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공사기사 1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58 3.2.5 시공성 현장에서 몰딩 공사는 공정상 준공에 임박하여 시공되 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으며, 이때 현장 가공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림 8>에서와 같이 친환경 불 연 몰딩은 기 설치된 가스 배관으로 인한 간섭이나, 도면 에 맞게 제작된 예각과 둔각의 코너가 잘 맞지 않는 경우 에도 현장에서 톱으로 가공이 용이하여 이에 적합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4. 맺음말 이상과 같이 드론을 활용한 비정형 토공량 산출 기술 과 공동주택 외벽 친환경 불연 몰딩을 적용한 결과 기존 기술 대비 생산성과 정밀도, 품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근의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건설기술 대 비 효율성 및 정확성 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건설 기술 의 적극적인 도입과 검토를 통해 더 다양하고 우수한 효 율을 보이는 활용사례(Use Cases)를 발굴 · 개척한다면 당면한 건설산업의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엔지니어링은 친환 경 불연 몰딩 개발사례와 같이 사회적 품질 이슈에 대응 하는 기술의 개발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친환경 기술 개발 및 적용에서도 선도적 역할을 하도록 최선을 다하 고자 한다. 그림 7. 친환경 불연 몰딩 설치 구조안정성 시험 (a) KS F 2613 건축용 비내력 경량벽체의 성능시험방법 (ㄱ자형 편심 당김하중 시험) (b) KS F 2221 건축용 보드류의 충격 시험벙법 (가지형 추를 이용한 내충격성 시험) 그림 9. 친환경 불연 몰딩 현장적용 전경 및 상세 (a) 친환경 불연 몰딩용 고정앵글 및 몰딩 설치 (b) 친환경 불연 몰딩 설치 전경 및 상세 그림 8. 친환경 불연 몰딩 현장가공성능 담당 편집위원 : 구경모(한화건설) kkm@hanwha.com제 33권 4호 2021. 07 59 문예지 매니저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2014 년부터 현대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에 재직하고 있다. 모듈러 관련 다양한 연 구개발 및 국책과제를 수행하였고, 현 재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건설 기술개 발 및 현장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yeji.luna@hec.co.kr 권해원 책임매니저는 동아대학 교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에서 고강 도 콘크리트의 압송 성능 예측을 위한 마찰계수 산출 모델 연구로 박사학위 를 취득하였고, 현재 현대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에서 친환경 재료 및 스마 트 건설 기술을 개발, 검토하는 등 다 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goodjaya@hec.co.kr 주병수 책임매니저는 부산대학교 에서 내진성능 평가기법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건설사 에 입사하여 오피스, 병원, 문화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공 담 당으로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현재 현 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죽림 현장에 서 공사파트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1621831@hec.co.kr 김기성 책임매니저는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주거, 산업, 업무, 상 업시설 등 다양한 공사 현장에서 팀원 및 팀장으로서 건축물을 시공관리 하 였으며, 현재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 이트죽림 현장에서 공사파트 책임자 로 근무하고 있다. 1912590@hec.co.kr 한상민 파트장은 인하대학교를 졸업하고, 주택 및 산업건축 현장에서 다양한 공사, 공무 수행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 이트죽림 현장에서 공무 파트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woluck@hec.co.kr 이윤재 소장은 산업, 일반, 공동주 택 신축 外 리모델링 등 다양한 프로젝 트를 수행한 경험과 기술연구소 기술 개발 업무 경험을 토대로 시공 현장에 서 신기술 및 신공법에 관심을 가지고 개발과 