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4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거친 모래와 미세한 자갈로 구성된다. Kallang 층은 현재까지 쌓인 해양 및 육상 퇴적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해안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그림 3> 싱가포르 지질도 (토질/암석 종류) 2.2 토층 열대 기후는 싱가포르 암석의 침식 및 풍화 과정에 도움이 된다. Jurong 퇴적층에서는 풍화깊이가 45m 이상까지 확장되며, 일반적 으로 단층대와 이암지대에서 더 깊어지며, Bukit Timah 화강암층의 풍화지대 두께는 10m에서 50m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잔류토는 싱가포르 토지 면적의 약 2/3를 차지한다. Jurong 퇴적층과 Bukit Timah 화강암층에서 유래된 잔류 토양은 각각 싱가포 르 서부 및 중앙 지역에 나타난다. 싱가포르 지질특성은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형과 두꺼운 토층은 지하동굴 및 지하터널 건설에 적합 한 암석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싱가포르 지하공간 이용 사례 3.1 도심지 인프라 표 4는 싱가포르의 주요 지하 인프라 및 저장 시설을 요약한 것이다. 세계의 다른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싱가포르의 초기 지하공 간의 주요 용도는 교통 수단과 쇼핑 및 주차를 위한 지하공간이었다. LTA(Land Transport Authority) 마스터 플랜 2013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철도 네트워크는 2030년까지 현재 180km에서 360km로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그림 4). 이 수치는 2030년 이후 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 노선의 대부분은 지하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싱가포르의 철도망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연간 약 6km씩 확장해 왔으며, 향후 15년 동안 연간 약 12km씩 성장할 예정이다.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5, No. 4 49 <표 4> 싱가포르의 주요 지하 인프라 프로젝트 요약 NameTypeTechnical informationCommencement and extensionReference North-South MRT Line Metro 45 km, 27 stations. Partially underground First opened on 7 Nov 1987 with 26 stations. A 1-km (one station extension from Marina Bay to Marina South Pier station was opened on 23 November 2014 https://www.lta.gov.sg/ East-West MRTMetro 57 km, 39 Stations. Partially underground First opened on 12 Dec 1987 with 49 km and 35 stations. https://www.lta.gov.sg/ Circle Line MRT Metro 35 km, 30 stations. Fully underground First opened on 28 May 2009 and fully operational in 2012 (stage 5). https://www.lta.gov.sg/ North East Line MRT Metro 20 km, 16 stations. Fully underground First opened on 20 June 2003. Fully completion by June 2011. https://www.lta.gov.sg/ Downtown Line MRT Metro 42 km, 33 stations. Fully underground Stage 1 opened on 22 Dec 2013. Full line to open by 2016 https://www.lta.gov.sg/ Thomson Line MRT Metro 43 km, 31 stations. Fully underground Underground construction. Expected to open in 2018 https://www.lta.gov.sg/ Cross island Line MRT Metro Approximately 50 km Under planning. Expected completion in 2030 LTA Jurong Regional Line MRT Metro Approximately 20 km Under planning. Expected completion in 2025 LTA CTE TunnelRoad Chin Swee Tunnel: 1.6 km. Kampong Java Tunnel: 0.7 km Opened in 1991https://www.lta.gov.sg/ KPE TunnelRoad 9 km26 October 2007https://www.lta.gov.sg/ MCE TunnelRoad 3.6 km tunnel with five lanes in each direction29 December 2013https://www.lta.gov.sg/ DTSS Ph1Utility A 48 km long deep tunnel running from Kranji to Changi, a water reclamation plant at Changi, two 5 km long deep sea outfall pipes and 60 km of link sewe Ph1 completed in 2008 at a cost of SGD$3.4 Billion https://www.pub.gov.sg/dtss DTSS