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싸이클링 쉼터 CONTENTS ❙ 단신 •폐기물처리에서 원료공급으로 … 정맥산업이 바뀐다·················································71 ❙ 학회소식 •Recycling Korea 2022 Jeju – 학회창림 30주년 기념, 2022년 춘계임시총회 및······73 제56회 학술발표대회 프로그램 •제2차 확대회장단회의 회의록··················································································93 •제1차 편집위원회 회의록·························································································96 ❙ 담화실 •주암칼럼 – 삼성노블카운티의 사람들(5),(6),(7)························································98 ❙ 학회 제규정 ❙ 입회안내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단신 71 자원리싸이클링 제 31 권 제 2 호 , 2022 폐기물처리에서 원료공급으로 … 정맥산업이 바뀐다 단순 수익에서 ESG 관점으로 기업의 가치평가 기준 달라져, 기업마다 순환경제시스템 사활 정맥산업에 커다란 기회 열려 20 년 이상 리싸이클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필자의 연구실에 대기업과 상사 , 중소기업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폐기 물 재활용을 위한 공동연구와 공동조사에 관한 문의가 작년 여름 이후 부쩍 늘었다 . 재미있는 사실은 폐기물 관련업체가 아닌 기업 ( 他분야 및 업종 ) 들이 리싸이클을 신규 사업 아이템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 거의 매주 두 세 건의 화상회 의가 잡히는데 특히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나 순환경제에 관한 관심의 높아지면서 대부분이 고품질의 자원재생방법 , 순 환경제 비즈니스 모델 , 소비자의 리싸이클 협력 행동과 같은 테마에 관한 문의다 . 일본의 경우 매년 반복적으로 태풍과 홍수 피해를 입고 있고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에 대한 위기 감이 매우 큰지라 상대적으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동과 같은 지구규모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일상적이 고 보편적인 문제에 대해서 기업이나 소비자가 스스로 행동하고 그 효과가 비즈니스와 실생활에 직결되는 것을 원하는 경 향이 강해졌다 . 지금까지 에너지 절약이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 폐기물 감량과 재활용 증가와 같은 지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Cor- 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의 일환으로 여겨졌으며 , 기업의 환경영향평가나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을 어필하는 역 할이 컸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과 노력들이 기업의 비즈니스와 직결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 그러나 2016 년부터 2030 년 까지 유엔과 국제사회의 최대 공동목표인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가 시행되면서 지구환경문제 뿐만 아니라 빈곤이나 차별 , 교육 , 국제관계 , 평화 등에 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 또한 사회전체에 SDGs 가 유행처럼 퍼지면서 지금까지의 CSR 과는 다른 개념으로 환경문제에 접근하게 되었다 . 즉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업 활동이 투자자의 기업 평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 이러한 흐름은 ESG; 환경 (Environment), 사회 (Social), 거버넌스 (Governance) 라는 개념이 나오면서 기업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ESG 의 관점을 중시하지 않으면 , 투자자가 해당기업의 기업가치가 낮아질 가능성이 크고 , 투자 리스크가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 그렇기 때문에 환경 , 사회 , 거버넌스를 배려하는 기업 운영을 하는 것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경영 기반 강화에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지금까지는 투자에 대한 단기적인 리턴을 추구해 온 것이 사실인데 이러한 단기 투자 , 단기 수익구조가 글로벌 금융 위기를 초래했다는 반성에서 단기적인 이윤 추구와 그 결과만을 평가하는 평가방법이 아닌 기후변동이나 자원리스크 , 세계적인 노동환경의 변화 등의 리스크 대응을 포함한 기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의한 투자를 중시하게 되었다 . 