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최신 터널 뉴 스 12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 본격 착수 5월 17일, DL이앤씨 컨소시엄이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 연내착공 목표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5월 17일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 실시설계 적격자로 DL이앤씨 컨소시엄이 선정 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입찰공고 이후 DL이앤씨, 롯데건설 및 포스코이앤씨 등 총 3개 컨소시엄이 입찰에 참여하였으며, DL이 앤씨 컨소시엄은 터널 본선 외에 남해군 북측으로 추가적인 연결로를 설치하는 설계를 제안하여 가장 높은 기술점 수를 받아 실시설계 적격자로 최종 선정되 었다.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사업은 전라남도 여수시 신덕동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까 지 영호남을 연결하는 총 8.085km(해저터 널 5.76km)의 4차로 국도를 신설하는 사업 으로 국비 6,974억원이 투입된다. 해저터 널이 개통되면 여수~남해 간 이동시간이 1 시간 30분에서 10분으로 대폭 줄어들고, 여 수시와 남해군의 산업· 관광자원이 유기적 으로 결합되어 지역의 경제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사업은 연내 착공을 목표로 즉시 상세설 계에 착수할 계획이며 이후 8년간의 공사를 거쳐 2031년에는 해저터널이 개통될 것으 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 이용욱 도로국장은 “이 사업은 영· 호남을 연결하는 상징적 사업으로 지역 간 화합과 서남해안 관광벨트 조성에 마중 물 역할을 할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면서, “계획일정에 맞게 해저터널이 개통될 수 있 도록 공정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 안전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피면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남해-여수 위치도]Vol. 25, No. 2 129 ▨ 강릉~제진 단선전철 건설공사 (제1공구) 1. 개 요 1.1 사업 목적 ∙ 남측 단절구간의 강릉~제진 구간 철도건설로 남북철도 및 유라시아 대륙철도망(TSR, TMR, TCR 등)을 연결하여 남북 간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함. ∙ 강릉권과 속초권을 연결하는 철도교통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관광을 활성화하고 지역 균형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 하고자 함. 1.2 사업 개요 ∙ 사업 구간 : 강원도 강릉시 박월동 ~ 교동 일원 ∙ 공사 기간 : 64개월 ~ 73개월 ∙ 개통 연도 : 2027년 예정 ∙ 사업 규모 : 연장 7,412.58m (토공 2,460.16m, 교량 2개소(1,820.00m), 본선터널(3,096.42m) 개착BOX(36.00m), 강릉정거장 및 기타 부대시설 1.3 사업 추진경위 ∙ 2020. 04 : 남북교류협력사업 인정(4.23, 교추협), 예타 면제 결정(4.24 기재부) ∙ 2020. 05 :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KDI) ∙ 2020. 12 : 기본계획 고시 및 대형공사입찰방법 심의 ∙ 2021. 03 : 설계· 시공 일괄입찰(T/K) 공사(제1 · 2 · 4 · 9공구) 입찰공고(3.16) ∙ 2021. 08 : 기타공구 3 · 5 · 7 · 8공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발주 국내사업 편집위원 : 전병한(LT삼보(주) 기술연구소)13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 2021. 08 : 1 · 2 · 4공구(T/K)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 2021. 10 : 기타공구 3 · 5 · 7 · 8공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착수 ∙ 2022. 04 : 설계VE 시행 ∙ 2022.04 : 설계자문 시행 2. 