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공사기사 | CONSTRUCTION ARTICL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88 수 흐름과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변단면 박스거더에 의한 부드러운 종단곡선으로 경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 록 설계하였다. 본 박스거더는 기존 폐합단면으로 설계되었으나, 시공 상의 어려움으로<그림 2 (a)>와 같이 U형 PC 거더와 PC 슬래브로 선제작하였으며, 이들의 접합은 전단연결재로 합성하였다. <그림 2 (b)>와 같이 3개의 박스거더는 인접 한 2개의 박스를 3개의 강봉으로 각각 연결하는 방식으 로 설계되었다. 3. UHPC 박스거더 보도교 시공 UHPC의 결합재는 시멘트와 실리카퓸, 충전재, 팽창 재 등으로 구성된 프리믹스 결합재를 사용하였고, 잔골 재는 평균 직경 0.5mm의 규사를 사용하였다. 혼화제 로는 고성능 감수제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였으며, 강 섬유는 길이 20 mm와 16 mm를 혼합해서 사용하였다. 본 타설에 사용한 UHPC의 배합은 다음 <표 1>과 같 다. UHPC의 관리기준은 슬럼프 플로우 750 ±100 mm, 공기량은 4.5 ± 1.5 %로 하였고, 생산시 슬럼프 플로 우 710 ~ 780 mm, 공기량 4.2 ~ 4.5 %로 목표 관리기준 값을 만족하였다. 압축강도는 평균 161MPa, 휨강도는 19.5 MPa 확보하였다. 또한, U형 PC거더와 상부 PC슬 래브 합성전에 슬래브 내하력 테스트를 수행하여 안전성 을 검증하였다<그림 4>. 거더 제작 및 UHPC 타설 공정을 <그림 5 ~ 13>에 나 타내었다. 상부슬래브는 전단키 덮개까지 포함된 프리캐 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었다. U형 거더는 내부 및 외부 거푸집을 활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양생은 타설후 비닐로 콘크리트 표면을 덮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주위에 물을 살포하여 최대한 습윤상태를 유지하였고, 고온양생 3일 동안 60도 이상 실시하였다. UHPC 거더 설치과정을 <그림 14 ~ 18>에 나타내었 다. 5개로 분절된 3개의 세그먼드는 현장에서 접합하고 강연선 삽입 및 1, 2차 인장을 통해 종방향 일체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상부 이음부는 150 MPa 콘크리트로 현장타 설하였다. 종방향 연결된 각 거더를 크레인으로 차례로 교대위치에 운반하여 3개의 거더를 최종 설치하였다. 그림 4. 슬래브 내하력 테스트 그림 3. 슬럼프 플로우 (a) U형 PC거더 + PC슬래브 합성 단면(b) 박스거더 연결 그림 2. 설계 변경사항 표 1. UHPC의 배합 물-결합재 비율 (W/B) (%) 단위재료량(kg/m 3) 배합수프리믹스 결합재 잔골재혼화제강섬유 131631,25186061117제 34권 1호 2022. 01 89 그림 14. 강연선 삽입그림 16. 거더 상차 및 운반그림 15. 강연선 인장 그림 11. 외부거푸집 설치그림 13. 증기양생그림 12. UHPC 타설 그림 7. 거더 바닥판 설치 및 철근 조립 그림 10. 철근 배근그림 8. 내부거푸집 설치그림 9. 쉬스관 조립 및 정착구 설치 그림 5. 상부슬래브 거푸집 설치 그림 6. 상부슬래브 UHPC 타설 그림 17. 거더 설치그림 18. 최종설치 전경공사기사 | CONSTRUCTION ARTICL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0 최지선 책임연구원은 일본 큐 슈대학교에서 섬유보강 경량콘크리 트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4년 부터 현대건설(주) 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관련 기 술 개발 및 국내외 건설 프로젝트 기 술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량, 고강도, 초고성능 콘크 리트이며, 현재 우리 학회 고성능 콘 크리트위원회, 경량콘크리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jisunchoi@hdec.co.kr 나옥빈 책임연구원은 미국 콜 로라도 주립대학교에서 콘크리트 내구성 실험 및 수치해석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13년부터 현대 건설(주) 기술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콘크리트 관련 기술 개발 및 국내외 다수의 건설프로젝트 기술 지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고내구성, 조강 콘크리트 및 층간소음 저감용 재료이다. 현재 우 리 학회 특수환경콘크리트위원회, 내구성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okpin.na@hdec.co.kr 4. 