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vi 2022년 신입 회원 강세혁(육군 3사관학교)강찬우(충북대학교)고건혁(제주대학교)고선영(세종대학교) 권혁종(한국해양과학기술원)권호진(부산대학교)김경섭(국방과학연구소)김기현(경북대학교) 김도헌(㈜프리비젼스)김도형(경북대학교)김두영(해군사관학교)김률(인하대병원) 김민석(야마하뮤직코리아)김영길(서울시립대학교)김종우(가천대학교)김지민(인천대학교) 김지석(한국과학기술원)김지섭(한양대학교)김지훈(강남대학교)김창수(제주대학교) 노태현(DGIST)류승완(일제곱킬로미터)마승희(롯데정보통신 R&D센터)문연주(삼성전자) 박경민(해군사관학교)박동해(목포대학교)박상희(한국건설기술연구원)박영빈(한양대학교) 박주영(가천대학교)박주현(연세대학교)박중용(한국해양과학기술원)박찬주(NTSOL) 박찬휘(서울시립대학교)박희용(인하대학교)배무호(한림대학교)백승재(경북대학교) 변상신(해군사관학교)석종원(창원대학교)설승환(인하대학교)설호석(한양대학교) 송우석(광주과학기술원)신유빈(광운대학교)신의협(서강대학교)신창현(LIG넥스원) 안병선(LIG넥스원)안진효(안동대학교)염수현(서울대학교)유예나(경북대학교) 윤창현(한국해양대학교)이권기(부산대학교)이근형(성균관대학교)이병용(부산대학교) 이상민(인하대학교)이수빈(서울대학교)이야긴(충북대학교)이영현(대림대학교) 이인성(인하대학교)이장우(LG전자)이종무(서울대학교)이주영(연세대학교) 이준재(경북대학교)이채원(한양대학교)전성중(제주대학교)전인구(경북대학교) 정동기(광운대학교)정문철(한양대학교)정세형(경북대학교)정승재(산업기술연구집적센터) 정진연(KCL)조규민(광주과학기술원)조문주(한양대학교)조성일(국방과학연구소) 조진식(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지성현(부산대학교)최영지(강원대학교)최예린(서강대학교) 하준범(부산대학교)한원국(대구경북과학기술원)허재석(부산대학교)황윤(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황인성(한양대학교)vii Vol. 41 심사자 색인 강돈혁(한국해양과학기술원)강홍구(연세대학교)고학림(호서대학교)구명완(서강대학교) 구성민(나우히어링)권성재(대진대학교)권오욱(충북대학교)권휴상(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경석(상지대학교)김경섭(국방과학연구소)김경우(한국건설기술연구원)김근환(경북대학교) 김기만(한국해양대학교)김기백(숭실대 전기공학부)김명진(경북대학교)김무준(부경대학교) 김상훈(한국전자통신연구원)김석현(강원대학교)김선효(한국해양과학기술원)김성용(국방과학연구소) 김승근(한국해양연구원해양시스템)김시문(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김완구(세종대학교)김용태(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용희(영산대학교)김우일(인천대학교)김재수(한국해양대학교)김정순(동명대학교) 김지환(서강대학교)김태환(국방과학연구소)김현실(한국기계연구원)김형국(광운대학교) 김형순(부산대학교)김형함(포항공과대학교)김홍국(광주과학기술원)나영남(국방과학연구소) 남주한(KAIST)노용래(경북대학교)박민석(세종대학교)박상욱(강릉원주대학교) 박영철(연세대학교)박요섭(한국해양과학기술원)박준홍(한양대학교)박중용(한국해양과학기술원) 박진형(성균관대학교)박형민(서강대학교)방희석(세종대학교)백경민(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백성준(전남대학교)백승훈(부산대학교)변성훈(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서윤호(한국기계연구원) 서종범(연세대학교)서진수(강릉원주대학교)송경준 (부산대학교)송민정(전남대학교) 신기철(LIG넥스원(주))심민정(한국표준과학연구원)안세진(위덕대학교)양해상(서울대학교) 오기용(한양대학교)오원근(순천대학교)오택환(LIG넥스원(주))우정한(한국기계연구원) 유기완(전북대학교)유정수(울산대학교)유하진(서울시립대학교)윤경식(김천대학) 윤창한(인제대학교)이강성(광운대학교)이강일(강원대학교)이근화(세종대학교) 이기승(건국대학교)이보원(인하대 전자공학과)이석진(경북대학교)이성민(동명대학교) 이승열(네이버)이장우((주) LG전자)이종현(제주대학교)이찬(수원대학교) 임덕환(한림대학교)임준석(세종대학교)임태호(호서대학교)장길진(경북대학교) 장준혁(한양대학교)장지호(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지훈(서강대학교)장진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진용(한양대학교)정목근(대진대학교)정우근(한국해양대학교)정재학(인하대학교) 정정호(방재시험연구원)정종섭(동국대학교(서울))정지원(한국해양대학교)정철웅(부산대학교) 조성배(연세대학교)조용호(국립목포대학교)조호신(경북대학교)최경미(홍익대학교) 최민주(제주대학교)최복경(한국해양과학기술원)최승호(서울과학기술대학교)최영지(강원대학교) 최영철(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최지웅(한양대학교)팽동국(제주대학교)한수희(건국대학교병원) 홍기형(성신여자대학교)홍정표(창원대학교)홍주영(충남대학교)viii Vol. 41 분야별 색인 43.10.-a General REVIEW: Dynamic force effects on batteries 지성현, 정택수, 백승훈, 이병용No.6669 배관 진동저감 마찰 지지대 최적 위치 선정허재석, 장용훈, 백승훈No.6680 43.15.+s Standards 모드 매칭법을 이용한 다층 다공성 탄성 흠음재가 채워진 원통형 소음기의 음향투과손실 계산 이종무, 양해상, 성우제No.4375 Towards reducing acoustical high-frequency noise of a DC relay via contact structure 양준혁, 원종섭, 김원진No.6691 냉장고 수축팽창 소음의 발생기구에 대한 실험적 규명이영규, 김원진No.4389 43.28.