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18 æì _À Á ì ÀÀ À ÁÁ  æ 5%3 Ò5%3 5%3À Âó Ç Â(*4 Áó7PM /P 19 Ç5%3 5%3 5JNF %PNBJO 3FGMFDUPNFUSZ  ÇÒ&MFDUSJD 'JFME ÀóÏ B5%3C 5%320 DE 5%3 5%3Ò Ä 9Ç5%3 9LN N 9 9 9LN DNÂüÀ 9 9 5%3 9 B 5%3C 5%3D 5%3 ÇÇ É 4UBUJD UISFTIPMEJOH"*É %ZOBNJD UISFTIPMEJOH É 4UBUJD UISFTIPMEJOHÌ ÉóÉ %ZOBNJD UISFTIPMEJOH Ò("/ (FOFSBUJWF "EWFSTBSJBM /FUXPSLTÇ ó.*5ÒÉ1PJOU "OPNBMZ ÒÀ $PMMFDUJWF "OPNBMZ Çó7PM /P 21 -45. -POH 4IPSU5FSN .FNPSZ"3*." "VUP3FHSFTTJWF *OUFHSBUFE .PWJOH "WFSBHF BC 5BE("/D "* Ò (*4 À À (*4Ò 22 ê ä LN ê Âêê  Ҡê ê BêC êD Ò ÒêóÀ G ê G ê G G G G ÀNNê6MUSB )% , ÀÀÀ NN-&% Ò8À 7PM /P 23 ê$// $POWPMVUJPOBM /FVSBM /FU XPSL*NBHF 3FDPHOJUJPO /"4 /FUXPSL "UUBDIFE 4UPSBHFÀ Ò À ê ê Òê ìê êêÀì êêê  êÇì  ÒÒÒ ê ì Àì 24 À 13 ÇÒ 13 êê <ÒþÂ>Vol. 24, No. 2 25 기술기사 1 1. 서 론 1.1 제정취지 및 배경 국내 노천 및 도로발파 시 진동·소음 민원해소와 원활한 공사를 위해 2006년도에 [도로공사 노천발파 설계· 시공지 침]을 제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발파에 대한 지침 부재로 터널발파 설계기준, 현장 관리기준이 발주기관별 별도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관련기관(환경부, 지자체, 경찰청, 사업단 등)의 각각 해석과 민원대처 기준이 모호하여 사고발생과 사람들의 불신, 불안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터널발파 시 진동과 소음으로 인근 주민들의 정신적 불안감과 건축물 균열 등의 피해로 시공자와 주민간의 갈등증폭과 사회적 비용발생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터널발파 시 보안물건에 대한 발파진동 허용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발파진동 기준(예를 들어, 문화재, 조 적식 건물, RC골조 등 구조물 안전에 초점을 맞추어 규정)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파진동이 허용치 이내로 전달되 면 건축물은 안전하다고 볼 수 있으나,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은 진동에 불안감을 느껴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 다. 또한, 터널발파 설계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터널발파와 성격이 다른 [도로공사 노천발파 설계· 시공 지침]을 기 준으로 발파패턴(화약량, 천공길이 등)을 설계함으로써 터널발파 진동의 정확한 예측, 안전발파 설계 및 공사비 산출에 모순이 발생하고 있다. 그림 1은 노천발파와 터널발파의 개념 및 방법을 나타낸다. 터널발파 설계‧ 시공 잠정지침(안) 제정에 관하여 이태노 (주)성보지오텍 대표이사 김선홍 (주)성진이엔씨 대표이사 임대규 (주)대영지오 발파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이헌구 (주)미래이엔씨 사장 최형빈 High ENC 대표2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기술기사 1 터널발파 설계· 시공 잠정지침(안) 제정에 관하여 발파 패턴도발파모습발파 패턴도발파모습 (a) 노천발파(지상 암반층 발파)(b) 터널발파(지하 암반층 발파) <그림 1> 노천발파와 터널발파의 개념 및 방법 또한, 터널발파 공사에 대한 시공관리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터널발파 후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 발파 시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부재로 시공상의 혼선과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발파작업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터널발파 후 발 파효율과 지상에서 측정된 발파진동을 상호분석할 수 있는 전문인력과 관리체계에 