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터널 질의 답변14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 현재 담당하고 있는 터널 프로젝트(또는 과거 프로젝트)를 간략히 설명해 주세요.답변 : ‘싱가포르 Cable Tunnel EW2 공구’ 로서 싱가포르의 Main 전력 공급 케이블을 지하화하는 SPPA에서 발주한 싱가포르 Cable Tunnel 공사 6개 공구 중 한 공구였습니다. 그 중 EW2 공구는 전체 6km의 터널과 4개의 Shaft로 구성되어 있고, 세 곳의 Shaft에서 6.6m 직경을 가진 3대의 Slurry Type TBM이 발진을 하고 그 중 한 TBM은 기 시공된 Shaft를 관통 하는 공사였습니다. 각각의 Shaft는 18~22m 직경으로 TBM은 작게 구분되어 기 시공된 Cavern에서 조립되어 굴진을 시작해야 하는 제약 사항 등이 있었고, 지반조건도 Old Alluvium(충적층)에서 Bukit Timah IV~VI(풍화된 화강암), Bukit Timah I~III (화강암)까지 다양하게 분포하는 어려움이 있는 공사였습니다.○ 프로젝트 수행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어떤 것이었나요?답변 : 1) 안전관련 : 싱가포르는 전세계에서도 안전과 관련한 규정이 높은 국가 중에 하나이나, SPPA에서 요구한 규정은 싱가포르 국가에서 요구하는 수준보다도 높은 수준을 요구하여, 이를 따르며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 공사 진행측면이나, 원가 적인 면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2) 공사관련 : TBM은 12m 길의 정도의 Main body와 100m가 넘는 Back up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의 장비를 18~22m 직경의 Shaft로 내리고 Cavern에서 이동,조립하여 굴진을 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은 과정이었고, TBM 공사가 장비를 이용하는 굴착 방식이기에 장비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여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를 통하여 TBM 공사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사전 준비(장비 및 현장 준비)와 TBM 장비 구매 및 장비의 이해도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젊은 터널 기술자 인터뷰엄준원 프로SK건설Vol. 21, No. 2 149○ 터널현장에서 본인 생각으로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나요?답변 : 터널 공사를 크게 보면 현재 발파로 굴착을 하는 방법과, TBM 장비를 이용 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고, TBM 장비를 이용하는 공사에 국한하여 개선되었으면 하는 사항은 우선 국내의 TBM 공사가 몇 몇의 전문건설업체에서 시행되고 있고, 일반건설업체 엔지니어들의 TBM 공사에 대한 이해도는 미흡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에 비하여 ENR 10위 내에 위치한 해외 건설 기업들 중 자체적으로 TBM 공사 수행이 가능한 인력까지 보유하고 직영으로 TBM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업체들이 많이 있습니다. 국내의 일반건설업체 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터널 엔지니어들이 TBM 공사와 발파를 통한 굴착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TBM 장비와 TBM 공사의 주요 사항들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국내 터널 기술의 위상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답변 : 현재 근무중인 SK건설에서 좋은 기회를 주셔 작년에 이탈리아 토리노 공대 2018 TBM&Tunnelling Course를 수료하고 많은 유럽 TBM 공사 현장들을 방문하는 기회를 가졌었습니다. 개인적으로 SK건설에서 수행하였고,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TBM 현장을 경험하였고 이 현장들과 유럽 유수의 현장을 비교해보면 우리나라의 터널 기술이 유럽사의 기술력과 큰 차이가 있다고 보여지지는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터널 기술의 위상은 학문적인 위상뿐만 아니라 현장 운영과 관련한 위상도 이제는 여타의 해외 시공사와 견주어도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이라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언어적인 어려움으로 해외 공사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는 있으나 이런 부분은 극히 작은 부분이고 우리의 기술력이 해외에서도 인정 받을 수 있음을 감히 말씀 드립니다. ○ 해외 공사 수행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나요?답변 : 각 국가에는 그 국가만의 Design Requirement, 시방서, 법 등이 있습니다. TBM 구매를 예로 든다면 싱가포르의 일반적인 TBM 공사에서는 각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TBM이 Brand New(새제품) 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인도 등의 프로젝트에서는 Brand New에 대한 규정이 없는 프로젝트가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 하나의 예로 싱가포르에서는 가시설 설계 시 One Strut Failure 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한 열의 Strut에 문제(파괴)가 되더라도 나머지 열의 Strut이 가설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버텨줘야 한다는 기준입니다. 이런 기준은 국내 및 다른 국가에서도 찾기 힘든 기준입니다. 만약 입찰시 이러한 기준을 무시하고 일반적인 한국의 기준에 맞춰 설계를 한다면, 공사 수행 시 많은 수의 Strut 이 더 적용 되게 되어 공사 원가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저도 해외 입찰을 수행하고 있지만 해외 공사 입찰 및 공사 수행에 있어, 대상 국가, 발주처, 공사의 특성, 안전관리 수준을 정확히 이해 하고 이에 맞는 설계 및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 주의 사항 중 하나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50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 터널기술자로서 가장 보람을 느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답변 : 모든 엔지니어가 그렇겠지만, 엔지니어가 가장 행복한 순간은 내가 공사한 Final Product를 본 순간이지 않을까 합니다. 