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Risk and Safety Management in Tunnel and Underground Works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김영근(주)건화 기술연구소소장/공학박사/기술사∎ 기술강좌를 시작하면서우연한 인연으로 한국을 떠나 호주를 거쳐 싱가포르 PB(Parsons Brinckerhoff)에 일 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설계기술은 우리와 별 다를 것이 없었으며, 오히려 상세 설계부분에서는 경험적인 측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우리의 엔지니어링 기술력이 더 낫다는 나름의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다.하지만 설계자입장에서 설계단계에서의 프로젝트 안전성 검토(Project Safety Review, PSR)보고서를 요구받게 되었고, 이 보고서에는 설계내용에 대한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RM)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싱가포르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안전관리를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터널과 같은 지하건설공사(Underground Building Works, UBW)에서는 리스크 안전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이를 철저하게 준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터널공사에서서의 리스크 관리는 1994년 영국 히드로 공항철도에서의 NATM 터널 붕괴사고이후 영국 보건안전위원회(HSE)의 사고대책보고서를 기반으로 2004년 영국터널협회(BTS)주관하에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과 프로젝트 단계에서의 리스크 관리를 의무화하는 엔지니어링 설계 프로세스를 정립하게 됨으로서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국제터널협회(ITA)와 국제터널보험그룹(ITIG)을 중심으로 터널 리스크 관리 방법을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코드화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현재는 대부분의 해외 지하터널공사에서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내용을 입찰단계에서부터 설계단계 그리고 시공단계까지 관리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의무화하고 있다.국내에서도 계속되는 터널 붕락사고와 도로 함몰로 인한 지하공사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2017년 국토교통부 건설안전관리지침에서 설계단계에서 설계 안전성 검토(DfS, Design for Safety)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2018년 지하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이 제정되어 설계단계에서의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시공단계에서의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의무화하여, 지하공사에 대한 안전을 더욱더 강화하고 있는 현실이다.이와 같이 지하터널공사에 대한 안전관리가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수행되고 있는 안전관리나 평가방법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기준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국내 엔지니어링의 해외 진출시 글로벌 설계 기준에 대한 이해 문제와 더불어 해외시장진출의 중요한 장애요소가 되고 있음이다.Vol. 20, No. 3 9본 기술강좌에서는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관리]라는 주제하에 현재 국제적으로 사용되거나 적용되고 있는 리스크 분석 방법이나 안전관리시스템을 소개함으로서 터널공사의 안전에 관심이 많은 터널기술자들에게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고, 특히 해외 터널설계 엔지니어링 업무 수행시 리스크 관리 방법에 대한 참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술강좌의 구성본 기술강좌는 다음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8강으로 구성되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영국터널협회, 국제터널협회, 국제터널보험그룹, 미국지하건설협회(UCA) 등에서 발간한 리스크 관리 지침 등을 설명하고, 싱가포르와 영국에서의 안전관리시스템과 적용실무사례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제1강에서는 영국터널협회에서 발간한 터널라이닝 설계 가이드를 참고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 대한 일반론을 기술하였다. 