-g Aeroacoustics and atmospheric sound 노즐 내부 유동 소음원에 의한 공력 소음의 정량적 분석이권기, 정철웅, 박경훈No.6698 감압 밸브 배관 시스템 내 파수-주파수 분석을 통한 곡관의 유동소음 저감에 대한 수치적 연구 구가람, 정철웅No.6705 원심팬 시스템의 공력소음 고신뢰 예측을 위한 수치 비교 연구유서윤, 정민승, 송영욱, 정철웅No.6713 43.30.-k Underwater sound 동해 연안에서 관측된 용승현상과 수동 음탐환경의 변화변상신, 조창봉No.6601 양상태 소나 배치를 위한 음향탐지성능 평가 방법손수욱, 김원기, 배호석, 박정수No.4419 Simulation of acoustic waves horizontal refraction using a three- dimensional parabolic equation model 나영남, 손수욱, 한주영, 이근화No.2131 수중 다중경로 주파수 선택적 채널에서 최대우도추정을 적용한 선택적합성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통신 성능 이채희, 박규칠, 박지현No.2143 수직 배열 센서를 이용한 초장거리 대역확산 수중음향통신의 실험 분석 윤창현, 라형인, 안정하, 김기만, 김인수No.2150 수중 음향통신에서 binary phase shift keying 신호의 프레임동기 방법양경필, 김완진, 도대원, 고석준No.2159 수중 음향통신에서 위상고정루프와 결합된 등화기의 성능분석김승환, 김인수, 도대원, 고석준No.2166 인공기포 존재 환경에서의 양상태 잔향음 예측을 위한 해상 실험 분석 및 모델링 연구 양원준, 오래근, 배호석, 손수욱, 김다솔, 최지웅 No.4426 동해 해역에서 양상태 잔향음 통계적 특징 분석염수현, 윤승현, 양해상, 성우제No.4435 오리피스형 공기분사기 생성 기포소음 추정 연구박철수, 정소원, 김건도, 문일성, 김인강No.3255 연성모드법을 이용한 해양 배경소음 모델링박중용, 권혁종No.4397 수중의 구형 탄성 몰수체를 둘러싼 기포층에 의한 삽입손실이근화, 이철원, 박철수No.2174 고반복률을 갖는 양상태 소나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필터를 이용한 송신 직접 파 제거 연구 이원녕, 정의철, 윤경식, 김근환, 김도형, 유예나, 이석진 No.4446 잔향음 우세 수조 환경에서의 수중음향 통신성능 분석최강훈, 황인성, 이상국, 최지웅No.2184 소노부이 신호 송수신을 위한 오토인코더 기반 신호 변복조 기법박진욱, 석종원, 홍정표No.4461 양상태 능동 소나를 위한 비음수 행렬 분해 기반의 잔향 제거 기법의 성능 개선 이석진, 이용곤No.4468 단일 벡터센서의 수중음향 통신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채널 파라미터 기반 가중 방법 최강훈, 최지웅No.6610 Directional frequency analysis and recording 소노부이의 표적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한 위너필터링 기반 주변 소음 제거 기법 홍정표, 배인영, 석종원No.2192 점진적 중심 갱신을 이용한 deep support vector data description 기반의 온라인 비정상 탐지 알고리즘 이기배, 고건혁, 이종현No.2199 채널 임펄스 응답 패턴을 이용한 음원 깊이 추정 모호성 제거 기법조성일No.2210ix 43.35.-c Ultrasonics, quantum acoustics, and physical effects of sound 약물이 탑재된 미소기포와 결합된 sonoporation: 유방암세포에 대한 치료효 과 박주현, 이한아, 이유경, 서종범No.5501 선박 추진시스템 유동 소음원 상대적 기여도 분석하준범, 구가람, 정철웅, 설한신, 정홍석, 정민석 No.3268 A low noise, wideband signal receiver for photoacoustic microscopy한원국, 문주영, 박성훈, 장진호No.5507 43.38.-p Transduction; acoustical devices for the generation and reproduction of sound 압전단결정을 이용한 소형 free-flooded ring 트랜스듀서의 성능 특성 예측 및 검증 임종범, 윤홍우, 권병진, 김경섭, 이정민No.3278 음향 챔버형 마이크로폰 검교정기의 검교정 주파수 한계와 모드 특성을 이용 한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김차영, 신금재, 문원규No.11 수중 음향 트랜스듀서의 임피던스 변화를 고려한 소나 송신기의 설계 및 출력 제어 기법 신창현, 이윤호, 안병선, 윤홍우, 권병진, 김경섭, 이정민 No.5481 43.40.-r Structural acoustics and vibration 차원 축소 진동 신호를 이용한 신경망 기반 선박 엔진 고장진단에 관한 연구심기찬, 이강수, 변성훈No.5492 43.50.-x Noise: its effects and control 다공판을 활용한 냉장고 저주파 흡음개선권호진, 김형진, 송경준, 김태훈, 구준효No.6723 청감실험방식에 따른 음풍경 평가결과 비교분석조아현, 한찬훈No.3287 43.55.-n Architectural acoustics 외부 전동블라인드의 사양에 따른 창호 차음성능 개선 효과강민우, 이희동, 오양기No.6621 방음판의 음향투과손실 측정규격에 관한 연구오양기No.3302 43.58.-e Acoustical measurements and instrumentation 초음파 무화 및 사이클론을 이용한 분산된 나노입자의 여과법정지희, 김무준, 김정순No.19 43.60.