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2005-9396 ISNI 0000 0004 9415 5811 2023년 3월 제15권 제1호 자동차안전학회지 Journal of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자동차안전학회지 권두언 (사)한국자동차안전학회 회장 / 이강현5 논 문 ■ A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Clamshell Hood to Secure the Safety and Durability Performance Kyoungtaek Kwak·Seunghoon Kang·Jaedong Yoo·Kyungdug Seo·Youngchul Shin· Kyungsup Chun·Jaekyu Lee7 ■ K-City 가상주행환경 고도화를 통한 자율주행시스템 검증 환경 구축 이빈희·허관회·이장우·김남우·윤종민·조성우16 ■ 수소충전소 및 수소자동차의 사고 시나리오 개발 박병직·김양균·임옥근27 ■ 실사고 기반 자동긴급제동장치 차량의 교차로 사고 경향 분석 신윤식·김문영·정재일35 ■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안전성 보장 제고 방안 - 독일 도로교통법 및 일본 도로교통법 개정 사항을 중심으로 박경신45 ■ 정면충돌 시험결과와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흉부변형량의 예측 이권희·임재문55 ■ 운전자 응급상황에서의 첨단안전시스템 필요성 연구 강병도·조봉균·이윤화·김태형63 해설 / 특집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3 참관기 -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발전 방향 이기범69 학회소식 76 저널집필요강 84 편집위원 명단 91■ A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Clamshell Hood to Secure the Safety and Durability Performance Kyoungtaek Kwak·Seunghoon Kang·Jaedong Yoo·Kyungdug Seo·Youngchul Shin· Kyungsup Chun·Jaekyu Lee7 ■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Verification Environment through Advancement of K-City Virtual Driving Environment Beenhui Lee, Kwanhoe Huh, Jangu Lee, Namwoo Kim, Jongmin Yoon, Seonwoo Cho16 ■ Development of Accident Scenarios for Hydrogen Refueling Station and Fuel Cell Vehicle Byoungjik Park, Yangkyun Kim, Ohk Kun Lim27 ■ Analysis of Intersection Accident Trend of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Vehicle based on Actual Accident Yunsik Shin, Moon Young Kim, Jayil Jeong35 ■ A Study for Improving Driving Safety Assurance for Fully Autonomous Vehicles - Focusing on Amendments of the German Road Traffic Act and the Japanese Road Traffic Act Kyoung-Shin Park45 ■ Prediction of Chest Deflection Using Frontal Impact Test Results and Deep Learning Model Kwon-Hee Lee, Jaemoon Lim55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Advanced Safety Systems in Driver Emergencies Byungdo Kang, Bonggyun Jo, Yunhwa Lee, Taehyeong Kim63자동차안전학회지:제15권,제1호,2023 5 이 강 현 (사)한국자동차안전학회 회장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교수 ◎ 권두언 교통사고는 세계보건기구 보고에 의하면 매년 135만 명이 사망하여 코로나만큼 위협적이고 지속적인 문제입니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올해 3월 21일까지 전 세계 약 682만 명이 사망하여 연간 사망으로 계산하면 자동차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보다 조금 많습니다. 자동차 안전에 대한 이슈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새로운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고령 운전자의 증가, 전기차의 빠른 보급, 각종 미래 모빌리티의 발전과 튜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이하 ADAS) 기술의 발전에 따른 다양한 변화에 교통안전을 위한 제도적 기술적 대안 모색과 협업이 필요합니다. 첫째,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고령 운전자와 고령 보행자 관련 사고가 증가추세입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면허 소지자 비율은 2019년 10.2%에서 2021년 11.9%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고령 운전자 사고 비율 또한 전체 운전자 사고의 14.5%(2019년)에서 15.7%(2021년)로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령 운전사 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정책적 보완과 기술적 대안이 필요합니다. 고령 운전자들에 대한 면허 반납으로만 해결될 수 없는 문제 로 고령 운전자 차량에 첨단안전 장치를 적극적으로 장착을 유도하고 기존의 중고 차량에도 설치할 수 있어 고령 운전자의 위험요소를 경감하는 대책이 필요합니다. 둘째, 최근 전기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차량 화재로 인한 인명사고가 수차례 발생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화재 발생률이 더 높지는 않지만 화재 발생시 안전에 대한 국민적 위협은 더욱 큽니다. 