제2강에서는 국제터널협회에서 발표한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제3강에서는 국제터널보험그룹과 국제터널협회 공동으로 발간한 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실무코드, 제4강에서는 미국지하건설협회에서 제시한 개선된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을 요약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5강에서는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영국 건설관리법(CDM)에서의 안전 프로세스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제6강과 제7강에서는 터널공사에서의 리스크 및 안전관리 적용에 대한 해외 실무사례를 소개하고, 끝으로 제8강에서는 국내 지하터널공사에 적용 가능한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관리 실무 지침(안)을 제시하고자 한다.내용권호/일시제1강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 BTS(영국터널협회)Risk Management of ProjectsVol.20, No.32018.09제2강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 ITA(국제터널협회)Guideline for Tunnelling Risk ManagementVol.20, No.42018.12제3강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실무 코드 - ITA(국제터널협회) / ITIG(국제터널보험그룹)A Code for Practice for Risk Management of Tunnel WorksVol.21, No.12019.03제4강지하터널공사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 UCA(미국지하건설협회) Guidelines for Improved Risk Management on Tunnel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ProjectVol.21, No.22019.06제5강지하공사에서의 리스크 및 안전관리시스템 - LTA(싱가포르)/CDM(영국)Risk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Underground WorksVol.21, No.32019.09제6강지하터널공사 리스크 및 안전관리시스템 해외 실무사례 I - 싱가포르/영국Practical Case for Risk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unnel ProjectsVol.21, No.42019.12제7강지하터널공사 리스크 평가 관리 해외 실무사례 II - 미국 Practical Case for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Tunnel ProjectsVol.22, No.12020.03제8강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관리 실무 지침(안) - KTA(한국터널지하공간협회) Guideline for Risk and Safety Management of Tunnel and Underground WorksVol.22, No.22020.06[기술강좌 -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관리]의 구성과 내용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학회지 기술강좌위원회10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영국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1994년 히드로 공항 급행철도 터널붕락사고이후에, 지하터널공사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안전관리대책으로 종합적인 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수립하고 이를 프로젝트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부터 적용하게 하는 엔지니어링 설계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이를 모든 프로젝트에서 시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였다.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of Projects김영근(주)건화 기술연구소소장/공학박사/기술사<그림 1> 히드로 공항 급행철도 터널 붕락사고(영국, 1994)Vol. 20, No. 3 11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제1강에서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국터널협회(BTS)와 영국토목학회(ICE)에서 발간한 터널 라이닝 설계 가이드(Tunnel Lining Design Guide, 2004)를 참고하여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에 대한 일반론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1. 리스크 관리모든 터널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원칙중 하나는 리스크 관리가 선택 사항이 아니라는 점이다. 리스크 관리 책임은 법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보건 및 안전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규정 및 지침서의 존재가 특정 상황에 적합한 터널을 설계하는 설계자의 책임을 감면하지는 않는다. 