적용성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yun4242@hec.co.kr •저 자 : 한국콘크리트학회 •출판사 : 기문당 •발행일/Page : 2020.07.05 / 307 page •정가(비회원가) : 29,000원 •회원할인가 : 23,200원(20%) MCP 철근의 정착이음 상세 매뉴얼 본 실무메뉴얼은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08장 정착 및 이음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으 며, 이와 관련된 국내ㆍ외 기준과 비교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실무메뉴얼의 구성은 크게 철근이음과 철근정착으로 구분되어있으며, 철근이음 부분은 겹침이음과 기계적이음으로, 철근정착 부분은 갈고리정착과 확대머리철근정 착으로 다시 나누어 국내ㆍ외 관련 기준과 비교ㆍ분석하여 기술하였습니다. 또한 실무적용을 위해 부분의 예제를 포함함으로써 관련 종사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0 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고영곤 Young-Kon Ko (주)포스코건설 R&D Center 차장 천경식 Kyoung-Sik Chun (주)포스코건설 R&D Center 차장 김영필 Young Pil Kim (주)포스코건설 인프라설계그룹 부장 이상철 Sang-Chul Lee (주)포스코건설 새만금남북도로2-2공구 현장소장 콘크리트 사장교 새만금대교의 설계 및 스마트건설 Design and Smart Construction of Concrete Cable Stayed Bridge(Saemangeum Bridge) 1. 머리말 스마트건설기술이란 공사 기간 단축, 인력투입 절감, 현장 안전 제고 등을 목적으로 전통적인 건설기술에 ICT 등 첨단 스마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건설공사의 생산성, 안전성, 품질 등을 향상시키고, 건설공사 전 단계의 디지털화, 자동화, 공장제작 등을 통한 건설산업의 발전을 목적으로 개발된 공법, 장비, 시스템 등을 의미한다(스마트건설기술 현장적용 가 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21). 스마트건설기술은 계획, 설계, 시공 및 안전관리, 유지관리 등 건설산업 전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장대교량에서도 설계부터 시공 및 유지관리 전 영역에 걸쳐 스마트기술 활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지만, 타 건설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스마트기술 위주로 적용되고 있고 장대교량에 특화된 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미비한 실 정이다. 본고에서는 장대 콘크리트 사장교인 새만금대교에 적용 중인 스마트건설기술의 현황과 함께 케이블 교량에 특화 된 기술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2. 새만금대교 현황 2.1 새만금대교 계획 및 설계 새만금 개발사업 중 새만금 남북도로 건설공사 2단계(2공구)의 동진강 횡단교량인 새만금대교는 전라북도 부안군 계 그림 1. 새만금대교 경간 구성 및 보강 거더 단면제 33권 4호 2021. 07 61 화리 일원에 가설되는 주경간장 420m, 교폭 34m의 2주 탑 콘크리트 사장교이다. 새만금대교는 설계수명 200년, 내진 특등급 기준으 로 최신의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였으며, 고부식 해 양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구수명 200년을 확보하 도록 설계하였다. 재료 측면에서 최신의 첨단개발재료 인 2,360 MPa급의 고강도 내부강연선, 2,160 MPa급 의 사재 케이블을 채택하였다. 주요 교량 계획으로서 보 강 거더는 강성이 큰 박스 거더 형식이며 사재 케이블 은 MS(Multi-Strand) Type 케이블을 적용하고 주탑은 50 MPa의 콘크리트 모노 타입 형상을 적용하였다. 시공 측면에서 하상에서의 시공성이 우수하고 가도 및 가시설 이 필요 없는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을 적 용하였다. 본 교량은 2019년도에 착공하여 2023년도에 완공될 예정으로 새만금을 대표하는 상징 교량으로 건설될 것으 로 기대된다. 2.2 새만금대교 시공계획 및 현황 (1) 시공계획 새만금대교는 중앙 경간장 420 m로서 콘크리트 교량 으로는 매우 긴 형식으로서, 이에 적합한 시공 계획 수 립 및 품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새만금대교의 주탑은 ACS(Auto Climbing System) 공법, 보강 거더는 FCM 공법 등 가설 안전성이 기검증된 공법으로 계획하였으 며, 특히 2023년 예정된 부안군 세계잼버리대회 이전 조 기 개통을 위해 주탑과 보강 거더 동시 가설을 수행하여 공기를 단축할 예정이다. 그림 3. 주탑 일반도 그림 2. 초고강도 케이블 그림 4. 