사업 내용 이 사업은 동해안축의 미 연결된 구간에 간설철도를 건설하는 것으로, 시점은 남강릉 신호장으로 경강선 종점 정거장 인 강릉역과는 7.99km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종점은 남북 철도연결 사업으로 2006년에 건설된 제진정거장이다. [강릉~제진선 전체노선도] [1공구 노선도]Vol. 25, No. 2 131 국내사업 노선은 사업적정성 검토 노선 축을 기본으로 주변현황과 관련기관 및 지자체 의견을 수렴하여 열차의 고속운행과 남북 대륙물류의 수송이 최적화되도록 계획하였다. 정거장은 수송수요 예측 결과 및 이용객의 접근성, 장래 열차 운행계획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여객열차의 고속화와 화물열차의 수송 능력 향상에 부합된 시설계획과 장래남북 관계 개선을 통해 증가하는 화물수용수요 및 선로용량 증대방안을 고려하였다. 사업의 총연장은 111.74km로 토공 41.74km, 교량 19.82km, 터널 50.45km이며 강릉역 전후 상가 및 주거밀집지역 통과를 배제하기 위해 강릉역 하부를 통과하고 설악산국립공원을 우회하는 노선을 채택하였다. 노선은 총 9공구로 분할되어 시공되며 2027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사업 시점부에 해당하는 제 1공구(강원도 강릉시 박월동 ~ 교동 일원) 공사의 설계 중점사항을 위주로 소개하고자 한다. 2.1 선형 설계 평면 및 종단선형은 열차 운영시 운전시격, 표정속도 등 운전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건설비, 운 영비, 유지보수비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선형계획이 필수적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사업 시점부의 완화곡선 이 미설치된 R=600m의 평면 곡선을 개량하여 설계속도를 향상 시켰으며 농경지 통과구간을 기존선과 이격시켜 시공 중 열차운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연약지반 통과구간을 최소화시켰다. 또한 종점구간은 곡선반경 확대 및 완화곡선을 설치 하여 열차운행 효율성을 향상하였고 민가, 지장물 및 정온시설의 이격거리를 확대하였다. 또한 강릉터널 구간의 평면곡 선저항을 고려한 최급기울기를 14.5%로 설치함으로써 설계속도를 V=150km/h로 향상하였으며 인근 하천(남대천) 하부 통과 이격거리를 추가 확보하였다. [강릉~제신선, 경강선 고속화][기존선과 이격] [노선 종단도]13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터널구간 최급기울기 완화 및 하천 이격거리 확보][완화기울기구간 내 경사갱 접속부 설치] 2.2 정거장 설계 정거장은 구조물의 안전성, 이용객 편의성 및 지하공간의 개방감이 확보될 수 있도록 기둥을 배치하였으며, 일반철도 의 경우에는 대기인원이 적고 대심도 정거장임을 감안하여 엘리베이터 중심의 이동동선을 계획하였다. 또한 2방향 피난 로 확보를 위해 승강장 종점부 특별피난계단을 별도 설치하고 제연시설 가동에 의한 소음 및 부유분진 내부 유입을 차단 하기 위해 풍도 및 본선 환기실을 승장강 종점부로 변경 설계하였다. [기존 설계][변경 설계] 2.3 터널 설계 터널구간은 지체구조가 복잡한 옥천습곡대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보화강암이 기저를 이루고 있고 남대천 일대 하곡평야 및 도심지를 통과한다. 통과구간의 지층은 대부분 토사 및 풍화암으로 하천하부도 통과하여야 함에 따라 본선 구간은 쉴드TBM공법, 정거장 구간은 NATM공법을 적용하였다. 단선터널로 종단선형은 -14, -145, -2, +2%, 연장은 본선구간 2,654m, 정거장터널 구간은 442m, 통합기지갱 3개 소로 설계되었다. 본선 단면은 쉴드 TBM 시공오차를 반영하여 공동구 규격 및 대피로를 확대하였으며 정거장터널 단면Vol. 25, No. 2 133 국내사업 은 배선계획 단순화를 고려하여 터널 단면을 통합하고 전 구간 인버트를 설치하였다. 본선 및 정거장 구간의 표준단면 및 제원은 다음과 같다. [터널 종단도] [본선터널 표준 단면] [제원] 단면형상원형 건축한계6,450×4,200mm 시공오차100mm R.L~천단높이6,704mm 인버트설치 비상대피로1,000mm 공동구600×200mm 측방 배수관(비배수터널) 주 배수관(비배수터널) [정거장 확폭터널 표준 단면] [제원] 단면형상5심원 건축한계6,450×4,200mm 시공오차5,500mm R.L~천단높이7,742mm 인버트설치 비상대피로1,000mm 공동구600×200mm(양측) 측방 배수관Φ150mm(양측) 주 배수관Φ300mm(양측)13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프로젝트소개 [정거장 2Arch터널 표준 단면] [제원] 