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8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왜냐하면, 우리보다 훨씬 일찍 터널공사를 시작하여 기술이 앞섰다고 자부하는 일본에서조차도 Seikan 해저터널 공사 시 붕락사고로 인하여 약 23km에 이르는 해저부 터널 전체가 해수에 잠기는 대형사고가 발 생하여 33명이 사망하는 커다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커다란 손실을 초래하고 재공사로 인하여 공사 기간도 무려 24년이 소요된 예가 있기 때문에 아무리 시공 관리를 철저히 한다고 하 더라도 예기치 못한 사고가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하 ‧ 해저 터널에서의 NATM공법에 의한 시공은 상당한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인 생각으로는 이러한 조건에서는 어느 정도 공사비 증가가 예 상되더라도 안전에 좀 더 가치를 부여하여 Shield TBM공법과 같은 기계식 굴착공법을 적용하는 것이 최선 의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과거 우리 경제가 지금에 비해 어려웠던 시절에는 한 푼이라도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공 사비가 저렴한 NATM공법을 적용하였으나 우리 경제도 이제는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에 접어들어 명실공히 선진국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하 ‧ 해저 터널공사에서 만큼이라도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생각하여 Shield TBM 공법과 같은 기계식 굴착공법을 필히 적용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해외사례를 보더라도 특수한 사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나라에서 하 ‧ 해저 터널에서는 Shield TBM공법 을 적용하고 있고 심지어는 우리보다 경제력이 훨씬 떨어지는 베트남에서도 조건이 열악한 터널 공사에서 는 Shield TMB공법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발 더 나아가 하 ‧ 해저 터널뿐만 아니라 도심지 터널 공사에서도 발파로 인한 소음 ‧ 진동 민원과 지하 수위 저하로 인한 피해를 고려하여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Shield TBM공법과 같은 기계식 굴착공법을 적용 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기술 발전에 따라 TBM장비 및 세그먼트의 생산단가도 떨어짐에 따라 NATM공법과의 공사비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특히 Open TMB공법 사용 시에는 지반조건 및 상부 보완물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오히려 NATM공법 보다 공사비가 저렴해지는 사례도 있다. 따라서 향후 터널 공사 시에는 하 ‧ 해저 터널과 같은 악조건이나 도심지 터널 공사 등에서는 지금과 달리 안전과 민원 및 지하수와 같은 지하 부존자원 보존을 고려하여 Shield TBM공법과 같은 기계식 굴착공법을 적극적 으로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례로 조만간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될 예정인 GTX-A Line의 경우 하저구간인 한강통과 구간은 Shield TBM공법을 적용하여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고려하였으며, 서울 시내를 통과하는 도심지 구간에서 는 Open TBM공법을 적용하여 안전과 소음,진동 민원을 최우선 가치로 고려하여 계획하였다. KRTC 한 석 희제2강.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Vol. 21, No. 3 9 싱가포르의 경우 2004년 니콜하이웨이 지하철 붕괴사고 이 후에 지하공사에서의 리스크 및 안전관리를 가장 엄격하게 시행 하고 있으며, 영국의 건설관리 및 안전관리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여 노동부(MOM)와 교통부(MOT)를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기준을 제정하여 이를 프로젝트에 의무적으 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지하건설공사(Underground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Risk and Safety Management in Underground Building Works in Singapore 김영근 (주)건화 기술연구소 소장/공학박사/기술사 Code of Practice and Guide on Risk Management in Singapore (WSH Council, 2011) Managing Safety& Risks and Construction Safety Handbook (LTA, 2012)10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Building Works, UBW)에서의 리스크 관리는 설계 및 시공단계 를 포함하여 전 과정에서 철저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고는 싱가포르에서의 리스크 및 안전관리에 대한 전반적 인 지침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WSH(보건안전위원회)의 리스크 관리 실무코드와 LTA(국토교통청)의 리스크 관리기준과 안전관 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I. 