저의 경우 TBM이 관통하는 순간을 바라보던 순간이었습니다. 모든 공사가 완료 되지는 않았지만, 소위 말하여 ‘순산’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TBM 장비가 천천히 헤드를 돌리며 남아 있는 벽체를 뚫고 나오는 순간 그리고 함께 고생했던 수퍼바이저들과 그 순간을 함께 했던 것은 아직도 생생히 기억에 남습니다. ○ 후배 터널기술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은?답변 : 전세계 적으로 많은 터널 공사가 발주되고 있고, 발파 공법이 적용되는 전통적인 터널 시공 프로젝트도 많이 있으나, 해외 터널 공사 특히, 도심지 터널 공사는 많은 프로젝트가 TBM을 이용한 공사로 발주되고 있고, 그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TBM 공사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반 조건과 현장 제약이 충분히 분석되고 이를 반영 된 Specification을 보유한 장비를 구매하여 장비 배치 및 조립 계획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여 공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위에서 보듯이 TBM 공사와 전통적인 터널 시공방식의 차이는 장비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장비 가격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터널공사 EPC중 Procurement에 대한 사항이 중요 항목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Mechanic Engineer가 아닐지라도 TBM 장비에 대한 이해와 Specification 등에 대한 분석 능력을 키워야 할 것입니다. 또한, 많은 건설사들이 해외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영어에 대한 두려움보다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해외의 건설사와 마주해도 엔지니어로서 당당하게 본인의 의견을 말했으면 합니다.[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의 공식입장과는 무관합니다.]Vol. 21, No. 2 151학교 및 학과 : 동국대학교/건설환경공학과지 도 교 수 : 김범주학 위 자 : 나유성학 위 : 공학박사 (2019. 2.)복층터널 분기구 안정성에 관한 연구국문 초록증가하는 도심지의 상습적인 정체와 신설터널 건설시 발생하는 여러 제약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향후 국내에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대심도 지하도로를 복층터널로 건설할 경우 도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터널 내에 분기구간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암반에서 시공되는 2차로 대심도 본선 복층터널에서 1차로 단층터널로 분기가 일어나는 조건을 대상으로 본선터널과 분기터널간의 이격거리와 이격각도에 따라서, 그리고 암반상태에 따라서 터널의 거동과 안정성을 축소모형실험, 2차원 단면 수치해석,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분기구 형상에 따라 발생되는 균열 변형 등의 터널간 상호거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터널 중심간 균열 양상이 0°(수평)이격, 90°(수직)이격의 경우 본선터널과 분기터널 중간부에서, 30°이격과 60°이격의 경우 하단부에서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격거리, 이격각도의 변화에 따른 파괴하중 및 분기단면 중앙부 변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상대적인 강성으로 비교한 결과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이격각도가 감소할수록 터널 상호간 간섭영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분기조건이 분기후 구간 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보재 설치를 생략한 무보강 굴착 2차원 단면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각각의 결과를 터널 안정성 분석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이격거리와 암반등급이 크고 이격각도가 작을수록 안정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2차원 단면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분기조건을 변수로 한 강도응력비 차트와 강도응력비 산정식으로 구성된 분기후 구간 터널의 안정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는 예비설계 단계에서 분기전 확폭구간의 굴착영향을 제외한 분기후 구간 터널의 안정성의 개략 평가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강 굴착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무보강 굴착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보강방향을 고려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이격거리와 암반등급이 작고 이격각도가 클수록 보강효과가 작아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축소모형실험과 2차원 단면 수치해석을 비교한 결과 경계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정량적인 수치 비교는 불가능 하나 정성적으로 상대적인 수치와 경향성을 비교할 때, 두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논․ 문․ 소․ 개+ 학위논문 소개152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 학위논문 소개분기전 확폭구간의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4가지 굴착공법 및 4가지 벤치길이에 따른 선행굴착 영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굴착공법간 선행굴착 영향의 차이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고 벤치길이에 따른 영향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기전 확폭구간의 선행굴착 영향을 2차원 수치해석 결과에 적용하고 강도응력비 방법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분기후 구간 터널 안정성 평가방법에 반영하였다. 