새만금대교 주요 시공계획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2 (2) 시공현황 2021년 6월 기준으로 주탑의 경우 22 Lot(총 31 Lot) 가설이 완료되었으며, 전체 기준 약 50 %의 공정률을 보 이고 있다. 주탑과 보강 거더는 50 MPa 고강도 콘크리트 로서, 현장배합 데이터를 이용하여 염화이온 및 탄산화 등의 200년 내구성능을 검증하여 시공 중에 있다. 사재 케이블은 국책과제 초장대 교량사업단 연구개발 성과인 2,160 MPa의 초고강도 재료가 적용된 MS Type 케이블 로서, 케이블 구성단위인 개별 Strand가 장력 편차 없이 균등한 장력을 받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또한 케이 블 정착구 설치시 광파기 및 3D스캐너를 비교/검측하여 정밀제어하고 있다. 위와 같은 시공 품질향상 및 안전관리를 위해 다양하고 특화된 스마트건설기술을 교량 시공에 적용하고 있다. 3. 새만금대교 스마트건설 적용현황 새만금대교에는 BIM 기반 형상관리, 3D 스캐너를 활 용한 시공관리, 드론 · AI 기술을 이용한 안전관리 등 최 신 스마트 건설기술이 적용되어 해상교량 시공이 활발하 게 진행 중이다. 3.1 BIM을 이용한 사장교 형상관리 사장교는 시공단계별로 구조계가 변동되므로 구조부 재의 특성치가 반영된 구조해석을 통하여 단계별 발생 변위 및 케이블 장력이 엄격히 관리되어야 한다. 사장교 의 형상관리는 가설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거더 및 케이 블의 부재력이 설계자가 의도한 완성 시 설계 값의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며, 주탑 및 주거더의 형상이 관리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장교 형상관리 업무는 현장의 정보 값 측정 및 전달, 전문 업체의 엔지니어링 업무, 결과값의 수령 등으로 일 련의 시간이 소요되어 현장 상황의 변경에 따른 변경된 실측값에 대한 즉각적인 결과 도출이 어렵고 도출된 결 과값은 내부적인 검증이 필요하나 전문 인력의 부재로 결과 검증 업무가 어려운 실정이다. 새만금대교에 적용 중인 “BIM을 활용한 사장교 형상관 리 기술”은 고도의 구조해석과 분석능력을 바탕으로 케이 블의 장력과 주탑, 보강 거더의 형상을 오차 없이 시공하기 위한 스마트건설 기술이다. BIM을 활용해 사장교 형상관 리를 시뮬레이션하여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사전 에 검증해 공기를 단축하고 공정별 안전위험요소를 시각 적으로 신속하게 확인해 대응한다. PDF 형식으로 구축된 형상관리 기술은 시공단계별 3차원 BIM 모델에서 해당 시 공단계를 선택하여, 주탑/보강 거더 레벨과 케이블의 좌표 측량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형상관리 결과치가 계산되 어 출력된다. 이에 따라 현장 담당자가 직관적으로 형상관 리 수행이 가능하다. 현장에서는 시공 전에 각종 측량 값을 입력하여 각종 오차를 산정하고, 외기 온도를 반영한 형상 관리 조정치를 확인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림 5. 사장교 형상관리 개념 그림 6. PDF 기반 BIM 사장교 형상관리 SW(새만금대교) 그림 7. 3D 스캐너 활용 정착구 시공관리 SW(새만금대교)제 33권 4호 2021. 07 63 3.2 3D 스캐너 활용 사장교 정착구 디지털 시공관리 3D스캐너 건설분야 활용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대형 부재 및 공간에 대한 스캔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 고 미세한 Digital 측량에 대한 활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 이다. 사장교 가설 시 케이블 정착구 허용 시공기준은 변위 오차 5 mm 이내 및 각도 오차 ±0.2 °이하이므로 설치 오차 요인 감소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점(Point) 측량 보다는 3D 입체(Body)측량을 통한 데이터 디지털화가 필요하다. 새만금대교 현장에서는 기존 광파기 활용 정착구 세 팅/시공과정을 3D 스캐너와 동시에 수행하여 설치의 정 확성을 확보하고 있다. 기존 광파기의 경우 점(Point) 측 량으로 인해 계측 중 Human Error 발생 가능성이 있으 므로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입체측량을 수행하여 비교 및 보정을 수행하고 있다. 계측 전에는 현재 단계 케이블 정착점을 세팅하기 위 해 시공단계를 고려한 케이블 정착 좌표를 산정하고 난 후, 캠버를 고려하여 정착 좌표를 보정한다. 계측 중에 는 케이블 정착구 스캔 및 3D 모델화하여 스캐닝 데이터 (Point cloud)에서 정착구 모델링 추출하고, 케이블 정착 구 허용 변위 오차 및 설치 각도에 대한 시공 정합성 분 석을 수행한다. 계측 후에는 케이블 시공 정합성 결과 데 이터를 디지털화하여 관리하고, 공용 중 활하중, 온도하 중 등에 의해 케이블이 정착구와 간섭되는지를 확인하여 케이블과 정착구의 간섭 여부가 없는지 자동으로 확인하 다. 