-c Acoustic signal processing 수중 음향 통신에서 주파수 편이 변조 신호의 프리엠블 오류율을 이용한 주파 수 이득 조절 연구 정현우, 정지원, 김완진No.2218 수중 음향 채널에서 터보 복호기의 채널 신뢰도 추정에 관한 연구정현우, 정지원, 김인수No.4410 합성곱 신경망과 장단기 메모리를 이용한 사격음 분석 기법강세혁, 조지웅No.3312 수중 표적 분류를 위한 합성곱 신경망의 전처리 성능 비교박경민, 김두영No.6629 인공와우 사용자의 심리음향적 음질평가 예비연구방정화, 오수희No.145 가변 길이 입력 발성에서의 화자 인증 성능 향상을 위한 통합된 수용 영역 다양화 기법 신현서, 김주호, 허정우, 심혜진, 유하진No.3319 강인 음성 인식을 위한 가중화된 음원 분산 및 잡음 의존성을 활용한 보조함수 독립 벡터 분석 기반 음성 추출 신의협 ,박형민No.3326 도플러 추정을 적용한 직접수열 대역확산 전송 기반 수중 이동통신 방법 및 가상 이동신호를 이용한 해상시험 결과 김승근No.116 음악신호와 뇌파 특징의 회귀 모델 기반 감정 인식을 통한 음악 분류 시스템이주환, 김진영, 정동기, 김형국No.2115 공간 주파수 합성곱 게이트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시청각 자극에 따른 뇌전도 기반 감정적 스트레스 인식 김형국, 정동기, 김진영No.5518 생체모방 은밀 수중 음향 통신 연구 동향설승환, 이호준, 김용철, 김완진, 정재학No.2227 곡면 배열 소나의 빔 균일화를 위한 빔 패턴 분석최정웅, 홍우영, 임준석, 이근화No.6637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과 격자엽의 억제정목근No.5525 초음파진단기 합성구경영상법의 진화배무호No.5534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법을 이용한 턱수염물범 신호 판별김지섭, 윤영글, 한동균, 나형술, 최지웅No.2235x 음선 기반 블라인드 디컨볼루션의 장거리 심해 환경으로의 적용김동현, 박희진, 김재수, 한주영No.2242 주파수 영역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을 위한 실수 네트워크와 복소 네트워 크 성능 비교 평가 황서림, 박성욱, 박영철No.130 43.64.-q Physiological acoustics 인공와우 전기 청각 인지에 대한 정현파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이성민No.152 43.66.-x Psychological acoustics 저주파수 순음에 대한 within- 및 cross-channel gap detectin thresholds 를 이용한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특성 연구 구성민, 임덕환No.158 음악적 화성의 이명 억제 효과: 선행 기초 연구김성찬, 홍금나, 최민주No.5545 시간 압축이 청각 작업기억과 의사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임덕환No.164 한국 정상 성인의 저주파수 임계 주파수 대역 특성에 관한 연구문지현, 전경언, 임덕환No.170 43.70.-h Speech production 로컬 프레임 속도 변경에 의한 데이터 증강을 이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음성 인식 성능 향상 임성수, 강병옥, 권오욱No.2122 43.71.-k Speech perception Feasibility of hearing aid gain self-adjustment using speech recognition윤동현, Yi Shen, Zhuohuang ZhangNo.176 난청노인의 한국어판 음악지각과 참여와 관련된 삶의 질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이도혜, 최철희No.187 학령기용 음소지각검사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청각장애아동을 대상으로신은영, 조수진, 이효인No.199 중추 청각 처리 기능 평가에서 hearing in noise test의 임상적 유용성과 개선점 고찰 한수희No.1108 43.72.-p Speech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효과적인 복소 스펙트럼 기반 음성 향상을 위한 시간과 주파수 영역 손실함수 조합에 관한 연구 정재희, 김우일No.138 Sequence dicriminative training 기법을 사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음향 모델 성능 향상 이채원, 장준혁No.3335 드론 소음 환경에서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김지민, 정재희, 여찬은, 김우일No.3342 어린이 음성인식을 위한 동적 가중 손실 기반 도메인 적대적 훈련마승희No.6647 다수 화자 한국어 음성 변환 실험육동석, 서형진, 고봉구, 유인철No.3351 콘포머 기반 FastSpeech2를 이용한 한국어 음식 주문 문장 음성합성기최예린, 장재후, 구명완No.3359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음성인식 시스템박희용, 김률, 이상민No.6655 43.75.-z Music and musical instruments 커버곡 검색을 위한 확률적 선형 판별 분석 기반 음악 유사도서진수, 김정현, 김혜미No.6662 43.80.