리스크 관리 실무코드(Code of Practice on Risk Management, RMCP) 싱가포르 MOM(Ministry of Manpower, 노동부)산하 WSH (Workplace Safety and Health Council, 작업장 보건/안전 위 원회)는 싱가포르내 모든 작업장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리스크 관리실무코드를 제정하여 이를 법적으로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관련 법규는 다음과 같다. WSH(Risk Management) Reg.4 : 발주자 및 사업자는 사업 장에서의 업무 수행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예측 가능한 리스크를 제거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리스크를 제거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경 우, 발주자 및 사업자는 a)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조치와 b) 리스크를 위험을 통제하기 위한 안전한 작업 절차를 실행해 야 한다. 리스크 제어 조치에는 그림 1과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1. 제거, 2. 대체, 3. 엔지니어링 제어, 4. 관리 제어, 5.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의 제공 및 사용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WSP에서 제정한 리스크 관리 실무코드(RMCP) 를 중심으로 리스크 평가방법과 절차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고 자 한다. 1. 목적과 개요(Purpose and Overview) 본 실무코드(RMCP)는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RM) 를 구현하기 위한 최소 요건과 의무를 확립하고, 그 구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무코드(RMCP)는 공사장 안전보 건(Workplace Safety and Health, WSH)법에 따라 적용되는 싱가포르의 모든 공사장에 적용된다. 본 실무코드(RMCP)는 다 <그림 1> 리스크 제어<그림 2> 리스크 관리Vol. 21, No. 3 11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른 산업들이 서로 다른 리스크 인식을 가지고 있고 안전과 보건 의 유사하거나 더 나은 표준을 달성하는 대체 수단이 있다면 이 를 실현하는데 있어 유연성을 위한 여지를 허용한다. 본 실무코드(RMCP)는 산업계 전반에서 모범적인 실무사례 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을 제공하기 때문에 본 실무 코드(RMCP)의 사용자는 권장 방식을 채택할 것을 강력히 추천 한다. 공사를 수행하기 전에 리스크 평가(Risk Assessment, RA)를 완료하는 것은 리스크 관리 규정에 따른 요건이다. 리스크 관리(RM)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그림 3). • 준비(Preparation) • 리스크 평가(Risk Assessment) • 실현(Implementation) - 확인된 위험요소의 구체적인 소통과 컨트롤 포함 • 기록 보관(Record-Keeping) 리스크 평가(RA)는 리스크 관리(RM)의 구성 요소로, 세 가지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 리스크 평가(Risk Evaluation) • 리스크 컨트롤(Risk Control) 2. 일반 요건(General Requirements) 새로운 공사가 시작되기 전에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고 리스 크 관리조치를 실행해야 한다. 2.1 발주자(Employer) 1) RA가 공사장 활동과 관련된 리스크에 대해 수행되는지 확인 한다. 2) 공사장에 대해 예측 가능한 리스크를 제거하기 위해 합리적 으로 실행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 3) 리스크 제거가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하지 않은 경우, 공사장 에 다음과 같은 고려 순서에 따라 리스크 컨트롤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한다. <그림 3>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Risk Management Process)12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 대체 • 엔지니어링 제어 • 관리 제어 •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의 제공 및 사용 4) RM 및 RA팀이 권장하는 리스크 컨트롤 이행을 지원한다. 5) RM 리더는 확인된 리스크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구현된 RA와 리스크 컨트롤 조치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요 구한다. 6) 각 공사장 안전보건위원회 회의가 설치된 경우 또는 공사장 정기 회의(예: 새로운 발견, 리스크 컨트롤 조치의 진행)에서 RA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7) 공사와 관련되거나 허가된 시공자 또는 전문업체에 RA를 수 행할 것을 요구한다. 