최종적으로는 보고서 형태로 작성된 케이블 정착구 설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3D 스캐너를 활용한 사장교 정착구 관리는 현재 설치 중인 케이블 정착구에 대한 정밀시공관리를 통해 오시공 을 원천 차단하고,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재시공을 방지하 여 현장 공기 및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3.3 스마트 안전관리 정부는 국내 건설산업의 높은 재해율과 낮은 생산성 개선을 위한 ‘스마트건설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 며, 특히 건설업 재해율 25 % 이상 감소를 위해 다양한 스마트 안전통합 관제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2019년 국 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스마트 안전장비 사용 단계 적 의무화 추진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림 8. 점검용 드론 현장안전관리 그림 9. 현장 고정 부착형 CCTV 그림 10. 이동식 스마트 영상방송장비 그림 11. 장비검사원 액션 캠 및 스마트 안전벨트공사기사 2 | CONSTRUCTION ARTICL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4 기존의 안전관리는 웹기반의 현장 개별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졌는데, 최근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은 웹, 모바일, 전광판 및 DID 등을 통한 클라우드 기반의 실시 간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로젝트 관계자들이 실 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통지할 수 있다. 새만금대교 건설공사 현장에서는 BIM, 드론, CCTV, 영상방송시스템 및 신호수 센서 등의 스마트 안전관리시 스템을 도입 중에 있다. BIM 및 점검용 드론 운용을 통해 해상공사 구간의 구 조물과 타워크레인, 주탑상부 등 접근이 어려운 시설물 에 대한 안전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주탑당 CCTV 3대 (주탑 2개소, 총 6대)를 타워크레인에 설치 후 무선 송출 하여 현장사무소나 모바일에서 확인하고 있으며, 모니터 링 담당자를 지정 운영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현장관리자는 현장고정 부착형 CCTV를 통해 사 각 지지대의 고위험 작업환경에 대한 별도의 안전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스팟성 고위험 작업 구간에는 양방향 통 신이 가능한 이동식 스마트 영상방송장비를 통해 작업자 들에게 동영상 및 방송을 송출하여 작업 위험도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추락은 중대 재해 최다 요인으로 사망사고의 41.67 %를 차지하고 있어서 안전고리 미체결 문제에 대 한 해결이 필요하다. 당사에서는 자계 및 자이로 센서 세 기를 이용한 안전고리 체결 접촉부 감지시스템을 개발하 여 새만금현장에 시범 적용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중대 재해 요인 중 하나인 협착방지를 위해 장비 신호/유도자 에 대한 협착방지 센서 및 액션캠을 활용하고 있다. 새만금 현장에서는 다양한 실시간 통합 스마트안전관 리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 무재해 안전공사를 수 행 중에 있다. 4. 맺음말 중앙 경간 420 m, 총연장 770 m인 새만금대교는 세계 10위권 규모의 콘크리트 사장교로서, 새만금 지역을 대 표하는 랜드마크 교량이다. 특히 초고강도 케이블 및 고 강도 콘크리트 등 고성능 재료의 설계가 적용되었고, 장 대 콘크리트 사장교에 특화된 다양한 스마트건설기술과 안전관리 기술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시대를 앞서나가 는 프로젝트이다. 장대교량 분야의 특화된 설계와 스마 트 건설기술이 융합 적용된 첫 시도로써, 새만금대교는 향후 국가의 장대교량 경쟁력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 대된다. 고영곤 차장은 서울시립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취득 및 박사수료 하였다. 장대교량 구 조물설계 분야에 종사하였으며, 토목 구조기술사이다. 현재 (주)포스코건 설 R&D Center에서 장대교량 설계 및 형상관리, 초고강도 케이블 분야 등 의 기술지원 및 연구개발 수행 중이다. kykon@hanmail.net 천경식 차장은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 취득 후 설계회사에서의 교량설계 및 VE 등 엔지니어링 경험을 바탕으로 현 재, (주)포스코건설 R&D Center에 서 교량, 항만 프로젝트 기술지원과 연 구개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chunkspe@poscoenc.com 김영필 부장은 인하대학교 토목공 학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박사학 위를 취득하였으며, 토목구조기술사 이다. (주)유신 구조본부를 거쳐, 현재 (주)포스코건설 인프라설계그룹에 재 직 중으로, 장대교량 설계 업무를 주로 수행해 왔다. 