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해외학회 일정 14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학회학회 시작일개최도시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Geotechnical Aspects of Underground Construction in Soft Ground (IS-Macau 2024) 2024.06.14.Macao, China 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Sprayed Concrete (Sprayed Concrete 2024)2024.06.17.Sandefjord, Norway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and Geophysical Site Characterization2024.06.18.Barcelona, Spain 28th Europe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EYGEC 2024)2024.06.25. Demir Kapija, North Macedonia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ress-in Engineering (ICPE 2024)2024.07.03.Singapore, Singapore 5th Environmental Geotechnology, Recycled Waste Materials and Sustainable Engineering (EGRWSE-2024) 2024.07.04.Warsaw, Poland 1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20242024.07.07.Chambery, France 17th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ECSMGE24)2024.08.26.Lisbon, Portugal 4th International Society for Intelligent Construction (ISIC) International Conference (ISIC 2024) 2024.09.10.Orlando, United States 77th Canadian Geotechnical Conference and the 16th Joint CGS/IAH-CNC Groundwater Conference (GeoMontreal 2024) 2024.09.15.Montreal, Canada 19th Nordic Geotechnical Meeting (NGM 2024)2024.09.18.Goteborg, Sweden IS-Grenoble 20242024.09.23.Grenoble, Franc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isk Assessment and Sustainable Stability Design of Slopes (ISRASSDS-Toronto 2024) 2024.09.29.Toronto, Canada 5th European Conference on Physical Modelling in Geotechnics (ECPMG 2024)2024.10.02.Delft, Netherlands 18th African Reg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2024.10.06.Algiers, Algeria TAC 2024 Montreal2024.10.06.Montreal, Canada 49th Annual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 (DFI49)2024.10.07.Aurora, United States 10th AYGEC Asi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2024.11.11.Jakarta, Indonesia 17th Pan-Americ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17 PCSMGE) 2024.11.12.La Serena, Chile 5th Nigeria Tunnelling & Underground Space Conference2024.11.14.Lagos, Nigeria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nsportation Geotechnics 20242024.11.20.Sydney, Australia An International Conference Series of Nepal Geotechnical Society (GeoMandu 2024)2024.11.28.Kathmandu, Nepal 3rd Vietnam Symposium on Advances in Offshore Engineering2024.12.12.Hanoi, Vietnam World Of Concrete (WOC) 20252025.01.21.Las Vegas, USA The Fourth Pan-American Conference on Unsaturated Soils2025.1.22.Ottawa, Canada Symposium on Shear Testing of Soils2025.01.29.Houston, USA Geo-Congress 20252025.02.25.Vancouver, Canada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logical and Civil Engineering (ICGCE-2025)2025.03.07. Sapporo, Japan Global Conference on Civil,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2025.03.20.Berlin, Germany Fif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Constructed Environment2025.04.10.Berlin, Germany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technical Research and Engineering (ICGRE 2025)2025.04.13.Barcelona, Spain Pan Mediterranean Geotechnical Engineering Conference2025.04.27.Beirut, Lebanon World Tunnel Congress 20252025.05.09.Stockholm, Sweden The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ated and Bio-inspired Geotechnics2025.05.19.Tempa, USA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 (ISFOG)2025.06.09.Nantes, France XXVIII Convegno Nazionale di