-n Bioacoustics Ultrasonic methods for measuring the cortical bone thickness in bovine tibia in vitro 이강일No.5557 추체외로 증상에 따른 항정신병 약물 복용량과 음성 특성의 상관관계 분석이수빈, 김서영, 김혜윤, 김의태, 유경상, 이호영, 이교구 No.3367 초음파 기반 혈뇌장벽 개방에 관한 최신 임상시험 연구 현황박주영No.5564 임상에서 사용중인 탄도형 체외충격파 치료기의 음향 출력조진식, 권오빈, 전성중, 이민영, 김종민, 최민주 No.5570 탄도형 충격파 치료기의 음향 출력 시험을 위한 Dry Test Bench의 신뢰성 및 유용성 전성중, 이민영, 권오빈, 김종민, 최민주No.5589xi Vol. 41 저자 색인 Yi Shen No.1 76 Zhuohuang Zhang No.1 76 강민우 No.6 621 강병옥 No.2 122 강세혁 No.3 312 고건혁 No.2 199 고봉구 No.3 351 고석준 No.2 159, No.2 166 구가람 No.3 268, No.6 705 구명완 No.3 359 구성민 No.1 58 구준효 No.6 723 권병진 No.3 278, No.5 492 권오빈 No.5 570, No.5 589 권오욱 No.2 122 권혁종 No.4 397 권호진 No.6 723 김건도 No.3 255 김경섭 No.3 278, No.5 492 김근환 No.4 446 김기만 No.2 150 김다솔 No.4 426 김도형 No.4 446 김동현 No.2 242 김두영 No.6 629 김 률 No.6 655 김무준 No.1 9 김서영 No.3 367 김성찬 No.5 545 김승근 No.1 16 김승환 No.2 166 김완진 No.2 159, No.2 218 김완진 No.2 227 김용철 No.2 227 김우일 No.1 38, No.3 342 김원기 No.4 419 김원진 No.4 389, No.6 691 김의태 No.3 367 김인강 No.3 255 김인수 No.2 150 김인수 No.2 166, No.4 410 김재수 No.2 242 김정순 No.1 9 김정현 No.6 662 김종민 No.5 570, No.5 589 김주호 No.3 319 김지민 No.3 342 김지섭 No.2 235 김진영 No.2 115, No.5 518 김차영 No.1 1 김태훈 No.6 723 김형국 No.2 115, No.5 518 김형진 No.6 723 김혜미 No.6 662 김혜윤 No.3 367 나영남 No.2 131 나형술 No.2 235 도대원 No.2 159, No.2 166 라형인 No.2 150 마승희 No.6 647 문원규 No.1 1 문일성 No.3 255 문주영 No.5 507 문지현 No.1 70 박경민 No.6 629 박경훈 No.6 698 박규칠 No.2 144 박성욱 No.1 30 박성훈 No.5 507 박영철 No.1 30 박정수 No.4 419 박주영 No.5 564 박주현 No.5 501 박중용 No.4 397 박지현 No.2 145 박진욱 No.4 461 박철수 No.2 174, No.3 255 박형민 No.3 326 박희용 No.6 655 박희진 No.2 242 방정화 No.1 45 배무호 No.5 534 배인영 No.2 192 배호석 No.4 419, No.4 426 백승훈 No.6 669, No.6 680 변상신 No.6 609 변성훈 No.5 492 서종범 No.5 501 서진수 No.6 662 서형진 No.3 351 석종원 No.2 192, No.4 461 설승환 No.2 227 설한신 No.3 268 성우제 No.4 375, No.4 435 손수욱 No.2 131, No.4 419, No.4 426 송경준 No.6 723 송영욱 No.6 713 신금재 No.1 1 신은영 No.1 99 신의협 No.3 326 신창현 No.5 481 신현서 No.3 319xii 심기찬 No.5 492 심혜진 No.3 319 안병선 No.5 492 안정하 No.2 150 양경필 No.2 159 양원준 No.4 426 양준혁 No.6 691 양해상 No.4 375, No.4 435 여찬은 No.3 342 염수현 No.4 435 오래근 No.4 426 오수희 No.1 45 오양기 No.3 302, No.6 621 원종섭 No.6 691 유경상 No.3 367 유서윤 No.6 713 유예나 No.4 446 유인철 No.3 351 유하진 No.3 319 육동석 No.3 351 윤경식 No.4 446 윤동현 No.1 76 윤승현 No.4 435 윤영글 No.2 235 윤창현 No.2 150 윤홍우 No.3 278, No.5 492 이강수 No.5 492 이강일 No.5 557 이교구 No.3 367 이권기 No.6 698 이근화 No.2 131, No.2 174, No.6 637 이기배 No.2 199 이도혜 No.1 87 이민영 No.5 570, No.5 589 이병용 No.6 669 이상국 No.2 184 이상민 No.6 655 이석진 No.4 468, No.4 446 이성민 No.1 52 이수빈 No.3 367 이영규 No.4 389 이용곤 No.4 468 이원녕 No.4 446 이유경 No.5 501 이윤호 No.5 492 이정민 No.3 278, No.5 492 이종무 No.4 375 이종현 No.2 199 이주환 No.2 115 이채원 No.3 335 이채희 No.2 143 이철원 No.2 174 이한아 No.5 501 이호영 No.3 367 이호준 No.2 227 이효인 No.1 99 이희동 No.6 621 임덕환 No.1 58, 64, 70 임성수 No.2 122 임종범 No.3 278 임준석 No.6 637 장용훈 No.6 680 장재후 No.3 359 장준혁 No.3 335 장진호 No.5 507 전경언 No.1 70 전성중 No.5 570, No.5 589 정동기 No.2 115, No.5 518 정목근 No.5 525 정민석 No.3 268 정민승 No.6 713 정소원 No.3 255 정의철 No.4 446 정재학 No.2 227 정재희 No.1 38, No.3 342 정지원 No.2 218, No.4 410 정지희 No.1 9 정철웅 No.3 268, No.6 698, No.6 705, No.6 713 정택수 No.6 669 정현우 No.2 218 정현우 No.4 410 정홍석 No.3 268 조성일 No.2 210 조수진 No.1 99 조아현 No.3 287 조지웅 No.3 312 조진식 No.5 570 조창봉 No.6 609 지성현 No.6 669 최강훈 No.2 184, No.6 610 최민주 No.5 545, No.5 570 최민주 No.5 589 최예린 No.3 359 최정웅 No.6 637 최지웅 No.2 184, No.2 235, No.4 426, No.6 610 최철희 No.1 87 하준범 No.3 268 한동균 No.2 235 한수희 No.1 108 한원국 No.5 507 한주영 No.2 131, No.2 242 한찬훈 No.3 287 허재석 No.6 680 허정우 No.3 319 홍금나 No.5 545 홍우영 No.6 637 홍정표 No.2 192, No.4 461 황서림 No.1 30 황인성 No.2 184xiii 논 문 투 고 규 정 1. (1) 원고는 본 학회에서 수시로 접수한다. 