맺음말 현재 전 세계적으로 UHPC는 고강도, 고내구성, 고유 동성을 확보한 재료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기술 개발 과 다수의 실용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UHPC 전용 고성능 배치플랜트 필요, 초기비용 증가, 결 합재 증가로 인한 수화열 증가, 폐기물 처리 문제 등 풀 어 나가야 할 개선점이 있어 국내에서는 규모가 큰 구조 물의 적용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 해 제8교와 같은 소규모 구조물 시공을 통해 경험과 노 하우를 축적하고, 사전에 철저한 시험을 통해 물성 및 시 공성을 검토하여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면, 충분히 확대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담당 편집위원 : 최종권(홍익대학교) jongkwon.choi@hongik.ac.kr 송충선 소장은 토목시공기술사 로 대구-포항 고속도로 현장 및 서 면-근남 국도건설공사 현장에 근무 한 도로분야의 전문가이며, 특히 강 교, PC교 등의 다양한 교량건설 및 가설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는 부산에코델타 2단계 3공구 현장 소 장을 역임하며 시공 및 안전분야에 스마트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건설을 적극적으로 도입, 활용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csunsong@hdec.co.kr 채흥묵 팀장은 아주대학교 토 목설계공학과를 졸업하고, 1997 년 현대건설(주)에 입사한 이후, 국 도(언양~범서, 행정~대덕, 진천~ 증평), 고속도로(옥천~증약) 및 여 수국가산업단지 현장에서 공사관리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부산 에 코델타시티 2단계 3공구 조성 공사 현장에서 공사관리 업무를 수행하 고 있다 chaehmk@hdec.co.kr 이강호 책임매니저는 고려대 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에서 토 목구조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4년부터 현대건설(주) 토목설 계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국내외 인프라 사업의 입찰 및 현장 기술지 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5년 부터 2017년까지는 쿠웨이트 쉐이 크 자베르 코즈웨이 공사 현장 설계 팀에서 근무하며, 비대칭 1주탑 사 장교의 설계를 담당하였다. leekangho@hdec.co.kr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제 34권 1호 2022. 01 91 ■ Concrete International(November, 2021) 11월에서는 예기치 못한 벼락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는 시스템 및 고압수를 활용하여 열화된 콘크리트 제거하는 방법인 Hydrodemolition 공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섬유보강콘크리트에 관련된 문헌을 정리한 기사도 실려 있다. 1. Fiber Reinforced Concrete 지난 40여 년간 섬유보강콘크리트(FRC, Fiber Reinforced Concrete)는 도로포장, 숏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등의 제작 또는 단면 복구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기사는 섬유보강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관련된 참고문헌을 정리한 것이다. 2. Lightning Protection Systems for Concrete Structures ACI 주요기사 사진 1. Examples of fiber types(top) and FRC can be charaterized using beam tests per ASTM c1609/C1609M(bottom) 사진 2. Lightning frequently attaches to buildings at rooftop corners where the building is more vulnerable. Although the lighting strike that hit this building resulted in a small area of damage at the point of entry, the building’s electrical systems were damaged and flying debris endangered people below. 사진 3. A lightning protection system must create a network of paths that can safely conduct lightning through a building without causing damage.(illustration courtesy of East Coast Lightning Equipment, Inc.)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2 예기치 못한 벼락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발생하고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 지속성 및 벼락에 대한 구조물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기사는 벼락에 대한 구조물 보호를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설치 관련 기준 등을 다루고 있다. 3. Products & Practice Spotlight : Soundly Sustainable Hydrodemolition은 고압수를 활용하여 열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공법이다. 