Geotecnica2025.06.11.Venice, Italy 편집위원 : 정연종(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해외학회 일정 Vol. 26, No. 2 149 학회학회 시작일개최도시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2025.06.14.Vienna, Austria SuperPile’252025.06.18.Cleveland, USA 4th Pan-American Conference on Unsaturated Soils2025.06.22.Ottawa, Canada Eurock 2025 - Expanding the Underground Space - Future Development of the Subsurface2025.06.27.Trondheim, Norway RockEng 20252025.08.17.Montréal, Canada 9th International Symposium for Geotechnical Safety and Risk (ISGSR)2025.08.24.Oslo, Norway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rontiers in Offshore Geotechnics2025.09.06.Nantes, France 29th European Young Geotechnical Engineers Conference 2025.10.Moscow, Russia 1st Geotech Asia 20252025.10.07.Goa, India DFI 50th Anniversary Conference on Deep Foundations2025.10.20.Nashville, USA 78th Annual Canadian Geotechnical Conference - GeoManitoba2025.10.21.Winnipeg, Canada 15th Asian Regional Conference (ARC) of IAEG - “Geological Engineering for Scie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025.11.27.Dhaka, Bangladesh World Tunnel Congress - WTC20262026.05.21.Montreal, Canada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2026.06.14.Vienna, Austria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eld Monitoring in Geomechanics 20262026.08.06.Indore, India XV IAEG World Congress2026.10.31.Delft, The Netherlands 16th ISRM International Congress on Rock Mechanics2027.10.17.Seoul, Korea15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학교 및 학과 :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지 도 교 수 : 박두희 학 위 자 : 안창윤 학 위 : 공학박사 (2023. 8) Evaluation of settlement troughs above twin shield tunnels in soft soil 국문 초록 최근 대도시의 인구 과밀로 인한 지표 공간의 포화로 많은 기반 및 공공시설의 지하화가 진행되고 있다. 대도시의 급속한 팽창과 자동차와 기차와 같은 고속 교통시설의 보급으로 도로와 철도 같은 교통시설도 지화가 이루어지고 있 다. 도로와 철도에서 쉴드터널 공법의 적용은 쉴드TBM의 기술 발전과 시공 경험의 축적을 바탕으로 적용사례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 천단 상부 모래와 점토로 구성된 퇴적지반에서 시공된 병설 쉴드터널이 지표 침하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하부 병설 쉴드터널의 시공기간 동안 지표 침하계측을 수행하고 Gaussian 함수를 사용하여 침하 형상을 평가하였다. 첫번째와 두번째 쉴드터널 시공에 의한 지표 침하 형상 폭 계수 i, K를 산정하고, 병설 쉴드터널에 의한 침하 형상 폭 계수도 제시하였다. 첫번째 쉴드터널에 의한 지표 침하 형상은Gaussian 함수로 잘 표현되나, 두번째 쉴드터널에 의한 지표 침하 형상은 비대칭적인 형태를 나타내었다. 병설 쉴드터널에 의한 총 지표 침하 형상의 평가에는 수평 이동된 Gaussian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과 두번째 쉴드터널의 침 하형상에 비대칭 Gaussian 함수을 적용한 중첩원리에 의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병설 쉴드터널의 총 지 표 침하 형상을 예측하기 위한 보다 정확한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두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 침하계측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중첩원리에 의한 방법이 병설 쉴드터널의 총 지표 침하 형상을 항상 더 잘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수 평 이동된 Gaussian 함수에 의한 방법이 전반적으로 현장 계측결과와 더 유용한 일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 다. 수평 이동된 Gaussian 함수는 점토 지반의 병설 쉴드터널에 의한 지표 침하 형상을 예측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이고, 방법의 간편성을 고려할때 설계 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선 터널 대비 병설 쉴드터널의 경험적 형상 폭 계수 K의 증가율, 병설 쉴드터널에서 단기 대비 장기 지표 침하 형상의 경험적 형상 폭 계수 K와 volume loss의 증가율이 정량화 되었다. 이러한 정량화된 증가율은 점토 지반에서 계획되는 병설 쉴드터널의 단기 및 장기 지 표 침하 형상에 대한 사전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논․ 문․ 소․ 개 + 학위논문 소개 편집위원 : 김윤희(동국대학교 박사후연구원)Vol. 26, No. 2 151 학교 및 학과 : 한양대학교 건설관리학과 지 도 교 수 : 한남혁 학 위 자 : 남경현 학 위 : 공학석사 (2023. 8) 로드헤드 굴착효율 및 픽커터 소모율 데이터를 활용한 생산성 비교분석 국문 초록 점점 과밀화 되어가는 도심지에서 지하공간의 활용은 하나의 중요한 대안이 되어가고 있다. 