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18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1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유해성분 분석1. 개 요숏크리트 타설 시 강도를 조기에 발현하고 응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급결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일부 급결제에는 다량의 알칼리 성분과 6가크로뮴(Cr6+) 같은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구조물 내구성 저하 및 갱내 작업환경 저하가 예상되고 있다.알칼리 함유량이 많은 급결제 사용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숏크리트에 포함된 골재와 급결제의 알칼리 이온이 반응하여 알칼리-골재 반응을 촉진시켜 숏크리트에 팽창균열을 유발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둘째, 알칼리 이온이 지하수에 용탈된 자리는 빈 공간으로 남아 다공질화되어 숏크리트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셋째, 용탈된 알칼리 이온이 공기와 접촉하면 침전되어 배수관 폐색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넷째, 급결제의 알칼리 이온이 지하수에 용탈되어 지하수 pH를 상승시켜 수질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6가크로뮴(Cr6+)이 함유된 급결제 사용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터널내 밀폐공간에서 에어졸 상태의 급결제가 확산되어 작업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 등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6가크로뮴(Cr6+)의 독성으로 인해 충혈, 피부 알러지, 호흡기 손상 등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는 피부암과 폐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둘째, 숏크리트와 반응하고 남은 급결제가 지하수나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기술기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 중인 숏크리트용 급결제를 대상으로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2. 급결제의 종류 및 특징2.1 알칼리계 급결제Ryu(2012)와 Jeon(2004)에 의하면 실리케이트계 급결제는 물유리계 급결제라고도 불리우고 있으며 실리케이트계 급결제는 주성분인 규산나트륨(Na2O․ SiO2)이 시멘트와 반응하여 수산화칼슘(Ca(OH)2)이 생성되며, 이것으로 인해 C-H-S를 급속히 생성하여 응고시킨다. pH 11~13의 강알칼리성이므로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유입될 경우에는 배출되지 않고 축적되어 작업자의 인체에 유해하여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는 주성분인 알루민산나트륨(NaAlO2)이 가수분해하여 수산화나트륨(NaOH)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으로 분해되며 수산화나트륨(NaOH)이 급결효과를 나타내고 수산화알루미늄(Al(OH)3)은 수산화칼슘(Ca(OH)2)과 반응하여 알루민산칼슘수화물(C3AH6, 3CaO․ Al2O3 ․ 6H2O)을 생성한다. pH 11~12의 강알칼리성이며 피부에 접촉될 경우 위험할 수 있다.Kim et al.(2003)에 의하면 시멘트광물계 급결제는 주성분인 12CaO․ 7Al2O3이 시멘트와 혼합하면 시멘트 중의 수산화칼슘(Ca(OH)2) 및 황산칼슘(CaSO4)과 반응하여 급속히 에트린자이트(3CaO ․ Al2O3 ․ 3CaSO4 ․ 32H2O)의 침상결정을 생성시켜 급결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Vol. 20, No. 2 192.2 알칼리프리계 급결제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알칼리계 급결제의 문제점인 알칼리함량 과다로 인한 내구성 저하와 인체 유해성을 개선한 급결제로서 전체 알칼리량(Na2O+ 0.658K2O)이 1%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 알칼리성분이 적어 알칼리-골재 반응이 억제되어 내구성 저하가 적고 지하수 용탈로 인해 주변 환경으로 유입되는 유해성분이 적다.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슬러리형, 액상형 및 분말형이 있으며, 슬러리형은 황산알루미늄(Al2(SO4)3)을 과포화 상태로 용해시킨 것으로 장기강도 저하가 적고 피부 자극성이 적으며, 제품의 점성이 높고 타설면에 물이 존재할 경우 리바운드량이 증가할 수 있다. 액상형은 슬러리형의 발전형태로, 응결시간을 개선하여 타설면에 물이 존재 할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였다. 액상형태이므로 갱내 분진발생이 적고 리바운드량도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말형은 일반적인 타설장비로 타설이 어려우며 별도의 전용장비가 필요하다. 타설면에 물이 존재할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나 액상형보다 갱내 분진발생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림 1> Shotcrete accelerating agent(liquid)<그림 2> Shotcrete accelerating agent(powder)3. 