이 방법은 건전한 콘크리트 소실 없이 열화된 콘크리트만을 제거할 수 있다. 본 기사는 hydrodemolition의 사용 이점을 소개하고 있으며 본 공법의 사용 시 발생하는 유출수 재사용 방법 또한 소개하고 있다. ■ Concrete International(December, 2021) 12월에서는 BFRP(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 보강재 시공기사와 건설재료로서 의 형상기억합금 가능성에 대한 기사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지난 8월에 서울대에서 개최한 온라인 세미나 기사도 실려 있다. 1. Basalt FRP Reinforcement in Concrete Topping Slabs in a Commercial Building 메릴랜드주의 Bethesda에 위치한 Avocet Tower의 슬래브 덧침콘크리트 시공 시 basalt fiber-reinforced polymer(BFRP) 보강재가 사용되었다. 76 ~ 127 mm 두께의 덧침콘크리트 슬래브 설계 시 온도 및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를 위해 D3-BFRP 보강재가 배근 되었다. 본 기사는 Avocet Tower의 슬래브 사용된 BFRP 보강재 시공기사와 BFRP 보강재 사용 이점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4. Hydrodemolition robots can be programmed to remove only unsound concrete, leaving the remaining concrete and reinforcing bars in ideal condition for application repair materials 사진 1. Installation of No. 3 BFRP reinforcement for one of the topping slabs.제 34권 1호 2022. 01 93 2. Shape Memory Technology, Part 1(Introduction : A vision for the future of concrete construction) 형상기억합금(SMAs, Shape Memory Alloys)은 탄성 범위를 벗어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돌아올 수 있는 재료 중 하나이다. 최근 20년간 구조물 시공에 있어 형상기억합금의 사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기사는 콘크리트 구조물 사용을 위한 형상기억합금의 가능성 뿐만 아니라 형상기억합금의 재료 물성치에 관한 문헌을 다루고 있다. 3. Asian Concrete Federation Webinar on UHPC 아시아콘크리트학회(ACF, The Asian Concrete Federation)는 지난 8월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온라인세미나는 “아시아 지역의 초고강도콘크리트 연구”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 주관으로 이루어졌으며 미국콘크리트학회(ACI)가 스폰서로 참가하였다. 본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한 · 중 · 일 동북아시아 3국의 유수 대학 교수들이 발표자로 참가하였으며 베트남 건설부장관도 참가하였다. ■ JCI 콘크리트학회지(August, 2021) 1. [해설] 일본건축학회 「철근콘크리트 기둥·철골 보 혼합구조 설 계 지침」 개요 철근콘크리트 기둥·철골 보 구조는 기둥과 보가 서로 다른 구조재료로 구성된 혼합구조이다. 기둥은 압축력에 강한 철근콘크리트조, 보는 단면 성능이 우수한 H형강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큰 스팬의 가구를 합리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서로 다른 구조재료로 구성된 기둥과 보가 교차하는 기둥·보 접합부에서는 부재 간 응력전달기구가 복잡하여 그 설계 방법에 특징이 있다. 일본건축학회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철골 보 구조의 건전한 보급을 목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철골 보 혼합구조 설계 지침」을 2021년 2월에 간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지침의 개요를 소개한다. 사진 2. Typical stress-strain behavior of shape memory alloys(SMAs) : (a) shape memory effect(SME) ; and (b) superelasticity (SE) JCI 주요기사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4 2. [해설]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공학회 「섬유강화 폴리머(FRP)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의 적용에 관한 설계·시 공 지침」의 개요 탄소, 아라미드, 유리, 바잘트 섬유를 수지로 함침한 섬유강화 폴리머(FRP : Fiber Reinforced Polymer)는 녹슬지 않고, 고강도, 경량 등의 이점이 있으며, 환경 조건이 열악한 곳에 건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로써 이용되고 있다. 1996년 일본토목학회에서 「연속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공 지침(안)」이 간행되었으나, 이후 개정 등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점에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공학회(이하 PC 공학회라 함)는 「섬유강화 폴리머 콘크리트의 구조물로의 적용에 대한 위원회」를 2017년 설치하고 지침 작성 활동을 추진해왔다. 