시공자 또는 전문업체는 공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예: 기계, 장비 또는 위험 물질)를 제 거하도록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조치를 취하거나 합리적 으로 실행 가능한 낮게(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ALARP) 줄이도록 해야 한다. 8) 리스크 등록부(Risk Register)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공사장에서 유지 관리한다. 9) 본 실무코드(RMCP)에 따라 리스크 등록부를 작성하도록 한다. 10) 리스크 등록부를 공사장에서 지정된 개인과 규제 기관에서 쉽게 검토할 수 있도록 한다 11) RA 양식 및 컨트롤 조치 기록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RA 기록을 RA 승인일로부터 최소 3년간 보관하도록 한다. 12) RA 승인일로부터 3년에 한 번 또는 다음 사항이 있을 경우 RA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개정한다. • 위험요소에 대한 노출의 결과로 인한 사고, 위기일발 또 는 위험한 발생이 있는 경우. 이것은 부상을 입을 수도 있 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프로세스, 시설, 실제 작업 또는 절차의 현저한 변화 또는 공사장 조건 및 현장 배치의 변화가 있는 경우 • 리스크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알려진 경우 13) 리스크 컨트롤 조치의 효과를 모니터링 한다. 2.2 관리자(Manager) 1) 리스크가 존재하는 구역, 기능 또는 활동을 감독하는 관리자 는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RA가 수행되고 리스크 컨트 롤 조치가 수행되는지 확인한다. • RA를 승인하며, 이때 리스크 수준이 “높은 위험(High Risk)”으로 평가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 • 지체 없이 리스크 컨트롤 조치를 실행하도록 한다. • 해당되는 경우 모든 작업에 안전작업공정(Safe Work Procedure, SWP)가 확립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리스크에 노출된 모든 사람에게 다음 사항을 알린다. - 리스크의 성격 - 모든 조치 또는 안전작업공정(SWP) 구현 - 리스크 최소화 또는 제거 수단 • 리스크 컨트롤 조치의 효과를 모니터링 한다. • 실행후 리스크 제어가 불충분하고 비효과적인 경우 RA를 개정한다. • 조치 및 SWP 구현으로 RA 문서 유지 2) 관리자는 리스크 관리 조치를 이행할 수 있도록 발주자를 지 원해야 한다. 3) 관리자는 위에 언급된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에 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책임은 남게 된다. 2.3 RM/RA 리더(Leader) 1) RM 리더는 공사장 내에서 RM을 조정하기 위한 초점으로서 발주자를 보조해야 한다. 2) RM 또는 RA 리더는 • 확인된 리스크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 실행되는 적절한 리스크 컨트롤 조치에 대해, 가급적 월별 또는 일 년에 한 번 이상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 리스크 컨트롤 조치의 실행을 위해 발주자 또는 지정된 관 리자의 승인을 득한다. • 본 실무지침에 따라 리스크 등록부를 작성하도록 발주자를 지원한다.Vol. 21, No. 3 13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2.4 작업자(Employee) 작업자는 RAs에 명시된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3. 준 비(Preparation) 3.1 RM/RA 팀 구성(Formation of RA/RM Team) 발주자는 RM 팀리더와 팀원 임명해야 한다. 1) RM 팀은 작업장의 전반적인 RM 방향 및 RM 활동을 책임진다. 이 RM팀은 RA팀으로도 활동할 수 있다. 2) 발주자가 임명한 RM팀은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평가해야 할 공사에 대한 철저한 지식 보유 • 공사장 운영기능에 대한 주요 당사자의 대표로서 다양하고 종합적이 되어야 한다. 3) RA는 평가 대상 공사에 대한 철저한 지식을 갖춘 종합적인 팀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4) RM 리더가 업무에 적합한지 확인해야 한다. 