Ph2Utility A 30 km long South Tunnel, 70 km of link sewers to cover the western part of Singapore, and a water reclamation plant at Tuas and under-sea outfall. All expected to be nderground Under planning. Expected completion in 2030 https://www.pub.gov.sg/dtss Common Services Tunnel Utility The complete system has 20 km of tunnels at 2.4 m below ground. Main tunnel and branch tunnels have height×width of 14 m×5 m and 8.7 m×4.8 m First phase completed in 2006 https://www.ura.gov.sg/ skyline/skyline06/ Cable TunnelUtility 35 km, 6.5 m diameter, 60 m below ground,18 station buildings with shaft access Under construction. Expected completion in 2018 https://www.spgroup.com.sg/ UAFStorage Underground ammunition facility (UAF) for the Ministry of Defencebuilt in granite rock March 2008The Straits Times JRCStorage Jurong Rock Cavern (JRC) for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About 130 m below sea bed Sept 2014The Straits Time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5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그림 4> 레일 네트워크 확장계획(LTA, Master Plan) 계획된 쿠알라룸푸르-싱가포르 고속철도의 싱가포르 부분은 지하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싱가포르의 지하철 네트워크 성장을 더욱 촉진할 것이다. 덜 알려져 있지만 잘 고안된 지하 유틸리티 시설은 마리나 베이 지역 아래에 위치한 공용 서비스 터널(CST)이다. CST 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개념과 향후 개발을 위한 100% 예비 용량을 갖춘 광범위한 지상 개발 이전에 계획 및 개발되었다 (그림 5). 이 프로젝트의 주요 성공 요인은 정부기관으로서 도시재개발청(URA)이 계획하고 건설했다는 점에 있을 것이다. URA가 설명 하는 주요 이점 중 일부에는 교통 중단 최소화,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보다 빠른 서비스 제공, 유연성 향상, 더 나은 도시 환경, 개발을 위한 더 많은 토지가 포함된다. <그림 5> Common Services Tunnel (URA, 2006) 최근 진행 중인 싱가포르 케이블 터널 프로젝트(그림 6)는 유지 관리가 용이한 대심도 터널에 고전력 송전선을 배치하려는 노력이 다. 지하 60m에 2개의 교차섬(cross island)인 남북 및 동서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대심도 터널은 특히 얕은 깊이에서 증가하는 싱가포르의 지하공간 및 유틸리티 서비스의 혼잡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케이블을 유지 관리 하고 교체할 수 있어 도로 굴착 작업 빈도가 줄어들고 장기적으로 대중의 불편이 최소화될 것이다.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5, No. 4 51 <그림 6> Singapore Cable Tunnels(SPPA, 2016) 3.2 지하 암반동굴(rock cavern) 개발 표 5는 싱가포르의 지하암반동굴 개발과 관련된 주요 활동을 요약한 것이다. 지하암반동굴의 지하공간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부 터 시작되었다. 1990년대에 완료된 일련의 타당성 조사에서는 싱가포르의 다양한 지질 구조를 다루었다. 난양기술대학(NTU)의 지하 <표 5> Summary of rock cavern development in Singapore PeriodMajor activities and development 1990-1994∙ Feasibility study of rock cavern construction in the Bukit Timah Granite 1995-1998 ∙ Feasibility study of rock cavern construction in the Jurong Formation ∙ First Tasks Force on promoting use of rock cavern was set up and led by URA, and the Tasks Force recommended MINDEF to take the lead ∙ Feasibility study of the UAF (underground ammunition facility) ∙ Establishment of Underground Technology and Rock Engineering(UTRE) program 1997-2000 ∙ Feasibility study of the Underground Science City (USC) ∙ Construction of the UAF started in 1999 2001-2007 ∙ Feasibility studies of hydrocarbon storage caverns at the Jurong Island(JRC) and NTU ∙ Other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of underground space using rock caverns, e.g., Science Centre below Mount Faber, Jurong