본 지침은 일본토목학회의 지침에 기초하여 일본 및 구미의 최신 연구성과를 도입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지침의 개요를 소개한다. 3. [기술기사] 건설용 3D 프린팅 기술의 개발과 실용화 저자들은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역학 특성·물질이동 저항성을 가진 적층체를 조형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일본에서 최초로 실제 공용되는 구조 기둥의 거푸집에 대해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인 기둥은 높이 4.3m로 기존 목제거푸집 등을 사용한 시공법으로는 구축이 어려운 3차원 곡면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면서 비틀린 꽃잎형으로 변형해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둥에 있어 거푸집의 조형 및 완성도, 품질 평가를 통해 3D 프린팅 기술로 자유곡면 형상의 적층체를 고품질로 시공할 수 있음을 실증하고 본 기술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4. [공사·프로젝트 기록-1] 신(新)아소대교의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공 - 재해복구 공사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확보 신(新)아소대교는 2016년 4월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국도 325호 아소대교를 대신하여 구( 旧)교에서 약 600 m 하류에 신설된 길이 525 m의 교량이다. 이 중, 쿠로카와를 건너는 협곡에 계획된 PC 3경간 연속 라멘 상자형교는 최대 교각 높이 97 m, 중앙 지간 길이 165m를 가지고 있으며, 이 구조 형식으로는 일본에서 손꼽히는 규모이기도 하다. 본 고에서는 가교 지점 특유의 열악한 지형·기상 조건을 극복하고 표준 공기에 비해 약 1년 4개월의 공기 단축을 실현한 도하부 교량의 상하부 공사와 관련된 약 26,000 m3에 달하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시공에 있어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확보를 위한 노력에 대해 보고한다. 5. [공사·프로젝트 기록-2] 평판형 UFC 바닥판 제작 및 속채움 시공 - 한신고속 12호 모리구치선 바닥판 갱신 공사 필자들은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UFC)를 이용하여 가볍고 내구성이 높은 교체용 바닥판인 평판형 UFC 바닥판을 개발하고 한신고속 타마데 진출입교에 적용하였다. 이 평판형 UFC 바닥판을 한신고속 12호 모리구치선 바닥판 교체에 본선으로는 처음으로 적용하였다. 평판형 UFC 바닥판의 제작에 있어서는 UFC 배합으로 시멘트와 고강도 혼화재를 분할하여 계량하는 배합으로 하였다. 바닥판끼리의 가로 줄눈, 교축 방향의 세로 줄눈 및 강형과의 접합부에 대한 속채움재로는 초고성능 시멘트계 복합재료(UHPFRC)를 이용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속채움 시공에 있어 조강성의 UHPFRC를 사용함으로써 공정 단축을 도모하였다. 여기서는 UFC 바닥판의 제작 및 속채움 시공 실적에 대해 보고한다. 6. [공사·프로젝트 기록-3] (가칭)카조 물류센터에서 초속경 콘크리트의 사이트 프리캐스트 부재로의 적용 - 1일 제조·설치 사이클의 실현 2013년에 개발한 3시간에 탈형하여 매달아 올릴 수 있는 초속경 콘크리트의 특성을 살려, 작업소에서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 사이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처음 적용하였다. 거푸집을 조기 탈형함으로써 1일 2주기의 급속 시공이 제 34권 1호 2022. 01 95 가능하게 되어, 거푸집 회전율의 향상으로 거푸집 수의 저감을 도모하였다. 또한 오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부재를 3시간 후에 탈형하고 오후에 설치함으로써, 프리캐스트 부재의 스톡야드 축소를 달성하였다. 본 기술의 적용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사이트 프리캐스트 계획을 적용할 수 있어, 큰 폭으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일련의 공사에 의한 재료 특성의 개량에서 1일 제조·설치 사이클까지 소개한다. ■ JCI 콘크리트학회지(September, 2021) 1. [특집] 탄소중립에 공헌하는 콘크리트 기술 최근,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의 대응이 요구되어 환경에 대한 법 규제가 해가 거듭될수록 강화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에서도 「기후 변동에 구체적인 대책(Climate Action)」으로써 환경대책으로의 과제가 언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파리협정 합의에 앞서 실행 가능한 온실효과 가스저감 목표 「일본의 약속 초안(INDC)」을 UN에 제출하여 대처해야 할 과제와 시책을 분명히 하고 있다. 