주요 수행 프로젝트는 광 주 운남대교, 홍농백수, 동이1교, 임자 1대교, 2대교, 새만금대교, 화태백야 등이며, 주된 관심분야는 강구조 좌굴, 강도 및 해상 장대교량 설계 이다. feel75@poscoenc.com 이상철 소장은 부산대학교 토목 공학과를 졸업하고 포스코건설에 입 사하여 인프라사업본부에 재직 중이 며 현재 새만금 남북도로 2단계 2공구 현장소장으로 새만금대교 건설을 수 행중이다. firehous@hanmail.net 담당 편집위원 : 김충언(삼현피에프) slmania@hanmail.net제 33권 4호 2021. 07 65 기술인증 소개 1. 인증기술소개 지진의 발생 및 기존 건축물의 파괴가 발생함에 따라 다양한 내진보강공법이 개발되고 있으 며 교육부에서 발간한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 매뉴얼’에 따르면 내진보강방법은 강 도 및 강성 증가, 연성 증가, 하중저감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하중 저감으로 분류되는 제진 창치는 구조물의 소성변형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제진장치에 변형이 집중되 게 하여 발생하는 총 에너지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진장치는 수동형과 능동형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그 중, 수동형 시스템인 에너지 소산형 장치인 댐퍼는 지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구조물의 손상을 댐퍼에 집중시킬 수 있으며, 구조 물은 탄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지진 발생 이후 대미지를 받은 댐퍼의 보수 및 교체를 통해 기존 구조물의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국내 기존 구조물에 사용되기 적합한 시스템으로 판단된다. 2. 벽체형 마찰 댐퍼 WFD의 형상 및 성능 벽체형 마찰 댐퍼 WFD의 형상은 서로 겹쳐진 강재 사이에 스테인리스 판과 마찰재를 설치 하여 외측으로부터 볼트를 조여 고정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층간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 찰재의 마찰 저항력으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WFD의 표준 형상은 <그림 1>, <그림 2>와 같다. WFD는 강도 감소 및 핀칭의 현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력곡선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나 타내고 큰 에너지 소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찰재를 사용하여 접동음 및 진동(Stick Slip)이 없고 큰 변형과 반복 가진을 겪은 후에도 피로와 손상이 없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 마찰재의 마모로 인한 두께 감소와 그에 따른 마찰력의 변화가 생길 수 있는 일반적인 마찰 댐 벽체형 마찰 댐퍼(WFD)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내진보강기술 WFD* : Wall Friction Damper 최창식 Chang-Sik Choi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우리학회15대 회장역임 유창기 Chang-gi Yoo (주)아라스틸산업 대표 그림 1. WFD 표준 형상그림 2. WFD 도면기술인증 소개 | INTRODUCTION TO CERTIFICATE OF CONCRETE TECHNOLOGY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66 퍼의 단점을 보완한 장치이다. 시공적 측면에서 WFD는 설치 하는 면을 전부 덮지 않고 설치할 수 있고 주변에 문과 같은 개 구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장치의 두께가 얇아 벽 내부 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3. WFD가 적용된 기존 학교 건물 모사골조의 내진성능실험 WFD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문교부에서 배포한 '80년도 학교 교사 표준설계도‘에서 제시하는 학교 건물을 대상 건물 로 선정하여 기준 실험체 제작 및 WFD 보강 실험체를 제작하 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보강을 하지 않은 기준 실험체는 하중이 가해짐 에 따라 급격한 취성파괴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실제 80년대 지어진 학교 건물이 지진에 의해 급격한 파괴가 발생할 수 있 음을 의미한다. 