또한, 선행굴착영향을 반영한 터널 안정성 결과에 대한 검증으로 분기전 확폭구간과 분기후 구간을 포함한 전체 분기구간에 대한 3차원 굴착 해석을 수행한 결과, 발생한 주응력에 대하여 선행굴착영향을 반영한 방법과 결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평균강도응력비 결과의 경우 전체 분기구간 해석 결과가 선행굴착영향을 반영한 결과보다 7.3% 큰 것으로 나타나 선행굴착영향을 반영한 방법이 전체 분기구간에 대한 3차원 굴착 해석 보다 안전측으로 강도응력비를 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최종적으로 선행굴착 영향을 고려한 전체 분기구간의 터널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방법은 강도응력비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평균 약 10% 정도의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전체 분기구간의 터널 안정성 평가방법은 예비설계단계에서 분기후 구간 터널 안정성 평가방법과 함께 분기조건만으로 분기구간 터널의 안정성과 선행굴착 영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정 이격거리와 이격각도에 따른 안정성 저하영향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Vol. 21, No. 2 153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http://journal.jkta.or.kr/Volume 21, ISSUE 2 (March 2019)목 차A comparative study on the numerical analysis program by SSI analysis of a high-rise building and an adjacent underground structureKwang-Ho You*A ground condition prediction ahead of tunnel face utilizing time series analysis of shield TBM data in soil tunnel Jee-Hee Jung, Byung-Kyu Kim, Heeyoung Chung, Hae-Mahn Kim, In-Mo Lee*Effect of seawater on the applicability of a slurry shield TBM Young-Moo Ryu, Hae-Mahn Kim, Do-Hyung Kim, In-Mo Lee A numerical study on the waterproofing effect of Fan Grouting under tunnel excavation Hoon-Ki Moon*, Gyung-Wook Park, Hyeyoon Lee, Seok-Hun Kwo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n influence of electrode variations i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tunnel ahead prediction Chang-Ho Hong, Song-Hun Chong, Eun-Soo Hong, Gye-Chun Cho*, Tae-Hyuk Kwon A preliminary numerical analysis on the behaviour of tunnel under construction in fracture zone considering seismic load Dong-Wook Oh, Soon-Kyo Hong, Dae-Kon Kim, Yong-Joo Lee*Development of rapidly hardening seal material applicable to steel pipe multistage grouting Hyunkang Shin, Hyuksang Jung*, Donghyun Kim, Yongsun Ryu, Donghoon Kim+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논문소개154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 TUST 논문집 논문소개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Volume 89 (July 2019)https://www.journals.elsevier.com/tunnelling-and-underground-space-technology목 차Strength and filtration stability of cement grouts in porous mediaZilong Zhou, Xin Cai, Xueming Du*, Shanyong Wang, Dan Ma, Haizhi ZangVisibility graph analysis on time series of shield tunneling parameters based on complex network theoryCheng Zhou, Lieyun Ding, Ying Zhou*, Miroslaw J. SkibniewskiStudy on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lining of shield under different construction timeShimin Wang, Yunqi Jian, Xixi Lu, Lei Ruan, Weijie Dong*, Kun FengConstruction process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utility tunnels in historic centresJosé-Vicente Valdenebro*, Faustino N. Gimena, J. Javier LópezStudy of tunnel fires during construction using a model scale tunnelYongzheng Yao, Ying Zhen Li*, Anders Lönnermark, Haukur Ingason, Xudong ChengNumerical simulation of methane distribution in development zones of underground coal mines equipped with auxiliary ventilationFakhrossadat Hasheminasab, Raheb Bagherpour*, Saiied M. AminossadatiDeformation behaviors of existing tunnels caused by shield tunneling undercrossing with oblique angleXing-Tao Lin, Ren-Peng Chen, Huai-Na Wu*, Hong-Zhan ChengResponse of the ground and adjacent end-bearing piles due to side-by-side twin tunnelling in compound rock strataChao Li, Zuliang Zhong*, Guannan He, Xinrong Liu+ TUST 논문집 논문소개Vol. 