Trading Scheme, GHG Mitigation Policy, Firm’s Profitability, Policy Effect Received: April 11, 2025. Revised: June 30, 2025. Accepted: July 8, 2025. *Ph.D Candidate, Department of Economics, Sungkyunkwan University, First author (e-mail: minlee72 @skku.edu)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e-mail: hchkim@skku.edu)배출권거래제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기업의 감축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351• Ⅰ. 서 론 기후변화로 인한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강화,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 한 수요 증가로 에너지 전환은 기업의 필수 경영 과제가 되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50 탄소중립(Net-Zero) 시나리오를 발표하고,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을 목표 로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상향 조정하는 등 강 화된 기후 정책을 도입하였다. 또한 주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인 배출권거래제도 적용 범 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으며, 제3차 계획기간에 할당 대상 업체가 국가 배출량에 차 지하는 비중은 73.5%에 이르렀다(환경부, 2020). 아울러, 정부는 2030년부터 국내 모든 코스피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공시를 의무화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에 대한 정보가 대외적으 로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온실가스 감축과 이윤 극대화라는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 효율성 제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인 배 출권거래제를 중심으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산정하고, 이러한 감축 부담이 배 출량 결정 및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배출권거래제는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비용 효율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기업은 배출권 구매 비용이 온실가스 감축 비용 에 비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배출권을 구매하여 의무를 이행하며, 감축 활동이 더 비 용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면 직접 감축 활동에 투자하여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배출권거래제에 참여하는 할당 대상 기업은 배출권 가격과 온실가스 저감 비용을 비교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대응 방안을 선택할 것이다. 또한 기업은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28조에 따라 배출권을 거래하는 것 이외에도 이월, 차입, 상쇄 등 유연성 기제를 활용할 수 있다. 기업은 현재의 배출권 여 유분을 다음 연도로 이월하거나 부족한 배출권을 다음 연도로부터 차입할 수 있다. 또한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 등을 통해 확보한 상쇄배출권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유연성 기제는 불확실한 정책변화에 동태적 의사결정을 가능하 게 하며, 결과적으로 기업은 온실가스 감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기업은 경영 여이민경․김현철 •352• 건과 전략적 판단에 따라 감축, 거래, 유연성 기제 중 적절한 수단을 선택한다. 배출권거래제로 인한 감축 부담이 점차 상승함에 따라, 배출권 매수 및 매도를 통한 대응이 기업의 배출량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기업의 지 속적인 성장과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동시에 추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과제이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배출권거래제 도입의 효과가 업종별, 시기별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세림 외(2017)는 배출권거래제 도입 후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업종의 경우 효과적인 감축 성과를 이루었으나, 시멘트, 정유 업종은 오히려 감축 효과가 감소 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Park et al.(2024)에 따르면 제1차 계획기간 배출권거래제에 서 기업의 감축 효과는 없었으나, 환경등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기업 가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손인성(2020)에 따르면 배출권거래제 시행이 기업의 재무성 과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영지‧윤순진(2022)은 이 중차분법을 통해 배출권거래제 시행 이후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졌음을 확인하고 있다. 한편,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배출권 할당량, 이월량 등 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 는 정책적 요소와 배출권 매수량 등 기업의 대응 행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 중 산업 부문 에 해당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고, 배출권 순수요를 산정하여 배출권거래제로 인한 감축 부담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배 출권거래제로 인한 배출권 순수요(초과배출량, 잉여배출권)와 배출권 순매수량이 배출 량 증가율과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회귀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하 였다. 또한 산업별 이질성을 고려하여 중공업과 경공업에 부문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수 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축 부담이 적은 배출권 잉여 기업의 경우 배출권 잉여량이 증가할수록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 다. 이는 잉여배출권이 많을수록 기업이 추가적인 감축 노력을 기울이기보다는 기존의 잉여배출권을 활용하거나, 향후 잉여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여 감축에 대한 유인이 적 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배출권 거래를 통해 순매수량이 증가할수록 온실가 스 배출량 증가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배출권 확보 과정에서 발생한 비 용 부담이 배출량 증가를 완화하는 경제적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배출권거래제의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기업의 감축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353• 둘째, 배출권 잉여 기업에서 배출권 잉여량이 증가할수록 기업 수익성은 강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배출권 잉여 기업의 경우, 추가적인 감축 노력 없이 규제 준수가 가능하 여 기업 수익성이 향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초과배출 기업의 배출량 부족분과 배출권 거래를 통한 순매수량 증가는 기업 수익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산업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공업에서는 배출권 잉여 기업의 잉여량 증가가 배 출량 증가율 상승과 기업 수익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 면, 경공업의 경우 배출권 부족 기업의 부족량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배출량 증가율이 감 소하고, 기업 수익성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배출권 순매수량도 기업 수익성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의 필 요성을 제시한다. 2장은 기존 문헌을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본 연구의 차별 성을 논의하며, 3장에서는 분석에 사용되는 자료를 소개한다. 4장에서는 배출권 순수요 를 산정하고 실증모형을 제시하며, 5장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6장에서는 정 책적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Ⅱ. 선행 연구 1.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영향 배출권거래제는 주어진 감축 목표를 비용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환경정책 수단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업은 시장에서 배출권을 자유롭게 거래하고 형성된 배출권 가 격과 기업의 한계감축비용을 비교하여 배출권 매매 및 감축 의사결정을 내린다. 배출권 가격에 비해 한계감축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은 감축 실적을 확보하여 한계감 축비용이 높은 업체들에게 매도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감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론적으로 기업의 배출량은 초기 할당량과 독립적인 관계이며 최종 배출량은 시장에서 형성된 배출권 가격에 의해 결정된다(Coase, 2013; Stavins, 1995).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