지속가 능성을 중시하는 기업 경영과 평가 , 그리고 투자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확한 평가를 위한 정확한 정보와 평가 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는데 지금 당장 실천이 필요한 부분이 천연자원의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 다 . 물론 재생에너지의 사용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기간에 에너지 인프라를 재구축하기가 어렵고 , 안정된 에너지 공급량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다 . 지금까지는 기업의 홈페이지나 환경보고서에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 삭감했다든 유정수 교수 日도호쿠대학대학원 단신 Resources Recycling Vol. 31, No. 2, 202272 지 , 폐기물 발생량을 10 톤 줄였다든지 , 일부 제품에 재생원료를 5% 사용했다든지 , 회사 주변의 공원과 도로를 청소했다 는 식의 내용만으로도 환경문제를 배려한다는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었는지 몰라도 지금부터는 제대로 된 재활용 프로 세스를 확립한 후 일정량의 고품질 재생자원을 확보해서 제조 프로세스에 재투입하지 않으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 수했다고 할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 또한 원료나 부품 납품업체도 함께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지구환경문제를 해 결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 이와 같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 , 순환경제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는 정맥산업에 큰 기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 제조업에서 필요로 하는 자원의 양은 실제로 정맥산업에서 취급하고 있는 물량과는 비교가 안 된다 . 지금까지 폐기물로 취급했던 것들을 얼마나 더 재생자원으로 태어나게 할 것인가 , 또한 이들 재생자원이 고품질 ( 최소한 일정한 품질 ) 로 유통될 수 있도록 품질관리를 하는 것이 이 기회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다 . 제조업이 버린 폐기물을 처리하 는 업종이 아니라 제조업이 꼭 필요로 하는 원료를 제공해 주는 관계가 성립되지 않으면 다음 세대에게 지속가능한 사회 를 남겨 주는 것이 어려워진다 .춘계학술대회 안내 Resources Recycling Vol. 31, No. 2, 202274 학회창립 30주년 기념, Recycling Korea 2022 Jeju 2022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제56회 학술발표대회 2022년 5월 26일(목) - 27일(금), 서귀포 KAL호텔 ◎ 2022년 5월 26일(목) - 제56회 학술발표대회 및 특별심포지엄 08ː30-참가자 등록 총괄시간표 제56회 학술발표대회특별심포지엄 크리스탈룸 강의실 1 로즈룸 강의실 2 다이아몬드룸 강의실 3 사파이어룸 강의실 4 에메랄드룸 강의실 5 09ː30-11ː00 제56회 학술대회 제련 제56회 학술대회 환경 제56회 학술대회 소재 저품위 고상 복합자원의 자원순환 오픈 플랫폼 구축을 위한 희소금속 농축회수 원천기술개발 11ː10-12ː30 춘계임시총회 및 학회상 시상 주암상 기념강연 12ː30-14ː00 중식(레스토랑 살레) 포스터발표 시작(1층 로비) 14ː00-15ː00 초청강연 1 초청강연 2 국내부존 희소금속광 (W, V, Mo, Sn, Ti, Li) 현황 및 기술개발 저품위 공정 폐액으로부터 희소금속 회수 공통 핵심(농축, 분리회수)공정 플랫폼 구축 및 소재화 기술 개발 13:30 시작 중‧대형 폐리튬이차 전지의 고효율/ 친환경자원 재활용 기술 및 이차전지 원료화 기술개발 15ː15-17ː25 제56회 학술대회 제련 제56회 학술대회 자원 17ː30-17ː50 포스터발표 질의 응답 (1층 로비) 18ː00-20ː00 우수발표상 시상 및 간친회 ◎ 2022년 5월 27일(금) - 기술교류회 10ː00-12ː30 1층 크리스탈 - 2단계 1차년도 Kick-Off 워크샵 및 기술교류회 - 전략 금속 동소재의 고품위 소재화를 위한 친환경 일관공정기술 개발춘계학술대회 안내 75 자원리싸이클링 제 31 권 제 2 호 , 2022 행사 세부 프로그램 등 록 - 일 시 : 2022 년 5 월 26 일 08:30~ - 장 소 : 서귀포 KAL 호텔 , 1 층 LOBBY 등록접수대 임시총회 : 2022년 5월 26일 11:10~12:30, 강의실 1, 크리스탈룸 • 개회 • 국민의례 • 개회사 • 학회상 시상 • 의안 ① 제 1 호의안 : 2021 년 사업 및 결산보고 승인 • 주암상 수상 기념강연 : 「 금속제련과 리사이클링 」 손호상 교수(경북대학교) • 폐회 중식 : 2022 년 5 월 26 일 12:30~14:00, 레스토랑 ‘ 살레 ’( 지하 1 층 ) 만찬 : 2022 년 5 월 26 일 18:00~20:00, 그랜드볼룸 ‘ 다이아몬드 ’( 지하 1 층 ) 제56회 학술발표대회 - 일 시 : 2022 년 5 월 26 일 ( 목 ) 09:30~17:50 - 장소 및 일정 구분세부분야시간장소 구두 발표 34 편 제련분야 14 편 09:30~17:25 강의실 1, 크리스탈룸 환경분야 6 편 09:30~11:00 강의실 2, 로즈룸 소재분야 6 편 09:30~11:00 강의실 3, 다이아몬드룸 자원분야 8 편 15:15~17:25 강의실 2, 로즈룸 포스터 발표 51 편 제련분야 23 편 14:00~17:50 [ 질의응답 ] 17:30~17:50 1 층 로비 소재분야 8 편 환경분야 9 편 자원분야 11 편춘계학술대회 안내 Resources Recycling Vol. 31, No. 2, 202276 초청강연 - 일 시 : 2022 년 5 월 26 일 ( 목 ) 14:00~15:00 - 장소 및 일정 제목발표시간장소 1. 