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6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5 한강하저 슬러리 쉴드 TBM 터널의 가시설 시공 및 시운전시 고려사항 <표 5> 주요 장비검수 내용(계속) 분야항목세부항목사업단 합동 굴착 및 막장관리 커터헤드 ∙ 대기압 상태 디스크커터 교체 ∙ 마모감지 시스템 확인 ◎ 작업자용/자재용 차압실∙ 누기테스트 및 정상 가동 여부 쇄석기∙ 쇄석기 작동 및 운전실 내 조정◎ 전방탐사 ∙ 송신기・수신기 수축/신장 ∙ 게이트밸브 개폐 등 작동 프로브 드릴∙ 드릴머신 작동 및 드릴 홀 정렬 구조물 설치 이렉터 ∙ 회전속도, 회전각도 등 동작 확인 ∙ 진공 테스트 ◎ 세그먼트 공급장치 ∙ 세그먼트 이동 제어 확인 ∙ 종방향 진행, 리프팅 등 확인 ◎ 세그먼트 크레인 ∙ 전진/후진, 상승/하강 등 작동 확인 ∙ 진공 테스트 ◎ 인버트박스 크레인 ∙ 전진/후진, 상승/하강 등 작동 확인 ∙ 인버트박스 고정, 최대중량 테스트 ◎ 순환계통 유압 ∙ 유압펌프 설치 및 작동 ∙ 주요 부품(이렉터 등) 유압 정상 작동 윤활 ∙ 그리스 레벨 모니터링 ∙ 유지보수 관리 등 물/슬러리 순환 ∙ 송니/배니 펌프 확인 ∙ 작업용수 펌프/탱크 확인 압기 ∙ 공기압축기 확인 ∙ 압력공기 제어 확인 전기/신호∙ 조건별 자동잠금 및 데이터 송수신 기타 환기덕트∙ 설치 적정성 확인 피난 챔버∙ 설치 적정성 확인 진원 및 장비위치 실측∙ 커터헤드 및 전통 직경, 이격거리 3.2 시운전 조립 완료 후 실제 굴착 전에 전체 장비가 정확하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운전 기간을 설정하여 확인하였다. 공장, 현장 검수시 장비의 기본적인 작동확인은 시행하지만 모든 장비를 작동해 보지는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 후 반드시 시운전이 필요하다. 시운전 기간동안 발생한 문제를 원인 별로 구분하고 해결 방법을 표 6에 정리하였고, 지체 원인 별 주요 항목 사진을 그림 9에 정리하였다. 가장 많이 발생한 원인 종류는 원인 1로 장비 반입 후 품질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조립하여 가동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경우이다. 이는 부품이 처음부터 불량이거나 운반이나 조립시 파손, 변형되어 문제가 발생된 경우이다. 보통 교체하면 Vol. 25, No. 3 69 해결되는 문제이다. 그러나 재고가 없거나 만들기 힘든 부품인 경우 해결에 장기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원인 2의 장비제조사와의 소통 미비 또는 장비제조사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가 설치된 장비와 다른 경우이다. 이 경우 수정을 위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현장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 생할 수 있다. 현장에서 원하는 방향을 장비제조사가 정책 상 수용하지 못하거나 안전 등의 이유로 거부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당 현장의 경우도 표 6의 번호 7과 같이 Center pot에서의 디스크커터 교체나 디스크커터가 회전하는지 판단하는 DCRM장비의 정비 작업은 Ring building 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져야 장비가 가동되지 못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 나, 장비제조사 본사 정책으로 동시에 못하게 설정되어 있었다. 현장의 의견을 장비제조사 본사로 보내 협의하는데 55일 의 시간이 걸렸다. 그 시간 동안 발생한 굴진을 못한 시간이 상당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충분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고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장비제조사와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원인 1. 장비 반입 후 품질 상태 확인 미비 ∙ 원인 2. 장비제조사와의 소통 문제, 장비제조사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현장에서 재차 확인 필요 ∙ 원인 3. 기타 <표 6> 조립 공종 별 지체 원인 및 대처방안 번호발생 내용 / 대처 방안(소요기간)원인 분류 1 커팅툴 운반 크레인 무부하 시 하강 불가, FAT 시에도 지적한 사항이었으나, 공장에서 수정 없이 현장으로 반입됨/ 기계 정비 후 작동 가능(0일) 3 2 Tail skin spring plate 고정 철물 수량 부족 / 고정 철물이 설치되지 못한 곳은 용접으로 Spring plate 설치 완료, 추가 수량 반입(0일) 1 3커터나이프 오링 품질 불량 / 협력사 보유 제품으로 교체(0일)1 4 Erector frame 개구부를 막기 위한 철판을 장비 제조사로 부터 제공 받았으나, 제공받은 철판과 용접위치 규격 상이 / 크기에 맞게 철판 크기 수정, 설치(2일) 2 5공급 받은 컨버세이터 상태 불량(연결부 균열) / 국내에서 신품 제작후 설치완료(9일)1 6 Stone crusher Hydraulic oil tank 하부에 유압유 응고 침전물이 다량 발견됨 / 침전물 청소 후 새로운 유압유로 교체(2일) 1 7 Center pot door가 열린 상태에서 Ring building 불가 / 장비제조사와 협의하여 제한장치 제거, 동시작업 가능하도록 협의(55일) 2 8Grout A액 탱크 확인을 위한 안전 발판 추가 필요 / 추가 설치(0일)3 9 Cutting tool tube 교체용 장치와 Tube 연결 부분이 연결 되지 않아 연결 부분에 대한 수정 작업을 실시 후 작업 진행, FAT 단계에서 실제 사용 및 확인이 되지 않았던 부분임 / 현장에서 연결 부분을 수정하여 작업 진행(0일) 1 10Slurry pump의 Sealing water pump 가 파손 / 부품 교체(0일)1 11세그먼트 크레인 장비에 설치된 Fuse가 파손되어 교체 후 장비 시험 운행 실시 / 부품 교체 후 장비 가동(1일)1 12Bulk head에 설치된 Manual valve의 누수 현상이 발생 / 신규 Gasket으로 교체(1일)1 13Pump의 bolt hole을 통해서 Slurry 누수 / 볼트로 막음 처리(0일)1 14STP Driving tank 에 설치된 Pneumatic valve 가 정상 작동하지 않음/신품 구매하여 교체(4일)1 15 한국은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나, 장비제조사로부터 제공된 Pump는 유럽 기준인 50Hz로 설정되어 있었음. / Pump impella를 변경 개조하여 pump에 설계된 Frequency 로 구동되도록 조치 완료(5일) 27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5 한강하저 슬러리 쉴드 TBM 터널의 가시설 시공 및 시운전시 고려사항 <표 6> 조립 공종 별 지체 원인 및 대처방안(계속) 번호발생 내용 / 대처 방안(소요기간)원인 분류 16 한파로 인하여 Stone crusher 유압유에 수분이 지속적으로 쌓여 전량 교체 / 쇄석기 전용 유압탱크 세척 후 전량 교체(2일) 1 17Frequency Inverter 고장으로 Invert box crane 작동 불가능 / 신품 교체(21일)1 18 Frequency Inverter 고장에 의한 과전류 및 과열 현상으로 일부 전기 부품이 탐 / 소손기기 모두(Cable, fan, resister 등) 교체(20일) 1 19 당초 Telescopic pipe 연장 압력이 60bar로 설정되었으나, Telescopic pipe연장이 불가능하여 굴진 불가능 / 실제값(80Bar) 확인후 설정값 상향 조정(1일) 2 20 Cutting tool tube 교체용 유압 장치를 구동시키는 power pack에 유압유 냉각 장치가 미흡하여 유압유 온도 상승 / 추가 쿨링시스템 설치 가능 여부 장비제조사 요청 1 21Main discharge slurry line에 설치된 수동밸브의 개폐가 되지 않음 / 신규 제품 교체(1일)1 22다목적 운반 차량 장애물 감지 센서가 일정 환경에서 미작동 / Sensor 교체(87일)1 23Probe drilling port의 Gasket 상태가 불량하여 누수 발생 / Gasket 교체(0일)1 24유압유닛 연결 커플러 파손 / 신규 제품 교체(0일)3 번호 3 - 커터나이프 오링 품질 불량번호 10 - Slurry pump의 Sealing water pump 파손 번호 11 - 세그먼트 크레인 장비에 설치된 Fuse 파손번호 12 - Manual valve의 누수 현상이 발생, 신규 Gasket 교체 <그림 9> 조립 공종 별 지체 원인 별 주요 항목 사진Vol. 25, No. 3 71 번호 14 - Pneumatic valve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신품으로 교체번호 19 - Telescopic pipe 연장압력 실제값(80Bar) 확인 후 설정값 상향 <그림 9> 조립 공종 별 지체 원인 별 주요 항목 사진(계속) 3.3 유의사항 정리 1) 장비 반입 후 품질 상태 확인 미비 : 장비가 공장에서 조립검사 후 해체하여 이동하므로 공장검사가 미비했거나 이동 중 부품의 파손, 변형 등이 발생하여 현장검수나 시운전에서 장비의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 다. 공장검수에서 발견된 문제의 정확한 해결과 현장 반입된 부품을 다시 확인하여 현장 시운전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2) 장비제조사와의 소통 문제 : 이 문제는 수정을 위해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현장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장에서 원하는 방향을 장비제조사의 정책 상 수용하지 못 하거나 안전 등의 이유로 거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에 충분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고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장비제조사와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3) 장비 조립과 시운전 시기가 겨울철로 보온조치가 제대로 되지 않아 유압유가 얼거나 침전물이 발생하여 장비가 작동 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철도나 지하철의 경우 수직구를 굴착하여 지하에서 운영하므로 영향이 없을 수 있으 나, 터파기를 하여 기후에 노출되는 당 현장과 같은 환경에서는 동일한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겨울철 운영시 온 도 강하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미리 고려하여야 한다. 4. 결 론 한강 하부를 통과하는 TBM 터널의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내역과 설계변경 내용, 현장장비검수, 시운전의 세부 과정 과 유의점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국내 도로 분야에서 처음 수행하는 대형 TBM장비를 이용한 공사이므로 기술자들이 미 처 고려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현장장비 검수를 위한 절차, 세부 내용은 이후 발주처의 현장 운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비검수, 시운전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설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크게 장비 반입 후 품질 상태 확인 미비, 장비제조사7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5 한강하저 슬러리 쉴드 TBM 터널의 가시설 시공 및 시운전시 고려사항 와의 소통 문제 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참고하여 향후 TBM장비의 운영초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잘 해결하였으면 한다. 