즉 규정을 준수한다 하더라도 설계자의 전반적인 전문가로서의 책임을 완전히 면제해 주지 않는다. 터널 및 다른 공사의 설계자는 직업 보건 및 안전에 관한 사항을 고려하는 법을 준수해야 한다. 이 법은 1992년 유럽 지침에서 발의되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법제정을 통해 영국의 보건 및 안전에 관한 법으로 만들어졌다. - 건설/설계와 관리(Construction(Design and Management), CDM) 1994- 건설/보건, 안전과 복지(Construction/Health, Safety and Welfare) 1996안전 문제가 설계 의사결정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야 하고 그러한 문제가 설계 전과정 내에서 언제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럽 및 영국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터널링에서 안전에 관한 종합적인 지침 및 권고 사항은 영국 표준 BS 6164의‘건설 산업에서의 터널공사의 안전’에 포함되어 있다. 1.1 프로젝트 리스크 분석 및 관리 프로젝트 리스크 분석 및 관리(Risk Analysis and Manage-ment, RAM)는 대부분의 엔지니어가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상식적인 것들을 형식화하는 것이다. 과거와 지금의 차이는 설계 및 시공 프로세스에 통합되어 있는 건설관리법(CDM)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필요한 단계는 그림 3에 정리되어 있다. 터널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 분석은 대부분 정량적이다. 경험과 판단은 예산범위에서 공기내에 안전하게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하는 전반적인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공법을 결정하고, 설계를 개선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프 <그림 2> 터널 라이닝 설계 가이드(BTS & ICE, 2004)12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로세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관리자가 대응적 위기관리에 고용되기 보다는, 프로젝트 전 과정에서 최대한 관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는 프로젝트에 리스크를 초래하는 위험요소(Hazard)을 판단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설계과정에서 리스크는 발생확률과 손상정도로 평가된다. 프로젝트에서의 리스크에 대한 대처는 프로젝트 목표, 안전 및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달라진다. 중요한 것은 리스크가 어떤 방법으로 제거, 완화되었거나 또는 시공중에 관리될 수 있는가를 문서화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전형적인 잔류 리스크 문서가 2장에서 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RAM 문제는 영국터널협회강좌 ‘터널링에서의 보건과 안전’에서 다루며, 이것은 대부분의 엔지니어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nderson(2000)에 의하면, 리스크 관리를 시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교육, 훈련, 역량 및 경험에 기반에 지식 - 리스크 관리의 가치를 이해하는 리더십으로부터 유발된 동기또한 Anderson 등은 안전 성능에 대한 수용가능한 주요 요인을 요약하였다. - 적절한 관리 시스템 -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조직 체계 - 강력한 엔지니어링 시스템 - 안전 시스템 - 인적 요인의 고려1.2 유럽 지침 1992 유럽연합이 후원하는 연구 프로젝트에 의해 건설현장 지침(92/57/EEC)이 작성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사고<그림 3>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Vol. 20, No. 3 13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와 불량한 보건의 본질과 이러한 사건들이 일어나는 주요 원인 등을 검토하였다. 주된 내용은 지침의 서문에 요약되어 있으며, 이중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프로젝트 준비단계에서 미흡한 시공조직의 선정 또는 열악한 작업계획이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절반 이상에서 문제가 되었다는 점’ - ‘프로젝트 준비단계 및 공사단계와 관련된 다양한 당사자들 사이의 조정 작업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1.2.1 문제점상기 조항중 첫 번째 조항은 안전 리스크에 대한 세 가지 문제점으로 언급하였다.