Bird Park extension into the Jurong Hill. 2007-2014 ∙ JRC shaft construction started in 2007 and cavern construction in 2009 ∙ Government set up inter-agency Underground Master Planning Task Force ∙ Further feasibility study on the USC at Kent Ridge commissioned by JTC ∙ Feasibility study on underground warehouse caverns at Tanjong Kling by JTC ∙ Feasibility studies of several industrial usages of rock caverns ∙ Nanyang Centre of Underground Space (NCUS) established at NTU in 2012 ∙ Underground space master planning study of the NTU campus ∙ MND research and development call on Sustainable Urban Living 2014-present ∙ Feasibility study for underground automated good mover system and Jurong West Underground Caverns ∙ Feasibility study for underground cavern development at Gali Batu ∙ Feasibility study for land optimized use for Kranji Water Treatment Plant ∙ Feasibility study for underground drainage and reservoir system (UDRS)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5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 및 암반공학(UTRE) 프로그램 설정은 암석 공학 및 동굴 개발 분야의 연구 개발을 위한 국가적 공동 노력을 의미한다. 이 기간 동안 NTU의 지하 기술 및 암반공학 연구팀은 Bukit Timah 화강암 지역의 대부분과 일부 선택된 Jurong 층 지역을 대상으로 동굴 개발을 위한 지질 조사를 포함하여 여러 대규모 타당성 조사를 수행했다. 그들은 또한 지하과학도시(USC,Underground Science City), 창고용 지하동굴, NTU 지하도서관, 지하 담수저장고, Faber산 아래 과학 센터 등 일부 특정 지하암반동굴 개발프로젝트를 연구 했다. 싱가포르 지하동굴 개발의 주요 돌파구는 Bukit Timah 화강암의 지하암반 동굴에 지하 탄약시설(UAF, Underground Ammunition Facility)을 건설한 것이다(그림 7). <그림 7> Underground Ammunition Facility (UAF) Cavern UAF의 건설은 국방과학기술청(DSTA) 주도로 1999년 시작돼 2008년 국방부의 의뢰를 받았다. Seletar East의 지상 약 4km2 탄약 저장고를 대심도 지하 암반동굴로 이전계획이 발표되었으며, 지상공간은 성장하는 항공우주 허브로 개발될 예정이다. UAF는 공간을 창출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하암반 동굴을 사용하는 것의 실행 가능성과 중요한 이점을 입증했으며, 지하 암반동굴 공간 이용에 대한 많은 후속 연구와 사고를 위한 촉매제 및 사례 연구역할을 했다. UAF의 성공은 또한 2014년 9월 싱가포르 총리가 공식적으로 의뢰한 두 번째 주요 지하암반동굴 프로젝트인 석유저장을 위한 <그림 8> The Jurong Rock Cavern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5, No. 4 53 Jurong 지하암반 동굴(JRC, Jurong Rock cavern) 프로젝트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그림 8은 JRC 프로젝트의 기본 구성 및 수직구 및 저장 공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유류 저장 시설은 석유화학 단지의 메카인 주롱섬 산업단지와 연계하여 주롱섬 주변 해상의 Banyan Basin 해수면 지하 150m 아래에 위치하며 총 저장 용량은 약 150만 m3에 이르며, JRC의 성공적인 준공을 통해약 60 hectare의 지상 토지의 절감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두었다. 상업적 필요성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고 설계가 되어 기술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과 리스크들을 가져 건설 기간 동안 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고 이를 통해 많은 경험을 축적하였다. <그림 9> 대심도 터널 하수처리 시스템 DTSS (PUB) 4. 싱가포르 지하공간 이니셔티브 싱가포르의 지하공간 활용은 장기 경제 전략을 위한 전반적인 전략의 일부가 되었으며 도시 지속 가능성의 일부로 구성되었다. 이제 지하공간은 활용을 계획하고 최적화해야 하는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싱가포르 도시재개발공사인 URA는 지상뿐 아니라 지하를 포함한 싱가포르 백년대계의 모든 도시 계획을 총괄하여 준비하고 있다. URA는 1990년대 후반 이미 UAF 시설 준비시 앞장서 계획을 주도한 바 있으며 2000년대 후반에는 각 정부기관 간의 지하 마스터 플랜 태스크 포스(UMPTF)를 주도하여 다양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과 관련 요구사항들을 조율해 왔다. 