반면 WFD로 보강된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 대 비 강도 및 연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WFD로 보강할 경우 구조물의 내진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4. 국내 내진보강 현황 및 WFD 현장적용 국내 지진 발생 추이(기상청)에 따르면 지진의 발생 빈도 는 해마다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경주, 포항 지진이 발 생한 2016년(규모 3 이상 : 34회), 2017년(규모 3 이상 : 19 회)에 가장 많은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내진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관공서 및 기타 기존 구조물에도 내진보강을 실시하고 있다. 공공시 설물의 내진율은 62.3 %(2018년 기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 치를 보이나 학교시설의 경우 내진율이 36.7 %로 절반 이상 의 구조물이 내진보강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것이 실정이다. WFD는 이러한 내진보강 추세에 따르는 대안 중 하나로서, 이미 일본에서 그 성능을 입증받아 각 구조물에 보강 방법으 그림 3. WFD 시공 공정도 그림 6. 기준 실험체 실험 결과그림 7. WFD 보강 실험체 실험 결과 그림 4. 기준 실험체그림 5. WFD 보강 실험체 그림 8. 방이동 Y빌딩 WFD 현장 적용제 33권 4호 2021. 07 67 기술 인증 소개 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구조물에 보강 방법으로 채 택되고 있다. 5. 적용현장 No프로젝트 명 1WARABI역 서쪽 출구 지구 7번가구제 1종시가지 개발 사업 2HIGASHIGOHANDA 2동 제 2지구시가지 재개발사업 3ODAKYU SUMOUBARA 북쪽 출구 B지구 4WASEDA 대학 WASEDA 캠퍼스 D동 신축공사 5YOKOZUKA 중앙 르네상스 타워 6OOTAKIMACHI 2동 지구 시가지 재개발사업 7TACHIKAWA역 북쪽 출구 서지구제 1종시가지 재개발 사업 8MM59 가구 B구획 개발 계획 9일본 청년관 일본 sports 진흥 센터 본부동신영공사 10방이동 Y빌딩 6. 인증기술의 활용 대부분의 학교시설은 80년대 지어진 건물로서 당시에는 내 진설계 기준이 확립되지 않아 내진보강대책이 반드시 필요하 며 학교 건물뿐만 아니라 내진보강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기존 구조물들은 붕괴 방지를 위해 반드시 내진보강을 해야 한다. 앞서 소개된 벽체형 마찰 댐퍼 WFD 보강 방법은 내진보강 기술 중 하나로서, 우수한 내진성능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인명 안전뿐만 아니라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구조물 대신 대미지를 받아 지진 발생 이후 보수 및 교체만 한다면 기존 구조물을 지 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가되므로 WFD의 사용 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담당 편집위원 : 한국콘크리트학회 공학연구소 chs@kci.or.kr (주)아라스틸산업은 다년간 쌓아온 시공경험을 바탕으로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건축물 구조보강 및 보수를 주업으 로 하며, 안전하고 정확한 시공을 통하여 고객의 신뢰와 믿음 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이다. 2015년 강구조물공사업의 시작으로 2017년 시설물 유지관 리업 취득과 2018년 내진 사업을 확장하여 꾸준한 인재 양 성과 시설 및 내진 신기술 개발에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 으며 현재와 미래 대한민국 건설업의 주역이 되도록 항상 노 력할 것이다. cg7887@naver.com / www.arasteel.kr 최창식 교수는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반복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저형 전단벽의 이력거동에 관한연구’ 로 1991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캐나다 Univ. of Ottawa, 미국 UIUC 및 일본동경대학에서 Visiting Scholar 를 경험하였으며, 2005년부터 한양대학교 건축공학부 교수 로 재직하고 있다. 1992년 건축구조기술사를 취득하였으며, 주요 관심연구분 야는 정착 등 원전 관련 고강고 콘크리트구조 및 내진설계, 합 성구조 및 고성능합성재료(FRC, UHPC) 개발 및 적용, PC 및 PSC의 개발 및 적용 등이며, 우리학회 콘크리트구조기준 개정위원회 위원, 연구담당부회장, 그리고 15기 회장을 역임 하였다. ccs5530@hanyang.ac.kr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