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보 시 론 박준경 특집기사 이원우 고준영, 문준식, 김재현, 박종전, 이지승 기술기사 신종호, 유제남 주채만, 이성동, 김대근, 현기동, 이종진 조한기, 양유홍, 백필순, 전진용 김한샘, 황범식, 이상래, 이강현, 정지희 인문학 산책 김재성 문화예술 산책 문지영 프로젝트 소개 이철호, 최순욱, 강태호, 장수호 국제소식 양정훈 곽창원 논문 소개 김도현 신간소개 양정훈 학회소식 및 국내외 회원동정 학회 사무국 편집후기 반호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임원명단 고 문 : 정형식, 이인모,배규진,김승렬, 이상덕,김상환, 신종호, 유한규, 이석원, 김낙영 회 장 : 조계춘 감 사 : 박윤규, 김영근 부회장 : 김범주, 문준식,박준경,신희정, 장수호,김동규, 최항석, 강태희,곽종수,손병두, 이춘술 전담이사 : 고성일, 고태영,고평국,곽창원, 김진섭,류희환, 반호기, 서형준,송기일,이강현, 전기찬,최창림 일반위원회 위원장 : 김도현, 김효규, 문훈기, 양정훈, 이창노, 장일호, 정호영 이 사 : 권운기, 김광균,김기림,김기석, 김돈희,김세배, 김양균, 김영준,김재영,김정주, 김제경,김홍문, 김훈태, 문준배,문홍표,민경남, 박정준,박종식, 박진수, 박진원,박해균,서형철, 성주현,신영완, 신영진, 신휴성,안동욱,안준상, 양의규,양희용, 오성진, 오주영,오태민,유용호, 유찬호,윤여준, 윤지남, 윤현진, 이강돈, 이상한, 이 샘, 이성원, 이재국, 이정용,이정학,이종우, 이종호,이지영, 이 호,이호성,임대성, 임준혁,전성권,정상준, 정상호, 정용복,정용우,정일택, 정재호,정찬규, 정혁상, 조충식,조홍빈,차경렬, 채휘영,최덕찬, 최명식, 최순욱,최영태,현기창, 황정순,황철비 학회지 편집위원회 위원장 : 곽창원 간 사 : 고성일, 반호기,이강현,전기찬, 정혁상 위 원 : 고준영, 고태영,고평국,김기환, 김도현,김도훈, 김선량, 김영준,김윤희,김학성, 나선홍,나유성, 도종남, 문경선,문준식,박민철, 박병관,박정준, 박종식, 변요셉,서상연,안동욱, 안재광,양정훈, 오주영, 유찬호,이상래,이철호, 전병한,정연종, 정재훈, 정지희,정호영,최순욱, 최영태,황범식 발행처 :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06720 서울시 서초구 효령로 304 14층 11호(국제전자센터) 전 화 : 02-3465-3663 전 송 : 02-3465-3666 E-mail : ktastaff@hanmail.net Home Page : www.tunnel.or.kr 편집 및 발행인 : 조계춘 인쇄인 : (주)에이퍼브(02-2274-3666) 인 쇄 : 2024.12. 23. 발 행 : 2024.12. 26. 분기별 / 비매품 Vol. 26. No. 4 2024년 12월시론 시 론 6 자연,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터널 및 지하공간 개발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단상 박준경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부회장 서 론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와 인구 증가에 따라 교통량이 증가하고, 새로운 인프라 확충에 대한 필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터널 및 지하공간의 개발은 단순히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 도시의 교통 혼잡을 줄이고 생태적 가치를 보존하며, 지하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현대 사회의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날 터널 및 지하공간개발은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터널 및 지하공간 개발분야를 포함한 건설업 전반에 걸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건설기술의 혁신”, “건설기술 혁신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BIM 도입” 등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터널/지하공간 건설의 기술혁신 및 스마트 건설기술과의 융합 최근 몇 년간 터널 및 지하공간 개발을 위한 건설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기존의 발파공법에 기반하는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에서 벗어나 TBM(tunnel boring machine)이나 로드 헤더(road header)와 같은 첨단 기계굴착장비들이 도입되면서 공사 속도와 안정성을 크게 높이고 있습니다. Vol. 26, No. 4 7 이러한 기술 혁신은 안전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계화 시공(TBM, 로드헤더) 이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터널관련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는 스마트건설기술로는 LiDAR(라이다, light detection and ranging), 드론 등을 활용한 UAVs(unmanned aerial vehicles) 기술을 활용하여 정확한 지형 데이터를 획득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고해상도 이미지와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잠재적인 터널대상부지를 보다 정확하게 매핑하고, 지질학적 위험을 조기에 식별하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조정이 가능한 센서와 컴퓨터 시스템이 장착된 스마트 TBM(smart TBM)은 다양한 지반조건에 적응하여 커팅 헤드 속도, 토크 및 추력 등을 최적화 하여 장비손상과 고장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설자동화 측면에서는 로보틱시스템(robotic systems)을 활용하여 천공, 버력처리, 라이닝 설치 등과 같은 위험한 작업환경에서 사람대신 안전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터널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생애주기 모든 단계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업을 촉진하여 모든 사람이 최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오류를 줄이고 의사결정을 강화하며 건설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발달에 따라 각종 사회 인프라는 단순한 공간의 개념을 넘어 인공지능, 자동화, 안전관리 시스템 등 부가가치를 내재한 유기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건설 IoT는 부가가치의 재료라 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제공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드론, 3D스캔, LiDAR, AR, VR, MR, IoT 센서 등을 이용한 각종 계측관련 기술들이 디지털 센싱 및 스마트 모니터링 분야에 해당되고, 동시에 3D 스캐닝, BIM, 증강 현실 및 디지털 트윈도 깊이 상호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 안전장비는 건설 현장 작업자 안전장비에 IoT 기술 및 무선통신기술 등을 적용하여 작업자의 안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개발된 장비로 작업자의 실수 방지 및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조치함으로써 안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건설안전 종합관리 시스템(2종) △위험요소 모니터링 장비(5종) △작업위험 경보알림 장비(3종) △구조물위험 경보알림 장비 (2종) △장비위험 경보알림장비(3종) △근로자 안전관리 장비(8종) △스마트 안전교육 시스템(1종) 등 7개 분야 24개 장비로 구분되어 그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 모든 스마트 건설기술들이 터널/ 지하공간 건설로 인한 위험 요소를 줄이고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터널/지하공간 개발 및 미래 터널의 역할과 전망 최근 터널 및 지하공간 개발에 있어 가장 주목받는 이슈는 바로 지속 가능성입니다. 지하 공간을 활용한 개발은 지표면 공간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보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터널 내 스마트 조명, 환기 시스템, 에너지 재생 시스템 등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으로 대형 터널 프로젝트가 많아지면서 TBM 재활용 기술의 필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럽, 일본, 싱가포르 등에서는 TBM 재활용을 통해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확보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TBM 재활용 기술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탄소중립 및 순환경제 Next >