급결제내 주요 유해성분3.1 강알칼리(Na+, K+) 성분3.1.1 알칼리-골재 반응 촉진으로 인한 팽창균열 유발Korea Concrete Institute(1981)에 의하면, 급결제의 주성분인 알루민산나트륨(NaAlO2)과 탄산나트륨(Na2CO3)은 알칼리 성분으로 시멘트가 수화반응을 하게 되면 시멘트 수화물로 고착되지 않고 숏크리트 내에 존재하게 되고 이 경우 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존재하는 Na+, K+ 이온이 골재의 반응성 실리카와 반응하여 팽창성 겔(gel)을 생성하게 되어 숏크리트에 팽창균열을 유발하고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위와 같이 숏크리트용 급결제가 강한 알칼리성을 띄는 경우 알칼리-골재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Lee et al.(2009)의 연구에 따르면, 국내의 숏크리트 골재 중 46.5%가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20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1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유해성분 분석<그림 3> Alkali-aggregate reaction schematic diagram<그림 4> Alkali-aggregate reaction occurrence photo(example)<그림 5> Alkali-aggregate reaction enlarged photo(example)3.1.2 알칼리 성분 용출로 인한 내부조직 다공질화Ryu(2012)에 의하면, 급결제의 주성분인 알루민산나트륨(NaAlO2)과 탄산나트륨(Na2CO3)의 Na+이온은 수화에 관여하는 물질이 아닌 수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물이 숏크리트에 침투하게 되면 내부의 Na+이온은 수화물로 존재하지 않고 지하수에 용해되고 이로 인해 숏크리트가 지하수와 접촉 시 급결제내 Na+ 이온과 시멘트의 Ca2+ 이온이 용해되면서 내부조직이 연약화 되어 Na+ 이온과 Ca2+ 이온이 용해된 자리는 빈 공간으로 남게 되어 내부조직이 다공질화 되면서 숏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a) Shotcrete test specimen immediately after construction(b) Shotcrete 4 years after construction<그림 6> Enhancement of corrosion resistance in shotcrete tunnel lining using chemical admixtures(Ryu, J.H., 2012)Vol. 20, No. 2 213.1.3 탄산나트륨 침전물로 인한 배수관 폐색급결제의 Na+ 이온이 용출되어 지하수나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2)와 만나면 탄산나트륨(Na2CO3)으로 굳어져 배수관내 침전물을 형성하여 쌓이게 되며, 이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거나 관경이 좁아져 배수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그림 7> Outline of drain pipe clogging phenomenon<그림 8> Occurrence cases of drain pipe clogging phenomenon3.1.4 강알칼리성 유출수로 인한 토양․ 수질 환경오염숏크리트용 급결제내 포함된 다량의 수산화나트륨과 지하수가 만나 pH가 높은 강알칼리성으로 유출되는데, 유출수가 인근 토양이나 하천으로 흘러가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3.2 6가크로뮴3.2.1 6가크로뮴(Cr6+) 공기중 확산으로 인한 작업자 인체유해Leikauf(1998)에 의하면, 터널 내 숏크리트 타설 메커니즘은 습식 숏크리트가 최종적으로 분사되는 노즐에서 압축공기와 함께 급결제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으나, 터널내 밀폐공간에서 숏크리트 작업 시 급결제가 에어졸 상태로 확산되면서 작업자들의 눈, 피부, 호흡기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급결제내 유해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또한, An et al.(2013)에 의하면, 시멘트광물계 급결제의 주원료인 12CaO ․ 7Al2O3는 생석회, 보크사이트, 알루미나 부산물을 투입하여 1500~1700°C의 고온으로 소성시킨 뒤 무수석고, 알루민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등의 다양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원료 중에 포함된 크로뮴(Cr)이 산화되어 유해성이 강한 6가크로뮴(Cr6+)으로 전환된다.6가크로뮴(Cr6+)은 독성으로 인해 충혈, 피부 알러지, 호흡기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피부암과 폐암의 원인이 되는 발암물질로서 미국의 경우 20대 관심 대상 오염물질로 지정되어 있다.22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1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유해성분 분석<그림 9> Cast mechanism of wet shotcrete<그림 10> Wet shotcrete at the construction site<그림 11> 12CaO․ 7Al2O3 manufacturing process4. 급결제내 유해성분 관련 기준4.1 국내 기준<표 1> Domestic standards for harmful components in accelerating agent구분주요 내용터널설계기준(2016)∙ 숏크리트용 급결제는 장기강도의 저하가 적어야 한다.∙ 급결제는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터널표준시방서 KCS 27 3000(2016)∙ 숏크리트용 급결제는 조기강도 발현 효과가 좋고 장기강도에 영향을 작게 미치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급결제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없어야 한다.