지하공간은 영화 ‘기생 충’에서 보여지듯이 과거에는 서민들이 사는 주거공간으로서의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으나, 이제 아파트에서는 주차장을 위한 공간을 넘어 헬스장, 골프장, 수영장 등으로 활용되며 그 역할이 확대된 지 오래이며, 복합 쇼핑몰 등에서는 주차 장 및 쇼핑공간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넘어, 지하철과 직접 연결되어 교통 수요를 고객으로 끌어들이는 관문 역할을 담 당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최근에 부각되는 지하공간의 중요한 역할은 도시 외곽과 도심지를 대심도로 연결하여 출· 퇴근하는 인원을 신속하게 이동시켜 교통 불편을 해결하고 부가적으로 이동에 따른 피로를 줄여주는 데 있다. 대부분의 대심도 터널이 도심지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발파공법 적용시 소음· 진동 등에 따른 피해뿐만 아니 라 지반 침하· 싱크홀 등과 같은 생명과 직결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어 TBM, 로드헤더 등 다양한 기계굴착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계굴착 방법은 타 선진국에 비해 도입이 늦어, 국내암반 특성에 맞는 효율적 굴착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군다나, 작년에 최초로 국내 현장에서 시행된 로드헤더 굴착방법에 대한 굴착효율과 픽커터 소모량에 대한 예측 모델은 유럽 암반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국내 암반 여건과는 맞지 않는 관계로, 이 논문에서는 인천 OO 현장에서 실 제 굴착한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한 굴착효율 및 픽커터 소모량에 대한 예측모델을 만들어 보고, 기존에 연구된 예측모 델과 함께 시공 예정구간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추후 로드헤더의 실질적인 굴착효율과 픽커터 소모량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15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학위논문 소개 학교 및 학과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건설공학과 지 도 교 수 : 조국환 학 위 자 : 정상준 학 위 : 공학석사 (2023. 2) 암반 취약화를 통한 로드헤더 굴착효율 향상방안 연구 국문 초록 기존 터널 굴착시공에 있어 일반적으로 발파 굴착공법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발파 굴착공법은 소음 및 진동 으로 인해 도심지 시공 시에 대규모 민원을 야기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로드 헤더와 TBM과 같은 기계 굴착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로드헤더 굴착공법은 TBM 굴착공법에 비해 초기 비용이 적고 별도의 작업장 확보가 불필요하는 등 도심지 구간에 대한 적용성이 우수한 공법이다. 그러나 로드헤더 굴착공법 은 일축압축강도 100MPa 이상인 고강도 암반구간에 대한 굴착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암반구간에 대한 로드헤더 굴착효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드헤더와 굴착원리가 유사한 리퍼의 굴착효율을 나타내는 리퍼빌리티를 터널공사에 접목시켰다. 리퍼빌 리티는 암반의 일축압축강도와 불연속면 조건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축압축강도가 높거나 불연속면이 발달되 지 않은 암반일 경우 리퍼빌리티는 낮아진다. 이러한 리퍼빌리티의 개념을 활용하여 로드헤더 굴착효율 개선방안을 모색하였 다. 불연속면 조건의 경우 일축압축강도와 달리 인위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어, 리퍼빌리티를 개선시킬 수 있다과 판단하였 다. 실제 노천공사에서 단단한 암반이 출현하는 경우에는 미진동 발파를 통해 암반에 균열을 유발시켜 암반을 취약화 한 후 리핑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리퍼빌리티 개선방안을 터널에 적용하여 고강도 암반구간 로드헤더 굴착효율 향상이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즉, 고강도 암반구간 로드헤더 굴착 전에 대상암반에 인위적인 균열대를 형성하여 암반을 취약화시키는 선균열공법을 제 안하였다. 선균열공법은 암반의 완전파쇄가 아닌 소규모 발파를 통해 균열대를 형성시켜 암반을 취약화시키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균열공법의 효과와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균열공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굴착효율에 대한 지표로 순굴착속도 예측식을 활용하였다. 기존 다수의 예측식들은 암반강도만을 고려하여 순굴착속도를 산정함으로써 실제 현장조건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Bilgin 경험식의 경우 에는 암반강도와 더불어 절리특성(RQD)를 고려한 순굴착속도 예측식을 제안하고 있다. Bilgin 경험식을 이용하여 순굴착속도 를 검토한 결과, 동일한 일축압축강도 조건에서 절리의 발달정도에 따라 순굴착속도가 증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강 도 암반구간에 인위적인 균열대가 추가된다면 로드헤더 굴착효율이 증대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선균열공법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고강도 암반특성을 가진 대상현장에 대하여 실규모 현장시험을 수행하였 다. 