본 학회는 접수된 원고에 대해서 반환 의무를 갖지 않는다. (2) 본 논문 투고 규정은 학회 사정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2. (구분) (1) 투고문은 정규논문, 긴급논문, 영문레터, 초청논문, 리뷰/튜토리얼 논문으로 구분한다. (2) 논문은 음향학분야의 독창적인 이론이나 실험, 새로운 설계법 또는 제작자료, 이미 발표된 이론을 정리하여 체계화한 것으로서 국내외의 간행물에 발표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긴급논문은 인쇄면을 기준으로 6면 이하로 제한한다. (3) 정규논문과 긴급논문은 편집위원회에서 정하는 심사과정을 거쳐야 하며, 수정지시와 채택 여부는 편집위원회에서 정한다. (4) 초청논문은 편집위원회를 거쳐서 편집위원장이 의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방법) (1) 논문은 워드프로세서(글 또는 MS Word로 한정)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출판되는 논문 샘플 형식으로 웹투고에 접수한다. 4. (심사) (1) 심사료와 함께 (제15조 참조) 투고된 논문은 학회에서 정하는 심사 과정을 거친 후, 편집위원회에서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2) 긴급논문의 경우 논문 접수에서 심사를 거쳐 게재 확정 여부의 최종 판정까지 5주 이내에 처리하도록 한다. (3) 심사에 이의가 있는 경우 투고자는 편집위원회에 서면으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편집위원회는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30일 이내에 투고자에게 검토 결과를 통보한다. 이에 대한 세부 내용은 음향학회 규정 및 COPE에 따른다. 5. (재투고) 수정 요구일 후 7개월 이내에 재 투고하지 않으면 저자에게 경고가 주어지고, 그 이후 4개월 이내에 재 투고하지 않으면 논문은 자동으로 게재가 취소된다. 6. (언어) (1) 한국어와 영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한다. (2) 한국어 사용 시 한글 맞춤법은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표준말 표기법에 준하여, 영어 사용 시 국제 학술어 표기법에 준하여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7. (양식) (1) 논문 작성은 표지, 요약문, 본문, 참고문헌, 표 설명목록, 표, 그림 설명목록, 그림 순으로 작성하고, 페이지 번호를 기입한다. (2) 국문과 영문논문 모두 제목, 저자명, 요약은 국문과 영문을 병기하고, 표 설명목록, 그림 설명목록은 영문만 명기한다. (3)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는 원어를 사용한다. (4) 논문에 관한 통신을 위해서 책임 저자와 주소, 전화, Fax 번호, E-mail 주소는 영어로 명기한다. 8. (요약) (1) 요약문에는 저자 및 소속명 없이 제목만을 기입한다. (2) 요약은 국문의 경우 800자 이내로, 영문의 경우는 1,200자 이내로 한다(공백제외). (3) 본 학회지 1월, 7월호 뒷부분에 수록되어 있는 논문 분류 번호를 참조하여, 투고 논문에 합당한 1개 이상의 분류번호를 요약 말미에 열거한다. (4) 논문핵심용어(keywords)를 4개 이상 7개 이내로 작성하여 분류번호 다음에 열거하며, 국문/영문을 병기한다. 9. (Reference) (1) 참고문헌은 인용된 순서대로 번호를 매겨 해당위치에 대괄호 [ ]안에 아라비아 숫자로 기입한다. (2) 인용된 문헌은 본문의 끝부분에 모아서 순서대로 열거한다. (3) 정기간행물인 경우 인용번호, 저자명, 제목, 잡지명, 권수, 페이지, 연도의 순으로 쓴다. 단행본의 경우 인용번호, 저자명, 책이름, 출판사, 출판지명, 출판년도 순으로 나열한다. 다음은 참고문헌의 작성 예이다: 1.B. H. Lee and H. W. Lee, “An optimum stageenclosure configuration for performers” (in Korean), J. Acoust. Soc. Kr. 1, 1926 (1982). 2.K. S. Kim and W. J. Seong, “2D pseudospectral acoustic propagation modeling for ocean environment”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2(s) 23, 425428 (2004). 3.H. Y. Hwang, S.-K. Lee, and W.-S. Kim, “Contention-based slotte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underwater environments,” Proc. 30th Underwater Acoustics Symposium, 67 (2015). 