- 미흡한 시공(엔지니어링) 선택 - 불만족스러운 조직적 선택 - 공사전 계획단계의 열악한 계획그러므로 공사전 계획단계를 담당하는 자는 공학적 선택과 조직적 선택을 고려하여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강구해야만 한다.1.2.2 의무사항본 지침의 제2조는 안전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주어진 세 당사자를 정의한다. - 발주자(The client) : 공사가 잘 수행되어지도록 해야 하는 의무- 프로젝트 감독관(The Project Supervisor) : 발주자를 대신하여 프로젝트의 설계, 시공 및 감리 업무에 대한 책임을 지는 의무 - 코디네이터(The Co-ordinator) : 프로젝트 설계 준비과정에서 안전을 담당하는 의무1.3 영국 건설관리법(CDM) 1994위에서 언급된 영국의 두 가지 법령은 유럽지침을 바탕으로 영국에서 필요한 것에 따라 인용되었다. 유럽 회원국들은 유럽 지침의 최소사항에 추가하여 유럽지침에 포함되지 않은 국내법에 맞게 자유롭게 추가하였다. 영국의 건설관리법(CDM)을 보건과 안전 규정 등과 같이 별도로 검토하거나 따라서는 안 된다.유럽 지침에는 ‘설계자’ 또는 ‘설계’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건설관리법(CDM)에는 포함되었다. 유럽 지침의 ‘프로젝트 감독관’는 영국에서는 공사전 계획 단계에서의 ‘계획 감독관’으로서 다시 정의하고, 발주자, 계획 감독관과 설계자사이의 관계를 재정립하였다. 주어진 특정 상황 하에서 계획 감독관은 하나의 조직으로부터 나올 수 있으며, 개별적인 개인이나 법적 주체가 될 필요가 없다. 건설관리법에서 설계자에 대한 핵심 규정은 제 13조에 나타나 있으며, 다음과 같다.“모든 설계자는 자신이 준비한 모든 설계를 확인해야 하며, 건설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에 대한 예측 가능한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요구되는 적절한 설계 고려사항을 포함하도록 해야 한다.”이 규정은 ‘리스크 위계구조’의 설계 프로세스에 적용된 유럽지침의 핵심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설계자에게 필요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1.4 영국 터널 리스크 관리 실무에 대한 공동 코드 영국터널협회(BTS)와 영국 보험자협회(ABI)는 공동으로 터널 및 지하구조조물에서의 설계 및 시공과 관련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모범 실무사례를 소개하고 보장하기 위한 실무 코드를 발행하였다. 이것은 계약과 계약 보험자 당사자 간의 리스크 규명과 리스크 배분, 그리고 리스크 평가 및 리스크 레지스터를 통한 리스크 관리와 컨트롤에 대한 실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14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1.4.1 범 위이 공동코드의 범위는 영국에서의 터널 공사와 약정 기간 동안의 터널 운영에 대한 프로젝트 개발, 설계, 계약 조달에 적용된다. 또한 이것은 그 제3자와 다른 구조물에 대한 터널 공사의 영향을 다룬다. 이 코드는 약정 운영기간 동안에 포함되지 않은 지하 구조물의 운영 성능은 제외된다. 1.4.2 구성실무 코드는 상업적 필연성에 근거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의 요구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고, 다음을 포함한 모든 당사자의 조치와 책임을 상세히 기술한다. - 리스크 평가 - 리스크 등록부 - 발주자 역할 및 책임 ㆍ적절한 기술 및 계약관리 역량 ㆍ현장 및 지반 조사 ㆍ프로젝트 옵션의 분석과 평가 ㆍ프로젝트 개발 설계 검토- 건설계약 조달단계 ㆍ입찰 목적용 계약서류 준비 ㆍ입찰 목적용 시공자 선정 또는 사전 자격심사 ㆍ입찰 적정 시간과 입찰 분석 및 평가 ㆍ입찰 리스크 등록부 - 설계 ㆍ설계자의 선정 및 임명 ㆍ설계자 간의 정보 전달 ㆍ설계 프로세스 ㆍ설계 확인 ㆍ시공성 문제 ㆍ시공중 설계 검증- 시공 단계 ㆍ시공전 활동 ㆍ리스크 관리 절차 ㆍ시공자 인원과 조직 ㆍ시공성 ㆍ시공방법 및 장비 ㆍ관리 시스템 ㆍ계측 모니터링 ㆍ변경 관리1.5 전략적 측면에서 설계자가 수행해야 할 것들설계자는 설계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예측 가능한 안전 리스크의 고려와 제거에 책임을 가진다. 이것은 설계 프로세스가 전적으로 안전 고려사항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아니며, 고려된 리스크는 설계자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제한된다. 설계자는 설계의 시공 가능한 방법, 또한 다양하고 가능한 시공프로세스와 관련된 리스크와 위험요소에 대한을 명확한 견해를 갖도록 해야 한다.1.5.1 리스크 회피 리스크 관리의 첫 번째 단계는 리스크를 가능한 회피하는 것이다. 이것은 위험요소와 리스크의 구조화된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며, 첫 번째 목표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설계 옵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위험요소와 리스크가 남아 있는 경우, 잔류 리스크는 통제되거나 감소해야 한다. 