그 결과 균열유도공 주변으로 균열대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강도 암반구간에서 선균열공법을 통한 로드헤더 굴착효율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Vol. 26, No. 2 153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http://www.jkta.or.kr/ Volume 26, Issue 2 (March 2024) 목 차 Development of disc cutter wear sensor prototype and its verification for ensuring construction safety of utility cable tunnels Jung Joo Kim, Hee Hwan Ryu, Seung Woo Song, Seung Chul Do, Ji Yun Lee, Ho Young Jeong* An application of MMS in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of road tunnel Jinho Choo*, Sejun Park, Dong-Seok Kim, Eun-Chul Noh A study on improving self-inference performance through iterative retraining of false positives of deep-learning object detection in tunnels Kyu Beom Lee, Hyu-Soung Shin* Comparison of measured values and numerical analysis values for estimating smart tunnel based groundwater levels around vertical shaft excavation Donghyuk Lee*, Sangho Jung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15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TUST 논문집 논문소개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ume 145 (March 2024) https://www.journals.elsevier.com/tunnelling-and-underground-space-technology 목 차 Study on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ipe umbrella support in shallow buried tunnels Yun-Han Wu, Chang-Jin Xiao, Fu-Quan Chen*, Gang Cai On the dynamic stability of tunnel roof in nonuniform rock/soils characterized by nonlinear Mohr envelope Changbing Qin*, Yueyang Li, Yusha Shi, Chenyu Dai, Wengang Zhang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analysis of an innovative type of steel-concrete composite support in shallow-buried excavation tunnels Yuan Song, Changbai Wang*, Mingli Huang, Ran Li, Qiang Wang Deformation extent prediction of roadway roof during non-support period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combined with swarm intelligent bionic optimization algorithms Bingbing Yu*, Qing Li, Tongde Zhao Study on generation and evolution of base voids in heavy-haul railway tunnels using particle flow method Hongyu Yang, Jialei Xu, Kangjian Zhang, Huayun Li, Zhiqiang Zhang* Burning characteristic and ceiling temperature of moving fires in a tunnel: A comparative study Haihang Li, Wenjun Zhu, Ming Tang, Congling Shi*, Fei Tang* Experimental study on environmental chemical effect and purification treatment of waste slurry in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Pinghe Sun*, YuRui He, Shengwei Zhou, Habiyakare Erneste, Qiang Gao, Zihao Zou, Junyi Zhu + TUST 논문집 논문소개Vol. 26, No. 2 155 Investigation of a new reverse drainage construction and the pressure-reducing effect of a tunnel in a water-rich karst location Zhaolei Teng, Yuanming Liu*, Yuhang Zhou, Yingxiao Li, Shilong Mei, Qingzhi Chen, Linquan Chen, Bitao Du Risk assessment of shield tunneling crossing building based on variable weight theory and cloud model De-Sai Guo, Fan-Yan Meng*, Huai-Na Wu*, Xin-Xin Yang, Zhan Liu Study on potential collapse of deep-buried tunnel induced by local overbreak obeying Hoek-Brown failure criterion Wenjuan Liu, Yonglin An*, Jin Zhou Blasting vibration effect and safety evaluation method of railway cross tunnels Yan Zhao*, RenLiang Shan, HaiLong Wang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open geothermal tunnelwater systems by heat absorbers T. Geisler*, W. Richter, T. Marcher TunGPR: Enhancing data-driven maintenance for tunnel linings through synthetic datasets, deep learning and BIM Huamei Zhu, Mengqi Huang, Qian-Bing Zhang* The role of opened fire doors in enhanced heat exchange of long-distance utility tunnels Shuoyan Wang, Haiguo Yin*, Yunfei Kang, Xin Deng, Changqing Yang, Angui Li Realistic long-term stress levels in a deep segmented tunnel lining, from hereditary mechanics- informed evaluation of strain measurements Ali Razgordanisharahi, Maximilian Sorgner, Thomas Pilgerstorfer, Bernd Moritz, Christian Hellmich, Bernhard L.A. Pichler* A