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2012)알칼리프리계 급결제의 알칼리함량을 1.0% 이하로 해야 한다.철도건설공사 전문시방서 (2015)환경오염 및 배수공 막힘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실리케이트계 급결제 사용을 금지하여야 한다.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8호)(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인체에 유해한 인자들에 대해 유해인자 발생시간 및 측정치에 따라 노출량을 고시하였다.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2017)제12조2항 [별표] - 하천 및 지하수에 대한 6가크롬 검출기준은 0.05mg/L 이하 이어야 함.Vol. 20, No. 2 234.2 국외 기준<표 2> Overseas standards for harmful components in accelerating agent구분주요 내용유럽 숏크리트 시방서(1999)∙ 알칼리프리계 급결제의 알칼리함량이 1% 이내이어야 한다.∙ 액상형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pH 범위가 2.5~8 이내가 되어야 한다.호주 숏크리트 기준(2010)∙ 숏크리트용 급결제는 알칼리프리계이어야 하고 부식성이 없으며 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해 pH가 약 3이어야 한다.∙ 알루미네이트계(Sodium Aluminates)와 실리케이트계(Sodium Silicate)는 부식성이 높고 인체에 해롭다.∙ 알칼리프리계(Calcium Aluminate, Aluminium Sulfate)는 부식성이 없고 알칼리 성분이 없어 안전하다.영국 터널시방서(2010)∙ 액상형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만 사용 가능하다.∙ pH 범위 2.0~8.0 및 알칼리함량이 1% 이내가 되어야 한다.기타 국외 품질기준 pH 범위 3~10, 알칼리함량 1% 이하가 되어야 한다.5. 급결제내 유해성분 관련 연구 분석5.1 국내 연구 동향5.1.1 국내 숏크리트용 골재의 알칼리-골재 반응에 대한 연구Lee et al.(2009)의 연구내용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급결제는 터널벽면의 부착량을 증가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조기강도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Na2O, K2O와 같은 알칼리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그러나 숏크리트 중에 포함된 알칼리 함량을 제한하는 품질규격은 전무하며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의 품질을 규정한 KS F 2560에서는 콘크리트 중의 알칼리 함유량을 3.0kg/m3 이하, 시멘트 이외의 재료로부터 유입되는 전알칼리 허용량은 0.5kg/m3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이러한 알칼리 성분은 골재 중의 반응성 물질과 화학반응에 따라 과도한 팽창을 일으키는 알칼리-골재 반응의 원인이 되므로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반응성 골재를 철저히 배재하고 알칼리 함유량이 낮은 재료의 선정이 중요하다.(a) By the domestic region(b) By the overall domestic<그림 12> Experiment result for alkali-reactivity of aggregates for shotcrete in Korea24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1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유해성분 분석서울․ 경기,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골재를 채취하여 알칼리-골재 반응 여부를 시험한 결과에 의하면 0.1% 이상의 팽창율을 보인 골재는 서울․ 경기 27.3%, 강원도 33.3%, 전라도 50.0%, 경상도 54.6%, 충청도 66.7%로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5.1.2 혼화제를 이용한 숏크리트 터널 라이닝의 부식 저항성 향상에 관한 연구Ryu(2012)의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숏크리트는 암반에 직접 타설되어 지하수 접촉이 쉬운 구조이며 지하수에 노출된 숏크리트는 시멘트의 Ca2+이온과 K+이온이 용탈되고, 급결제에서는 Na+이온이 용탈된다. 급결제의 Na+이온은 1가 이온이며 시멘트의 Ca2+이온은 2가 이온이기 때문에 Na+이온의 가수분해가 보다 쉽게 일어나 먼저 용탈된다. 알칼리이온 용탈로 지하수의 pH는 상승되며 배출된 Ca2+이온은 지하수나 공기중의 CO2에 의하여 침전이 발생하게 된다. 숏크리트의 미세구조는 점차 Ca2+이온이 빠져나간 빈자리로 인하여 흡사 골다공증에 걸린 사람의 뼈조직과 유사하게 숏크리트 내부조직이 연약화 되어 장기적으로 내구성능과 역학적 성능이 취약해지게 된다.(a) Surface efflorescence of shotcrete(St. Gotthard)(b) Extraction of groundwater in shotcrete(Gotschna Tunnel)<그림 13> Examples of damages caused by shotcrete corrosion in a tunnel5.1.3 표면분석에 의한 유리 용기내의 백색현상 연구Gang et al.(1996)의 연구내용에 따르면 유리용기를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유리표면에 흰색 침전물이 생기게 되며, 이 침전물을 Ion chromatograph로 분석한 결과, 육면체 또는 팔면체의 결정상이고, 그 성분이 Na+, Ca2+ 등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결정구조는 아래 표 3과 같다.