21, No. 2 155Efficiency of embedded barriers to mitigate tunnelling effectsSebastiano Rampello*, Laura Fantera, Luca MasiniSimulation study on the influence of urban underground parking development on underlying surface and urban local thermal environmentXiaobin Yang, Ziwei Zhao, Ruiping Hua, Xiaochao Su, Linjian Ma*, Zhilong Chen*Feasibility of Monte Carlo simulation for predicting deformation modulus of rock massHadi Fattahi*, Zahra Varmazyari, Nima BabanouriAssessment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dvance rate of the Tunnel Gerede, the longest and one of the most problematic water transmission tunnels of TurkeyMurat Alp*, Ahmet ApaydinFoam for coal dust suppression during underground coal mine tunnelingQing Guo, Wanxing Ren*, Jingtai ShiPerformance of roadheaders in low strength pyroclastic rocks, a case study of cold storage caverns in CappadociaRamazan Comakli*Centrifuge modelling of shallow and large sectional tunnel under full pipe-jacked ringDongming Zhang*, Hongwei Huang*, Dongmei Zhang*, Zhihong Li, Qingxin Zhou*, Kairui ZhangNumerical simulation for an estimation of the jacking force of ultra-long-distance pipe jacking with frictional property testing at the rock mass–pipe interfaceChao Li, Zuliang Zhong*, Xinrong Liu, Yiliang Tu, Guannan HeAssessment of damages in fault rupture–shallow foundation interaction due to the existence of underground structuresAlireza Saeedi Azizkandi*, Sadegh Ghavami*, Mohammad Hasan Baziar*, Sajjad Heidari HasanaklouInterpretation and back-analysis of the damage observed in a deep tunnel after the 2016 Norcia earthquake in ItalyLuigi Callisto*, Cecilia RicciFull-scale physical modelling of fissure grouting in deep underground rocksZhipeng Xu, Changwu Liu*, Xingwang Zhou, Gangrong Gao, Xuhai Feng156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 TUST 논문집 논문소개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lope on the critical velocity for longitudinal ventilation in tilted tunnelsJ. Li, Y.F. Li, C.H. Cheng, W.K. Chow*Shallow tunnels misaligned with geostatic principal stress directions: Analytical solution and 3D face effectsOsvaldo P.M. Vitali*, Tarcisio B. Celestino, Antonio BobetOnline monitoring device of disc cutter wear – Design and field testHao Lan, Yimin Xia, Zhiyong Ji, Jie Fu, Bin Miao<Special Issue on Underground Transport: Edited by Jianqiang Cui and Frank Van der Hoeven>Propulsion system design and energy optimization for autonomous underground freight transportation systemsSirwan Shahooei*, Stephen P. Mattingly*, Mohsen Shahandashti*, Siamak Ardekani*Vol. 21, No. 2 157Engineering GeologyVol. 256 (5 June 2019)https://www.journals.elsevier.com/engineering-geology목 차National geohazards mapping in Europe: Interferometric analysis of the NetherlandsDavid Gee*, Andrew Sowter, Stephen Grebby, Ger de Lange, Ahmed Athab, Stuart MarshMachine learning based landslide assessment of the Belgrade metropolitan area: Pixel resolution effects and a cross-scaling conceptUroš Đurić*, Miloš Marjanović*, Zoran Radić*, Biljana Abolmasov*Analysis of fracture properties of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rock model using hierarchical-fractal annealing algorithmXiao-Ping Zhou*, Nan XiaoFracture controlled permeability of ultramafic basement aquifers. Inferences from the Koniambo massif, New CaledoniaJ. Jeanpert*, M. Iseppi, P.M. Adler, P. Genthon, B. Sevin, J.-F Thovert, B. Dewandel, J.-L. JoinMicrostructur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lead-contaminated clay with nanoscale zero-valent iron (nZVI) treatmentYong-Zhan Chen*, Wan-Huan Zhou*, Fuming Liu*, Shuping Yi*, Xueyu Geng*Investigation of the sequential excavation of a soil-rock-mixture slope using the numerical manifold methodYongtao Yang, Guanhua Sun*, Hong Zheng, Yi Qi+ Engineering Geology 논문소개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