지하 마스터 플랜의 개발은 잠재적인 용도와 정부에 주는 혜택을 판별하여 이러한 용도에 맞는 잠재적 부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당면한 잠재적인 지하 개발 프로젝트를 판별하고 이를 위한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며 예산을 준비하는 동시에 또한 정부 최고위층으로부터의 정책적 지원을 받는 것들을 포함한다. 2010년에는 총리 직속실 산하 경제전략위원회(ESC)에서는 특정 지하공간 이용 계획에 대해 추천을 했으며 이에 정부는 지하공간 의 이용을 전략적인 수준으로 격상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서 URA 주도로 현재 범국가 차원의 지하공간 마스터 플랜을 준비하고 있으며, 2019년에 이에 대한 청사진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최근 URA와 ARUP(2017)은 전세계 다양한 국가와 도시들의 지하 개발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여 지하공간개발 및 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우수사례(best practice)에 대해서 조사한 바 있다. 그림 10은 이러한 벤치 마크(benchmark) 연구의 결과물로서 각 국가 주요 도시별 지하공간 활용에 대한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2014년 자료에 기초한 본 조사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철도 분야에서는 도쿄 다음으로 앞서 있지만 지하 보도나 도로에 있어서는 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5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매우 뒤쳐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싱가포르가 현재 대심도 암반 지하공간을 저장 용도로만 이용하고 있으므로, 유틸리티 플랜 트나 데이터 센터와 같은 다른 용도로 암반 지하공간을 이용하고 있는 도시들로부터의 경험을 배워야 한다고 추천하였다. <그림 10> Underground Development 기본 연구(URA. 2017) 4.1 지하 마스터플랜 (Underground Master Planning) 2007년에 싱가포르 정부는 광범위한 목표로 정의된 다음과 같은 참조 용어를 사용하여 지하 마스터플랜 테스크 포스를 구성했다. 1) 잠재적인 용도 유형과 정부에 대한 해당 혜택을 식별하고 그러한 지하 용도의 잠재적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싱가포르의 지하 마스터 플랜을 개발한다. 종합적인 포괄적인 지하 마스터플랜은 차기 개념 계획검토에 대한 입력 자료가 된다. 2) 지하개발을 위한 임박한 잠재적 프로젝트를 식별하려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개정된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AGD(법무 부) 위원회의 지원 정책 권장사항을 적용하여 개발을 촉진한다. 3) AGD 통합 지하개발 위원회가 연구한 분야의 경우 지하개발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정책 변경 사항을 AGD 위원회에 공개한다. 2010년 국무총리 산하 경제전략위원회(ESC)는 지하공간 이용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사항을 제시하여 지하공간 이용을 전략적 수준 으로 격상시켰다(ESC, 2010). ESC는 '토지 및 공간 조성' 항목에서 지하공간 조성 및 활용에 투자하고 정부가 주도해야 한다는 핵심 권고안을 제시했다. 1) 새로운 지하 인프라와 연계하여 지하공간을 조성 2) '토지 은행'에 추가할 개발(예: 철도) 3) 지하와 지상공간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주변 개발 및 인프라와 더 잘 통합되도록 지하 마스터플랜을 개발 4) 지하개발에 있어 민간 및 공공부문의 노력에 도움이 될 지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국립 지질사무소를 설립 5) 지하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지하 토지권 및 평가 체계 작업을 개발 6) 지하개발 R&D에 투자하고 지하암반동굴에 직접 투자 정부는 처음에 지하 마스터플랜에 대해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정의했다.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5, No. 4 55 ∙ 기존 및 계획된 지하이용을 반영 ∙ 지하개발이 가능한 다른 위치를 식별하고 보호(예: 지하암반동굴 및 지하 수준). ∙ 새로운 지하개발 계획 및 실현에 있어 국가기관을 가이드 지하 마스터플랜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태스크 포스의 위임사항 정의 초기에 인식되었다. 그러나 어려움과 과제, 특히 필요한 기술 및 정책 입력 유형은 아마도 과소평가되었을 것이다. 한 가지 주요 과제는 3차원 지질학적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다른 과제에는 지하공간 응용프로그램의 유형을 식별하고 지하공간 이용의 3D 특성을 다루기 위한 수직 구역화(Vertical zoning) 프레임워 크 개발, 다양한 정부 기관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간의 조정 및 통합, 지상 및 지하공간 개발 통합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중요한 정보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고, 지하공간 계획을 위한 3차원 지질 데이터 제공을 주요 목표로 하여 기반 지질에 대한 투자를 전담하는 국립지질청을 설립했으며, 국가 개발부의 지속 가능한 도시 생활 및 국립 연구 재단 (NRF)의 토지 및 거주 적합성 국가 혁신 챌린지(L2 NIC)에 따라 진행된다. NRF가 국가 혁신 과제를 두 개만 시작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첫 번째는 에너지에 관한 것이었다. L2 NIC에서는 공간 생성이 4가지 주요 초점 영역 중 하나였다. 