<표 3> Structural formula and crystal structure of precipitate구조식결정구조Na2CO3 ․ H2Orhombohedral (육면체)Na2CO3 ․ 7H2Orhombohedral (육면체)CaCO3rhombohedral or Hexagonal (육면체 또는 팔면체)Ca(OH)2Hexagonal (팔면체) Vol. 20, No. 2 25<그림 14> The samples of shotcrete accelerating agent component test시멘트와 급결제에서 용출되는 Ca2+과 Na+가 공기와 반응하여 Na2CO3 ․ H2O과 Ca(OH)2 같은 침전물이 형성되며, 그로 인해 관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5.1.4 그라우팅으로 인한 주변 지하수-토양 환경으로의 중금속 용출가능성 평가Bang et al.(2006)의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시멘트 및 급결제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을 용출하여 pH를 증가시키고, 또한 중금속을 용출시켜 주변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금속 중 일반적으로 Cu, Pb, Zn, Cd는 토양에 흡착되는 반면 Cr은 토양 간극수 사이로 침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동거리도 가장 크다.급결제 재료에 의한 환경영향 중 지하수 및 동․식물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H 및 Cr6+(6가크로뮴) 이다.5.2 국외 연구 동향5.2.1 Alkali-free Acceleration for Sprayed ConcreteLeikauf(1998)의 연구내용에 따르면 일반적인 숏크리트용 급결제는 알루미네이트계와 실리케이트계가 대표적이며, 이 둘은 알칼리 함량이 매우 높다(pH 11~14). 알칼리 함량이 높은 급결제 사용 시 숏크리트의 장기강도는 급결제 미사용시에 비해 최대 50%까지 감소하며, 알칼리-골재 반응으로 인해 숏크리트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숏크리트 타설시 분진이 발생 할 수 있어 급결제의 알칼리 함량이 높을 경우 작업자의 눈과 피부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방지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알칼리프리계 급결제 사용이 필요하다.5.2.2 Chromite Mining and ProcessingPublic Health Ontario(2015)의 연구내용을 살펴보면 6가크로뮴은 사람의 건강에 가장 해로운 크로뮴의 형태로서 입을 통해 흡입할 경우 구토와 위, 간, 신장 등에 손상이 발생하며 심각한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국제 암 연구소(IARC)에서는 6가크로뮴을 발암물질 제1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6가크로뮴에 노출된 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폐암 발병 가능성이 높고 광부, 철광석 작업자, 시멘트를 사용하는 직업군의 작업자들에게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인체에 해를 끼치는 6가크로뮴 농도 및 노출시간에 대한 것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으나 6가크로뮴 농도 약 20~25mg/L 정도에서 매우 위험성이 높다. 6. 급결제내 유해성분 시험임의의 건설현장에서 제공된 급결제 9종류(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 3종, 시멘트광물계 급결제 3종, 알칼리프리계 급결제 3종)에 대한 성분시험을 3곳의 연구소(한국화학융합시험 연구원(기관1), 한국건설자재시험연구원(기관2), 세라믹기술원(기관3)에 의뢰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한국건설자재시험연구원은 액상형 급결제의 알칼리26 자연,터널그리고 지하공간기술기사 1숏크리트용 급결제내 유해성분 분석양 시험만 가능한 기관이며, 세라믹기술원은 분말형 급결제의 6가크로뮴 함량 시험만 가능한 기관으로, 두 기관에 추가 시험을 의뢰하였다.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알칼리함량 시험결과는 그림 15와 같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기관1)의 1차 및 2차 알칼리 함량 시험결과, 알루미네이트계에서 18.14~20.06%, 시멘트광물계에서는 3.56~ 9.53%, 알칼리프리계에서 0.47~ 3.01%로 조사되었으며, 한국건설자재시험연구원(기관2)의 알칼리 함량 시험결과에 의하면 알루미네이트계에서 19.50~20.80%, 알칼리프리계에서 0.50~0.56%로 각각 조사되었다.밀폐된 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유해할 수 있는 6가크로뮴 함량 시험결과에 의하면 그림 16과 같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기관1)의 1차 및 2차 시험결과에서는 알루미네이트계와 알칼리프리계는 미검출 되었고 시멘트광물계는 11.00~17.00mg/kg로 조사되었으며, 한국세라믹연구원(기관3)의 시험결과에 의하면 시멘트광물계는 2.14~2.54mg/kg으로 조사되었다.<그림 15> The result of total alkali test<그림 16> Results of hexavalent chromium content test검토결과 친환경적 및 구조물의 내구성 측면에서 급결제내 알칼리(Na+, K+)이온의 함량이 1% 이하이고, 밀폐된 터널 구조상 인체 유해성이 문제가 될 수 있는 6가크로뮴이 검출되지 않는 급결제 종류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7. 결 론1) 알칼리계 급결제는 실리케이트계, 알루미네이트계, 시멘트광물계가 있으며 강알칼리성으로서 내구성이 저하되고 작업자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슬러리형, 액상형, 분말형이 있으며, 알칼리성분이 적어 내구성 저하가 작고, 인체 유해성분이 적어 작업자 인체에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급결제의 주요 유해성분에는 강알칼리 성분과 6가크로뮴(Cr6+)이 있다. 