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18 æ"* ÇÇ æ ÂG"* Àìæ "*À"* "*À "* "*êì"* ìè "*ì æÀì <ÒþÂ>7PM /P 19 /"5.Ì4% Àþ ì ó ä Ì óì  æ45(À ÒóÀ À VWJ;33##### Ì20 45( 45( 45(Ì Ì ÌÌÀ ÒæÌ ÇÀì 3PMMJOHÀ ì3PMMFS ÌÀ ÁÁÀÌ ÀÀ 45( :4 .1B:4 .1BÌ :4 :JFME 4USFOHUIÀ Ì Ì ì À 7PM /P 21 ,4 % Ì Ì G45( ü ,4 ,4 % Ì Ì 45( ü $4J.O14 45( Ì /NN Ì /NN B Ì /NN Á % ä ) % 45(%% B NN ÀÀ &1% &OWJSPONFOUBM 1SPEVDU %FDMBSBUJPO 45(22 45( óó Ò Àææ(4&&%À æÀ À 45( ÀÀ ÒÀ Ò('31Ì ìÀì óÏ À À _À % üÀ 4% üÌ .1B NNÌÀ .1B À À% %NNNNU À ÀNóLH óLHÀ À À óìü Ìæ7PM /P 23 45( 4%45( NN NN NN NN LHGN L/ ÀÀ 後先 Àæ ìÀ ìì 8$ó Àó ÌÀ ÀÀ ÀìÀ BC 24 45( Ì ÀÒ À ìì ÀNN Àì 45( 45( _ÀüÀ ìäó ÌÀÌ óÀ NóÀ_óÀ Ì À æÀÌ ìÒæ ÀÀÌÍ ìÁÒ 7PM /P 25 ÒÒ Àü ÀóÀ Ò æ ì Âèù æ Ì Ì Ì41Ò  7PM /P QBHF ÀÌ 7PM /P QBHF 45(Ì ÌÌ 7PM /P QBHF ÁÒ æÒÒ QBHF <ÒþÂ>2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2 1. 머리말 최근 다짐이 매우 어려운 지중관로의 뒤채움이나 터널배면 충진에 높은 유동성으로 자기충진 및 자기다짐이 가능한 유동성 채움재(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유동성 채움재(CLSM) 는 현장 발생토를 활용하거나 플라이애쉬 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유동성 및 강도조절 특성을 갖는 지 반재료로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많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콘크리트 학회에서는 CLSM을 시멘트, 물, 골재와 플라이 애쉬 등으로 이루어진 압축강도 8.3MPa 이하의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정의하고 있으며, 재굴착을 위한 CLSM은 2.1MPa 이하의 강도를 요구하고 있다. 재굴착을 위한 CLSM은 장기적으로 강도발현이 억제되어 재굴착이 가 능하여 추후 보수 및 다른 지중 매설물의 시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중관로의 폐관에 있어서 기존 관로는 신규 관로의 설치를 위해 제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기존 관로와 인접 또는 교차하는 다양한 관로의 영향에 의해 그대로 폐기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 기존에는 기포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폐관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기포콘크리트의 시공기간이 길고,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압송거리가 짧으 며, 충진 불량 및 충진 이후 기포꺼짐과 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등 다양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최 근 유동성 채움재(CLSM)이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GPR에 의한 도로하부 공동탐사 후 발견된 공동에 대해 별도의 굴착없이 속경형 고유동 채움재를 이용한 공동복구 방법이 널리 확산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기사에서는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유동성채움재(CLSM)를 이용하여 기존에 일반적으로 지중관로의 폐관에 고유동 속경형 채움재를 이용한 지중관로 폐관 시공사례 소개 한진규 (주)케미우스코리아 이사Vol. 24, No. 4 27 사용되는 기포콘크리트를 대체하여 시공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표 1> 속경형 고유동 채움재를 이용한 지중공동 복구(서울시, 2018) 2. 고유동 속경형 채움재 2.1 사용재료 고유동 속경형 채움재에는 국내 B화력 발전소의 플라이 애쉬와 비정질 C 12 A7과 β-C2S로 이루어진 산업부산물인 환원 슬래그가 주요재료로 사용되었다. 여기에 유동특성 개선을 위한 계면활성제와 블리딩 방지를 위한 유기 및 무기증점제 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플라이애쉬와 환원슬래그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채움재는 다량의 판상 결정을 만들며 경화하여 높은 물-재료비에서도 블리딩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강도증진을 억제 한다(그림 1). <표 2> 플라이애쉬와 제강환원슬래그의 물리·화학적 특성 화학조성(%)물리적 특성 SiO2Al2O3Fe2O3CaOMgOSO3Na2OK2OLOI 비표면적 (㎠/g) 밀도 (g/㎤) 플라이애쉬59.419.25.78.42.80.30.030.122.03,7802.32 환원슬래그13.729.40.952.60.40.80.050.18-5,3202.89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