4.C. W. Turner, P. E. Souza, and L. N. Forget, “Use of temporal envelope cues in speech recognition by normal and hearingimpaired listeners,” J. Acoust. Soc. Am. 97, 25682576 (1995). 5.Y. Kida and T. Kawahara,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optimally weighted combination of multiple features,” Proc. Interspeech, 26212624 (2005). 6.D. Romblom and B. Cook, “Nearfield compensation for HRTF processing,” AES 125 th Convention, paper no. 7611 (2008). 7.P. M. Morse and K. U. Ingard, Theoretical Acoustics (McGrawHill, New York, 1968), pp. 100103. 8.The Intel Open Source Computer Vision Library, http://www.intel.com/technology/computing/opencv/, (Last viewed July 31, 2008). 9.R. E. Hansen, “Introduction to Synthetic Aperture Sonar,” in Sonar Systems, edited by N. Z. Kolev (InTech, Available from: http://www.intechopen.com/books/sonar-systems/,2011). 10.H. K. Hartline, A. B. Smith, and F. Ratlliff, “Inhibitory interaction in the retina,” in Handbook of Sensory Physiology, edited by M. G. F. Fuortes (SpringerVerlag, Berlin, 1972). 11.D. J. Chappell, Modelling the transient interaction of an elastic structure with an exterior acoustic field, (Ph.D. thesis, University of Brighton, 2007). 12.D. J. Henwood, “Postprocessing in the frequency and time domains,” B&W Group Ltd., Tech. Rep., 2006. 13.3GPP TS 26.401, Enhanced aacPlus General Audio Codec; General Description, v.8.0.0., 2008. 10. (Table) (1) Table 제목 또는 설명의 목록은 영문으로 별도 작성한다. (2) Table안의 설명 및 표기는 논문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 문자(예: 한글 음운을 다루는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문으로 작성한다. 11. (Figure) (1) Figure는 본문에 그 위치를 Fig. 1, Fig. 2 등과 같이 순서대로 표시한다. (2) Figure 제목 또는 설명의 목록은 영문으로 별도 작성한다. (3) Figure는 흑백 인쇄에 따른 흑백 원본이 원칙이다. (4) 논문의 특성 상 칼라 Figure로 제출된 경우 제목 맨 앞에 (Color available online) 문구를 표기한다. 흑백 인쇄에서 구별이 될 수 있는 경우를 저자가 입증하면 칼라 원본을 허용하고, 부득이 칼라 인쇄를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15(3)에 규정된 바를 따른다. (5) Figure 속의 문자나 숫자는 전체 그림이 축소될 경우를 고려하여 충분히 식별 가능한 크기로 표기되어야 한다. (6) Figure 안의 설명 및 표기는 논문의 특수성에 따른 특수 문자(예: 한글 음운을 다루는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문으로 작성한다. (7) 연속되는 Figure의 경우 예로 Figs. 1과 2와 같은 형식으로 표기한다. (8) 계측기 출력 결과 및 전문 소프트웨어의 출력결과는 단위표기법을 적용하지 않고 그림에 반영한다. 12. (Equation) (1) 수식은 (1), (2)와 같이 순서대로 수식의 오른쪽 끝에 번호로만 표기한다. (2) 본문 내용 중 수식을 서술할 경우는 수식을 의미하는 Eq.과 수식 번호, 예로 Eq. (1)과 같이 표기하며, 연속으로 함께 표기하여야 할 경우 Eqs. (1)과 (2)로 표기한다. 13. (단위 및 물리량 표기법) (1) 단위표시는 국제단위계(SI unit)를 원칙으로 한다. (2) 단위 표기는 KSA 0001과 KSA ISO 80000-1에 따른 단위표기법을 준수한다. (3) 숫자와 단위 사이는 띄어쓰기 한 칸을 적용하며 영문에서는 괄호 전후 한 칸 띄어쓰기를 준수한다. 14. (교정) (1) 논문이 채택되면 편집위원장은 저자에게 이를 통보하고 필요시 논문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2) 교정에 있어서 재교정은 저자가 보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때에는 원고를 개정할 수 없다. 부득이 상당량의 교정이 불가피한 경우 이로 인한 비용은 저자가 부담해야 한다. (3) 저자는 수정 후 최종적으로 채택된 논문 원고와 그림, 약력을 웹투고에 최종 논문으로 투고한다. (4) 논문 접수 후, 저자 추가는 일체 되지 않는다. 15. (게재료) (1) 게재 승인된 논문에 대해서는 게재료를 지불해야 하며, 이에 따라 저자는 별쇄를 30부 제공받는다. 단, 규정된 부수 및 형식 이외의 별쇄에 대해서는 재교정 시 신청해야 하며, 이에 대한 실비는 저자가 부담한다. 