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4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2○○공항 전면시설 굴착에 따른 3차원 지하수거동 분석 사례5. 결 론지금까지 ○○공항 전면시설에 대한 굴착시 및 완공후 지하수위 변화에 대한 3차원 지하수 거동분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지반조사 자료를 토대로 각 지층 분석과 수리전도도 등을 입력변수로 하여 단계별 시간에 따른 부정류 흐름해석을 실시하였다. 단계별 굴착공사 중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는 EL.+2.68m~EL.+3.14m로 굴착고보다 0.98m~1.44m 상부에 위치하여 굴착면 내 배수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굴착완료후 되메움을 실시하고 준공후 10년 경과시 지하수위는 EL.-4.02m로 부지정지고보다 2.32m 하부에 위치하여 안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3차원 지하수 모델링 분석 결과 굴착중 지하수위는 굴착면을 따라 하강하며 공사완료시 지표로의 지하수 유출은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우기 혹은 홍수시에 상부에서 유입된 지하수가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지하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어 전면시설에 대한 배수대책으로 기초바닥에 전단면 자갈포설과 다발관 설치를 계획하였다.참고문헌1. 서울시(1998), 한정상, 지하수환경과 오염.2. 서울시(1999), 한정상, 3차원 지하수 모델링.3. ○○공항 전면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지반조사보고서(2013).4. ○○공항 전면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설계보고서(2013).[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