대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파진동· 소음 계측기준에 대한 표준이 부재하여 계측방법과 현장여건에 따라 계측값이 상이하고 시공자 편익 위주 관리로 인해 끊임없는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그림 2는 터널 발파공사 시공관리 및 피드백 과정을 보여준다. (a) 발파작업 검증(b) 발파결과 분석(c) 건축물 진동· 소음측정(d) 전문가 분석 <그림 2> 터널 발파공사 시공관리 및 피드백 과정 따라서 발파진동· 소음에 의한 민원을 최소화하고, 터널공사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터널발파에 적합한 소음· 진 동 기준 정립이 필요하며 발파공사에 대한 환경과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 시공 중 관리를 위한 지침제정이 요구되 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도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관으로 추진되고 있는 [도심 지하 교통 인프라 건설 및 운영 기술 고도화 연구 사업]의 R&D 활동을 통해 [터널발파 설계· 시공 잠정지침: 이하, 터널발파 지침]을 제정하고 후속적으로 건 축물과 인체의 특성별 진동 감응도를 고려한 위험도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터널발파 진동에 대한 기준과 감시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Vol. 24, No. 2 27 1.2 터널발파 지침 제정 경과내용 그동안 터널발파 지침 제정을 위해 터널발파 설계와 시공에 대한 관계기관 의견수렴과 자문위원의 검토에 대하여 그 동안 진행된 경과를 보면 표 1과 같다. <표 1> 터널발파 설계와 시공에 대한 관계기관 의견수렴과 자문위원의 검토 경과 일자진행내용의견수렴 및 검토 주체 20.03.29터널발파 지침제정 계획협의 및 착수국토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집필진 20.05.01터널발파 지침제정 공동 집필진 구성터널발파 전문가 5명(화약류관리기술사) 20.05.21터널발파 지침 제정계획 보고국토교통부 도로국 20.06.18대한화약발파공학회 의견수렴학회장 및 임원진 20.06.25한국화약류관리기술사회 의견수렴회장 및 임원진 20.06.30지침제정 추진 경과보고국토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단 20.11.10지침내용 서면자문 및 보고관련학회 회장(3명), 관련학과 교수(4명),화약발파기술사회(1명), 전문가(4명) 총 12명 21.03.17지침내용 의견수렴 및 조치사항터널 및 발파 전문가(14명) 21.04.14국토교통부 의견수렴국토교통부 도로국, 철도국 21.06.01관련학회 및 정부기관 추가 의견수렴국가철도공단, 한국도로공사 외(7개 기관 및 학회) 21.07.13정부기관 추가 의견수렴국가철도공단, 부산광역시 21.08.잠정지침(안) 최종자료 정리국토교통부 도로국 22.04.14잠정지침(안) 경과 및 계획 보고국토교통부 도로건설과 2. 지침내용 주요골자 터널발파 지침 제정작업은 2020년 3월에 착수하여 약 17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회에 걸친 정부기관, 관련학회 및 전문가들의 의견수렴과 토의를 통해 최종 안을 도출하게 되었다. 터널발파 지침은 총 4장 18조 4개의 별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골자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터널발파 설계· 감리· 시공관리 주체) 터널발파 설계와 시공관리 절차서를 만들고 건설기술용역사업자, 발주청, 건설사업자,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범위를 명확히 설정하여 각각의 책임과 권한을 부여 하였다. ②(터널발파 진동 예측식) 국내 터널현장에서 수집한 1115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널발파 진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터널 발파진동추정식 을 제시하여 발파설계 과정에서부터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발파진동을 예측하도록 하였다. ③(터널발파 진동 기준) 터널발파 시 건축물의 안전성 확보와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터널발파 진동기준을 강화하여 제정하였으 며, 발파 전문가에 의한 터널발파 패턴도 작성을 명문화 하고, 발파진동 영향검토를 사전에 실시하도록 하였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