최종 목표는 공사에 관련된 리스크에 노출된 모든 당사자를 보호하도록 설계를 진행하는 것으로 개인에 대한 보호만을 제공하는 리스크 통제조치에 의존하는 것과는 다르다.1.5.2 정보 제공 설계자는 건설 단계에서 공사를 수행하는 사람의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 구조물 또는 재료의 안전 측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더 중요한 법률요건이 있다. Vol. 20, No. 3 15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이러한 정보는 공사전 공사 안전시스템이 구분되고 시행되기 전에 공사 담당자에게 충분한 시간 안에 전달되도록 하여야 한다. 1.5.3 기록 보관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설계자의 고려사항을 기록해야하는 공식적인 요건은 없으나, 나중에 어떤 조사가 이루어질 경우, 공식적인 설계시스템의 일부로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법집행기관인 영국 보건안전위원회(HSE)은 언제든지 법적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설계자의 접근법을 감사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설계 작업이 실제로 완료된 후에, 그리고 주요 엔지니어링 결정이 이루어진 후에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은 그러한 입법 정신을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보건안전위원회(HSE) 그자체적으로도 피상적인 접근 명령이 될 것이다. 1.5.4 도전과 과제 위에서 설명한 안전에 대한 여러 가지 법들은 설계자들에게 업무를 수행하는 기존의 방법에서 적절한 새로운 접근법, 새로운 기술 및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사용하여 리스크를 제거하고 줄임으로서 사고와 열악한 안전문제를 줄이도록 한다는 점에 있어서 새로운 도전이자 과제라 할 수 있다.2. 리스크 관리 방법‘리스크가 없는 건설 프로젝트는 없다. 리스크는 관리되고, 최소화되며, 분담되며, 이전되고 수용될 수 있다. 리스크는 간과되어서는 안된다(Latham, 1994).최근 몇 년 동안, 토목건설산업은 리스크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법의 필요성을 인식해왔으며, 리스크를 다루는 관련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현명한 발주자라면 리스크 관리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리스크 관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식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부터 특히 설계-시공 프로젝트에서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절차의 적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리스크 등록부는 위협(threat)과 기회(opportunity)를 기록하는 공식적인 방법이다. 각각의 위험요소와 관련된 리스크는 프로젝트에 관계된 엔지니어, 발주자 그리고 다른 핵심 이해당사자로 구성된 경험 많은 팀으로부터 상호 협력하에 논리적 방식으로 평가된다.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정성적 평가시스템이 적합하다. 또한 대형 프로젝트나 특히 위험하다고 평가되는 프로젝트에서는 정량적 접근법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소통 및 후속 추적이 용이하도록 리스크 평가팀에 의해 인식된 주요 리스크는 리스크 매트릭스로 요약되어야 한다.2.1 범 위 모든 프로젝트는 리스크 등록부(Risk register)를 사용해야 한다. 복잡함과 필요한 세부사항의 수준은 프로젝트마다 특별 요구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권고 노트와 리스크 등록부는 프로젝트의 리스크 관리를 위한 것으로, 이는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성단계까지 전 생애 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며, 운영과 유지관리에 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측면을 포함된다. 실제로, 리스크 등록부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 가능한 간단하게-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가능 하도록 - 프로젝트 복잡성에 관계없이 유연하고 채택가능하게예를 들어 철도 안전, 오염된 토지, 지진 위험 등과 같은 경우에 리스크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전문가 절차가 요구된다고 알려져 있다. 전문가 프로세스가 실현되더라도, 프로젝트 리스크에 대한 단순한 높은 수준의 정리는 특히 상세한 정량적 리스크 분석에 대한 전문가 지식이 없는 발주자에게는 여전히 유익하다. 만약 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16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특집 기술강좌: 지하터널공사 리스크 안전 관리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효율적인 공사관리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 공유 - 프로젝트팀 노력과 중대한 이슈에 대한 집중- 팀들간의 소통 개선(즉, ‘사일로’ 사고방식을 피함)2.2 리스트 등록부2.2.1 리스크 등록부 사용시기리스크 등록부는 프로젝트에 관계된 모든 당사자가 프로젝트에 전 과정에 사용하고 업데이트하는 라이브 문서이다. 특히 시공중 이벤트가 프로그램상에 설계 수정과 변경을 필요하게 된다면 더욱 그렇다. 설계-시공 일괄프로젝트(Design-and build project)에서 입찰기간은 중대한 단계이므로 리스크 등록부를 입찰 완료 때까지 입찰 프로세스를 가이드 하는데 이용하여야 한다. 