순환경제의 필요성 김준수 원광전력 ( 주 ) 고문 14:00~14:30 강의실 1, 크리스탈룸 2. Carbon Neutral 사회에서 금속재료 순환기술의 도전과 기회 이상호 POSCO 전무 14:30~15:00 강의실 1, 크리스탈룸 특별심포지엄 - 일 시 : 2022 년 5 월 26 일 ( 목 ) 09:30~17:30 - 장소 및 일정 행사명시간장소 저품위 고상 복합자원의 자원순환 오픈 플랫폼 구축을 위한 희소금속 농축회수 원천기술개발 09:30~11:45 강의실 5, 에메랄드룸 국내부존 희소금속광 (W, V, Mo, Sn, Ti, Li) 현황 및 기술개발 14:00~16:45 강의실 3, 다이아몬드룸 저품위 공정 폐액으로부터 희소금속 회수 공통 핵심 ( 농축 , 분리회수 ) 공정 플랫폼 구축 및 소재화 기술 개발 14:00~17:20 강의실 4, 사파이어룸 중 ‧ 대형 폐리튬이차전지의 고효율 / 친환경자원 재활용 기술 및 이차전지 원료화 기술개발 13:30~17:30 강의실 5, 에메랄드룸 기술교류회 - 일 시 : 2022 년 5 월 27 일 ( 금 ) 10:00~12:30 - 장소 및 일정 행사명시간장소 전략 금속 동소재의 고품위 소재화를 위한 친환경 일관공정기술 개발 10:00~12:30 강의실 1, 크리스탈룸 진도점검회의(비공개) - 일 시 : 2022 년 5 월 26 일 ( 목 ) 15:00~17:00 - 장소 및 일정 행사명시간장소 Cu-Be 합금 대체 인장강도 900MPa 이상 친환경 동합금 Strip 소재 제조공정 및 고강도 ‧ 내마모 마찰부품 제조 기술개발 15:00~17:00 한라정 , 지하 1 층춘계학술대회 안내 77 자원리싸이클링 제 31 권 제 2 호 , 2022 제56회 학술발표대회 ◎ 구두발표 : 제련분야 / 춘계임시총회 / 초청강연 [ 5월 26일(목) 09:30~17:25, 강의실 1 크리스탈룸 ] No.발표시간 발표제목(* 발표자) 좌장 : 김인태(성일하이메탈) S-109:30-09:45 랩스케일 폐리튬이차전지 재활용 연구 *박상혁, 백민철, 박장호, 정성덕, 권경중(세종대학교) S-209:45-10:00 팔라듐 함유 전자스크랩으로부터 고온환원용융 / 전해정련 공정을 이용한 4N급 팔라듐의 회수 및 팔라듐 화 합물의 제조 *김인태, 서영명, 성현진, 임윤택, 황한수, 주성연, 장주연, 윤호상(성일하이메탈) S-310:00-10:15 사이클론 전해회수 파일럿 플랜트를 이용한 전자스크랩으로부터 금 회수 *이지환, 하민철(태형물산), 김태균(태형리싸이클링) S-410:15-10:30 폐영구자석 처리를 위한 공융용매 침출거동 고찰 *허서진(UST), 김리나, 윤호성, 김철주, 정경우(한국지질자원연구원) S-510:30-10:45 구연산 및 환원제를 이용한 폐리튬이온배터리 침출의 열역학적 분석 연구 *김리나(한국지질자원연구원) S-610:45-11:00 Environmentally friendly hydrometallurgical process for vanadium and tungsten recovery from spent SCR catalyst *Ana Belen Cueva-Solaa, 전종혁, Rajesh Kumar Jyothi, 이진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11:00-11:10휴 식 11:10-12:30 학회상 시상 및 춘계임시총회진행 : 이훈 총무이사 주암상 수상 기념 강연 : 「금속제련과 리사이클링」, 손호상 교수(경북대학교) 12:30-14:00 중 식 좌장 : 정경우(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청강연 114:00-14:30 「순환경제의 필요성」 김준수 고문(원광전력(주)) 초청강연 214:30-15:00 「Carbon Neutral 사회에서 금속재료 순환기술의 도전과 기회」 이상호 전무(POSCO) 15:00-15:15 휴 식 좌장 : 최미선(포항산업과학연구원) S-715:15-15:30 폐리튬이차전지의 환원용융 시 Li 휘발 거동에 관한 연구 *노경남(영풍) S-815:30-15:45 남방자원을 활용한 니켈금속 또는 니켈화합물의 재자원화 방법 *강용호, 염현식(인천화학) S-915:45-16:00 MgCl 2 용융염 전해 공정을 통한 오프그래이드 타이타늄 스크랩의 전기화학적 탈산 거동 분석 *권남훈, 김현철, 허성규(고려대학교), 김지은, 심재진, 박경태, 서석준(한국생산기술연구원) S-1016:00-16:15 Lithium aluminum silicate (LAS) 유리세라믹으로부터 NaOH에 의한 리튬의 침출거동 *이동석(UST), 주성호, 신동주, 신선명(한국지질자원연구원) 16:15-16:25휴 식 S-1116:25-16:40 입자 크기가 다른 초기 원료 Ta 2 O 5 의 마그네슘 가스 환원에 의한 탄탈륨 금속 분말의 제조 *황선민, 홍지원, 박용호(부산대학교), 이동원(한국재료연구원) S-1216:40-16:55 MgF 2 활용 폐 NdFeB 자석으로부터의 희토류 원소 재활용 *서석준, 박경태(한국생산기술연구원), 허성규, 오승주(고려대학교) S-1316:55-17:10 마그네슘 환원에 의한 고융점 금속 추출 연구사례 *이동원(한국재료연구원) S-1417:10-17:25 핵심 소재용 희소금속 스크랩 전처리 공정 기술개발 *노윤경, 박종범, 이초롱, 최수영, 유연정(동아특수금속)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