정부 승인된 훈 련 제공자 또는 이와 동등한 사람이 수행하는 RM과정에 참 석한 것은 그 사실을 충분히 입증한다고 할 수 있다. 5) RM 팀리더는 발주자에게 직접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또는 적어도 공사장의 선임 구성원이어야 한다. 6) RM 팀장은 직무에 대한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 정부 승인 훈 련 제공자 또는 이와 동등한 사람이 수행하는 RM과정에 참 석한 것은 그 사실을 충분히 입증한다고 할 수 있다. 7) RM 팀원은 관리직, 프로세스 또는 설비 엔지니어, 기술 담당 자, 감독자, 생산 운영자, 유지보수 직원 등으로 부터 임명될 수 있다. 8)더 많은 팀이 공사장에서 RA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이를 리 스크 평가팀(“RA 팀”)이라고 한다(그림 4 참조). 9) RA팀은 RM팀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RA를 수행할 책 임이 있다. 조직이 단 한 팀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 RM팀과 RA팀의 기능은 RM팀 내에서 결합될 수 있다. 10) RA팀은 관리 수준과 비관리 수준 모두를 대표해야 한다. 11) RA팀은 시공자와 전문업체를 포함하여 공사에 관련된 직원 을 포함해야 한다. 가능한 경우, 현장, 장비 또는 프로세스 의 설계와 개발에 익숙한 사람을 포함해야 한다. 12) RA에 대한 경험이나 전문지식이 부족한 경우, RA를 수행한 경험이 있고 교육을 받은 담당자, 공인된 리스크 컨설턴트 를 고용하여 RA의 활동내에서 RM/RA 리더의 활동을 지원 해야 한다. 13) RA 팀장은 RA 팀을 이끌기 전에 임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 어야 한다. 정부 승인 훈련 제공자 또는 이와 동등한 사람이 수행하는 RM 과정에 참석한 것은 그 사실을 충분히 입증한 다고 할 수 있다. 3.2 RA의 범위(Extent of RA) 1) RA의 범위 지정은 공사장에서 리스크를 평가하고 통제하기 위한 편리한 단위를 식별하는 단계다. 그것은 프로젝트를 별 도의 부분(예: 부문, 기능 영역 또는 공사 활동)으로 나눈 다 음, 각 부분을 각각 RA의 단위를 나타내는 독립적인 영역으 로 세분화하는 것만큼 간단할 수 있다. 2) RM 팀(회사의 전반적인 RM 방향과 활동을 책임지는 1차 팀) 은 RA의 경계를 결정해야 한다(예: 공사장 내에서의 부문, 기능 영역 또는 공사 활동). 3) 식별된 각 부문, 기능 영역 또는 공사 활동의 RA는 평가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범위가 지정되어야 한다. <그림 4> 리스크 관리(RM)팀14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4) 평가해야 할 식별된 부문, 기능 영역 및 공사 활동의 경우 공 사 활동의 목록 양식을 사용해야 한다. 5) 본 실무지침은 형식의 변화를 수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정보 를 포함해야 한다. • 부문, 활동 평가 • 위치 • 프로세스 • 작업 활동 6) 다음 정보는 다음 형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 평가 대상 부문 또는 활동을 “부문 또는 활동 평가”으로 명 시한다. • 위치, 프로세스 및 공사 활동을 완료한다. • 순차적 단계로 공사 활동을 리스트한다. 7)트레이드 기반 RA의 경우: • 평가 대상 트레이드를 “부문, 활동 평가”에 명시한다. • 위치 또는 프로세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이 열에 “N/A” 를 기재한다. • 공사 활동 목록 작성 3.3 관련 정보 수집(Gather Relevant Information) RA의 범위가 결정되면 관련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이러한 정 보의 출처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 공사장 레이아웃 계획 • 프로세스 또는 공사 흐름도 • 프로세스의 공사 활동 목록 • 사용된 화학 물질, 장비 및/또는 도구 목록 • 과거 사건 및 사고 기록 • 관련 법규, 실무코드 또는 시방서 • 관찰 및 인터뷰 • 공사장 안전/건강 검사 기록 • 기존 리스크 통제 세부사항 • 건강 및 안전 감사 보고서 • 직원, 고객, 전문업체 또는 기타 이해관계자의 피드백 • 안전 작업 공정(SWP) • 안전 데이터 시트(Safety Data Sheet, SDS), 전문업체 지침서 등의 기타 정보 • 모든 관련 이전 RA의 사본 • 평가 대상 공사장 내 작업자의 의료 상태 4. 리스크 평가(Risk Assessment) 4.1 일반 요구사항(General Requirement) 1) 위험요소 식별, 위험도 평가 및 리스크 통제의 단계는 본 실 무지침의 방법론과 요건을 명시한다. 2) “위험요소 식별”에서 “리스크 통제”까지의 단계가 위험요소에 대한 RA 양식에 기록한 경우, 동일한 단계를 “공사 활동의 목록”으로 부터 모든 “공사 활동”이 평가될 때까지 반복한다. 3) 본 실무지침은 지속적인 검토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공사장 의 위험요소를 다음과 같이 매월 검토할 것을 권고한다. • 위험요소가 녹색 영역(낮은 리스크 Low Risk)에 도달하도 록 한다. 