이후 터널 굴진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례가 소개될 것이며 TBM장비를 이용한 터널 기계화 시공 분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Vol. 25, No. 3 73 ∎ 제5강을 시작하면서 국가 및 도시지역의 과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도로, 지하철, 철도와 같은 사회 공공 기반시설은 지상공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지하로 이동하고 있다. 빅데이터 시대에는 3D 데이터가 복잡한 도시 지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상의 공간정보에 비해 지하기반시설의 공간정보, 지하 시설물의 소유권, 지상과 지하기반시설의 상호의존성 등 지하기반시설에 대한 정밀하고 상세한 정보 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하 인프라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3D 지하공간 네트워크를 매핑하여 종합적인 국토 관리에 사용할 필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제5강에는 지하공간 정보화작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기존 지하공간 데이터베이스의 현재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캡처에서 데이터 사용에 이르는 작업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지하공간 데이터 거버 넌스를 위한 지하공간 정보시스템의 프레임워크가 제안되었다. 본 시스템은 지하공간 데이터에 대한 3D 기하학적, 공간적 정보를 기술하고 국토 관리를 위한 지적구획과 연결하기 위해 3D 지하공간 데이터 모델을 도입한다. 또한 사례검토를 통하여 모바일 GPR에 서 새로 수집된 데이터는 3D 모델링을 위해 기존 유틸리티 데이터와 통합된다. 지하공간개발사업의 관리를 위한 새로운 수집된 3D 데이터, 기존의 2D 데이터 및 국토정보의 통합을 모색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서 론 급속한 도시화는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 국토 이용을 최적화할 필요성을 강하게 만든다. 따라서 지상의 매우 제한된 가용 공간 제5강 디지털 지하정보 최신 기술과 과제 Advanced Technology for 3D Digital Underground Information 김영근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 (주)건화 지반터널부 부사장 공학박사/기술사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5강. 디지털 지하정보 최신 기술과 과제 7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에서 세대로 관심이 이동하고 지하 공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지상과 비교하면 지하는 보이지 않는 공간이다. 지하 인프라의 건설 과 유지를 위한 많은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높은 위험에 직면해 있다. 도시 계획에 지하를 포함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은 충분히 완전 하고 정확하며 최신 지하 3D 지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하정보 지도는 아직 널리 사용할 수 없으며, 지상의 공간보다 필요한 데이터 수집이 훨씬 어렵다. 싱가포르는 국가 인프라기반 시설을 지하에 배치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데이터 공유플랫폼인 지오스페이스(GeoSpace)는 싱가포르 국토청(SLA)이 관리하고 정부 기관이 공공사업 서비스를 포함한 싱가포르 지하의 2D 지도를 구축하는 데 사용한다. 그림 1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지역에서 상수도, 하수도, 배수, 통신 및 전력망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예를 보여 준다. 기존의 모든 데이터는 2D 형식으로, 2D 시각화는 지하 유틸리티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림 1>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지역의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예 출처: 싱가포르 SLA, 2018 기존 데이터를 관찰하기 위해 마리나베이 지역의 한 구간을 확대한 것이 그림 2에 나타나 있으며, 서로 다른 전력망 네트워크의 5개 계층을 보여주지만 실제에서는 5개의 다른 전력망 네트워크가 같은 장소와 다른 깊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x, y 값이 동일하므로 수직 공간에서 식별하고 2D로 구분할 수 없다. 기존 데이터는 모두 As-built 데이터로서 지하전력망의 실제 상황을 제시할 것이라고 믿을 수 없다. 