단면형상2Arch 건축한계6,450×4,200mm 시공오차5,500mm R.L~천단높이7,379mm 인버트설치 비상대피로- 공동구- 측방 배수관Φ150mm(양측) 주 배수관Φ300mm(양측) 강릉정거장 하부를 거쳐 개착정거장과 연결되는 구간은 정거장 말뚝 하부를 통과하도록 선형이 계획되어 있어 고성능 세그먼트(60MPa) 적용 및 Φ216mm의 초대구경 수평강관 그라우팅 보강을 통해 터널과 말뚝과의 거리를 1.0m이상 이격 시킴으로써 굴착에 따른 정거장 및 상부 교량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초대구경 수평강관 그라우팅][고성능 세그먼트(60MPa)] 2.4 가시설 설계 가시설 구간은 교량기초, 터널시점 갱구부 및 정거장 본선환기구#1으로 지층 조건, 굴착 심도, 지하수위 등을 고려하 여 교량기초 구간은 Sheet pile 및 합성 Sheet pile공법으로 터널시점 갱구부 및 정거장구간은 H-pile+강재 토류판, 토 류벽 콘크리트 및 CIP공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지보공법은 공사기 및 굴착심도에 따라 강관버팀보 또는 H-형강 버팀보 공법으로 계획하였다.Vol. 25, No. 2 135 국내사업 [교량기초][터널 갱구부][강릉정거장][본선환기구#1] 3. 기대효과 이 프로젝트는 강릉과 제진 구간의 단절된 철도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남북철도 및 유라시아 대륙철도망을 연결하여 남북간 상생발전을 도모하고 강릉권과 제진권 철도연결로 지역 균형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172만 명 이용객의 발이 되어줄 것이다. 정밀 지반조사를 바탕으로 최적 설계가 이루어진 만큼 이를 바탕으로 안전하고 원활한 시공을 통해 2027년 개통이 이루어져 사업 목적을 달성하기를 기원해 본다. 참고문헌 1. 국가철도공단, 계룡건설산업(주)(2022), 강릉~제진 단선전철 제1공구 건설공사 실시설계보고서(1/3) 2. 국가철도공단, 계룡건설산업(주)(2022), 강릉~제진 단선전철 제1공구 건설공사 실시설계보고서(2/3) 3. 국가철도공단, 계룡건설산업(주)(2022), 강릉~제진 단선전철 제1공구 건설공사 실시설계보고서(3/3)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13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1 WTC 2026 개최지 캐나다 몬트리올로 결정 (18 May 2023) ∙ WTC 2024 - 주제 : Tunnelling for a Better Life - 일시 : 2024.04.19.~25. - 장소 : Shenzhen, 중국 - 웹페이지 : https://www.wtc2024.cn/ ∙ WTC 2025 - 주제 : Tunnelling into a sustainable future - methods and technologies - 일시 : 2025.05.09.~15. - 장소 : Stockholm, 스웨덴 - 웹페이지 : https://www.wtc2025.com/ ∙ WTC 2026 - 주제 : Connecting Communities through Underground Infrastructure - 일시 : 2025.05.15.~21. - 장소 : Montr éal, 캐나다 - 웹페이지 : 미정 - 기타 : 남아프리카공화국 Cape Town을 33:16으로 누르고 개최지 확정 편집위원 : 박준경(대림대학교 교수)Vol. 25, No. 2 137 2 ITA 49th General Assembly & WTC 2023 (12~18 May 2023) 지난 5월 12일에서 18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세계터널학술대회 및 제49회 ITA-AITES 정기총회가 개최되었다. “Expanding Underground Knowledge & Passion to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 World”라는 주제로 Hybrid 행사로 기획되어 세계 각국에서 2,000여명이 현장에 참석하였고 온라인으로도 100여명 이상이 참석하였으며, 우리 학회에서도 김낙영 회장을 비롯하여 50여명의 회 원이 현장에 직접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터널 위상을 드높였다. 3 New ITA Vice-President (18 May 2022)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된 제49회 ITA-AITES 정기총회에서 그리스의 Mr. Ioannis Fikiris가 2023-2025 기간의 새로운 ITA 부회장으로 추가로 선출 되었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