또는 • 위험요소의 위험도가 본질적으로 잔존(잔존 리스크 Residual Risk)하도록 한다. • 위험요소를 통제하기 위해 모든 합리적인 실행 가능한 조 치를 취한다. 4) RM 팀은 매월 검토해야 할 위험요소를 결정한다. 5) 모든 RA 항목을 검토해야 하며, 필요한 경우 3년 이내에 한 번 이상 수정해야 한다. 4.2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1) RA 팀리더는 위험요소를 식별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을 결정 한다. 여기에는 브레인스토밍, 체계적인 프로세스 검토, 프로 세스 위험요소 분석과 직업 안전 분석(Job Safety Analysis, JSA)가 포함될 수 있다. 2) 위험요소를 식별할 때, RA 팀은 위험요소가 공사의 직접적 인 영역을 넘어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Vol. 21, No. 3 15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3) 공사 활동 목록 양식으로부터 리스크 평가 양식(그림 5)에 있는 공사 활동의 항에 열거한다. 본 실무코드(RMCP)는 양 식 포멧의 변동을 허용하지만 양식의 모든 정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위험요소”란에 기록한다. 5) 공사 활동에 대한 위험요서가 한 개 이상인 경우, 다른 위험 요소를 별도의 란에 기록해야 한다. 6) 다음의 위험요소 범주를 고려해야 한다. • 물리적(예: 화재, 소음, 인체공학, 열, 방사선 및 수동 작동) • 기계적(예: 움직이는 부품, 회전 부품) • 전기적(예: 전압, 전류, 정전하, 자기장) • 화학적(예: 가연성, 독성, 부식성, 반응성 물질) • 생물학적(예: 혈액에 의한 병원균, 바이러스) • 기타(예: 산업 고유의 위험) 4.3 리스크 평가(Risk Evaluation) 4.3.1 리스크 매트릭스(Risk Matrices) 1) 본 실무지침은 공사장에서 실행되고 선호하는 다양한 위험도 평가(Risk Evaluation)방법과 매트릭스를 사용한다(표 1과 표 2). 본 실무지침은 매트릭스 선택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5×5 리스크 매트릭스를 권장한다. 2) 본 실무지침에서 권장하는 점수 평가 5×5 매트릭스 이외의 다른 리스크 매트릭스를 사용할 경우, 점수에 대한 모든 참 고사항은 선택한 리스크 매트릭스의 내용에서 읽도록 해야 한다. 3) 본 실무지침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 명시된 방법 론을 따라야 한다. 4) 위험요소 식별이 완료되면 리스크 평가 절차를 진행한다. 4.3.2 기존 제어(Existing Control) 1) 기존 리스크 제어를 확인하고, 기존 리스크 통제 항목에 명시 한다. 2) 평가되는 위험요소에 한 개 이상의 기존 리스크 제어가 있는 경우 위험요소와 동일한 라인에 나열해야 한다. 4.3.3 심각도 평가(Assessment of Severity) 1) 기존 리스크 제어와 잔류 리스크를 고려하여, RA 팀의 각 팀 원들은 이전에 식별된 가능한 사고의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심 <그림 5> 리스크 평가 양식(Risk Assessment Form)1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각도의 결과, 즉 레벨 1, 2, 3, 4, 5를 평가한다. 2) RA 팀의 심각도 점수 평균을 S(Severity) 열에 입력한다. 3) 5×5 매트릭스를 사용할 때는 표 3에 제시된 지침을 참고하 여 심각도 수준을 선택해야 한다. 4) 팀 구성원의 등급 차이가 2 이상일 경우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팀리더는 분산의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 팀에게 등급에 대한 재고가 허용된다. • 팀 구성원 간의 등급 차이가 2 이상일 경우, 팀리더는 등급 차이를 허용하거나 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4.3.4 발생가능성 평가(Assessment of Likelihood) 1) 기존 리스크 통제와 잔류 리스크를 고려하여 각 팀 구성원은 위험요소의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발생가능성, 즉 레벨 1, 2, 3, 4 또는 5를 평가해야 한다. 2) 발생가능성을 고려할 때, RM 또는 RA 팀은 발생가능성 등급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자의 기존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 3) RA 팀의 발생가능성 점수 평균을 L(Lilelihood)열에 입력한다. 4) 5×5 매트릭스 사용시 발생가능성 수준을 선택할 때 표 4에 제시된 지침을 참고한다. 5) 팀 구성원의 등급 차이가 2 이상일 경우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팀리더는 분산의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 팀에게 등급에 대한 재고가 허용된다. <표 3> 심각도 평가 지침(예) LevelSeverityDescription 5CatastrophicFatality, fatal accident or multiple injuries 4MajorSerious injuries or