그림 2에서 수도관만 지름과 같은 제한된 속성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 고 있으며, 대부분은 2D 지리공간 정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소유자는 기존 유틸리티 데이터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2D 데이터이기도 하다. 적용상의 요구 사항에 따라 일부 데이터 소유자는 3D 데이터를 수집하려고 한다.제5강. 디지털 지하정보 최신 기술과 과제 Vol. 25, No. 3 75 (a) 전력망의 예 (b) 기존 유틸리티 데이터의 속성 <그림 2> 기존 유틸리티 데이터의 문제 출처: 싱가포르 SLA, 2018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캡처하는 동안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유틸리티 조사 표준이 없으면 일부는 기존 조사방법만을 사용하여 파이프라인의 3D 포인트 데이터를 가져와 기존 데이터에 오버레이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 한편, 기존 데이터 모델의 한계로 인해 기존의 2D 데이터와 3D 데이터를 통합하는 것이 어렵다. 업데이트 주기는 6개월에 한 번씩으로 느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틸리티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 모델의 시간 정보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거버넌 스 절차를 개선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일부 문제는 이러한 데이터가 도시 계획, 국토 관리 및 현장 작업에 충분하지 못하게 한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많은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유사한 제약 때문에 지하에 대한 공간적 이해에 불완전하게 만들고 있다. ∙ 지하데이터는 깊이 정보가 완전히 부족하거나 깊이를 독립적인 좌표가 아닌 수평 위치에 대한 속성으로 나타낼 특징일 뿐이다. 또한 깊이 정보는 접근 가능한 맨홀과 같은 제한된 위치에서만 측정된 깊이로 특정 지표면에 대한 깊이를 나타내는 것인지 항상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모호할 수 있다. ∙ 지하데이터가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지, 다른 준공 상태를 나타내는지, 아니면 설계 상태를 나타내는지는 알 수 없다. 게다가, 기하학 적 정확성과 완전성은 미지의 영역입니다.기술강좌 시리즈: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과 대심도 지하인프라 구축 제5강. 디지털 지하정보 최신 기술과 과제 7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속성 정보(예: 직경, 재료, 설치 날짜)의 대부분이 제공되지 않거나 적절한 수준의 세부 정보를 나타내지 않는다. ∙ 지하개발사업의 데이터와 의미 정보를 정리하는 기준이 부족해 데이터 공유와 공유 데이터 이용에 지장을 주고 있다. 지하정보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3D 데이터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싱가포르 ETH 센터와 취리히의 지리정보 부서는 디지털 지하라는 이름으로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초기 목표는 관련 지하 구조물(지하차도 또는 터널)의 통합되고 완전한 3D 지도를 도출하기 위한 로드맵과 데이터 모델 및 개념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하 유틸리티 매핑을 위한 실제 사례를 수집하는 것은 프로젝트 내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그림 3은 3D 지하 유틸리티 매핑을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워크플로우를 설명한다. 데이터 캡처에서 최적의 지하 조사 접근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조사 기법(예: GPR 등)을 검토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새롭게 수집된 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어야 한다. 지하공간 정보의 개선은 지하 3D 유틸리티 맵의 기본 개념으로서 지하 유틸 리티의 3D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개발되어야 한다. 데이터 캡처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개선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캡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네 가지 단계를 체계화하기 위해서 는 데이터 거버넌스의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하나는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서로 다른 역할과 커뮤니케이션을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이며, 다른 하나는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모델로,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독립적인 지오데이터의 구조 와 내용을 설명하는 개념적 모델이다. 이는 기하학적 정보의 제시, 데이터 품질 관리 및 다양한 응용을 위한 표준을 제공할 것이다. <그림 3> 지하공간 데이터 매핑의 워크플로우 출처: 싱가포르 SLA, 2018제5강. 