화재 진압의 어려움, 폭발의 가능성, 아파트 주차 지역 내 충전 중 또는 주차 중 화재 등으로 인한 위험을 더욱 크게 느껴지기 때문일 것입니다. 100년이 넘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발전 과정을 보면 전기차 또한 여러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학계와 배터리 및 전기차 제조사들의 협업과 노력으로 전기차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며 이에 우리 학회의 역할이 더욱 절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셋째, 자동차 안전 기술은 최근 지속적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ADAS, 전방 추돌 방지 시스템, 후방물체 감지 및 후진 방지 시스템, 커브 어탭티브 헤드라이트, 하이빔 어시스트, 실내 움직임 감지 시스템 등 새로운 첨단자동 차 안전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기존 차량과 첨단 시스템을 적용한 차량과의 사고, 불완전한 첨단 시스템으로 인한 사고, 첨단 시스템에 대한 운전자의 과도한 믿음으로 인한 사고 등 다양한 과도기 적 자동차 안전 위해 요소들이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첨단 시스템의 도입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6자동차안전학회지:제15권,제1호,2023 위에 제시한 모든 문제는 근본 사고원인 파악이 중요하고 그 원인 파악으로부터 정확한 문제의 해결 방안이 나올 것입니다. 모든 사고의 원인은 사람 요인, 매개체(차량) 요인, 물리적 환경 및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나누어지고 이를 사고 발생에 따른 3단계 과정 사고 전, 사고 당시, 사고 후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사고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예방 방안을 찾아야 정확한 안전사고의 예방 정책과 기술개발이 이루어집니다. 국내에서도 TAAS(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등 교통사고 분석시스템이 있지만 위의 여러 요인을 다 분석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좀 더 세밀한 분석을 위한 사고 분석체계와 수집 체계가 필요합니다. 미래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고 있고 사용자들의 요구가 다양한 시점에서 자동차 안전을 위하여 우리 학회 회원님들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위험요인을 극복하기 위하여 좀 더 많은 전문가와 협업하여 더 안전한 자동차를 위하여 우리 학회의 역할과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입니다.7 ◎ 논 문 http://dx.doi.org/10.22680/kasa2023.15.1.007 A Research on Dynamic Behavior of Clamshell Hood to Secure the Safety and Durability Performance Kyoungtaek Kwak * ·Seunghoon Kang ** ·Jaedong Yoo ** ·Kyungdug Seo *** · Youngchul Shin **** ·Kyungsup Chun ***** ·Jaekyu Lee ****** Key Words: Clamshell Hood(크램쉘 후드), Gap and Flushness(갭 단차), Lagrange Equation of Motion(라그랑지 운동방정식), Low Pass Filter(로우 패스 필터), Numerical Analysis(수치 해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ynamic behavior of clamshell hood system on the harsh road driving condition, and secure the safety and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equation of motion of hood system is derived and the numerical analysis is implemented to obtain the lateral movement of the hood system. Also, the actual Belgian road test results are correlated to the predicted ones, and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Then, the parameter study i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sensitive factors to affect the dynamic behavior, and the engineering design guide to make the system robust to confine the minimum friction force generated from hood latch and maximum hood weight is suggested from this research. * 현대자동차 클로저시스템개발실, 글로벌R&D마스터 ** 현대자동차 클로저설계3팀,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클로저설계3팀, 팀장 **** 현대자동차 바디해석팀,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바디시험2팀, 책임연구원 ****** 현대자동차 바디개발센터, 상무 E-mail: avetaek@hyundai.com Fig. 1 An Example of Clamshell Hood (VW Arteon) (1) 1. Introduction 1.1. Styling and Quality Consideration of Clamshell Hood Line-free styl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directions to provide customers with innovative image of the vehicle. Typically, long and wide hood styling is one of the design trends to effectively enhance the luxurious feeling of the car. In addition to that, clamshell hood which moves the parting line to the side area is being recently widely applied so as to display the body-integrated image of the vehicle. Fig. 1 shows an example of the application of a clamshell hood for Volkswagen Arteon. As shown in this figure above, the unique styling characteristics of a clamshell hood whose parting line is located on the side area can be clearly seen. Therefore, one can recognize the frontal image as body-integrated styling so it leads to naturally making the mobility more luxurious and innovative. At the same time, the clamshell hood has the styling point that maximizes the long and wide hood image in its own 자동차안전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7∼15, 2023 논문접수일: 2022.3.31, 논문수정일: 2023.1.6, 게재확정일: 2023.3.23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