게재료 및 별쇄료는 학회에서 정한 규정에 따른다. (2) 인쇄된 면수로 정규논문의 경우는 6면, 긴급논문의 경우에는 3면을 기준으로 하여 게재료를 지불해야 하며, 이를 초과할 시에는 게재료를 추가하여 징수한다. (3) Full-text xml 변환비용과 사진을 게재할 때 불가피하게 아트지를 사용하거나, 칼라 인쇄 시에는 저자가 그 실비를 부담한다. (4) 게재료 면제의 경우 특별한 사유로 서면 신청 시, 편집위원장과 편집이사가 논의 후 면제 여부를 결정한다. 16. (저작권) 본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에 대한 저작권 및 지적소유권은 본 학회에 귀속되며, 논문의 저자는 이러한 권리의 이전을 투고시 언급해야 한다. 17. (발행) 본 학회지는 매년 1월, 3월, 5월, 7월, 9월, 11월 각 말일에 발행한다.xiv Aims and Scope The official title of the Journal i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abbreviated official title is ‘J. Acoust. Soc. Kr.’ first published in 1982, is an international, peer-reviewed journal. Its aim is to advance and disseminate scientific and technical knowledge concerning the broad interdisciplinary subject of sound.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ASK) publishes six issues of regular journals and two proceedings of the spring and fall meetings per year in Korean and Englis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JASK) follows an open access policy, and is indexed by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The subject coverage of the JASK includes general linear acoustics, nonlinear acoustics, aeroacoustics and atmospheric sound, underwater sound, ultrasonics, transduction, structural acoustics and vibration, noise, architectural acoustics, acoustical measurements and instrumentation, acoustic signal processing, physiological acoustics, psychological acoustics,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speech processing, speech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musical acoustics, bioacoustics, and other related topics within the scope of acoustics. Electronic Edition Full texts of the JASK are available in PDF format at http://ocean.kisti.re.kr/IS_mvpopo001P.do?method=multMain& poid=ask&free%20 Funding Sourc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was suppor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Subscription All member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automatically receive the JASK in print, free of charge. Copyright © by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ASK) retains the exclusive copyright to reproduce and distribute all ASK publications, including reprints, translations, photographic reproductions, microform, and electronic form (offline, online). Editorial Office & Publisher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Room 1619, ROSEDALE B/D, 280 Gwangpyeong-ro, Gangnam-gu, Seoul 06367, Republic of Korea; Tel: 82-2-565-1625, 82-2-556-3513; Fax: 82-2-569-9717; E-mail: jaskeditor@ask.or.kr, Homepage: http://www.ask.or.kr. ASK ISSN(Print) 1225-4428 ISSN(Online) 2287-3775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xv SUBMISSION OF MANUSCRIPTS Manuscripts should be submitted through the on-line Manuscript Central website (http://acoms.atit.co.kr:8090/ask/ index.jsp?publisher_cd=ask). Other correspondences can be e-mailed to Editor-in-Chie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Room 