디지털 지하정보 최신 기술과 과제 Vol. 25, No. 3 77 본 고에서는 데이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와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모델의 설계에 중점을 둔다. 지하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법적 준수, 효율성 및 복원력을 보장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3D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는 소유권과 운영을 밝힐 수 있다. 지하공간 데이터 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하공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충분하고 일관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엔지니어링 관행 과 매핑 분야 사이의 격차를 메울 필요가 있다. 한편, 기존의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해결책을 찾고 새로 수집된 데이 터와 통합해야 한다. 여기서 지하 유틸리티와 동일한 3D 데이터베이스에 결국 표현되어야 하는 다른 지하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하여 지하 유틸리티에 초점을 맞춘다. 이 작업은 국토 관리를 위한 지하 유틸리티 측량과 데이터 거버넌스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검토한다. ∙ 데이터 캡처에서 사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와 역할을 구성한다. 서로 다른 역할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작업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역할(예: 데이터 생산자, 소유자 및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 역할에 따라 데이터 액세스, 변경, 삭제 또는 추가 권한이 다르다. 이러한 사용 권한은 관리적으로 정의 및 유지되어야 한다. ∙ 지하 3D 지도를 구축하고 업데이트하려면 다른 유형, 품질 및 소스의 데이터 세트를 통합해야 한다. 데이터는 GPR 또는 센서를 사용하는 등 최근 조사에서 비롯될 수 있다. 맵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는 또한 다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파생될 수 있다. 이러한 통합을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처리하고, 각각의 데이터 품질을 정량화하고 적절하게 고려해야 한다. ∙ 지하 데이터는 관련 정보의 손실 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최종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3D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획득에 대한 관련 연구내영을 소개하고 일부 국가 또는 지역의 국토 관리를 위한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거버넌스를 검토한다. 또한 데이터 거버넌스에 대한 위의 문제를 해결하고 3D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모델의 설계를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그리고 GPR 기반 데이터 수집에서 3D 시각화에 이르는 작업 프로세스를 다루는 싱가포르 사례 연구를 간략 하게 검토하였다. 2. 관련 기술 검토 2.1 3D 지하 유틸리티 데이터 수집 기술 지하 유틸리티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는 비파괴 기술을 사용하여 지하 유틸리티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지상 매핑 보다 더 어렵다. 측량을 위한 확립된 접근법(예: 사진 측량, 레이저 스캐닝, 측점 위치 시스템)은 계측기와 측정할 지점 사이 또는 이러한 지점과 위성 사이의 명확한 가시선을 필요로 한다. 이는 지상 유틸리티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반면, 지하 유틸리티 네트워 크는 시공중에 노출된다. 일부 특별한 경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면 지하 유틸리티 내부에서 그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 유틸리티의 검출, 위치 및 식별을 포함하는 지하 유틸리티 매핑에는 굴착 없는 접근법이 필요하다. GPR 또는 전자기 로케이터와 같은 지구물리 탐사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 기반 시스템은 특정 유틸리티의 궤적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표 1에는 지하 유틸리티 매핑에 사용되는 기술과 정확도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가 정리되어 있다. GPR을 사용한 위치 지정에는 수동 처리가 필요하므로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수평 또는 깊이 측정 정확도에 대해 언급하지 않지만 PAS128과 같은 측량 표준은 GPR에 대한 몇 가지 정확성 지표를 제공한다. PAS128에 따르면 파이프 케이블 로케이터(PCL)와 GPR 중 하나를 사용할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