life-threatening accidents 3ModerateInjury requiring medical treatment or ill-health leading to disability 2MinorInjury or ill-health requiring first-aid only 1NegligibleNot likely to cause injury or ill-health <표 1> 평가등급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3×3 리스크 매트릭스 Likelihood Severity Remote Occasional Frequent MajorMedium RiskHigh RiskHigh Risk ModerateLow RiskMedium RiskHigh Risk MinorLow RiskLow RiskMedium Risk <표 2> 점수와 평가등급을 같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5×5 리스크 매트릭스 Likelihood Severity Rare (1) Remote (2) Occasional (3) Frequent (4) Almost (5) Catastrophic(A)Medium Medium HighHighHigh Major(B)Medium Medium Medium High Moderate(C)LowMedium Medium Medium Minor(D)LowMedium Medium Medium Medium Negligible(E)LowLowLowMedium Medium Vol. 21, No. 3 17 제5강. 싱가포르 지하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 • 팀 구성원 간의 등급 차이가 2 이상일 경우, 팀리더는 등급 차이를 허용하거나 등급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4.3.5 리스크 평가점수(Risk Prioritisation Number) 1) 심각도(S)과 발생가능성(L)을 곱하고 RPN(Risk Prioritisation Number, RPN = S×L)에 점수를 입력하여 리스크 평가 점수 RPN을 구한다. 4.3.6 리스크 분류 - 리스크 매트릭스(Classification of Risk - Risk Matrix) 1) RPN을 표 5에 제시된 리스크 매트릭스와 비교한다. 2)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위험요소가 더 이상 적색 영역(높은 리스크)에 있지 않도록 추가 리스크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3) 황색 구역(보통 리스크)의 위험 요소는 합리적으로 실행 가 능한 수준(ALARP)으로 또는 녹색 영역(낮은 리스크)에 있도 록 추가적인 리스크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4) RM 팀은 발주자의 동의하에 매트릭스 내에서 낮은 리스크, 보통 리스크, 높은 리스크로 분류될 영역을 결정한다. 본 지 침은 리스크 수준과 리스크에 대한 대응방법이 공사특성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허용한다. 4.3.7 5×5 리스크 매트릭스(Risk Matrix) 1) 리스크 매트릭스는 식별된 리스크를 분류하는 유용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한다. 본 지침의 5×5 매트릭스 예를 사용할 때 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따라야 한다. 2) 심각도는 표의 왼쪽 열에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림차순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3) 발생 가능성은 표의 상단 행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시하도 록 한다. 4) RM 팀은 발주자의 동의하에 매트릭스 내에서 낮은 리스크, 보통 리스크, 높은 리스크로 분류될 영역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기본으로 수행되지만 산업 관행, 공사장의 리스 크 대응 정책에 따라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4.3.8 리스크 수준에 대한 대책(Action for Risk Levels) 현재의 리스크 수준에 근거하여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 책을 실행되어야 한다. <표 5> 점수 평가를 사용하는 5×5 리스크 매트릭스 Likelihood Severity Rare (1) Remote (2) Occasional (3) Frequent (4) Almost Certain (5) Catastrophic(5)510152025 Major(4)4811620 Moderate(3)3691215 Minor(2)246810 Negligible(1)12345 <표 4> 발생가능성 평가 지침(예) LevelLikelihood Description 5RareNot expected to occur but still possible 4RemoteNot likely to occur under normal circumstances 3OccasionalPossible or known to occur 2FrequentCommon occurrence 1Almost CertainContinual or repeating experience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