이후 대규모 지하 인프라 시설 외에도 태스크 포스 하에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URA, 2013). 여기에는 발전소, 물 재생 공장, 소각장, 매립지, 저수지, 창고 및 물류, 데이터 센터, 항만 및 공항 물류를 위한 지하암반동굴 적용이 포함된다. 지하암반동굴개발에 대한 두 가지 중요한 연구는 Kent Ridge의 지하과학도시와 Jurong Hill/Tan Jong Kling의 지하 창고, 물류 시설 및 데이터 센터 허브이다. 최근 정부에서는 지하 화물운송 시스템(MND, 2015)과 지하배수 및 저수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지하 물류 운송시스템(UGMS)은 계획된 여러 산업 생산 및 유통 센터(그 중 일부는 지하 암반동굴에 위치)를 계획 중인 미래 Tuas 항에 연결하려고 할 것이다. 지하 배수 및 저수지 시스템(UDRS)은 수자원과 홍수 조절이라는 두 가지 지속 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 할 것이며 양수 저장 장치와 결합하여 필요한 물 순환을 제공하는 동시에 에너지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다. UDRS의 통합 이용은 규모와 적용 측면에서 최초가 될 것이다. 최근 정부가 실시한 또 다른 매우 중요한 연구는 벤치마킹 연구이다(URA, 2013). 다음에서 설명된 연구의 목적과 범위는 본 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연구 범위 ∙ 지하 계획 및 개발에 대한 정량적 비교 연구 - 싱가포르 Vs. 국제 ∙ 정책, 법률, 표준 및 사례 연구에서 모범 사례를 검토 ∙ 격차 및 개선 사항 검토 ∙ 표준 및 실천 코드 개발 ∙ 지하 마스터플랜(Underground Master plan) 작성 ∎ 예상 결과에는 다음에 대한 지침 포함 ∙ 지하이용 위치를 식별하고 적합한 토지 이용을 결정하는 방법 ∙ 다양한 용도의 공동 배치 및 공통 인프라/시설 공유를 계획 ∙ 지상개발과 지하개발 간의 조정 및 상호 작용을 보장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5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지하공간을 다양한 용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계획 및 설계에 유연성을 통합하는 방법. ∙ 싱가포르 지하공간의 보다 광범위한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기관 간 조정 ∙ 정량적 매개변수와 비정량적 매개변수를 모두 통합하는 비용-편익 분석 모델 본 연구의 결과는 싱가포르와 실제로 세계의 다른 도시 지역의 지하공간의 향후 개발에 중요할 것이다. <그림 11> Vertical planning of underground space (URA, 2013) <그림 12> Underground Infrastructure and Key Milestones (URA, 2017)제6강. 싱가포르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고찰 Vol. 25, No. 4 57 4.2 지하공간의 소유권(Ownership) 2015년 2월, 의회는 지하공간의 소유권 및 취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두 가지 법안, 즉 2015년 국유지(개정)법과 2015년 토지 취득(개정)법을 통과시켰다. 2015년 토지(개정)법은 지하공간의 소유권을 "모든 토지에는 토지의 이용과 향유에 합리적으로 필요 한 만큼만 지하공간이 포함되어 있다"고 정의한다. 또한 합리적인 이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해당 토지에 대한 주 소유권에 명시된 지하공간의 깊이, 또는 (b)해당 깊이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싱가포르 높이 기준(Singapore Height Datum) 하부 30m까지의 지하공간. 여기서 싱가포르 높 이 기준은 싱가포르의 경계 및 측량 지도법(CAP. 25)에 법적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본질적으로 평균 해수면이다. 2015년 토지 취득(개정)법은 특정 지하공간 지층의 취득을 허용한다. 이 조항은 특정 지하공간 지층을 필요로 하는 공공 프로젝트 의 개발을 촉진할 것이다. 입법 개정의 목적은 국가와 개인 토지소유자의 향후 지하개발을 촉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공간의 소유권을 결정하는 기준점은 정부기관과 토지소유자 모두가 지하공간의 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소유권 경계에 대한 충분한 확실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기준점은 일반 대중이 이해하기에 너무 번거롭거나 복잡해서는 안되며, 기관과 토지 소유자 모두에게 과도한 행정 비용을 초래해서는 안된다. 그러나 명확하지 않은 것은 최초 사용권, 소유권에 대한 책임, 지하 안정성에 필요한 상쇄, 지하수 이동 및 지하 범람에 대한 책임뿐 만 아니라 건설을 위한 입구와 향후 지하공간 이용 등 지하공간 개발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 등이다. 또한 개인이 지상 토지를 소유하지 않고도 지하공간을 소유할 수 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분명히, 그러한 잠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부기관이 추가 세부 사항을 개발해야 한다. <그림 13> 싱가포르 지하공간 소유권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