1619, ROSEDALE B/D, 280 Gwangpyeong-ro, Gangnam-gu, Seoul 06367, Republic of Korea (e-mail: jaskeditor@ask.or.kr, nonmun@ask.or.kr, Tel: 82-2-565-1625, Fax: 82-2-569-9717). Authorship Authors should be limited to those who meet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1)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the conception or design of the work; or the acquisition, analysis, or interpretation of data for the work; 2) drafting the work or revising it critically for important intellectual content; 3) final approval of the version to be published; and 4) agreement to be accountable for all aspects of the work in ensuring that questions related to the accuracy or integrity of any part of the work are appropriately investigated and resolved. Plagiarism Another person’s original work, such as data, figures, text or ideas, should be properly acknowledged in the author’s manuscript and not be presented as if they were the author’s own. Duplicate Publication Author should not publish findings that have been published previously. Multiple publications are only possible when it is compatible to the policy of Publication Ethics for publications in the Acoustic Society of Korea. Disclosure of Conflict of Interest If there are conflicts of interest related to author’s commitment, financial support, personal relationships, or dispute over this work, then the authors must disclose the nature of the conflict in the manuscript. Process for Managing Research and Publication Misconduct When the journal faces suspected cases of research and publication misconduct such as redundant (duplicate) publication, plagiarism, fraudulent or fabricated data, changes in authorship, an undisclosed conflict of interest, ethical problems with a submitted manuscript, a reviewer who has appropriated an author’s idea or data, complaints against editors, and so on, the resolution process will follow the instructions, “Guideline on publication ethics in ASK journals and presentations at ASK sponsored meetings (http://www.ask.or.kr/ updated on March, 2020” o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authors (http://www.publicationethics.org/).” Peer-review Process All manuscripts intended for publication in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should be submitted by the ASK publication online system, and are handled through the peer-review process for scholarly publication. The submitted manuscripts are first assessed by the Editor-in-Chief. The manuscripts that are poorly written or not consistent with this journal’s scope will be rejected in this step. The approved manuscripts will be reviewed by two anonymous reviewers selected by the Editor-in-Chief or the Associate Editor assigned. During review process, the authors’ name and affiliation are open to the reviewers. The corresponding author will be notified regarding the decision to accept, reject, or request of revision of the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