강알칼리 성분은 알칼리-골재 반응 촉진으로 인한 팽창균열을 유발하고, 알칼리성분 용출로 인한 내부조직 다공질화, 탄산나트륨 침전물로 인한 배수관 폐색, 강알칼리성 유출수로 인한 토양․ 수질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숏크리트 타설시 6가크로뮴(Cr6+)이 공기중에 확산되는 경우 작업자 인체에 유해(피부알러지, 호흡기 손상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피부암과 폐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Vol. 20, No. 2 273) 급결제의 유해성분에 대해 국내 터널설계기준에는 “조기강도 발현이 좋고 장기강도 저하가 적어야 함”과 터널표준시방서에 “인체에 유해한 영향이 없어야 함”,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에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알칼리함량 1% 이하이어야 함” 등이 있으며, 국외기준으로는 유럽, 미국 등의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알칼리함량 1% 이하이어야 함” 등이 있다.4) 급결제의 유해성분에 관한 국내연구로는, Lee et al.(2009)의 “국내 46.5%의 숏크리트 골재에서 알칼리-골재 반응 위험성이 나타남”과 Ryu(2012)의 “급결제내 알칼리성분이 지하수에 용해되면서 내부조직이 연약화 됨”, 등이 있으며, 국외연구로는, Leikauf(1998)의 “알칼리 함량이 높은 급결제 사용 시 숏크리트 장기강도는 저하되며, 작업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음”과 Public Health Ontario(2015)의 “6가크로뮴(Cr6+)은 발암물질 제1군으로 분류되며 6가크로뮴에 노출된 환경에서 폐암 및 피부염 발병 가능성이 높음” 등이 있다.5) 구조물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알칼리함량 시험결과 알루미네이트계에서는 18.14~20.80%, 시멘트광물계에서는 3.56~9.53%, 알칼리프리계에서는 0.47~3.01%로 조사되었다. 밀폐된 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건강에 유해할 수 있는 6가크로뮴 함량 시험결과에 의하면 알루미네이트계와 알칼리프리계에서는 미검출 되었으며, 시멘트광물계에서는 2.14~17.00mg/kg로 조사되었다.6) 위의 시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구조물의 장기내구성 측면에서 급결제내 알칼리(Na+, K+)이온의 함량이 적으며, 터널내 밀폐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 건강에 유해한 6가크로뮴이 검출되지 않는 급결제 종류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본 기술기사는 숏크리트 급결제에 대한 선정 시 구조물의 내구성, 작업자의 안전과 환경영향 등을 고려한 선정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며, 시험결과는 현장에서 제공된 급결제 시료를 대상으로 한 공인기관의 시험결과를 근거로 하여 작성한 내용으로 현장제공 시료 및 시험조건에 따라 그 결과가 일부 다르게 평가 될 수 있는 점을 밝힙니다. 기술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신 현장관계자 및 공인기관 시험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를 드립니다.참고문헌1.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1), 「Quality standard of shotcrete accelerating agent for Tunnel shotcrete」.2.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2),「Special specification of highway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5),「Special specification of railway construction - Roadbed」.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6), 「Tunnel Design Criteria」.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6), 「Tunnel Standard Specification - KCS 27 30 00 Tunnel girder」.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2014), 「KS F 2560 – Chemical Admixtures for concrete」.7. Industrial Standards Commission(2017),「KS L 5221 –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hexavalent chromium contained in cement」.8. Baek, S. W. et al.(200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ccelerator and Chemical Admixture Type for the Durability of Shotcrete」,Industrial Safety Journal Vol.18 No.3.9. Jeon, E. J.(2004),「Performance of 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 using Alkali Free Based Accelerator」, Master’s degree thesis.10. Gang, D. Y. et al.(2005), 「Measure and Future Plan for Reduction of Harmful Components (Hexavalent Chromium) generation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