novel implementation method of GZZ-based constitutive model into FLAC3D Yingming Xiao, Manchao He, Yafei Qiao*, Wuqiang Cai, Yujing Jiang, Hehua Zhu Intelligent image-based identification and 3-D reconstruction of rock fractures: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Dongdong Pan, Yihui Li, Xiaote Wang, Zhenhao Xu*15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TUST 논문집 논문소개 Full-decay induced polarization multi-parameter tomography method for tunnel water inrush ahead prospecting: A case study Lichao Nie, Zhicheng Song, Wei Zhou*, Zhiqiang Li, Xuecai Du, Liang Ma Analytical solution to the mechanical response of grouting lifting in existing shield tunnels and engineering case verification Yanbin Fu*, Shun Wang, Ze Wu, Xuezhong Zhang, Junzhou Zhu, Beiling Wang, Yelei Huang Large-scale field tunnel model experience and time-dependent floor heave induced by humidification Zhou Chang, Changgen Yan*, Wanye Xie, Zhifang Lu, Hengxing Lan, Haopeng Mei Effects of pressure waves on the cooling-fan performance and indoor flow of air-conditioning units on the roof of a high-speed maglev train Haixia Guo, Kunlun Zhang, Gang Xu, Jiqiang Niu* Fuzzy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structures considering multiple failure criteria Minze Xu, Chunyi Cui*, Jingtong Zhao, Chengshun Xu, Peng Zhang, Jian Su Effect of high humidity on the initi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modes of thin spray-on liners (TSLs) Lianjun Chen, Jinlong Teng, Guoming Liu*, Yuebing Zheng, ... Zhi Zhou Modelling geomechanical stability of a large deep borehole in shale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Baotang Shen*, Manoj Khanal, Jingyu Shi, Dirk Mallants Model test on frost heaving pressure induced by frozen partial ponding behind tunnel lining in cold region Xinyu Zheng, Fei Xu*, Bing Zhang, Hongbin Xu, Yang Gao Far-field analysis of shear slip potential and ground uplift by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with single- and multi-canister and multi-layer disposal concepts Eunjin Seo, Kwang-Il Kim*, Hwajung Yoo, Jeonghwan Yoon, Ki-Bok Min Settlement transfer mechanism of CFG piles for strengthening high-speed railway subgrades induced by twin shield tunnelling undercrossing Beiyu Wu, Xing-Tao Lin*, Dong Su, Kaihang Han, Xiangsheng ChenVol. 26, No. 2 157 Laboratory investigation of thermal stresses in fractured granite: Effects of fracture surface roughness and initial stress Changlun Sun, Li Zhuang*, Dong Joon Youn, Jeoung Seok Yoon, Ki-Bok Min On-site test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blasting vibration amplitude on the dynamic response of thin spray-on liner Zongguo Zhang, Xiuzhi Shi*, Xianyang Qiu, Jian Ouyang On the response of jointed rigid pipes under abrupt ground subsidence: A closed-form analytical solution Xiaogang Qin, Sizhuo Zheng, Pengpeng Ni* Experimental study of a borehole repairing and strengthen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resin-anchored bolts in soft and broken surrounding rock Mengxiong Fu, Shuaishuai Huang, Shaowei Liu*, Deyin He, Housheng Jia Analytical study and engineering application of NPR prestressed bolt is anchored by mechanical-type anchorage and resin Jiawang Zhan, Jun Yang*, Wenhui Bian, Rundong Zhao, Meiqiang Dong Corrigendum to “The negative effect of a torsion dissipative structure on the stability and bearing capacity of the yield frame support” [Tunn. Undergr. Space Technol. 144 (2024) 105583] V. Nazymko*, L. Zakharova, K. Skrzypkowski, O. Kusen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