또한 2020년 9월에 정부는 국가 시책으로써 2050년까지 온실효과 가스 배출을 전체적으로 제로로 하는, 즉 2050년 탄소중립, 탈탄소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함을 선언하고, 민관이 하나가 되어 온실효과 가스 삭감에 노력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배출을 전체적으로 제로」라 함은 이산화탄소(이하 CO 2)를 시작으로 하는 온실효과 가스의 배출량으로부터 삼림 등에 의한 흡수량을 제외시켜 제로를 달성한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으로의 도전을 「경제와 환경의 호순환」으로 연결하기 위해, 경제산업성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연대하여 「2050년 카본중립에 동반하는 그린 성장전략」을 산업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그린 성장전략에서는 각 분야마다 높은 목표를 내거는 한편, 현 상황의 과제와 이후의 대책을 담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한편, 건설업계에 있어 에너지 소비량과 CO 2의 배출량은 크며, 특히 콘크리트 관련 산업에서는 국내 전체의 약 4 %의 CO 2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구조재료로써 가장 사용량이 많은 콘크리트 분야에 있어서는 CO 2 배출량의 저감이라는 과제는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혼화재 등 부산물의 적극적인 사용에 따른 CO 2 배출량 삭감이 시도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공학지에서도 2014년 5월호에서 「산업부산물 기원 콘크리트용 혼화재의 유효 이용 –과제와 전망-」이라는 특집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또한, 2010년 9월호에서는 「CO 2 삭감을 향해서」라는 주제를 통해 특집으로 설계부터 시공, 해체에 이르기까지 LCCO 2의 삭감에 초점을 맞춘 소개를 하였다. 그러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콘크리트 업계가 담당해야 할 CO 2 배출량의 삭감은 혼화재 등의 부산물 이용만으로는 부족함에 따라, 시멘트 제조 시 CO 2의 분리·회수, 그리고 회수한 CO 2의 재이용, 더불어 콘크리트로 CO 2를 흡수·고정화하는 것에 의한 탄소중립으로의 대처 등, 새로운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집적, 융합을 통해 나라의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것이 이후 콘크리트 업계에 요구될 것이라 생각된다. 건설업계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재료만이 아닌 시공 시 에너지 저감량의 삭감 및 ICT 등의 활용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의 최적화 등 여러 부분이 상정되나, 이후 특집호에서는 콘크리트 재료에 초점을 맞추어 나라의 탄소중립 대책에 대응하기 위해 콘크리트 업계에서 어떠한 대처를 해야 할지 현재의 상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과제와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려 한다.(콘크리트공학 편집위원회) ※ 콘크리트학회지 2021년 11월호(33권 6호)에서 소개 예정이었던 JCI 콘크리트학회지 2021년 8월호, 9월호 소식이 누락됨에 따라 콘크리트학회지 2022년 1월호에서 소개드립니다. 소개 순서에 혼선을 드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담당 편집위원(강용학)-국제소식 | INTERNATIONAL NEW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96 콘크리트관련 국제 학술회의 일정 안내 ▣ 4thInternationalConferenceonCalcined ClaysforSustainableConcrete(ICCCSC) 기 간 : 2022년 4월 25일 ~ 27일 개최지 : Beijing, China 주 최 : The Chinese Ceramic Society ▣ 7thInternationalConferenceonDurability ofConcreteStructures(ICDCS2022) 기 간 : 2022년 5월 20일 ~ 22일 개최지 : Jinan City, China 주 최 : University of Jinan ▣ ConcreteSolutions-8thInternational ConferenceonConcreteRepair,Durability andTechnology 기 간 : 2022년 7월 11일 ~ 13일 개최지 : Leeds, UK 주 최 : RILEM, Engineering Council, ACI ▣ NumericalModelingStrategiesfor SustaionableConcreteStructures(SSCS 2021) 기 간 : 2022년으로 연기 개최지 : Marseille, France 주 최 : RILEM, AFGC, UGE, AUGC ▣ BondinConcrete2022 기 간 : 2022년 7월 25일 ~ 