라이브 문서로서 리스크 등록부는 특히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거나 범위를 변경할 경우 다시 검토해야 한다.2.2.2 리스크 등록부리스크 등록부는 다음 사항의 요약이다. - 무엇이 잘못될 수 있는가? -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 - 잘못될 가능성을 완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은 무엇인가? - 누가 그것을 관리할 책임이 있는가? - 만약 무언가 잘못되면 누구에게 취약한가? - 언제 리스크 관리 조치를 수행해야 하는가?이것은 또한 발주자의 구성원과 모든 전문시공업체 및 전문 설계자를 포함한 프로젝트팀의 모든 핵심 구성원에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라 할 수 있다.2.3.3 평가 프로세스주의 깊은 통찰이 위협/기회 구별에 다음을 포함하여 주어져야만 한다.- 개개인의 기술적 배경 -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원수 - 이용 가능한 배경정보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4~6명의 경험 많은 스태프가 일반 엔지니어링, 상업적 및 전문가적 기술적 배경 등을 갖추어야 한다. 3명 미만이나 경험과 관점의 부족한 경우는 아마도 부적합할 것이다. 10명 이상은 효과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다. 상대적로 짧은 집중적인 ‘브레인스토밍’ 모임이 비용대비 가장 효과적이다(일반적으로 0.5~2.0시간). 브레인스토밍에 앞서 핵심구성원에게 발주자 요구사항, 계약사항, 지질, 환경 이슈, 현장 여건 등에 대한 주요 배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핵심단어나 구절을 사용하는 프롬프트 시트는 프로젝트에 대한 위협과 기회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것들은 프로젝트 팀과의 브레인스토밍 모임이 끝나기 전에 사용해야 한다.가장 중요한 단계는 위협/기회 식별로, 만약 이것이 종합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모든 후속 단계는 잘못된다. 단순한 리스크 평가에서, 단계(ii)와 (iii)는 정성적이며, 참가자의 경험과 지식의 조합에 기초한다.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위협과 기회를 식별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2.3.4 핵심 단계그림 4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요약하는 흐름도를 보여준다. 관리 단계는 다음과 같다. (i) 위협/기회 식별 (ii) 가능성 평가 (iii) 결과 분석 (iv) 리스크 감소를 위한 옵션 고려(v) 선택된 리스크 경감전략을 식별하고 관리 (vi) 정기적인 검토 및 재고, 특히 새로운 정보가 제공될 경우 Vol. 20, No. 3 17제1강.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가장 중요한 단계는 위협/기회 식별로, 만약 이것이 종합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모든 후속 단계는 잘못된다. 단순한 리스크 평가에서, 단계(ii)와 (iii)는 정성적이며, 참가자의 경험과 지식의 조합에 기초한다.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위협과 기회를 식별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2.3.5 정량적 또는 정성적 리스크 평가리스크 평가는 프로젝트 규모, 기술적 복잡성 및 관련 당사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정성적 또는 정량일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에는 정성적 리스크 평가가 적합할 것이다. 완전한 정량적 평가는 공사비와 공정수행에 직접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표 1> 위협/기회의 신속한 식별을 위한 리스트계약문서와 회사관계지반조건∙ 발주자-과거 일적 관계∙ 발주자의 기대사항∙ 전문업체/공급자-능력, 과거일적 관계∙ 계약조건∙ 지불조건∙ 변경에 민감성(비용과 시간, 대안접근)∙ 리스크 할당(예, 지반리스크)∙ 과거 설계 및 시공상의 일적관계∙ 책임성/권한 경계∙ 커뮤니케이션 라인∙ 조절정보∙ 사전조사, 지반조사, 지반조사보고서 평가∙ 지질 환경-잠재적 변동성, 잠재적 위험요소∙ 수리지질 - 계절적 변화, 장기적인 변화∙ 지하수 조절∙ 오염∙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이슈∙ 지반/구조물 거동∙ 지진직원채용설계∙ 직원채용 요구사항∙ 관련 경험∙ 적정단계에서의 전문성∙ 지식/전문성의 한계∙ 내부전문가 이용∙ 명확하고 분명한 설계 요약∙ 서비스 수준 기준∙ 혁신 또는 증명된 기술/방법/재료∙ 설계 인터페이스∙ 입력 자료의 적정성과 신뢰성∙ 예상치 못한 메커니즘∙ 해결책의 철저한 검증 - 설계, 능력, 가정제3자의 민감성시공∙ 제3자 연관성∙ 다른 당사자에 대한 의존성∙ 근접구조물과 서비스∙ 공공 연관성/관심∙ 위치∙ 환경 이슈∙ 소음∙ 진동∙ 폐기물 관리 최소화∙ 제안된 방법론에 대한 과거 경험∙ 현장 검증/문제 인식∙ 시공성∙ 유지관리∙ 혁신 또는 검증된 기술/방법/재료∙ 계측 모니터링∙ 시공 인터페이스∙ 설계가정 검증을 위한 피드백∙ 관찰법의 잠재성∙ 지반조건 변경의 영향∙ 임시작업승인공정∙ 접근∙ 법규 - 환경, 안전∙ 계획합의, 면허∙ 발주자 승인∙ 폐기물 관리 최소화∙ 작업의 연속성∙ 이용 가능한 시간∙ 접근 제한∙ 직원/전문가 계획의 이용성<그림 4>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