27 일 개최지 : Stuttgar, Germany ▣ 76thRILEMAnnualWeek2022and InternationalConferenceonRegeneration andConservationofStructures(ICRCS2022) 기 간 : 2022년 9월 3일 ~ 9일 개최지 : Kyoto, Japan ▣ The4thACFSymposiumonEmerging TechnologiesforStructuralLongevity (ACF2022_ETSL) 기 간 : 2022년 9월 27일 ~ 29일 개최지 : Shenzhen, China ▣ The6thInternationalConferenceon ConcreteRepair,Rehabilitationand Retrofitting(ICCRRR2022) 기 간 : 2022년 10월 3일 ~ 5일 장 소 : Cape Town, South Afnca 담당편집위원:정유석(경북대학교) yosoksi@gmail.com 강용학(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yhkang@kcl.re.kr 원고 모집 안내 「한국콘크리트학회지」는 콘크리트 관련 학문과 기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행되고 있습니다. 본 학회 지를 통해서 자신의 연구 결과, 경험한 사례 등을 콘크리트 관련 기술자들과 함께 나누길 원하시는 분께서는 다 음과 같은 형태로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의 옥고를 기다리겠습니다. • 원고 주제 : 포토에세이(사진, 서예, 시 등), 특집, 기술기사, 공사기사, 국내외 연구소 소개, 국제학술대회 참가기, 자유기고 등 •원고 분량 : 1매~4매 내외(A4용지 기준 / 사진, 표, 저자소개 포함) •제 출 처 : chs@kci.or.kr제 34권 1호 2022. 01 97 Concrete Structures(4th Edition) by Amin Ghali / Routledge / 2019 / 672p 본 저서의 저자인 Amin Ghali 교수는 캐나다 Calgary 대학의 명예교수로서 Canadian Academy of Engineering, ACI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 저서는 콘크리트 크리프와 수축, 긴장재의 응력이완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실제 응력과 변형을 예측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현대 구조물에서는 지속가능성이 주요한 요구조건이 되었는데 이는 오랜 사용수명 동안 만족스러운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 을 의미한다. 예로 교량 구조물에서는 100년 수명을 규정하는 사례들이 자주 있다. 이를 위해 본 저서는 철근 콘크리트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응력과 변형에 대한 완결되고 폭넓은 고찰을 통해 사용성을 저해하는 과도한 변형이나 균열을 피하는 방안에 집중하고 있다. 본 4판은 사용성 설계를 더욱 강조하게 보완되어 많은 문제와 예제를 포함하고 있으 며, 웹사이트에는 설계 계산 프로그램과 입력 데이터도 올려져 있다. 각 지역의 기준과 무관하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콘크리트 해석 원리에 대하여 다루는 도서이므로 본 저서는 엔지니어와 학생들 모두에게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Probabilistic Machine Learning: An Introduction (Adaptive Computation and Machine Learning series) by Kevin P. Murphy / The MIT Press / 2022 / 864p 저자 Kevin Patrick Murphy는 캠브리지, 유펜, UC버클리, MIT 등에서 학위과정과 박사후 과정을 거치고 2004년 UBC 밴쿠버 캠퍼스의 컴퓨터 공학 교수가 되었다. 2011 년 캘리포니아 구글에서의 안식년을 계기로 2012년 구글로 이직하여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본 저서는 확률론적 모델링과 Bayesian Decision Theory의 관점에서 최신 머신러닝 과 딥러닝을 상세히 소개한다. 이 책에는 선형대수와 최적화와 같은 수학지식, 지도학습, 전이학습과 비지도학습 등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 각 장의 후반부에는 연습 문제를 두어 학습한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저서는 2012년 저자가 저술한 Machine Learning : A Probabilistic Perspective 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번 저서는 단순한 업데이트가 아니라 2012년 이후 십여 년간 의 획기적인 발전, 특히 딥러닝의 발전을 반영하는 완전히 새로운 저서로 탄생하였다. 파 이썬 코드를 제공하여 웹브라우저 상에서 실습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기본적인 내용부 터 고차원 분야까지 예제와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본 저서는 머신러닝에 입 문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담당 편집위원 : 김기현(한국철도기술연구원) kimkh738@krri.re.kr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